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6344B1 - 거실 확장장치 - Google Patents

거실 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344B1
KR100466344B1 KR1020030085777A KR20030085777A KR100466344B1 KR 100466344 B1 KR100466344 B1 KR 100466344B1 KR 1020030085777 A KR1020030085777 A KR 1020030085777A KR 20030085777 A KR20030085777 A KR 20030085777A KR 100466344 B1 KR100466344 B1 KR 100466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cover plate
living room
lower window
horizontal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균
Original Assignee
박용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균 filed Critical 박용균
Priority to KR1020030085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34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06B3/303Covering metal or plastic frames with wooden profil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실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선택적으로 거실을 확장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차단창을 재 장착하여 거실과 발코니를 분리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거실과 발코니 사이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내측에는 차단창이 삽입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레일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창틀을 포함하는 주거공간에 있어서, 상기 하부창틀의 거실측 전면을 커버하면서 하부창틀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된 수직격판과, 상기 발코니의 바닥 상부에 수직격판의 상단과 동일한 상면의 높이로 발코니의 바닥에 돌출되게 고정되며 수직격판의 후방과 전방 사이에는 상기 하부창틀과 상응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게 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상기 개방부에 이탈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상기 하부창틀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평 커버격판으로 구성된 거실 확장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실 확장장치{A sitting room extension apparatus}
본 발명은 거실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선택적으로 거실을 확장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차단창을 재 장착하여 거실과 발코니를 분리할 수도 있는 거실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서는 거실의 공간을 확장하기 위하여 발코니를 거실까지 연장하는 인테리어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통상적인 거실 확장공사는, 거실과 발코니를 경계하는 창틀을 철거한 다음 바닥과 측벽 및 천정을 마감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같이 창틀을 완전히 철거하는 방식의 거실확장은 불법적인 것으로 아파트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어 법으로 금지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거실과 발코니를 경계하는 창틀을 완전히 철거하게 되어 법적으로 문제가 발생될 경우에는, 원래의 창틀을 다시 복구해야 함으로서 거주자에게는 이중으로 시공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종래 거실 확장공사의 문제점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에 거실을 확장하는 시공방법은, 거실과 발코니를 경계하는 창틀을 완전히 철거함에 따라 복원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거실과 발코니를 경계하는 창호의 재사용이 불가능함에 따라서 동절기에 거실의 단열효과를 얻을 수 없어 난방비 등이 가중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철거된 창틀은 물론 차단창이 그냥 폐기됨에 따라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창틀을 철거함에 따라서 철거 및 마감공사에 따른 시공비용이 과다하게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30625호의 "거실 확장용 창틀 커버"가 공지되어 있는데 먼저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창틀의 레일부와 공틀부를 덮어주기 위한 길이가 긴 평판상의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어 창틀의 양측벽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측부커버와, 상기 커버본체의 하부로 연장되어 레일의 측벽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탄성 결합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따라서 상기와 같은 창틀커버는 창틀의 전,후방 및 상부를 막는 커버를 제공하여 창틀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창문의 재장착시 커버를 없애므로서 간단이 창문을 복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그러나 상기와 같은 창틀 커버를 사용하게 되면, 창틀을 단순히 커버하는 것으로서 창틀커버의 상부공간은 거실에서 손실되는 공간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그리고 상기와 같은 창틀 커버를 통해 창틀을 커버한 후에는 사람이 창틀 커버를 지나 다니면서 발로 치게게 됨에 따라 커버본체가 창틀로부터 자주 이탈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거실과 발코니를 구획하는 창틀을 전혀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창틀의 전방을 수직격판으로 막고 발코니의 상부에는 상기 수직격판과 동일한 높이의 바닥을 구성하고 상기 수직격판과 바닥의 전방 사이에는 착탈이 가능하게 창틀에 올려지는 수평 커버격판을 구비한 거실 확장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기존 창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선택적으로 거실을 확장할 수 있고 반대로 차단창을 재 장착하여 거실과 발코니를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창틀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면서 창틀의 상부도 손실없이 거실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또한 하부창틀을 커버하는 수평 커버격판을 하부창틀의 상부에 견고히 고정하면서도 용이하게 이탈시켜 차단창의 재 장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확장장치가 장착된 주거공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의 확장장치가 장착된 주거공간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장치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확장장치에 차단창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일부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거공간
