[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8475B1 -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475B1
KR100468475B1 KR10-1999-0023964A KR19990023964A KR100468475B1 KR 100468475 B1 KR100468475 B1 KR 100468475B1 KR 19990023964 A KR19990023964 A KR 19990023964A KR 100468475 B1 KR100468475 B1 KR 100468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nitrile
monomer
carboxylic ac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604A (ko
Inventor
정유미
류진영
김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1999-0023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475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47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4Vinyl aromatic monomers and nitril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2C2-(meth)acrylate, e.g. 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3C3-(meth)acrylate, e.g. (iso)prop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42Nitriles
    • C08F220/44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06Butadi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제조 방법은 부타디엔 단량체를 중합 전환율이 5∼20%가 되도록 중합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중합 반응물에 니트릴 단량체를 첨가하여 고무질 라텍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고무질 라텍스에 알킬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첨가하고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숙성물에 니트릴 단량체를 첨가하여 중합 반응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는 색상 및 유연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METHOD OF PREPARING THERMOPLASTIC NITRILE RESIN}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색상 및 유연성이 우수한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를 제조할 수 있는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니트릴 함량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는 내화학성, 경성, 내열성 등의 화학적, 열적 및 기계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며, 특히 폴리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성분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는 높은 기체 차단성과 내화학성을 갖는다. 그러나 니트릴 성분이 높으면 가공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 아크릴로니트릴과 메타크릴로니트릴과의 공중합체를 형성하여 이용하거나(미국 특허 제 5,286,828 호), 알킬 아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를 형성하여 이용하고 있다(미국 특허 제 5,618,901 호).
그러나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도 높은 경도(경성)와 황변화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황변화 현상은 연속적인 니트릴 단위체가 고온에서 고리형 화합물을 만들어서 발색단을 형성하기 때문인 것을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황변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니트릴 단위체간의 연속 배열을 막기 위하여 니트릴 함량을 감소시켜야 한다. 그러나 기체 차단성이 요구되는 포장 용기 등의 분야에서는 니트릴 함량이 차단성 및 내화학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므로 니트릴 함량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경성은 니트릴기 중의 시안 작용기의 강한 쌍극자간 인력에 의해 비롯되는 성질로서, 경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다른 단량체를 별도로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니트릴계 수지는 뛰어난 내스크래치성 등으로 유리병 대체용인 일반 병 제품으로는 이용 가치가 높지만, 케찹 용기로 대표되는 튜브용이나 짜는 병 제품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고함량의 니트릴 수지는 높은 경도를 요구하는 병 제품에 주로 이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니트릴 함량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경성을 낮추고 황변화 정도를 최소화하여 색상이 우수하고 유연성이 우수한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를 제조할 수 있는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타디엔 단량체를 중합 전환율이 5∼20%가 되도록 중합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중합 