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8308B1 - 번인용재사용가능한다이캐리어및번인방법 - Google Patents

번인용재사용가능한다이캐리어및번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308B1
KR100468308B1 KR10-1998-0709076A KR19980709076A KR100468308B1 KR 100468308 B1 KR100468308 B1 KR 100468308B1 KR 19980709076 A KR19980709076 A KR 19980709076A KR 100468308 B1 KR100468308 B1 KR 100468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die
cover
base
carrier
di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928A (ko
Inventor
씨-핵 푸
리어 포세델
래리 라페
제임스 우렌
어니 왕
폴 버크
카알 벅크
Original Assignee
에어 테스트 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 테스트 시스템즈 filed Critical 에어 테스트 시스템즈
Priority to KR10-1998-0709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308B1/ko
Publication of KR2000001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30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83Sockets for un-leaded IC's having matrix type contact fields, e.g. BGA or PGA devices; Sockets for unpackaged, naked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번인 및 전기적 테스트 동안 집적회로(12)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10)는 베이스(14), 힌지(18)에 의해 베이스에 부착된 덮개(16)를 포함한다. 가요성 기판(19)이 베이스(14)에 부착된다. 정렬 포스트들(20)은 집적회로(12)를 기판(19)의 상부면(26)에 정확히 위치설정하기 위해 집적회로(12)의 코너들(24)과 결합하는 점점 가늘어지는 표면(22)을 가진다. 스프링 장착된 래치(28)는 덮개(16)가 집적회로(12) 위에서 닫혀 있도록 유지하기 위해 베이스(14)의 구멍(32)내에서 돌출부(30)와 결합한다. 표면(26)상의 도전성 트레이스(34)들은 집적회로(12)를 기판(19)의 에지들(40) 주위의 주위 접촉 패드들(38)과 접속하기 위해 집적회로(12)의 하면상의 접촉 패드들과 결합하는 접촉 범프들을 가진다. 덮개(16)가 집적회로(12) 상의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접촉 패드들을 도전성 트레이스들(34)에 대해 밀도록 바이어스력을 제공하기 위해, 스프링(42)이 집적회로(12)의 상부면(43)과 결합한다.

Description

번인용 재사용가능한 다이 캐리어 및 번인 방법{REUSABLE DIE CARRIER FOR BURN-IN AND BURN-IN PROCES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집적회로 및 다른 반도체 장치의 평가 중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장치가 번인 및/또는 테스트되는 동안에 패키지되지 않은 다이 또는 칩-스케일 패키지(chip-scale package)와 같은 반도체 장치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에 관한 것이며,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를 사용하는 번인 및/또는 테스트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적회로 및 개별 전력 트랜지스터와 같은 기타의 반도체 장치의 조립이 완성되었을 경우에, 반도체 장치는 고객에게 전달되기 전에 결함이 있는 반도체 장치를 식별하고 제거하기 위하여 번인 및 전기테스트를 받게 된다. "번인(burn-in)"이란 용어는 반도체 장치가 제어된 온도 일반적으로 오븐내의 고온으로 작동되어 반도체 장치가 고온인 동안 어떤 동작 전기 바이어스 및/또는 신호들이 반도체 장치에 공급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고온의 사용은 상기 장치가 번인 동안에 받는 응력을 가속화하며, 그것에 의해 임계상태의 반도체 장치들은 서비스 내에 놓여진 후에 곧 결함이 나타나고 번인 동안에 결함이 나타나며 수송 전에 제거된다. 전기 테스트에 있어서, 보다 더 완전한 세트의 동작 전기 바이어스 및 신호들이 그 기능들의 완전한 평가를 제공하기 위하여 장치에 공급된다.
현재 실시되는 바와 같이, 번인 및 완전한 전기 테스트는 반도체 장치가 회로보드 내에 삽입되어지는 패키지에 조립될 때까지 실행되지 않는다. 번인과 관련하여, 패키지된 장치는 번인 동안에 사용되는 동작 전기 신호 및/또는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패키지 상에 충분한 수의 접촉 핀이나 패드를 접촉하는 회로 트레이스(trace)를 포함하는 특수 번인 보드의 소켓 내에 일시적으로 삽입된다. 일부 번인의 경우와 관련하여, 접촉은 패키지된 집적회로의 한정된 수의 핀이나 패드로만 실행될 필요가 있다. 기능을 증명하기 위한 전기 테스트를 위하여, 집적회로는 번인 보드로부터 제거되고, 패키지된 집적회로의 모든 핀이나 패드에 전기 접촉을 허용하는 테스트 장치 내에 놓여진다.
패키지된 집적회로가 번인 또는 전기 테스트동안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그것을 폐기해야 한다. 결함 있는 다이 이외에도, 집적회로 패키지 그 자체는 폐기돼야만 한다. 수년동안, 패키지되기 전에 다이 레벨에서 집적회로의 번인 및 테스트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또, 멀티 칩 모듈(MCM)의 출현은 MCM으로 여러 개의 다이를 조립하기 위하여 다이형태로 장치를 적재하기 위한 새로운 요건이 요구되었다. MCM이 수리하기가 어렵고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다이는 MCM으로 조립되기 전에 번인 및 테스트되어야 한다. 이러한 것을 행하기 위해 많은 제안이 있었지만, 일반적인 사용을 달성할 수 없었다. 다이 레벨에서 번인 및/또는 전기 테스트를 방해하는 중요한 요소는 번인 및/또는 전기 테스트를 하는 동안 다이를 보호하고 반송하기 위하여 이러한 캐리어를 위한 엄격한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장치의 부족이다.
도 1은 반도체 다이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합체된 형태로 도 1의 반도체 다이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횡단면도.
도 3은 도 1-2의 반도체 다이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평면도.
도 4는 캐리어가 개방위치에 있는, 도 2와 유사한 반도체 다이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횡단면도.
도 5는 반도체 다이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2와 유사한 횡단면도.
도 6은 반도체 다이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실시예로서 도 3과 유사한 도 5의 평면도.
도 6A는 도 5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에서 일시적으로 반도체 다이를 접촉하기 위한 기판 부분의 평면도.
도 6B는 도 6A에서 6B영역의 횡단면도.
