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7303B1 - 차량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303B1
KR100467303B1 KR10-1999-7005830A KR19997005830A KR100467303B1 KR 100467303 B1 KR100467303 B1 KR 100467303B1 KR 19997005830 A KR19997005830 A KR 19997005830A KR 100467303 B1 KR100467303 B1 KR 100467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hicle
delete delete
probe
cond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349A (ko
Inventor
터크프레데릭제이
시불스키클로드이
호크만얼비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00062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30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inductive or magnetic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1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using induction co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지하 설치용 차량 감지 장치(20)는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 주행면의 아래쪽에서 연장된다. 도관(24)은 차량 주행면의 측부에 있는 접근구로부터 지하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복수개의 탐침(50)이 자기장의 국부적인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도관 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복수개의 지지부는 배선과 탐침들을 수용하고, 이들의 방향 및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지지부들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클립으로 연결되어 경량의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며 접근구를 통하여 한 개씩 추가될 수 있다. 경량의 연결 부재들은 탐침을 지지하여 배치시키는 지지부들 사이에서 소정의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감지 장치{APPARATUS FOR SENSING VEHICLES}
거리나 도로 상에 있는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차량 존재의 감지는 다양한 이유로 행해진다. 교통 흐름을 조사하고 도로 사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차량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수송 계획 및 교통 신호등 제어에 활용될 수 있다. 한 쌍의 감지 장치가 또한 차량 속도를 감시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로가 건설된 후에 설치하는 경우, 선행 기술에서의 차량 감지 장치는 일반적으로 포장 도로를 관통하는 천공 작업 및 포장 도로의 표면을 절단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오랜 시간 동안 교통 흐름을 방해하였다. 이 작업은 상당한 교통 지체를 유발하고 운전자들을 불편하게 만든다. 직경이 6 피트 이상인 유도성 루프(inductive loop)를 이용하여 차량 존재의 변화를 감지하는 시스템이 미국 특허 제3,984,764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는 복잡한 루프의 복수회 감긴 와이어 루프를 수용하기 위하여 포장 도로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절단부를 필요로 하는 종래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복수개의 센서를 위해 반복된 루프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미국 특허 제3,943,399호에 기재되어 있다. 각 센서 루프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사각형 절단부가 포장 도로에 만들어져야 한다. 루프가 포장 도로내에 깊이 묻힐수록, 시스템의 양호한 감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와이어가 감긴 회수는 많아져야 한다. 추가로, 이 시스템들에서는 시스템 제어기로 이어지는 배선을 수용하기 위하여 도로의 가장자리까지 절단할 필요가 있다.
저항의 변화로써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는 시스템이 미국 특허 제5,491,475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는 도로를 만들 때 도관을 설치하거나 도로 건설 후에 그 표면에 넓은 슬롯을 만들어야 한다. 추가로, 도관을 통한 센서의 설치 및 시스템의 배선 작업을 위하여 도관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로의 각 측부에 접근용 박스(access box)가 설치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감지 장치의 설치에서는 콘크리트 도로 건설에서 사용되는 강화용 바(bar)를 절단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설치를 더 복잡하게 만든다. 추가로, 강화용 철망(reinforcing grid)에서의 자기(magnetism) 및 이 철망에 의한 지구 자장 집중의 감소는 저항 변화의 정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4,449,115호에 기재된 다른 장치에서는 차량이 존재할 경우에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감지 장치가 내부에 삽입되는 구멍을 도로에 천공하여야 한다. 이 장치는 또한 통상 센서로부터 포장 도로의 측부에 이르는 배선을 위하여 포장 도로의 표면을 절단하여 슬롯을 만들어야 한다. 이 시스템이 정확한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지만, 이 시스템도 역시 도로를 손상시키며 설치 및 보수를 위하여 오랜 시간의 차선 봉쇄를 필요로 한다.
도로 표면에 절단부를 만드는 경우, 갈라진 틈 사이로 물이 스며들어 결빙 및 해빙 사이클에 의하여 발생하는 팽창 및 수축으로 포장 도로가 빨리 손상된다. 포장 도로의 팽창 및 수축은 또한 차량 감지 시스템의 배선을 손상시키며, 이에 따라 보수 및/또는 교체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절단부를 충전하기 위한 밀봉용 복합재는 종종 아스팔트를 부식시켜 열화 및 수분 등의 침투 현상을 가속시킨다.