반응물에 10 내지 40 중량부의 니트릴 단량체를 첨가하여 고무질 라텍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고무질 라텍스에 알킬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첨가하고 숙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숙성물에 니트릴 단량체를 첨가하여 중합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무질 중합체의 배열과 그라프트 공중합체 내의 배열을 조절하여 유연성이 필요한 차단성 용도에 적합하도록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니트릴과 공중합되는 단량체의 배열을 조절하여 황변 특성을 개선하는 중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면, 니트릴 단위체간의 연속 배열을 막기 위하여 니트릴 함량을 떨어뜨리거나 경도를 낮추기 위해 유리전이온도(Tg)가 낮은 다른 제 3 단량체를 별도로 이용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크게 고무질 라텍스의 제조 단계와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 고무질 라텍스의 제조
질소 또는 아르곤 기체로 세척한 반응기에 탈이온수 약 120 중량부와 0.5∼20 중량부의 음이온계 유화제, 0.2∼0.7 중량부의 전해질, 0.1∼0.3 중량부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이합체(dimer), 0.3∼0.5 중량부의 분자량 조절제, 0.1∼0.3 중량부의 라디칼 개시제를 투입하고 부타디엔 단량체 60∼80중량부와 니트릴0∼10 중량부를 투입한 다음 45∼70℃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중합 반응시킨다.
중합 반응물의 중합 전환율이 5∼20%가 되도록 진행되면, 니트릴 단량체 10∼40 중량부를 전환율 70∼90%에 이를 때까지 연속적으로 투여하여 고무질 라텍스를 제조한다.
상기 유화제는 소수성기와 친수성기를 동시에 갖는 계면활성제로 혼합되지 않는 단량체와 반응 개시제를 에멀젼화시켜 중합 반응이 일어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음이온계 유화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소디움 노닐페닐폴리옥시에틸렌 포스페이트, 소디움 도데실벤젠 술포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α-스티렌, o-에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분자량 조절제로는 고분자의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으면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t-도데실 메르캅탄, n-옥틸 메르캅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개시제로는 라디칼 반응을 야기할 수 있으면 어떠한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 벤조일 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또는 과산화수소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다른 화합물에게 전자를 줄 수 있는 화합물은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NaHCO3, Na2S2O7, K2CO3등이 사용될 수 있다. KCl, NaCl, KHCO3, NaHCO3, K2CO3, Na2CO3, KHSO3, NaHSO3, K4P2O7, K3PO4, Na3PO4, K2HPO4및 Na2HPO4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2단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1단계에서 제조된 고무질 라텍스 8∼20 중량부에 적량의 탈이온수, 음이온계 유화제 1.0∼2.0 중량부, 전해질과 알킬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15∼27 중량부를 질소 또는 아르곤 기체로 세척된 반응기에 투입하고 45∼68℃에서 20분 내지 1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상기 반응물을 60∼70℃로 승온한 후 0.01∼0.07 중량부의 산화환원 반응 개시제와 60∼70 중량부의 니트릴 단량체와 7∼0 중량부의 알킬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분자량 조절제 1.0∼3.0 중량부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면서 반응을 진행시킨다.
상기 제조 단계에서 사용되는 니트릴계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또는 그 혼합물이 있으며 알킬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에스테르 아크릴산 또는 그 혼합물을 이용한다. 상기 산화환원 반응 개시제로는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K2S2O8) 및 과산화물-Fe(Ⅱ)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해질로는 고무질 전해질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한 종류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3단계: 후처리 및 가공