도 7은 반도체 다이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제 3 실시예의 평면도.
도 8은 테스트설비를 사용하는 도 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9-9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평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캐리어 부분의 측면도.
도 12는 2부분 균형 압력 시스템을 가진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사시도.
도 13은 개방된 상태의 도 12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사시도.
도 14는 적절한 장소에 다이를 가진 닫힌 상태의 도 12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를 도 12의 선 14-14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15는 개방된 상태의 도 12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횡단면도.
도 16A는 도 12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상부를 도 15의 선 16A-16A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16B는 균형 블록을 z축을 따라 명확히 도시한, 도 12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상부를 도 15의 선 16A-16A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16C는 균형 블록을 x축을 따라 명확히 도시한, 도 12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상부를 도 15의 선 16A-16A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16D는 균형 블록을 y축을 따라 명확히 도시한, 도 12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상부를 도 15의 선 16A-16A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17은 4 부분 균형 압력 시스템을 가진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사시도.
도 18은 개방된 상태의 도 1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사시도.
도 19는 적절한 장소에 다이를 가진 닫힌 상태의 도 1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를 도 17의 선 19-19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20은 개방된 상태의 도 1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횡단면도.
도 21A는 균형 블록을 z축을 따라 명확히 도시한, 도 1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상부를 도 20의 선 21A-21A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21B는 균형 블록을 x축을 따라 명확히 도시한, 도 1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상부를 도 20의 선 21B-21B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21C는 균형 블록을 y축을 따라 명확히 도시한, 도 1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상부를 도 21A의 선 21C-21C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22는 볼 베어링 점접촉 압력 시스템을 가진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사시도.
도 23은 개방된 상태의 도 22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사시도.
도 24는 닫힌 상태의 도 22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횡단면도.
도 25는 개방된 상태의 도 22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횡단면도.
도 26A는 도 22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상부를 도 25의 선 26A-26A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26B는 균형 블록을 z축을 따라 명확히 도시한, 도 22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상부를 도 25의 선 26A-26A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26C는 균형 블록을 x축을 따라 명확히 도시한, 도 22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상부를 도 25의 선 26A-26A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26D는 균형 블록을 y축을 따라 명확히 도시한, 도 22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상부를 도 26의 선 26D-26D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27은 볼 베어링이 장착된 압력판을 가진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덮개의 사시도.
도 27A는 개선된 래치 기구에서 사용되는 래치 표면을 도시한, 도 2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덮개의 사시도.
도 27B는 도 2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래치의 사시도.
도 27C는 개선된 래치 기구의 확대 횡단면도.
도 28은 개방된 상태의 도 2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사시도.
도 29는 적절한 장소에 다이를 가진 닫힌 상태의 도 2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를 도 27의 선 29-29를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30은 개방된 상태의 도 2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횡단면도.
도 31A는 도 2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상부를 도 30의 선 31-31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31B는 균형 블록을 z축을 따라 명확히 도시한, 도 2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상부를 도 30의 선 31-31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31C는 균형 블록을 x축을 따라 명확히 도시한, 도 2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상부를 도 30의 선 31-31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
도 31D는 균형 블록을 y축을 따라 명확히 도시한, 도 27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상부의 횡단면도.
도 32는 재사용가능한 다이 캐리어의 베이스 조립체의 하방에서의 전개사시도.
도 33은 도 32의 조립된 베이스 조립체의 횡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의 횡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칩스케일 패키지일 수 있는, 반도체 다이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신규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도체 다이의 전기 테스트에 사용하기 적합하며 번인을 위해 반도체 다이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도체 다이의 번인 평가를 위해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사용가능한 캐리어가 반도체 다이의 전기 테스트에 사용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법에 종래의 번인 시스템 및 번인 보드가 사용될 수 있는, 반도체 다이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른 수의 핀들과 다른 사이즈의 다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사이즈로 쉽게 제공될 수 있는, 반도체 다이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도체 다이가 주위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반도체 다이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과 이에 관련된 목적들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신규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및 번인방법 및/또는 전기적 테스트 방법의 사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재사용가능한 다이 캐리어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외부에 반도체 다이의 전기 접속을 위한 복수의 캐리어 접촉부를 갖는 베이스를 갖는다. 베이스 상에 복수의 전기적 전도성 트레이스는 주변 접촉부에 접속되어 있는 제1단부를 가지며, 반도체 다이 상에 다이 접촉부를 결합하기 위해 위치되어진 제 2단부를 갖는다. 베이스상의 수단은 다이 접촉부가 복수의 전기적 전도성 트레이스의 제 2단부와 결합하면서 반도체 다이를 위치 설정한다. 덮개(lid)는 반도체 다이를 덮기 위해 베이스 전반에 걸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탈열기(heat sink)로 작용할 수 있다. 다이가 캐리어에 위치될 때 반도체 다이에 힘을 가하기 위해 힘 전달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힘 전달 시스템은 또한 다이 표면에 힘을 균일하게 분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단은 베이스 전반의 위치에 덮개를 고정시킨다.
패키지되지 않은 반도체 다이를 번인 및/또는 전기적 테스트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캐리어 상에 복수의 접촉부를 갖는 반도체 다이용의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반도체 다이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내에 삽입된다. 반도체 다이는 고온으로 가열된다. 번인 입력 전기 바이어스나 신호들은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의 외부원으로부터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에 공급되며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를 통해 반도체 다이에 공급된다. 번인 입력 전기 신호에 응답하는 번인 출력 전기 신호는 반도체 다이로부터 그리고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를 통해 적어도 일부의 복수의 접촉부로부터 수신된다. 번인 출력 전기 신호는 반도체 다이를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다이는 신호에 근거하여 양호 또는 결함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전기 테스트 입력 신호를 인가하고 전기 테스트 출력 신호를 수신함에 의해 유사한 방법으로 전기적 테스트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반도체 다이를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이점 및 특징은 도면을 참고로 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도면 특히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번인 및/또는 전기 테스트동안 집적회로(12)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10)가 도시되어 있다. 재사용가능한 캐리어(10)는 베이스(14)와 힌지(18)에 의해 베이스(14)에 부착되어 있는 덮개(16)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와 같은 중합체로 형성된 가요성 기판(19)은 적당한 접착제 또는 고정수단으로 베이스(14)에 부착되어 있다. 기판(19)은 또한 플립칩(flip-chip) 결합용의 C4 또는 다른 플립 칩과 같은 특정 형태의 집적회로에서의 사용을 위해, 세라믹 또는 실리콘과 같은 단단하고 가요성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4개의 정렬 포스트(20)는 집적회로(12)를 기판(19)의 상부면(26)에 정확하게 위치설정하기 위하여 집적회로(12)의 코너(24)와 결합하는 테이퍼링된 면(22)을 갖는다. 스프링 장착 래치(28)는 집적회로(12)의 전반을 밀폐한 덮개(16)를 지지하기 위하여 베이스(14)의 구멍(32)내에 돌출부(30)와 결합한다. 집적회로(12)를 정렬하는 기능을 가진 정렬 포스트에 부가하거나 이에 대신하여, 기판(19)상에서의 집적회로(12)의 위치 설정을 관찰하기 위한 창을 포함하는 시각적 정렬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될 수 있다.