본 발명은 차량 감지를 위한 방법 및 지하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장치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제 도면에 대하여 설명하면, 동일한 도면 부호 및 번호는 전 도면에서 서로 대응하는 구조물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차량 감지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부분 절단된 상태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감지 장치를 부분 절단된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 감지 장치용 탐침 운반 지지부의 제1 실시예를 부분 절단된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부에 사용되는 연결 클립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지부를 단부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지지부 및 도 1에 도시된 차량 감지 장치용 설치대를 단부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 감지 장치용 센서 탐침 및 하우징을 부분 절단된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탐침 운반 지지부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탐침 운반 지지부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장착용 클립이 부착된 탐침 운반 지지부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차량 감지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부분 절단된 상태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차량 감지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부분 절단된 상태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따라서, 새롭고 개선된 차량 감지용 지하 설치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미리 지정된 지점 위를 통과하는 모든 차량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감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차선 봉쇄의 회수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포장 도로의 표면을 절단하는 공정이 없어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단일의 접근점을 통하여 포장 도로 아래에 삽입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포장 도로를 통과하거나 그 내부에 설치되기 보다는 포장 도로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센서 탐침(sensor probe)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배치 및 정렬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지하 설치가 바람직한데, 이는 설치물이 차량과 충돌하지 않으며, 온도 변화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고 이로 인한 변화율이 낮으며, 통상의 도로 복구 방법 또는 제설기나 도로 청소기와 같은 유지 보수 설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탐침 지지 구조물은 각도 정렬, 용이한 삽입 및 해체를 위하여 복수개의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할 뿐만 아나라, 지하 설치용 차량 감지 장치와 관련된 다른 문제점들도 해결한다.
본 발명은 지하 설치용 차량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차량 주행면, 통상 포장 도로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차량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장 도로 위에서 지나가는 차량은 그 아래에 배치된 복수 개의 탐침 중 한 개 이상의 탐침에서 임피던스의 변화를 초래한다. 탐침은 차량의 존재를 확실히 감지할 수 있도록 방향이 고정되어야 하고 안정적이어야 한다.
센서 탐침은 긴 지지 구조물에 설치되며, 이 구조물은 포장 도로의 표면 아래에서 그 도로의 한쪽에서부터 연장하게 된다. 표면 접근구(access hole) 내지 점검구(hand hole)가 상기 구조물과 연결되어 있어, 지지 구조물 및 센서 배열을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지지 구조물은 통상 복수개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이들 지지부가 함께 결합되어 길이가 긴 지지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 시스템은 또한 탐침을 지지하지는 않지만 탐침 지지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부재 또는 기타 연결재를 이용한다. 이 비지지부(非支持部)들은 지지부들간의 상대 거리 및 회전 정렬을 유지하는 축 또는 다른 구조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들은 각각 인접하는 지지부를 유지하고 상대 각도 변위를 방지하도록 클립을 사용하여 단부와 단부를 연결하게 된다. 이 지지부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탐침들을 유지하기 위해, 스스로 중심을 잡도록 실질적으로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량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구성의 배선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 배선은 지지부를 통하여 연장되어, 탐침들을 도로의 측부 또는 원격지에 배치된 프로세서나 다른 제어기에 연결하게 된다. 각 탐침 지지부는 장착 구멍이 있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그 구멍에는 센서 탐침이 수납된다. 이 지지부는 통상 포장 도로의 표면 아래로 6 내지 24 인치 깊이에서 그 도로 표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오리피스 또는 도관 내에 끼워진다.
