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5993B1 - Pcb조립체 - Google Patents

Pcb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993B1
KR100465993B1 KR10-2002-0068260A KR20020068260A KR100465993B1 KR 100465993 B1 KR100465993 B1 KR 100465993B1 KR 20020068260 A KR20020068260 A KR 20020068260A KR 100465993 B1 KR100465993 B1 KR 100465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ing
pcb
battery casing
pcb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9997A (ko
Inventor
이형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993B1/ko
Publication of KR20040039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99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가 장착된 PCB를 갖는 PCB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PCB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며, 상기 배터리가 상기 PCB의 판면에 가로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개구를 갖는 배터리케이싱과; 상기 배터리케이싱의 삽입개구를 개폐하는 케이싱커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배터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CI CARD와 같은 전자부품들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PCB조립체 {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본 발명은 PCB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가 장착된 PCB를 갖는 PCB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B조립체는 PCB(Printed Circuit Bound)와, PCB에 장착되는 다양한 전자부품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PCB조립체는 컴퓨터에 장착되는 메인보드(Main Board)와 같이, 전자제품에 장착되어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최근에 들어 전자제품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이러한 PCB조립체 역시 소형화를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러한 소형화 추세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제품 중의 하나가 컴퓨터이다.
이러한 컴퓨터에 장착되는 PCB조립체에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및 PCI CARD(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Card)와 같은 전자부품들과, CMOS RAM(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Random Access Memory)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장착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컴퓨터에 장착된 PCB조립체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PCB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PCB조립체(110)는 PCI CARD를 장착하기 위한 PCI슬롯(Slit)(117) 등이 마련된 PCB(111)와, CMOS RAM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0)와, 배터리(120)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된 배터리케이싱(130)을 포함한다.
배터리케이싱(130)은 배터리(120)가 PCB(111)의 판면에서 가로방향으로 배터리(120)의 일부영역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배터리케이싱(130)의 하측은 PCB(111)의 판면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이에, 종래의 PCB조립체(110)는 배터리(120)를 PCB(111)의 판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세워 장착가능하게 마련함으로서, PCB(111)의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PCB조립체(110)는 배터리(120)가 배터리케이싱(130)에 단지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서, 외부충격에 의해서 배터리(120)가 배터리케이싱(130)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PCB조립체(110)는 배터리(120)가 배터리케이싱(130)에 삽입된 후에도 배터리케이싱(130)의 상측으로 돌출됨으로서, 배터리(120)의 돌출된 부분이 PCI CARD와 같은 전자부품을 탈착하는 등의 경우에 이러한 전자부품과 접촉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CI CARD와 같은 전자부품들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PCB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PCB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B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PCB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PCB조립체의 작동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B조립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PCB조립체 11 : PCB
13 : 배터리수용공 15 : 체결공
17 : PCI슬롯 20 : 배터리
21 : 음전극 23 : 양전극
30 : 배터리케이싱 31 : 배터리지지부
32 : 삽입개구 33 : 걸림돌기
35 : 체결돌기 37 : 음극접촉단자
39 : 양극접촉단자 40 : 케이싱커버
42 : 걸림턱 45 : 막힌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가 장착된 PCB를 갖는 PCB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PCB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며, 상기 배터리가 상기 PCB의 판면에 가로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개구를 갖는 배터리케이싱과; 상기 배터리케이싱의 삽입개구를 개폐하는 케이싱커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PCB에는 상기 배터리케이싱에 삽입된 상기 배터리의 일부영역이 관통할 수 있도록 배터리수용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커버는 상기 배터리케이싱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삽입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커버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걸림 유지되는 걸림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케이싱의 양측에는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기 위해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배터리지지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커버는 플라스틱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싱커버는 상기 배터리케이싱과 막힌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수용공에 근접한 상기 PCB에는 상기 배터리케이싱과 체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케이싱에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가능하게 다수의 체결돌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B조립체는 PCB(Printed Circuit Bound)와, PCB에 장착되는 다양한 전자부품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PCB조립체는 컴퓨터에 장착되는 메인보드(Main Board)와 같이, 전자제품에 장착되어 전자제품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컴퓨터에 장착된 PCB조립체를 실시예로 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B조립체(10)는 PCI CARD를 장착하기 위한 PCI슬롯(Slit)(17) 등이 마련된 PCB(11)와, CMOS RAM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0)와, 배터리(20)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된 배터리케이싱(30)과, 배터리케이싱(30)을 회동 개폐하는 케이싱커버(40)와, PCB(11)의 판면에 관통 형성된 배터리수용공(13)을 포함한다.