기판 표면(26)상의 전기 전도성 트레이스(34)는 기판(19)의 에지부(40) 주위의 주변 접촉 패드(38)에 집적회로(12)를 접속하기 위하여 집적회로(12)상에 집적회로 접촉 패드(도시되지 않음)와 결합하는 접촉 범프(bump, 도시되지 않음) 또는 C4 또는 다른 전도성 범프(도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범프는 대안적으로 트레이스(34) 상이 아닌 집적회로(1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42)은 가능한 전기 접속을 보장하는 충분한 힘으로 접촉패드가 전도성 트레이스에 대항하게 하는 바이어스 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덮개(16)가 집적회로(12) 전반에 걸쳐 밀폐된 위치에 있을 경우(집적회로(12)의 후방측을 포함하는) 집적회로(12)의 상부면(43)과 결합한다.
범프들, 다이 그리고 베이스에서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고무 또는 다른 적당한 연질재료의 박층이 가요성 기판(19) 및 베이스(14)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집적회로(12)에 땜납 범프(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된다면, 연질재료는 더 부드러운 땜납 범프의 유연성을 이용하기 위해 남겨질 수도 있다. 이는 땜납 범프의 변형과 번인 및 테스트 이후의 동일평면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3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질재료(200)는 또한 단지 접촉 범프 영역(도시되지 않음)에서만 가요성 기판(19) 아래에 놓이고, 집적회로(12)가 캐리어에 배치될 때 집적회로(12)의 중심이 오게 될 영역(201)(도 1 참조) 아래에는 아무것도 없도록 맞추어질 수 있다. 이는 집적회로(12) 상의 힘이 접촉 범프 영역에 집중되게 하여, 집적회로 접촉 패드가 접촉 범프와 충분히 접촉하게 하는 데에 필요한 전체 힘을 감소시킨다. 또한, 연질재료(200)를 각 접촉 범프 아래에 있는 개개의 연질조각들(예를 들어, 개개의 실리콘 고무 조각)로 대체함에 의해 유연성을 더 집중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는 접촉 범프 영역의 힘을 더 집중시키고, 접촉 범프와의 충분한 접촉을 보장하고 다이의 다른 영역으로 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집적회로(12)에 인가되어야 하는 힘을 감소시킨다.
또한, 도 32 및 도 33에는 집적회로(12)가 수용될 공동(void, 204)을 가진 상부판(202)이 도시되어 있다. 이 상부판(202)은 Computer Technology Corporation사가 제조한 합금(42)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제조되며, 기판(19) 상에 배치된다. 캐리어에 집적회로(12)가 수용될 때, 상부판(202)은 집적회로 접촉 패드를 기판(19) 상의 접촉 범프와 기계적으로 정렬시킨다. 가요성 기판이 사용될 경우, 상부판(202)은 또한 기판(19)을 평평하게 하기도 한다. 상부판(202)은 집적회로(12)를 정렬하는 데 사용되며,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의 정렬 포스트들을 대신한다.
상부판용 재료(이 경우에는 합금 42)는 열팽창계수(TCE)를 염두에 두고 선택한다. 캐리어와 다이가 가열되면, 캐리어의 TCE는 다이의 TCE와 공평하게 거의 일치된다. 그렇지 않으면, 번인 동안 접촉부와 접촉 범프들이 서로 오정렬되고 서로간의 전기적 연결을 잃을 것이다. 가요성 기판(19)용으로 사용되었던 폴리이미드의 TCE는 실리콘의 TCE와는 상당히 차이가 있다. 이에 반해, 합금(42)의 TCE는 실리콘의 TCE에 훨씬 더 가깝다. 가요성 기판(19)을 두 개의 합금(42) 또는 베이스 사이에 끼우거나 또는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가요성 기판을 합금(42) 베이스 또는 정렬판에 결합시켜서, 열팽창으로 인한 가요성 기판(19)의 이동이 반도체 다이의 이동과 더 근접하게 일치되도록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요성 기판(19)을 끼우기 위해 상부판(202)과 함께 다른 합금(42)이 베이스판(206)으로 사용된다. 이는 베이스(208)를 합금(42)으로 만들 필요성을 제거한다. 따라서, 베이스(208)는 플라스틱과 같은 덜 값비싼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합금(42) 상부판(202)의 사용은 상부 베이스 또는 힌지블록(210)을 합금(42)으로 만들 필요성을 제거한다. 합금(42)을 양쪽에 사용하면 더욱 튼튼해진다.
금속(합금 42)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는 상기 설명된 상부베이스 또는 힌지블록(210)과 베이스(208)는 나사(212)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도 2, 도 4, 도 5에서, 진공 포트(46)에는 진공에 의해 기판(19) 상의 적절한 위치에 집적회로(12)를 지지하도록 베이스(14), 기판(19) 및 연질 재료가 제공되어 있다. 실제로, 기판(19)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과학기술을 사용하는 여러 개의 제조들로부터 통상적으로 이용가능한 기판이다. 예를 들면, 기판은 니토 덴코(Nitto Denko)로부터 얻을 수 있는 ASMAT 기판일수 있다.