상기 시스템의 조립은 센서 탐침이 장착된 제1 지지부를 표면 접근구 내에 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수행된다. 제1 지지부는 곡면 첨두부와 회수용 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회수용 선은 유지 또는 보수를 위하여 회수하여야 할 경우에 지지 구조물을 끄집어내는 데에 도움이 된다. 일단 센서 탐침이 적소에 설치되면, 제1 지지부는 그 다음 지지부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점검구에 생길 때까지 도관을 따라 밀어 넣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제2 지지부가 삽입되어 제1 지지부에 클립으로 고정되며, 이러한 단계는 미리 지정된 간격마다 반복된다. 탐침은 원하는 감지 범위가 얻어지도록 미리 지정된 지지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과정은 지지부들이 길이가 긴 지지 구조물로 조립될 때까지 반복되는 데, 여기서 지지부들은 단부와 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정렬되어 있고, 센서 탐침들은 지지 구조물을 따라 배치된다. 센서 탐침들이 원하는 미리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충분한 지지부들을 삽입한 경우, 마지막 지지부를 표면 접근구에서의 적소에 고정시키게 되며, 이로써 센서 탐침들은 정확한 간격으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징짓는 전술한 신규한 특징들 및 다양한 이점들은 특히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 본 발명의 이점 및 본 발명을 사용하여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설명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면에 있어서,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20으로 표시된 지하 설치용 차량 감지 장치(sensing system)가 도시되어 있다. 차량 감지 장치(20)는 통상은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와 같은 포장 도로인 차량 주행면(22)의 아래에, 일반적으로는 차량 주행면의 상부면 아래로 16 내지 24 인치 깊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멍 또는 도관(24)은 차량 주행면의 측부에 있는 통상은 점검구라고 불리는 표면 접근구(26)로부터 차량 주행면(22)의 아래에서 수평으로 연장된다. 표면 접근구(26)에는 통상 차량 감지 장치(20)의 배선, 전자 부품 및 그 밖의 요소를 보호하기 위하여 덮개부(28)가 포함된다. 상측 개방부(74)가 있는 설치대(70)는 접근구(26) 내에서 슬리브 부재(72)에 의해 도관(24)에 부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장치(20)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센서 탐침(50)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탐침(50)은 상단부(54) 및 하단부(56)가 있는 하우징(52)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 내에는 전자 센서(58)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탐침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60)에 의해 서로 연결되거나 각 탐침(50)이 프로세서나 제어기로 이어지는 케이블을 별도로 구비해도 좋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탐침이 배치된 지점 위를 통과할 경우 발생하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센서(58)는 평면 스트립(64)에 장착된 마이크로루프 코일(microloop coil)(62)과, 회로 박스(66)를 포함한다. 도로에 이미 존재하는 철근 또는 다른 강자성 재료는 센서(58)의 감도나 정확도에 통상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차량의 존재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포장 도로의 내부 또는 이를 관통하여 배치할 필요가 없는 다른 유형의 지하 설치용 차량 감지 소자(sensing device)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탐침(50)이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는 경우, 도로 신호등의 제어 또는 기타 교통 흐름 분석 등을 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제어 장치로 신호가 보내진다. 적절히 작동하기 위하여, 탐침(50)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야 하며, 이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 또는 바람직한 설계 위치로부터 벗어나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효율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탐침 하우징(52)은 센서(58)를 적절한 방향으로 안정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플랜지 또는 다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58)의 성능은 센서(58)가 수직으로부터 10°이내의 범위에 있을 때는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또한, 센서(58)가 수직으로부터 45°이내의 범위에 있을 경우 만족할 만한 성능이 달성되었다.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탐침(50)은 탐침 운반 지지부(32) 내에 수납되며, 이 지지부는 탐침(50)을 보호하고 이들을 간격을 두어 정렬시키는 길이가 긴 보호용 지지 구조물(30)을 형성한다. 각 지지부(32)는 곡면인 외벽(34)을 포함하며, 이 벽은 도관(24) 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2)는 상측 개방부(36)가 있는 곡면의 외벽(34)을 각각 구비한다. 프레임(3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침(50)을 수용하고 정렬하기 위한 탐침 장착용 구멍(40)을 포함한다. 프레임(38)은 또한 지지부(32)의 한 쪽 단부에 장착된 클립(44)을 포함한다. 프레임(38) 또는 지지부(32)의 하부는 지지부를 안정시키고 탐침(50)을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의 안정 위치로 유지하도록 무겁게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클립(44)은 바로 인접한 지지부(32)에 부착되어 지지부들을 서로 연결된 배열 상태 및 각도상 정렬 상태로 유지한다. 클립(44)은 유지부(46)를 포함하며, 이 유지부는 인접하는 지지부의 프레임(38)의 대향하는 단부에 형성된 클립 슬롯(42)과 맞물리며 일단 삽입되면 잘 분리되지 않는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클립(44)은 300 계열 스테인레스강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내식성 재료이다. 복수개의 지지부(32)가 연결되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탐침(50)을 수납하는 길이가 긴 지지 구조물(30)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프레임(38)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 이상의 탐침 장착용 구멍(40)을 포함함으로써 탐침의 간격을 탐침 간격 사양을 만족시키도록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길이가 긴 지지 구조물(30)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원추형 곡면 첨두편(78)이 제1 지지부(32)에 부착되어, 도관(24) 내에서의 연결부나 굴곡부와 같은 불규칙한 것을 모두 제거하는 데에 도움을 주거나, 도관(24)의 구멍 내에 모인 파편들을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회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회수용 코드 또는 선(76)이 제1 지지부(32)에 부착되고, 이로써 지지부들을 회수 및 제거하기 위하여 잡아 당겨질 수 있다.