11 : 거실
12 : 발코니
13 : 하부창틀
131 : 레일
14 : 양측창틀
2 : 수직격판
3 : 바닥부
31 : 지지편
32 : 바닥격판
4 : 개방부
5 : 수평 커버격판
51 : 돌출 삽입부
52 : 나사못
6 : 착탈수단
61 : 자석
62 : 금속체
7 : 탄성체
8 : 접착층
9 : 손잡이 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거실과 발코니 사이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내측에는 차단창이 삽입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레일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창틀을 포함하는 주거공간에 있어서, 상기 하부창틀의 거실측 전면을 커버하면서 하부창틀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된 수직격판과, 상기 발코니의 바닥 상부에 수직격판의 상단과 동일한 상면의 높이로 발코니의 바닥에 돌출되게 고정되며 수직격판의 후방과 전방 사이에는 상기 하부창틀과 상응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게 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상기 개방부에 이탈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상기 하부창틀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평 커버격판으로 구성된 거실 확장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확장장치가 장착된 주거공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의 확장장치가 장착된 주거공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이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확장장치는, 거실(11)과 발코니(12) 사이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내측에는 차단창(10;도5참조)이 삽입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레일(131)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창틀(13)을 포함하는 주거공간(1)에 있어서, 상기 하부창틀(13)의 거실(11)측 전면을 커버하면서 하부창틀(13)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된 수직격판(2)과, 상기 발코니(12)의 바닥 상부에 수직격판(2)의 상단과 동일한 상면의 높이로 발코니(12)의 바닥에 돌출되게 고정되며 수직격판(2)의 후방과 전방 사이에는 상기 하부창틀(13)과 상응되는 개방부(4)가 형성되게 하는 바닥부(3), 및 상기 바닥부(3)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상기 개방부(4)에 이탈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상기 하부창틀(13)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평 커버격판(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3)는, 발코니(12)의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로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편(31)과, 이 다수의 지지편(31)의 상부에 고정되어 발코니(12)의 바닥을 구성하며 상면이 상기 수평 커버격판(5)의 상면과 일치되는 바닥격판(3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 커버격판(5)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 홀(9)이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서, 손쉽게 수평 커버격판(5)을 확장장치에 형성된 개방부(4)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수직격판(2)을 하부창틀(13)의 전방에 장착할 경우에는, 접착재 또는 못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하부창틀(13)의 전방에 수직격판(2)을 견고히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직격판(2)과 바닥부(3) 및 수평 커버격판(5)은 가공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목재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확장장치를 시공하는 방법과 그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장치의 설치방법을 나타낸 공정도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장치를 설치하여 거실(1)을 확장할 경우에는, 먼저, 거실(11)과 발코니(12) 사이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있는 하부창틀(13)의 거실(11)측 전면에 하부창틀(13)의 상면 보다 돌출되게 수직격판(2)을 접착재 또는 못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하여 커버하는 단계(100)를 진행한다.
다음 상기 발코니(12)의 바닥(121) 상부에 수직격판(2)의 상단과 동일한 상면의 높이로 바닥부(3)를 장착하면서 상기 수직격판(2)의 후방과 전방 사이에는 상기 하부창틀(13)과 상응되는 개방부(4)가 형성되게 하는 바닥부(3)를 장착하는 단계(200)를 진행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개방부(4)에 수평 커버격판(5)을 상기 바닥부(3)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이탈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하여 상기 하부창틀(13)의 상부를 커버하는 단계(300)를 진행함으로서, 확장장치의 장착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부(3)를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발코니(12)의 바닥에 일정한 높이로 접착재 또는 못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다수의 지지편(31)을 고정한다.