재사용가능한 캐리어(10)는 합리적으로 주위로부터 보호되며, 그것에 의해 패키지되지 않은 집적회로(12)는 더 이상 깨끗한 실내환경에서 처리할 필요가 없어진다. 재사용가능한 캐리어(10)는 지금 표준 번인 또는 테스트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번인을 위해, 집적회로 다이(12)를 함유하는 임시 패키지(10)는 번인 보드(50)상의 소켓(48)내에 장착되고 번인 시스템 내에 장착되어 표준 번인이 실행된다. 임시 패키지(10)의 일부인 기판(19)의 패드(38)들은 번인소켓(48)의 리드(lead)와 결합한다. 종래와 같이, 번인은 집적회로에 동작 전위만을 적용하거나, 집적회로를 실습하도록 제공된 동작전위 및 동작신호를 적용하거나, 또는 번인동안에 집적회로(12)로부터 출력신호를 감지하고 동작전위 및 동작신호를 적용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B는 메모리 집적회로(62)를 사용하는 다른 재사용가능한 캐리어(60)를 나타낸다. 테이퍼링된(tapered) 정렬 포스트(64)는 정밀한 위치로 다른 형상의 집적회로(62)를 수용하도록 위치 설정되며 그것에 의해 그 접촉패드는 기판(70)상의 접촉범프와 결합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가요성 폴리이미드 기판(70)상의 전도성 구리 트레이스(72)는 기판(70)의 에지부(77) 주위의 주변 접촉패드(68)에 집적회로(62)를 접속하기 위하여 집적회로(62)상의 접촉패드와 결합하는 접촉 범프(74)를 갖는다. 본 발명의 도 5 내지 도 6B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 내지 도 4의 것과 동일하다.
도 7은 테스트하기 위해 기판(84) 상에 부가적인 접촉 패드(82)를 갖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80)를 나타낸다. 번인보다 더 많은 접촉부를 필요로 하는 전기테스트에 있어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80)는 테스트기(도시되지 않음)의 프로우브 카드(도 8 내지 도 9)내에 장착된다. 프로우브 카드(86)는 테스트용 부가 패드(82)와 접촉하기 위한 프로우브 팁(90)과 테스트기 접속부(92)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에폭시 또는 폴리이미드판(89) 상에 복수의 전도성 트레이스(88)를 갖는다. 명백하게 하기 위하여, 12개의 트레이스(88)만이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 프로우브 카드는 수백개의 전도성 트레이스(88) 및 프로우브 팁(90)을 포함한다. 부가 패드(82)는 기판(84)상의 전도성 트레이스(93)에 의한 테스트 하에 집적회로에 접속되어 있으며, 테스트하는데 필요한 부가 접촉부에 대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기판(84)의 구성은 프로우브 카드보다 수천 배나 많은 번인소켓이 필요하기 때문에, 번인에 사용되는 소켓(48)이 테스트하는데 필요로 하는 것보다 현저히 적은 수의 핀을 갖는 것을 허용하며, 번인의 비용이 절감된다. 전기 테스트는 번인전 또는 후에 실행된다.
도 10 내지 도 11은 고정 포스트(102) 및 스프링(104)의 결합으로 다이 캐리어에 대한 정렬 기구를 제공하고 있는, 다이 캐리어의 일부를 나타낸다. 포스트(102) 및 스프링(104)은 베이스(106)에 부착되어 있고 가요성 기판(108)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고정 포스트(102)는 다이가 기판(108)상에 적절히 위치설정될 경우 다이(114)의 양쪽 인접 측면(110) 및 (112)의 위치에 고정된다. 포스트(102)의 베이스에 있는 테이퍼링된 면(116)은 다이(114)가 포스트(102)에 대하여 압착될 경우 양 인접측면(110 및 112)을 아래쪽에서 지지한다. 포스트(102)에 대하여 다이를 지지하는 압력은 2개의 스프링(104)에 의해 공급되며, 상기 스프링(104)은 스프링과 접촉하는 다이의 양 에지부(118)에 약간의 하방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이(114)상의 이러한 하방 압력은 다이 및 위치설정기구 사이의 어떠한 정전기적 또는 분자적 인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이 위치설정기구(도시되지 않음)가 스프링을 패키지되지 않도록 하여 다이(114)로부터 멀리 밀어내는 경우에 적절한 위치에서 그것을 지지한다. 이 압력은 캐리어 덮개(도시되지 않음)가 번인이나 전기테스트 후에 개방되는 경우 적절한 위치에 다이(114)를 지지하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기술된 내용 이외에, 본 발명의 도 10 내지 도 11의 구성 및 동작은 도 1 내지 도 6B의 것과 동일하다.
도 4에서, 바이어스 력을 제공하기 위해 집적회로(12)의 상부표면(43)과 맞닿는 스프링(42)은 대칭적으로 또는 균일한 방식으로 상부표면(43)에 힘을 전달하기 위한 대체적인 힘 전달 기구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한 힘 전달 시스템은 면적 접촉 압력 시스템의 형태일 수 있으며, 그 몇 가지 실시예들을 아래에 개시한다.
도 12-16D에 도시된 것들은 힘을 z축과 x축을 따라 균일하게 분배하는 2부분 균형 압력 시스템을 가진 재사용가능한 다이 캐리어(220)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부분 균형 압력 시스템은 회전핀(224)과 그 위에 장착된 균형블록(222)을 포함한다. 회전핀(224)은 덮개(228)의 측면에서 연장된 플랜지(226)에 y축을 따라 피벗가능하게(pivotally) 장착되며, 또한 덮개(228)의 주평면에 직교하는 방향(도 12에서는 z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반도체 다이(230)에 직접 힘을 가하기 위한 압력판으로 작용하는 균형블록(222)은 따라서 x축을 따라 균일하게 힘을 분배하도록 y축에 대해 피벗할 수 있다. 압축 스프링(compression spring, 232)은 덮개(228)의 주평면에 직교하는 축방향으로의 회전핀(224)과 균형블록(222)의 이동을 제어한다. 압축스프링(232)은 회전핀(224)을 통해 균형블록(222)과 이어서 반도체 다이(230)에 바이어스력을 가한다. 반도체 다이(230)와 접촉하는 별개의 압력판이 균형블록(222)의 하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또는 균형블록(222) 자체가 압력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232)은 균형블록(222)이 z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압축한다. 회전핀(224)은 균형블록(222)의 이동을 수용하도록 구멍(234)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도 16D는 y축에 대한 균형블록(222)의 피벗 운동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균형블록(222)은 힘을 x축을 따라 균일하게 분배한다. 도 16C에서, 압축 스프링(232)은 또한 압축 스프링(232)의 변위로 인한 얼마간의 움직임을 허용하여, 균형블록(222)이 x축에 대해 피벗할 수 있도록 한다.