도 8은, 탐침 운반 지지부(9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부(90)는 평면 바닥부 및 그곳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측부를 포함한다. 탐침 장착 오리피스(92)는 바닥부에 형성되며 센서 탐침(58)을 수용하기 위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슬롯(94)이 지지부(90)의 단부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90)에는 도 4에 도시된 클립 부재(44)가 마련되어 있고, 이를 통하여 단부와 단부가 연결되도록 다른 지지부에 부착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지지부(90)는 도관 내에 삽입되는 한편, 탐침(50)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지지하며 센서(58)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시킨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도 9는, 탐침 운반 지지부(100)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부(100)는 바깥쪽 부분(102)과 장착부(104)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 부분(102)과 장착부(104)는 단일의 요소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지만, 다른 방식으로 서로 부착될 수도 있다. 바깥쪽 부분(102)에는 장착부(104)의 상부에 있는 오리피스(106)에 장착되는 탐침(58)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측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104)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44)이 마련되어 있어, 지지부(100)들을 단부와 단부가 연결되도록 연결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클립(44)은 인접하는 지지부의 슬롯(108)에 부착된다.
도 10은, 탐침 운반 지지부(140)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부(140)는 원호형 바깥쪽 부분(142)과, 슬롯(148)이 형성된 장착부(144)를 포함한다. 바깥쪽 부분(142)에는 장착부(144)의 상부에 있는 오리피스(146)에 장착되는 탐침(58)을 수용하기 위한 상측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14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44)이 마련되어 있어, 지지부(140)들을 단부와 단부가 연결되도록 서로 연결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클립(44)은 인접하는 지지부의 슬롯(148)에 부착되며, 여기서 클립(44)은 도 4에 도시된 배치 상태와는 반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하여 탐침 및 차량 감지 장치(20)의 조립 및 설치가 단순하고 용이하게 실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구멍이 형성되고, 필요한 경우에 도관(24)이 삽입되면, 지지 구조물(30) 및 탐침(50)이 배치될 수 있다. 삽입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제1 지지부(32)를 접근구(26) 안으로 넣어 설치대 부재(70)의 개방부(74) 내에 배치한다. 설치대 부재(70)는 슬리브 부재(72)를 통하여 도관(24)의 나머지 부분과 연결된다. 제1 센서 탐침(50)은 프레임(38)의 장착용 구멍(40)에 배치되며 관련된 배선은 개방된 단부 쪽으로 뒤로 보내진다. 또한, 회수용 선(76)은 제1 지지부에 연결되어 뒤로 연장된다. 이 단계가 완료된 후에, 상기 지지부(32)는 도관 내로 앞쪽으로 밀어 넣어져 설치대 부재(70)의 개방부(74)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여기에 제2 지지부(32)는 클립 부재(44)가 제1 지지부(32)의 프레임(38)에 있는 슬롯(42)과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일련의 센서가 제2 지지부(32)의 상측 개방부(36)를 통하여 배치되며 회수용 선(76)도 역시 지지부(32)의 개방부 위에 배치한다. 간격에 관한 사양이 탐침(50)이 소정 지지부(32)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으로 주어지는 경우, 탐침(50)은 장착용 구멍(40) 중 하나에 삽입된다. 이 단계가 완료되는 경우, 연결된 지지부(32)들은 도관(24) 내로 앞쪽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 과정은 충분한 수의 지지부(32)들이 도관(24) 내에 배치될 때까지 반복되며, 이로써 센서 탐침(50)은 차량 주행면(22) 아래쪽의 미리 지정된 감지 위치에 정렬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 클립(80)은 설치대 부재(70)의 개방부(74) 상에서 제일 끝의 지지부(32) 위쪽으로 배치된다. 설치대 클립(80)은 지지부 프레임과 맞물리는 부분(82)을 포함하며, 이 부분은 지지부(32)의 프레임(38) 위에 끼워진다. 설치대 클립(80)은 또한 지지부의 벽부와 맞물리는 부분(84)을 포함하며, 이 부분은 개방부(36) 및 곡면형 벽부(34) 너머로 연장된다. 설치대와 맞물리는 부분(86)은 설치대 개방부(74)의 가장자리에 부착된다. 클립(80)은 제일 끝의 지지부(32)를 적소에 고정시키며, 지지 구조물(30) 전체를 적절한 정렬 상태로 유지하여 도관(24) 내에서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배선(60)은 데이타 분석을 위하여 적절한 프로세서로 연결되며, 이 프로세서는 점검구(26)나 그로부터 떨어진 지점에 배치된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장치(20)와 유사한 차량 감지 장치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120)는 도관(24) 내의 지지부(32)에 장착된 센서 탐침(50)을 포함한다. 그러나, 중간의 연결부(122)가 선택된 지지부(32)를 대신하여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122)는 지지부(32)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거나, 연결부(122)를 지지부(32)에 연결하는 힌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22)는 중량이 작으며 저렴한 축이나 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연결부(122)는 지지부(32)들 간의 간격과 지지부(32)들의 상대적인 정렬 상태가 유지되도록 통상 클립에 의하여 고정되거나 아니면 지지부(3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부(122)가 지지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어, 저렴하면서도 중량이 가벼우며 설치와 제거가 간단한 장치(120)가 제공된다.