다음 상기 바닥에 고정된 다수의 지지편(31)의 상부에 상기 수평 커버격판(5)의 상면과 일치되도록 바닥격판(32)을 접착재 또는 못 등의 고정수단을통해 고정함으로서, 바닥부(3)의 설치를 마감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를 마감한 상태에서는, 거실(1)을 발코니(2)까지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도 5는 본 발명의 확장장치에 차단창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로서, 상기와 같이 확장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기존 차단창(10)을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하부창틀(13)의 상부를 막고 있는 수평 커버격판(5)을 확장장치의 개방부(4)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러면 하부창틀(13)의 상부가 개방됨으로서, 기존의 차단창(10)을, 기존에 그대로 장착되어 있는 양측창틀과 상부창틀이 포함되는 창틀에 재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동절기 등에 거실의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어 난방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일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커버격판(5)과 하부창틀(13)의 사이에는, 상기 수평 커버격판(5) 또는 하부창틀(13) 중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자석(61)과, 반대로 하부창틀(13) 또는 수평 커버격판(5) 중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자석(61)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체(62)로 구성된 착탈수단(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수평 커버격판(5) 또는 하부창틀(13) 중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61)을 구비하고, 반대로 하부창틀(13) 또는 수평 커버격판(5) 중 하나에는 상기자석(61)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체(62)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 커버격판(5)을 하부창틀(13)로부터 이탈이 가능하도록 부착 장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자석(61)과 금속체(62)의 상호 결합을 통해 수평 커버격판(5)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에 따라서, 주거자가 수평 커버격판(6)의 상부를 밟더라도 수평 커버격판(6)이 확장장치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기존 차단창(10)을 사용할 경우에는, 수평 커버격판(5)을 상부로 들어 상기 자석(61)의 부착상태를 해제함으로서, 수평 커버격판(6)을 용이하게 하부창틀(13)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일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커버격판(5)의 하부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창틀(13)의 레일(131) 사이에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탄성체(7)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수평 커버격판(5)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창틀(13)의 레일(131)사이에 강제적으로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탄성체(7)를 돌출되게 더 구비하여 상기 수평 커버격판(5)을 하부창틀(13)로부터 이탈이 가능하도록 삽입 장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탄성체(7)의 강제 끼움 결합을 통해 수평 커버격판(5)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에 따라서, 주거자가 수평 커버격판(6)의 상부를 밟더라도 수평 커버격판(6)이 확장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기존 차단창(10)을 사용할 경우에는, 수평 커버격판(5)을 상부로 들어 상기 탄성체(7)의 끼움 상태를 해제함으로서, 수평 커버격판(6)을 용이하게 하부창틀(13)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일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커버격판(5)과 하부창틀(13)의 사이에는 수평 커버격판(5)을 하부창틀(13)로부터 강제 이탈이 가능하도록 접착하는 접착층(8)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수평 커버격판(5)을 상기 하부창틀(13)의 상부에 강제 이탈이 가능하도록 접착재를 통해 접착 장착함으로서, 수평 커버격판(5)을 하부창틀(13)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수평 커버격판(5)을 상부로 들어 강제로 이탈시켜 기존 차단창(10)의 사용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로서, 상기 일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커버격판(5)의 양측에는 상기 하부창틀(13)의 양측에 수직으로 구비된 양측창틀(14)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삽입부(51)가 연장되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돌출삽입부(51)에는 수평 커버격판(5)을 하부창틀(13)에 이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못(52)이 상부에서 관통되어 상기 하부창틀(13)의 하판에 체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수평 커버격판(5)의 양측의 돌출삽입부(51)를 상기 하부창틀(13)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양측창틀(14)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면서 수평 커버격판(5)을 상기 개방부(4)에 삽입 장착하고. 나사못(52)을 상기 양 돌출삽입부(51)의 상부에서 관통시켜 하측이 상기 하부창틀(13)의 하판에 체결 고정되게 하여 수평 커버격판(5)을 하부창틀(13)에 이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나사못(52)의 체결 결합을 통해 수평 커버격판(5)을 하부창틀(13)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에 따라서, 주거자가 수평 커버격판(6)의 상부를 밟더라도 수평 커버격판(6)이 확장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기존 차단창(10)을 사용할 경우에는, 수평 커버격판(5)의 양측 체결되어 있는 나사못(52)을 풀어 해제함으로서, 수평 커버격판(6)을 용이하게 하부창틀(13)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창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선택적으로 거실을 확장할 수 있고 반대로 차단창을 재 장착하여 거실과 발코니를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창틀을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면서 창틀의 상부도 손실없이 거실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거실 확장에 따른 법적인 문제의 소지를 해소하면서 기존 차단창의 사용을 통해 동절기에 단열효과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창틀의 상부 공간도 손실없이 거실 공간으로 사용함에 따라서 최대로 거실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거실 확장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창틀을 커버하는 수평 커버격판을 하부창틀의 상부에 견고히 고정함으로서 사람이 지나다닐때 수평 커버격판이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수평커버격판을 용이하게 이탈시켜 차단창의 재장착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주거자가 별도의 시공작업이 없이도 차단창을 용이하게 재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3)

  1. 거실(11)과 발코니(12) 사이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내측에는 차단창(10)이 삽입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레일(131)이 구비되어 있는 하부창틀(13)을 포함하는 주거공간(1)에 있어서,