동작 시에 반도체 다이(230)는 캐리어(220)에 위치된다. 도 15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28)는 개방된 위치에서 움직인다. 덮개(228)가 닫혀짐에 따라, 균형블록(222)은 반도체 다이(230)와 접촉하게 된다. 균형블록(222)이 x축을 따라 힘을 분배하도록 피벗가능하게 장착되었기 때문에, 균형블록(222)에 의해 반도체 다이(230)에 가해지는 힘은 반도체 다이(230)의 x축을 따라 더욱 균일하게 분배된다. 이는 과도한 압력이 덮개(228)의 힌지에 가장 가까운 단부와 같은 다이(230)의 일단에 가해질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그런 과도한 국부적 압력은 반도체 다이(230)에 직접적으로 손상을 가할 수 있다. 또한 과도한 압력은 다이(230)가 "플립(flip)"(힌지(236)에 가까운 단부는 내려가고, 다른 단부는 올라감)하도록 하여, 다이(230)가 캐리어(220)에 부적절하게 위치되게 하고, 덮개(228)가 완전히 닫힌 위치에 가까워질 때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압축스프링(232)은 또한 압축으로 균형블록(222)과 다이(230)에 가해지는 힘의 양을 제어하고, 더욱 균일한 힘의 분배에 대한 융통성(compliance)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덮개(228)가 거의 닫히게 되면, 덮개(228)의 모퉁이는 래치(238)의 경사진 표면(240)으로 인해, 래치(238)와 맞대어져 래치(238)에 비스듬한 힘을 가하여 래치(238)가 덮개(228)로부터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덮개(228)가 닫힘에 따라, 베이스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에 이르게 되면,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 242)에 의해 스프링 장착된 래치(238)는 덮개(228)쪽으로 다시 이동한다. 래치(238)는 덮개(228) 상에 대응하는 래치면(244)과 맞물려지고, 덮개(228)가 고정된다.
도 17 내지 도 21C에 도시된 재사용가능한 다이 캐리어(250)는 z축, x축 및 y축을 따라 힘을 균일하게 분배하는 4부분 균형 압력 시스템이다. 4부분 균형 압력 시스템은 균형블록(252), 회전핀(254), 및 두 개의 압력판(256)을 포함한다. 회전핀(254)은 덮개(258)에서 연장된 플랜지(257)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덮개(258)의 주평면에 직교하는 방향(도 17에서는 z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균형블록(252)은 회전핀(254) 상에 장착되며, 회전핀(254)의 축, 도 17에서는 y축에 대해 피벗할 수 있다. 압축 스프링(262)은 덮개(258)의 주평면에 직교하는 축방향으로의 회전핀(254)과 균형블록(252)의 이동을 제어한다. 압축 스프링(262)은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 덮개(258)와 회전핀(254) 사이에 위치되며, 반도체 다이(230)에 바이어스력을 가한다. 두 개의 패드(261)가 균형블록(252)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두 개의 압력판(256)은 회전핀(254)의 축과 직교하는 축(도 17에서는 x축)에 대한 움직임을 위해, 두 개의 패드(261)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다. y축에 대한 균형블록(252)의 피벗 운동은 x축을 따라 힘을 분배하며, x축에 대한 압력판(256)의 피벗 운동은 y축을 따라 힘을 분배한다.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262)은 회전핀(254)과 균형블록(252)이 z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압축한다. 회전핀(254)은 균형블록(252)의 이동을 수용하도록 플랜지(257)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도 21B에서, 압력판(256)은 x축에 대해 피벗하여 y축을 따라 힘을 분배한다. 도 21C는 y축에 대한 균형블록(252)의 피벗 운동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균형블록(252)은 힘을 x축을 따라 분배한다.
반도체 다이(260)가 캐리어(250)에 위치된 후에, 도 20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58)는 개방된 위치에서 닫힌 위치로 움직인다. 덮개(258)가 닫혀짐에 따라, 압력판(256)은 반도체 다이(260)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력판(256)은 x축에 대해 피벗가능하며, 압력판(256)을 지지하는 균형블록(252)은 y축에 대해 피벗가능하다. 따라서, 균형블록(252)과 압력판(256)의 관절 형태의 접합(articulation)은 힘이 y축과 x축을 따라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여, 불균일한 힘의 분배로 인한 다이(260)의 플립 및 손상 야기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압축스프링(262)은 또한 다이(260)에 가해지는 힘의 양을 제어하고, 균형 압력 시스템과 다이(260) 사이에 탄력성을 제공한다. 덮개(258)가 닫힘 위치에 이르게 되면, 래치(264)는 덮개(258) 상의 래치면(244)과 맞물려지고, 덮개(258)가 고정된다. 이 4부분 시스템은 상기 설명한 다이(260) 플립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큰 면적의 다이 및 완전한 배열 접촉부에서 사용할 때 유용하다.
도 22 내지 도 26은 점 접촉 압력 시스템을 가진 재사용가능한 다이 캐리어(270)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표면(273)에 구멍(271)이 형성된 압력판(272)을 포함하며, 압력판(272)은 피벗핀(274)에 의해 덮개(278)에 부착되어 있다. 구멍(271)은 볼베어링(276)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안쪽으로 원추형으로 넓혀져 있으며(countersink), 볼베어링(276)은 압력판(272)의 표면(273) 밖으로 돌출해 있다. 원추형 구멍(271)의 경사진 특성은 볼베어링(276)이 압력판(272)의 표면(273)에 대해 측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한다. 볼베어링(276)의 측방향 움직임은 또한 압력판(272)의 벽으로부터의 돌기(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서도 제어될 수 있다. 볼베어링(276)과 덮개(278) 사이에 위치한 압축스프링(280)은 압력판(272)에 대해 볼베어링(276)에 힘을 가한다.