이제 도 12를 참조하면, 차량 감지 장치(13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차량 감지 장치(130)는 도관(24) 내로 삽입된 지지부(32)를 포함한다. 단일의 접근구(26)가 이 장치(130)의 설치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장치(120)와 유사하게, 센서(50)가 지지되지 않는 소정 길이에 걸쳐, 연결 부재(132)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장치(130)는 지지부(32)와 클립으로 연결되거나 아니면 거기에 부착되는 연결 부재(132)를 이용한다. 연결 부재(132)는 감을 수 있을 정도의 약간의 가요성은 갖고 있는 상당히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도관(24) 내로 삽입되는 경우, 연결 부재(132)는 지지부(32) 사이의 간격 및 상대적인 각도 정렬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부(32)는 연결 부재(132) 또는 지지하는 센서 탐침(50)을 따라 미리 지정된 위치에서 연결 부재(132)에 클립으로 연결되거나 아니면 거기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 11 및 12에 도시된 실시예가 지지부(32)의 사용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도 8,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지부(90, 100, 140)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의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설치 방법은 한 번에 단지 한 개씩 지지부(32, 90, 100, 140)를 배치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지지 구조물(30) 전체를 끌어 내야할 필요는 없으며, 구멍을 통하여 전자 부품 및 다른 구조물을 끌어내기 위하여 차량 주행면(22)의 양 쪽에 각각 개방부를 마련하기보다는 차량 주행면(22)의 한 쪽에 단지 한 개의 개방부(26)만을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경량의 지지 구조물(30)을 제공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각 지지부는 인접하는 지지부(32)들 간에 각도 상의 상대 운동을 초래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탐침(50)은 모두 향상된 성능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유지 보수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지지 구조물은, 회수용 선(76)을 사용하여 끌어내면서 한 번에 한 개의 지지부(32)를 제거함으로써, 또는 가장 끝의 지지부(32)를 잡고 개방부로 끌어내고 이 가장 끝의 지지부(32)를 바로 인접한 지지부(32)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접근구(26)를 통해 끌집어 낼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가장 끝에 있는 센서까지의 거리는 접근구(26)로부터 측정될 수 있으며 포장 도로 아래쪽의 적절한 위치에 말단 센서(50)가 배치될 때까지 충분한 수의 지지부(32)가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센서 탐침(50)이 제1 지지부로부터 배치되어야 하는 지점으로부터의 거리는 회수용 선(76)이나 배선에 표시될 수 있으며, 미리 지정된 위치의 근처에 있는 지지부(32) 내로 탐침이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말단 탐침(50)에 후속하는 배치를 위한 용이한 설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는 잘못된 판독의 회수를 줄이고 작은 차량에 대하여도 더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는 자기 유도 감지 기능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장치는 실질적으로 경량이고 저렴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탐침이 도로 아래쪽의 각 차선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측정 범위가 실질적으로 도로의 폭 전체에 미치게 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차량에 의해 유발되는 지구 자기장의 국부적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탐침(50)이 포장 도로의 아래쪽에서 보다 낮은 깊이에 배치될 수 있어, 도로를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장치를 최초로 설치하는 동안에 봉쇄되어야 할 차선의 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통 흐름이 차단되어야 하는 시간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보수나 점검 작업에는 통상 차선 봉쇄가 필요하지 않다. 이는 실질적인 노동력 절감을 제공하고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게 될 지점을 통과하는 교통 흐름의 중단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도로가 포장된 후에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차량 감지 장치(20)를 용이하게 설치하고 수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여러 특징 및 이점들을 본 발명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설명과 함께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내용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광의의 용어에 의해 지시되는 범위 전체까지 본 발명의 원리 내에서 특히 구성 부품의 모양, 크기 및 배열에 대하여 구체적인 변경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8)

  1. 차량 주행면 상의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감지 장치로서,
    차량 주행면 아래에 설치하는 도관과;