    상기 하부창틀(13)의 거실(11)측 전면을 커버하면서 하부창틀(13)의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된 수직격판(2)과,
    상기 발코니(12)의 바닥 상부에 수직격판(2)의 상단과 동일한 상면의 높이로 발코니(12)의 바닥에 돌출되게 고정되며 수직격판(2)의 후방과 전방 사이에는 상기 하부창틀(13)과 상응되는 개방부(4)가 형성되게 하는 바닥부(3), 및
    상기 바닥부(3)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상기 개방부(4)에 이탈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상기 하부창틀(13)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평 커버격판(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실 확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커버격판(5)과 하부창틀(13)의 사이에는,
    상기 수평 커버격판(5) 또는 하부창틀(13) 중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자석(61)과, 반대로 하부창틀(13) 또는 수평 커버격판(5) 중 하나에 고정되어 상기 자석(61)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체(62)로 구성된 착탈수단(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실 확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커버격판(5)의 하부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하부창틀(13)의 레일(131) 사이에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탄성체(7)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실 확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커버격판(5)과 하부창틀(13)의 사이에는,
    수평 커버격판(5)을 하부창틀(13)로부터 강제 이탈이 가능하도록 접착하는 접착층(8)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실 확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커버격판(5)의 양측에는 상기 하부창틀(13)의 양측에 수직으로 구비된 양측창틀(14)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삽입부(51)가 연장되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돌출삽입부(51)에는 장착 수평 커버격판(5)을 하부창틀(13)에 이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못(52)이 상부에서 관통되어 상기 하부창틀(13)의 하판에 체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실 확장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3)는,
    발코니(12)의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로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편(31)과, 이 다수의 지지편(31)의 상부에 고정되어 발코니(12)의 바닥을 구성하며 상면이 상기 수평 커버격판(5)의 상면과 일치되는 바닥격판(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거실 확장장치.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커버격판(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 홀(9)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실 확장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30085777A 2003-11-28 2003-11-28 거실 확장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66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777A KR100466344B1 (ko) 2003-11-28 2003-11-28 거실 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777A KR100466344B1 (ko) 2003-11-28 2003-11-28 거실 확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6344B1 true KR100466344B1 (ko) 2005-01-14

Family

ID=3722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7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6344B1 (ko) 2003-11-28 2003-11-28 거실 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072B1 (ko) 2005-11-02 2006-06-20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이동식 발코니 창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2764A (ja) * 1994-04-25 1995-11-07 Takiron Co Ltd ベランダなどの構造
KR19990001080U (ko) * 1997-06-16 1999-01-15 성재갑 창틀 마감재
KR200196850Y1 (ko) * 2000-04-24 2000-09-15 주식회사중앙Cmi 미세기 창호용 창호틀
KR200261357Y1 (ko) * 2001-10-08 2002-01-24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거실 확장용 창틀 커버
KR200261362Y1 (ko) * 2001-10-09 2002-01-24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확장형 창틀 구조
KR200344981Y1 (ko) * 2003-11-28 2004-03-11 박용균 거실확장용 경계벽의 돌출창틀 마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2764A (ja) * 1994-04-25 1995-11-07 Takiron Co Ltd ベランダなどの構造
KR19990001080U (ko) * 1997-06-16 1999-01-15 성재갑 창틀 마감재
KR200196850Y1 (ko) * 2000-04-24 2000-09-15 주식회사중앙Cmi 미세기 창호용 창호틀
KR200261357Y1 (ko) * 2001-10-08 2002-01-24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거실 확장용 창틀 커버
KR200261362Y1 (ko) * 2001-10-09 2002-01-24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확장형 창틀 구조
KR200344981Y1 (ko) * 2003-11-28 2004-03-11 박용균 거실확장용 경계벽의 돌출창틀 마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072B1 (ko) 2005-11-02 2006-06-20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이동식 발코니 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5026B1 (en) Cornice box
KR100466344B1 (ko) 거실 확장장치
JP2007277980A (ja) サッシ見切材
JP3121560B2 (ja) 外壁の化粧構造
JP2986356B2 (ja) 袖障子の固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S5838876Y2 (ja) 網戸の外れ止め装置
KR101830089B1 (ko) 창문틀 모서리 보호 부재
JPH0635098Y2 (ja) 袖パネルの取付構造
JP2545333Y2 (ja) 出窓の排水装置
KR930008608Y1 (ko) 방충망 고정틀의 결합구조
JP5270079B2 (ja) 改装サッシの下枠装置及びその改装方法
JP3749071B2 (ja) 浴室戸保持枠の下枠の取付構造
JP4066363B2 (ja) 通風ドア
JP3249067B2 (ja) 窓 枠
JPH0126865Y2 (ko)
JPS5834217Y2 (ja) サツシ
JPH0721805Y2 (ja) 下 枠
JP2004044183A (ja) シャッター付サッシ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3359604B2 (ja) 幅木取り付け構造および該構造に用いられる幅木ならびに幅木係止金具
JPH0232783Y2 (ko)
JP2972151B2 (ja) 外壁の構造
JP2000248673A (ja) サッシの横材
JP2022068952A (ja) 見切り化粧材
JPH0619749Y2 (ja) 改装出窓
JP2005240319A (ja) 基礎への外壁パネル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