점 접촉 압력 시스템에서, 볼베어링(276)은 반도체 다이(282)에 힘을 인가하는데 사용된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압력판(272)의 표면(273)은 테이퍼링 특성을 가진다. 이는 압력판(272) 자체가 다이(282)에 불균일한 힘을 가할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압력판(272)의 표면(273)의 테이퍼링 특성은 볼베어링(276)이 힘 전달 시스템과 반도체 다이(282) 사이에서 최초의 접촉점이 될 것이라는 걸 보장한다.
동작 시에, 반도체 다이(282)는 캐리어(270)내에 위치되며, 덮개(278)는 개방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이동된다. 압력판(272)의 테이퍼링된 표면(273)과 오프셋 피벗으로 인해, 볼베어링(276)은 반도체 다이(282)에 가장 먼저 접촉한다. 볼베어링(276)의 만곡한 표면(273)은 어떠한 코너 부분이라도 수용 가능하게 하며, 압축스프링(280)은 z축을 따라 탄력성을 제공한다. 비록 압력판(272)이 볼베어링(276)을 축으로 피벗할 수 있지만, 압력판(272)이 일반적으로 반도체 다이(282)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한 관절운동(articulation)의 크기는 면적 접촉 설계값보다 작아야 한다.
상기 점 접촉 압력 시스템은 반도체 다이의 전체 면적에 걸쳐, 즉 x축 및 y축 방향 모두를 따라, 힘 분배의 대칭성을 개선하기 위해 납땜 범프가 있는 다이 또는 다른 집적 회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반도체 다이와 압력판 사이의 접촉 표면적이 감소되어, 표면 장력 및 다이와 압력판 사이의 진공이 감소된다. 그러한 "달라붙음(스티킹, sticking)"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이는 그것이 덮개가 열릴 때 다이가 압력판 표면에 달라붙게 하여 다이의 위치설정을 부적절하게 하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상기 설명되고 이하에서도 개시된 것과 같은 면적 접촉 시스템은 접촉 표면적을 감소시키도록 형성된 압력판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압력판의 표면을 뾰족한 점, 홈, 체크 무늬(cross-hatches), 또는 다른 물결 특징으로 무늬를 짜 넣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27-31D는 다른 면적 접촉 압력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데, 볼베어링이 장착된 압력판(292)을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290)의 형태이다. 압력판(292)은 덮개(298)에서 연장된 플랜지(291)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압력판(292)에는 피벗핀(294)이 두 개의 나사 형태로 부착된다. 피벗핀(294)은 또한 제자리에 형성 또는 압착(press-fit)될 수 있다. 이들 피벗핀(294)은 플랜지(291)의 슬롯들(293)을 통해 연장되며, 플랜지(291)의 내측에 있는 너트 또는 다른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슬롯들(293)은 피벗핀(294)이 피벗하고, 압력판(292)의 표면(295)에 직교하는 방향(z축을 따라)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압력판(292)은 그 속에 형성된 함몰부(depression, 296)를 가지며, 이는 도 29에 원추형 구멍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볼베어링은 함몰부(296)의 근처에서 압력판(292)과 접하며, 함몰부(296)는 압력판(292)에 평행하는 볼베어링(300)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압력판(292)은 볼베어링(300)에 대해 어떤 방향으로든 피벗할 수 있다. 볼베어링(300)은 볼베어링(300)과 덮개(298) 사이에 위치한 압축스프링(302)에 의해 스프링 장착되며, 따라서 압력판(292)에 힘을 가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피벗핀(294)은 덮개(298)의 힌지(304) 쪽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압축스프링(302)이 피벗점에서 떨어져 있는 축을 통해 볼베어링(300)과 압력판(292)에 힘을 가하기 때문에, 이는 도 30 및 도 3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판9292)이 베이스(306) 쪽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따라서, 덮개(298)가 닫힘에 따라, 반도체 다이(308)에 대한 압력판(292)의 경사각이 감소되고, 압력판(292)의 표면이 반도체 다이(308)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된다. 경사각의 이러한 감소는 힘이 다이(308)에 더욱 균일하게 인가되도록 하여, 다이의 움직임 또는 플립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피벗핀(294)은 또한 오프셋 없이 압력판(292)의 중심선 상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이 때에는 반도체 다이(308)에 대한 압력판(292)의 경사각이 더 커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반도체 다이(308)가 캐리어(290)에 위치되고, 덮개(298)가 닫히게 되면, 압력판(292)은 거의 평행한 방향의 다이(308) 표면에 접근한다. 압력판(292)은 다이(308) 표면에 힘을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해 볼베어링(300)에 대해 피벗하며, 스프링(302)은 제어된 힘을 다이(308)에 인가하도록 압축한다. 덮개(298)가 닫힘 위치에 이르면, 래치(310)가 작용하여 덮개(298)를 고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래치(310)와 덮개(298)의 래치면(311)은 도 27A 내지 도 2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된 형상을 가진다. 래치면(311)은 래치(310)와 맞물릴 때 래치(310) 위로 연장된 경사부(312)를 가진다. 도 14에서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된 래치 형상에서는, 덮개(298)에 가해지는 상방향의 힘이 래치(310)를 피벗하게 하여 덮개(298)가 퉁겨 열리는 경향이 있다. 이는 다이 캐리어의 진동으로부터의 우발적 개방 가능성을 증가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시된 개선된 형상에서는, 경사부(312)가 래치(310)의 상부표면(314)과 맞닿을 때까지 덮개(298)에 인가되는 상방향의 힘이 덮개를 약간 들어올린다. 이 때에, 경사부(312)는 래치(310)에 하방향의 힘을 가하여, 래치(310)가 계속 원호를 그리고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덮개(298)가 닫혀 있도록 한다. 나아가, 덮개(298)의 하부 래치면(316)과 이에 대응하는 래치(310)의 래치면(318)이 경사져 있다. 이는 덮개(298)를 들어올림에 의해 발생하는 어떠한 힘도 래치(310)의 원호형 궤도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이는 캐리어가 진동 또는 낙하에 의해 우발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더 방지하는 장점이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캐리어들을 포함하는 어떠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4는 도 27 내지 도 31에 도시된 면적 접촉 압력 시스템의 대안적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패키지 높이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다. 샤프트(352)가 걸려있는 슬롯들(350)은 덮개(356)가 아니라 압력 기부(pressure foot)에 위치해 있다. 스프링(358)은 샤프트(352) 아래에서 샤프트(352)와 압축 기부(354)의 바닥(360) 사이에 있다. 도 34의 실시예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부분이외의 구조와 동작은 본 발명의 도 27 내지 도 31D의 실시예에서의 그것과 동일하다.