    상기 도관 내에 끼워지도록 된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차량 주행면 상의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는 센서 탐침을 그 지지부에 대해 고정된 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도관 내의 미리 지정된 위치까지 운반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지지부는 차량 주행면 상의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는 센서 탐침의 방향을 상기 차량 주행면에 대해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도관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인 차량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이들 두 지지부는 상기 도관 내에서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단부와 단부가 연결되는 것인 차량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 지지부는 인접한 각 지지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인 차량 감지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차량 주행면 상의 차량의 존재를 감지하는 센서 탐침을 상기 지지부 내에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 감지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그에 인접하는 지지부의 중간에 삽입되어, 이들 선택된 지지부들을 서로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연결하는 간격 유지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 감지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1999-7005830A 1996-12-27 1997-04-17 차량 감지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467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77,298 1996-12-27
US08/777,298 US5850192A (en) 1996-12-27 1996-12-27 Apparatus for sensing vehicles
US08/777,298 1996-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349A KR20000062349A (ko) 2000-10-25
KR100467303B1 true KR100467303B1 (ko) 2005-01-24

Family

ID=2510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830A Expired - Lifetime KR100467303B1 (ko) 1996-12-27 1997-04-17 차량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50192A (ko)
EP (1) EP0950199B1 (ko)
JP (1) JP3978467B2 (ko)
KR (1) KR100467303B1 (ko)
AU (1) AU725229B2 (ko)
BR (1) BR9714101B1 (ko)
CA (1) CA2274969C (ko)
DE (1) DE69711234T2 (ko)
ES (1) ES2170947T3 (ko)
WO (1) WO19980297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6344B1 (en) 1999-07-02 2003-04-08 Banner Engineering Corporation Magnetic anomaly sensor system
US6166660A (en) * 1999-09-15 2000-12-26 Grenier; Frank Driveway alarm system
US7102244B2 (en) * 2002-10-03 2006-09-05 Hunter Jr John P Vehicle actuated road imbedded magneto generator
US7005850B2 (en) * 2003-02-20 2006-02-28 Sensonix, Inc. Magnetic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magnetic sensors
US6870489B2 (en) * 2003-02-28 2005-03-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ehicle sensing system
US20040174273A1 (en) * 2003-03-03 2004-09-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ehicle sensing system
US8028961B2 (en) * 2006-12-22 2011-10-04 Central Signal, Llc Vital solid state controller
WO2009150528A2 (en) * 2008-06-13 2009-12-17 Tmt Services And Supplies (Pty) Limited Traffic control system and method
US9026283B2 (en) 2010-05-31 2015-05-05 Central Signal, Llc Train detection
DE102013018003B4 (de) * 2013-11-29 2015-09-24 Hermann Eser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Geschwindigkeitsmessung
DE102015202780A1 (de) * 2015-02-17 2016-08-18 Robert Bosch Gmbh Sensorvorrichtung
US11069234B1 (en) 2018-02-09 2021-07-20 Applied Information,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ommunication between traffic controller systems and mobile transmitters and receivers
US11205345B1 (en) 2018-10-02 2021-12-21 Applied Information, Inc. Systems, methods, devices, and apparatuses for intelligent traffic signali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9915A (en) * 1965-04-20 1966-05-03 Tr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detection
US3649958A (en) * 1970-03-25 1972-03-14 Canoga Controls Corp Vehicle detection system
US3714626A (en) * 1971-03-18 1973-01-30 Canoga Controls Corp Vehicle detection system
US3775742A (en) * 1972-09-18 1973-11-27 Canoga Controls Corp Vehicle detection system