2단계에서 얻어진 라텍스를 응집제인 알루미늄 퍼설페이트 1.5∼3.0 중량부로 응집한 뒤 세척, 건조 과정을 거친 후 분말을 얻어낸다. 이 분말은 160∼200℃에서 Haake 싱글 압출기(Single extruder)을 통해 펠렛을 제조하고 이를 시트 혹은 필름 형태로 가공한다. 응집제는 상기 알루미늄 퍼설페이트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응집제로 사용되는 어떠한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3가지 단계를 거쳐 얻어지는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는 통상적인 니트릴계 차단성 수지가 지니는 물성, 즉 기체 차단성을 그대로 지니면서도 경도가 낮아지고 황변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경도를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고무질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Tg가 낮은 알킬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기체 차단성이 매우 현저하게 감소하며, 고무질 함량을 증가시키면 열변형이 일어나기 쉬운 고무 때문에 황변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구현하는 방법에 의하여 목표하는 물성을 균일하게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 고무질 라텍스의 제조
탈이온수 120 중량부, 소디움 노닐페닐폴리옥시에틸렌포스페이트 1.5 중량부, 염화칼륨 0.3 중량부, 수산화칼륨 0.2 중량부, α-메틸스티렌 이합체 0.2 중량부, t-도데실 메르캅탄 0.4 중량부, 부타디엔 단량체 7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5 중량부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를 질소로 세척한 반응기에 넣고50℃에서 150rpm으로 교반하였다.
전환율이 5∼10%에 이르면 아크릴로니트릴 25 중량부를 10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투입한다. 반응 종료 후 얻어진 라텍스는 입경 1600Å이고, 유기용매를 이용해 측정한 겔 함량은 80%이다.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탈이온수 150 중량부,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고무질 라텍스 10 중량부, 소디움 노닐페닐폴리옥시에틸렌포스페이트 0.8 중량부, 소디움 도데실벤젠 술포네이트 1.0 중량부, 염화나트륨 0.2 중량부, 에틸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 17 중량부를 질소로 세척한 반응기에 넣고 45℃에서 60℃까지 1시간 동안 승온시키며 교반하였다. 60℃에 이르면 아크릴로니트릴 68 중량부, t-도데실 메르캅탄 1.5 중량부, 소디움퍼설페이트 0.5 중량부를 6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투입하였다.
상기 반응을 통해 얻어진 라텍스를 알루미늄 설페이트 1.7 중량부로 응집하고 세척, 건조하여 분말을 얻고 이 분말을 165℃에서 가공하여 시편을 제작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고무질 라텍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탈이온수 150 중량부, 실시예 1의 고무질 라텍스 20 중량부, 소디움 노닐페닐폴리옥시에틸렌포스페이트 0.8 중량부, 소디움도데실벤젠 술포네이트 1.0 중량부, 염화나트륨 0.2 중량부 및 메틸아크릴레이트 15 중량부를 상기 화합물로 실시예 1과 같이 반응기에서 1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이어서, 아크릴로니트릴 65 중량부, t-도데실 메르캅탄 1.5 중량부, 소디움 퍼설페이트 0.05 중량부를 6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고무질 라텍스의 제조
실시예 1과 같은 화합물을 이용하여 제조하되, 아크릴로니트릴 30 중량부와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 중량부의 혼합물을 부타디엔 단량체 70 중량부와 같이 반응기에 넣고 50℃에서 반응을 진행하였다.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탈이온수 150 중량부, 고무질 라텍스 10 중량부, 소디움 노닐페닐폴리옥시에틸렌포스페이트 0.8 중량부, 소디움도데실벤젠 술포네이트 1.0 중량부 및 염화나트륨 0.2 중량부을 반응기에 투여하여 60℃까지 승온시켰다.
이어서, 메틸아크릴레이트 22 중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 68 중량부와 t-도데실 메르캅탄 1.5 중량부 혼합물과 포타슘 퍼설페이트 0.05 중량부를 10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투여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고무질 라텍스 제조는 실시예 1과 동일하며,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단계에서 사용되는 총단량체 혼합물을 같은 비율로 10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단계에서 메틸아크릴레이트 27 중량부, 에틸아크릴레이트 8 중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 55 중량부를 이용하여 상기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 내지 3의 방법으로 제조한 수지를 3㎜ 두께의 시트로 제조한 시편으로 경도와 황변도를 측정하고 25㎛ 두께의 필름을 제조하여 산소 투과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황변도는 스펙트로그래드 컬러 시스템(Spectrograd Color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산소 투과도는 모콘(Mocon)의 옥시-트란(Oxi-Tran), 경도는 윌슨 락웰(Wilson Rockwell)의 경도 측정기 시리즈 500(Hardness tester series 5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황변도 5.5 10.0 16.2 6.9 5.5
산소투과도[cc·mil/100in2](24℃에서 1일 동안) 0.88 1.2 0.85 0.90 8.0
경도 95 90 112 112 98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2는 황변도 및 산소 투과도가 우수하고, 경도가 약하므로 유연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유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색상 및 유연성이 우수하다.