상기에서 설명된 힘 전달 시스템은 다이 방열용 탈열기(heat sink)로 설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압력판, 볼베어링, 및 다른 구성요소들은 아연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더 나은 열 전달 능력 및 바이어스 전압이 다이의 후면에 인가되는 후면 바이어스 기능을 갖춘 재료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나아가, 비록 시스템이 x, y, z축이란 용어로 설명되었지만, 반드시 상호 직교하는 축을 따라 동작하지 않는 시스템도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번인 및 전기적 테스트에 대한 신규의 재사용가능한 다이 캐리어가 제공되는 것이 아주 명백해질 것이다.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는 반도체 다이를 일시적으로 지지한다. 한 형태에 있어서,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는 번인용 반도체 다이를 일시적으로 지지하며 또한 반도체 다이의 전기테스트에도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이 형태는 여분의 접촉패드가 테스트용 캐리어 내에 집적회로를 접촉하기 위하여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내에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한정된 수의 핀들만을 필요로 하는 번인소켓에 대하여 실질적인 절감을 제공한다. 방법은 반도체 다이의 번인평가 및 반도체 다이의 전기테스트에 대하여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를 사용한다.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는 종래의 번인시스템 및 번인 보드에 사용될 수 있다.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는 다른 사이즈의 다이와 다른 수들의 핀들에 대하여 다른 사이즈로 쉽게 제공될 수 있다. 번인 보드 상의 하나의 소켓 설계는 기판 재설계에 의해 다이 캐리어 내에 다양한 집적회로 다이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집적회로 다이로의 신호들의 적당한 방향은 다이 캐리어 내에 다른 기판의 사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 특성은 보편적인 가열판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사용가능한 캐리어에 있어서 반도체 다이는 환경적으로 보호된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해 질 것이다. 예를 들어, 다이 표면과 접촉하는 균형블록과 압력판은 판과 다이 사이의 들러붙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표면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조 및 범주 내에 포함된다.

Claims (21)

  1. 반도체 다이용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로서,
    상기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외부에 상기 반도체 다이의 전기 접속을 위한 다수의 캐리어 접촉부들, 및 상기 캐리어 접촉부들에 접속되는 제 1 단부들과 상기 반도체 다이 상의 다이 접촉부들을 고정시키도록 위치되는 제 2 단부들을 갖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트레이스들을 구비한 베이스;
    상기 반도체 다이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위에 탈착가능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덮개로서, 상기 베이스에 힌지-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가 상기 반도체 다이를 커버하기 위해 위치되고 있을 때, 상기 반도체 다이에 균일하게 압력을 가하기 위한 2부분 균형 압력 시스템으로서,
    하나의 축을 따라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덮개에 실장되는 회전 핀, 및
    상기 회전 핀에 실장된 균형 블록을 포함하는 2부분 균형 압력 시스템을 포함하는 2부분 균형 압력 시스템을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부분 균형 압력 시스템은 상기 균형 블록에 피봇가능하게 실장된 적어도 하나의 압력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력판은 상기 덮개가 상기 베이스 위의 닫힘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반도체 다이의 주요 평면에 평행한 압력판 축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판 축은 상기 회전 피의 축을 횡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5. 반도체 다이용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로서,
    상기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외부에 상기 반도체 다이의 전기 접속을 위한 다수의 캐리어 접촉부들, 및 상기 캐리어 접촉부들에 접속되는 제 1 단부들과 상기 반도체 다이 상의 다이 접촉부들을 고정시키도록 위치되는 제 2 단부들을 갖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트레이스들을 구비한 베이스;
    상기 반도체 다이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위에 탈착가능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덮개로서, 상기 베이스에 힌지-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가 상기 반도체 다이를 커버하기 위해 위치되고 있을 때, 상기 반도체 다이에 균일하게 압력을 가하기 위한 4부분 균형 압력 시스템으로서,
    일 축을 따라 피봇가능하도록 상기 덮개에 실장되는 회전 핀,
    상기 회전 핀에 실장된 균형 블록,
    상기 회전 핀을 통해 상기 균형 블록에 힘을 가하기 위해 상기 덮개와 상기 균형 블록 사이에 위치되는 압축 스프링,
    상기 균형 블록의 하부에 부착된 2개의 패드들, 및
    상기 회전 핀의 축에 횡단하는 축을 중심으로 운동하도록 상기 2개의 패드들에 피봇가능하게 실장된 2개의 압력판들을 포함하는 4부분 균형 압력 시스템을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6. 반도체 다이용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로서,
    상기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외부에 상기 반도체 다이의 전기 접속을 위한 다수의 캐리어 접촉부들, 및 상기 캐리어 접촉부들에 접속되는 제 1 단부들과 상기 반도체 다이 상의 다이 접촉부들을 고정시키도록 위치되는 제 2 단부들을 갖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트레이스들을 구비한 베이스;
    상기 반도체 다이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위에 탈착가능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덮개로서, 상기 베이스에 힌지-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가 상기 반도체 다이를 커버하기 위해 위치되고 있을 때, 상기 반도체 다이에 균일하게 압력을 가하기 위한 점 접촉 압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덮개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된 압력판으로서, 볼 베어링을 수용하는 홀을 구비하고, 양 측면들에 피봇 핀들을 수용하기 위한 홀들을 구비한 압력판, 및
    상기 압력판 내의 홀에 일부가 상기 홀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로딩되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점 접촉 압력 시스템을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판의 외부 표면은 테이퍼링된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8. 반도체 다이용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로서,
    상기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외부에 상기 반도체 다이의 전기 접속을 위한 다수의 캐리어 접촉부들, 및 상기 캐리어 접촉부들에 접속되는 제 1 단부들과 상기 반도체 다이 상의 다이 접촉부들을 고정시키도록 위치되는 제 2 단부들을 갖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트레이스들을 구비한 베이스;
    상기 반도체 다이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위에 탈착가능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덮개로서, 상기 베이스에 힌지-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가 상기 반도체 다이를 커버하기 위해 위치되고 있을 때, 상기 반도체 다이에 균일하게 압력을 가하기 위한 면적 접촉 압력 시스템으로서,
    상기 덮개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된 압력판으로서, 볼 베어링을 수용하는 홀을 구비하고, 양 측면들에 피봇 핀들을 수용하기 위한 홀들을 구비한 압력판, 및
    상기 압력판 내의 홀에 일부가 상기 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로딩되는 볼 베어링을 포함하는 면적 접촉 압력 시스템을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9. 반도체 다이용 재사용가능한 캐리어로서,
    상기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외부에 상기 반도체 다이의 전기 접속을 위한 다수의 캐리어 접촉부들, 및 상기 캐리어 접촉부들에 접속되는 제 1 단부들과 상기 반도체 다이 상의 다이 접촉부들을 고정시키도록 위치되는 제 2 단부들을 갖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트레이스들을 구비한 베이스;