US3943339A (en) * 1974-04-29 1976-03-09 Canoga Controls Corporation Inductive loop detector system
DE2437797C3 (de) * 1974-08-06 1979-04-26 Elmeg-Elektro-Mechanik Gmbh, 3150 Peine Anordnung zur Zählung von Fahrzeugen
US3984764A (en) * 1975-03-03 1976-10-05 Canoga Controls Corporation Inductive loop structur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vehicles over a roadway
US4032096A (en) * 1976-03-03 1977-06-28 Frederick Perrault Curved bracket adapter
US4449115A (en) * 1980-10-15 1984-05-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pparatus for detecting ferromagnetic material
US4839480A (en) * 1986-11-05 1989-06-13 The Gates Rubber Company Vehicle sensing device
US4943805A (en) * 1986-11-13 1990-07-24 Dennison James L Conduit-enclosed induction loop for a vehicle detector
US5265481A (en) * 1990-12-19 1993-11-30 Kistler Instrumente Ag Force sensor systems especially for determining dynamically the axle load, speed, wheelbase and gross weight of vehicles
CH683714A5 (de) * 1990-12-19 1994-04-29 Kk Holding Ag Kraftsensoranordnung, insbesondere zur dynamischen Achslast-, Geschwindigkeits-, Achsabstands- und Gesamtgewichtsbestimmung von Fahrzeugen.
US5442136A (en) * 1992-07-02 1995-08-15 Allen; Jerry L. Method of installation of partitioning device for a tubular conduit
US5486820A (en) * 1992-12-18 1996-01-23 The Whitaker Corporation Traffic sensor having piezoelectric sensors which distinguish lanes
US5491475A (en) * 1993-03-19 1996-02-13 Honeywell Inc. Magnetometer vehicle detector
US5520056A (en) * 1993-04-01 1996-05-28 Etat Francais Process for conditioning and for placing a traffic sensor
GB2437797A (en) * 2006-05-05 2007-11-07 Robert Stephen Scott Flood b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714101B1 (pt) 2009-05-05
DE69711234T2 (de) 2002-07-18
JP3978467B2 (ja) 2007-09-19
AU725229B2 (en) 2000-10-12
WO1998029765A1 (en) 1998-07-09
DE69711234D1 (de) 2002-04-25
US5850192A (en) 1998-12-15
EP0950199B1 (en) 2002-03-20
EP0950199A1 (en) 1999-10-20
BR9714101A (pt) 2000-03-21
AU2673997A (en) 1998-07-31
CA2274969A1 (en) 1998-07-09
JP2001508568A (ja) 2001-06-26
CA2274969C (en) 2005-02-08
KR20000062349A (ko) 2000-10-25
ES2170947T3 (es) 200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7303B1 (ko) 차량 감지 장치
US6072405A (en) Meter transmission unit for use with a pit set utility meter
JPH10317884A (ja) ダクト又は通路の形成装置及び方法
US4993160A (en) Pipe alignment device and method
US8988969B2 (en) Detection of cross bores involving buried utilities
US50429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sewer and drainage pipe
Klein et al. Traffic detector handbook: Volume II
US5320180A (en) Dual antenna radio frequency loca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324881B1 (ko) 매립관용 측정자
US5949373A (en) Automated cable install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419140B2 (en) Security fence module
RU2365889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а утечки газа из подзем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варианты)
KR100449935B1 (ko) 강철 케이블을 이용하여 산지에 도관 등의 설치방법
EP0770978B1 (fr) Système de détection de masses métalliques
WO20182297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underground voids
US200700443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subterranean objects
JP3455430B2 (ja) 自然災害発生検知装置及び自然災害発生検知方法
KR100891105B1 (ko) 전력선 보호구
US7005850B2 (en) Magnetic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magnetic sensors
KR100672012B1 (ko) 하수관거 매설물 위치도 표지 설치구조
KR100275825B1 (ko) 관로의 누수위치 검사장치
JP2002138418A (ja) 落石検知方法
JP2018087814A (ja) 冠水検知センサの取付構造
JP4343643B2 (ja) ボーリング孔における観測装置の設置深度測定方法。
CA2331319A1 (en) Support bracket for a locator wire for a gas utility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4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71017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