Claims (6)

  1. a) 부타디엔계 단량체 60 내지 80 중량부를 중합 전환율이 5~20%가 될 때까지 중합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중합 반응물에 10 내지 40 중량부의 니트릴 단량체를 투여하면서 중합시켜 고무질 라텍스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고무질 라텍스 8 내지 20 중량부에 알킬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단량체 15 내지 27 중량부를 첨가하고 45~68 ℃ 온도에서 20분 내지 1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얻은 숙성물을 60~70 ℃로 승온시킨 후 니트릴 단량체 60 내지 70 중량부를 투입하면서 중합반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부타디엔계 단량체에 10 중량부 이하의 니트릴 단량체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숙성물에 7 중량부 이하의 알킬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릴 단량체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메트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6. 삭제
KR10-1999-0023964A 1999-06-24 1999-06-24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68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964A KR100468475B1 (ko) 1999-06-24 1999-06-24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964A KR100468475B1 (ko) 1999-06-24 1999-06-24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604A KR20010003604A (ko) 2001-01-15
KR100468475B1 true KR100468475B1 (ko) 2005-01-27

Family

ID=1959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9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8475B1 (ko) 1999-06-24 1999-06-24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4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516A (ja) * 1985-07-19 1987-01-29 Mitsui Toatsu Chem Inc ゴム強化ニトリ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JPS63280712A (ja) * 1987-05-13 1988-11-17 Mitsui Toatsu Chem Inc ゴム強化高ニトリル系樹脂組成物
JPH08151417A (ja) * 1994-11-30 1996-06-11 Mitsui Toatsu Chem Inc 耐衝撃性高ニトリル系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0184704B1 (ko) * 1993-12-20 1999-05-15 유현식 광택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고니트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0214291B1 (ko) * 1996-04-03 1999-08-02 성재갑 니트릴 고무 라텍스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516A (ja) * 1985-07-19 1987-01-29 Mitsui Toatsu Chem Inc ゴム強化ニトリ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JPS63280712A (ja) * 1987-05-13 1988-11-17 Mitsui Toatsu Chem Inc ゴム強化高ニトリル系樹脂組成物
KR0184704B1 (ko) * 1993-12-20 1999-05-15 유현식 광택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고니트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JPH08151417A (ja) * 1994-11-30 1996-06-11 Mitsui Toatsu Chem Inc 耐衝撃性高ニトリル系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14291B1 (ko) * 1996-04-03 1999-08-02 성재갑 니트릴 고무 라텍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604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6382A (en) Solvent resistent acrylic res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319966B1 (en) Polymethylmethacrylate resin with an impact modifier capsulated therein and a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same
US4294946A (en) Low residual monomer α-methyl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s and ABS blends therefrom
US5169903A (en) Methacrylic resin cast plate having transparency and impact resistanc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CA1322071C (en) Process for producing a heat resistant resin composition
KR102247351B1 (ko) 코어-쉘 공중합체 제조방법, 코어-쉘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GB2304721A (en) Production of styrenic polymers and articles therefrom
GB1585390A (en) Ionic sulphonate-modified thermoplastic resins
US4361684A (en) Process for preparing copolymers comprising α-alkyl styrene and unsaturated nitrile
US3929933A (en) Rigid plastic admixed with crosslinked acrylate/vinyl chloride interpolymer
KR100468475B1 (ko) 니트릴계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 방법
JP2648179B2 (ja) 耐衝撃性に優れたメタクリル樹脂キャスト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30507A (ko) 매트릭스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5271352A (ja) 溶融加工可能なアクリロニトリル/メタクリロニトリルコポリマーの製造
EP0430160B1 (en) High-nitrile polymer composition, molded article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said composition
US5338804A (en) Methacrylic resin cast plate having transparency and impact resistanc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19980046343A (ko)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EP0404972A1 (en) Methacrylic resin cast plate having high transparency and impact resistance,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101182066B1 (ko) 투명 압출 필름용 열가소성 투명 수지, 투명 압출 필름용 열가소성 투명 수지 조성물, 및 이들로부터 제조된 투명 압출 필름
US5459215A (en) Process for producing a heat-resistant copolymer
JP2615164B2 (ja) 塩化ビニル系多元共重合体樹脂
KR100507336B1 (ko) 내열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960016625B1 (ko) 높은 니트릴함량의 열안정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수지조성물
JP2854697B2 (ja) 高ニトリル系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
KR950010550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6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7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1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1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11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1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41231

Appeal identifier: 2004101000182

Request date: 20040116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2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306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116

Effective date: 200412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018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116

Effective date: 2004123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5010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40116

Decision date: 20041231

Appeal identifier: 2004101000182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4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06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