    상기 반도체 다이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위에 탈착가능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덮개로서, 상기 베이스에 힌지-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가 상기 반도체 다이를 커버하기 위해 위치되고 있을 때, 상기 반도체 다이에 균일하게 압력을 가하기 위한 면적 접촉 압력 시스템으로서,
    양 측면들에 샤프트를 수용하는 슬롯들을 구비한 압력 기부,
    상기 압력 기부를 상기 덮개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슬롯들에 걸리도록 실장된 샤프트를 포함하는 면적 접촉 압력 시스템을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10. 제 1항, 제 5항, 제 6항, 제 8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다이가 상기 베이스에 위치되고 상기 덮개가 상기 반도체 다이를 커버하기 위해 위치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반도체 다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를 통해 연장되는 진공 포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11. 제 1항, 제 5항, 제 6항, 제 8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양 측면들로부터 연장되는 플랜지들을 구비하고, 상기 힌지 맞은편 단부에 래칭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12. 제 1항, 제 5항, 제 6항, 제 8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핀은 상기 덮개의 일측 플랜지 내의 홀로부터 상기 덮개의 타측 플랜지 내의 홀까지 미끄러질 수 있도록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13.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핀을 통해 상기 균형 블록에 힘을 가하기 위해 상기 덮개와 상기 균형 블록 사이에 위치된 압축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14.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볼 베어링을 통해 상기 균형 블록에 힘을 가하기 위해 상기 덮개와 상기 균형 블록 사이에 위치된 압축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15. 제 1항, 제 5항, 제 6항, 제 8항 및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다이 접촉부들이 상기 트레이스들의 제 2 단부들과 맞물리도록 상기 반도체 다이를 자동적으로 정확히 위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부재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포스트들로서, 각각이 상기 반도체 다이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표면을 갖는 포스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부재는 다수의 상기 반도체 다이 측면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구멍을 구비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반도체 다이의 열팽창 계수와 거의 일치하는 열팽창 계수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1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 압력 시스템은 상기 덮개가 상기 베이스 위의 닫힘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반도체 다이에 대한 입사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판을 기울이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20.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시스템은 상기 덮개가 상기 베이스 위의 닫힘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반도체 다이에 대한 입사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판을 기울이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2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시스템은 상기 덮개가 상기 베이스 위의 닫힘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반도체 다이에 대한 입사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압력판을 기울이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가능한 캐리어.
KR10-1998-0709076A 1996-05-13 1997-05-12 번인용재사용가능한다이캐리어및번인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68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9076A KR100468308B1 (ko) 1996-05-13 1997-05-12 번인용재사용가능한다이캐리어및번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45,343 1996-05-13
KR10-1998-0709076A KR100468308B1 (ko) 1996-05-13 1997-05-12 번인용재사용가능한다이캐리어및번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928A KR20000010928A (ko) 2000-02-25
KR100468308B1 true KR100468308B1 (ko) 2005-03-16

Family

ID=4366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0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8308B1 (ko) 1996-05-13 1997-05-12 번인용재사용가능한다이캐리어및번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568A (ko) * 2019-06-25 2021-01-05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568A (ko) * 2019-06-25 2021-01-05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258145B1 (ko) 2019-06-25 2021-05-28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928A (ko) 200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7125A (en) Reusable die carrier for burn-in and burn-in process
US6025732A (en) Reusable die carrier for burn-in and burn-in process
US6342789B1 (en) Universal wafer carrier for wafer level die burn-in
US5882221A (en) Socket for semiconductor devices
US6166553A (en) Prober-tester electrical interface for semiconductor test
US7129730B2 (en) Probe card assembly
US5468158A (en) Non-destructive interconnect system for semiconductor devices
US5539324A (en) Universal wafer carrier for wafer level die burn-in
US5705933A (en) Resuable carrier for burn-in/testing on non packaged die
US59429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dies
JP2001183415A (ja) ベアチップ用icソケット
KR19990067859A (ko) Ic소자 접촉장치
US7017428B2 (en) Test kit for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for testing semiconductor package using the same
US5559445A (en) Adapter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US20030052319A1 (en) Fixture for multiple known good die processing
US7524697B2 (en) Method for manufactuing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3928979B2 (ja) バーンインおよびバーンイン法に使用する再使用可能なダイキャリヤ
KR100468308B1 (ko) 번인용재사용가능한다이캐리어및번인방법
US71023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conductive bumps
US5455518A (en) Test apparatus for integrated circuit die
US5994910A (en) Apparatus,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stress testing wire bond-type semi-conductor chips
US6583635B2 (en) Semiconductor die test carrier having conductive elastomeric interposer
KR940009571B1 (ko) 번인소켓
US6720574B2 (en) Method of testing a semiconductor chip
TW399278B (en) Reuasable die carrier for burn-in and burn-i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