PCB(11)의 판면에는 배터리케이싱(30)에 삽입된 배터리(20)의 일부영역이 관통할 수 있도록 PCB(11)의 판면에 사각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배터리수용공(13)과, 배터리수용공(13)에 근접한 위치에 배터리케이싱(30)과 체결을 위한 한 쌍으로 형성된 체결공(15)이 마련된다.
배터리케이싱(30)은 PCB(11)에 결합되어 배터리(2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며, 그 상측에는 배터리(20)가 PCB(11)의 판면에 가로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개구(32)가 형성되고, 그 하측에는 PCB(11)의 판면에 형성된 체결공(15)에 삽입되어 체결가능하게 한 쌍의 체결돌기(35)가 마련되며, 배터리케이싱(30)의 일측단부에는 후술할 케이싱커버(40)의 걸림턱(42)에 대응하여 걸림돌기(33)가 마련되고, 배터리케이싱(30)의 양측에는 배터리(20)를 지지하기 위해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배터리지지부(31)가 마련된다.
그리고, 배터리케이싱(30)의 판면내측에는 전도성 있는 금속으로 마련되며 일단이 배터리(20)의 음전극(21)과 접촉하고 타단이 절곡되어 PCB(11)의 판면에 결합되는 음극접촉단자(37)와, 배터리케이싱(30)의 배터리지지부(31)에 음극접촉단자(37)와 같이 전도성 있는 금속으로 마련되며 일단이 배터리(20)의 양전극(23)과 접촉하고 타단이 절곡되어 PCB(11)의 판면에 결합되는 양극접촉단자(39)가 마련된다.
케이싱커버(40)는 배터리케이싱(3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배터리케이싱(30)의 삽입개구(32)를 회동 개폐한다. 그리고, 케이싱커버(40)의 상측 단부에는 배터리케이싱(30)의 걸림돌기(33)에 걸려 걸림 유지되는 걸림턱(42)이 마련되며, 케이싱커버(40)의 하측에는 배터리케이싱(30)의 하측과 회동가능하게 막힌지(45)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배터리케이싱(30)과 케이싱커버(40)는 비전도성물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배터리케이싱(30)과 케이싱커버(40)는 플라스틱류로 사출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제작된다.
막힌지(45)는 케이싱커버(40)의 하측과 배터리케이싱(30)의 하측을 연결함과 동시에, 케이싱커버(40)가 도 4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배터리케이싱(30)에 대해회동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CB조립체(10)의 조립 및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음극접촉단자(37) 및 양극접촉단자(39)를 배터리케이싱(30)의 판면내측 및 배터리지지부(31)의 내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배터리케이싱(30)을 PCB(11)에 체결하기 위해, PCB(11)의 판면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공(15)에 배터리케이싱(30)의 하측에 마련된 체결돌기(35)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그런 후, 배터리(20)의 음전극(21)이 음극접촉단자(37)와 접촉하고 배터리(20)의 양전극(23)이 양극접촉단자(39)와 접촉하도록, 배터리(20)를 배터리케이싱(30)의 삽입개구(32)를 통해 배터리케이싱(30)에 삽입한다. 그리고, 케이싱커버(40)를 배터리케이싱(30)방향으로 회동시켜 케이싱커버(40)의 걸림턱(42)이 배터리케이싱(30)의 걸림돌기(33)에 체결되게 한다(도 4 참조).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20)는 배터리케이싱(30)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케이싱커버(40)에 의해 삽입개구(32)가 완전히 차단됨으로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배터리(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CI CARD와 같은 전자부품을 탈착하는 등의 경우에 이러한 전자부품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B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PCB조립체(10a)의 배터리케이싱(30a)과 배터리케이싱(30a)의 삽입개구(32a)를 개폐하는 케이싱커버(40a)의 형상이 제1실시예와차이점이다.
배터리케이싱(30a)은 제1실시예와 같이, PCB(11)에 결합되어 배터리(2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며, 그 상측에는 배터리(20)가 PCB(11)의 판면에 가로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개구(32a)가 형성되며, 그 하측에는 PCB(11)의 판면에 형성된 체결공(15)에 삽입되어 체결가능하게 한 쌍의 체결돌기(35)가 마련된다. 그러나, 배터리케이싱(30a)의 일측단부에는 케이싱커버(40a)의 걸림턱(42a)에 대응하여 걸림돌기(33a)가 마련된다. 그리고, 배터리케이싱(30a)은 배터리(20)의 일부영역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그 단면이 긴'ㅁ'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배터리(20)를 지지하게 된다.
케이싱커버(40a)는 제1실시예와 같이, 배터리케이싱(30a)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배터리케이싱(30a)의 삽입개구(32a)를 회동 개폐한다. 그러나, 케이싱커버(40a)는 배터리케이싱(30a)에 삽입된 배터리(20)의 돌출된 상부영역을 수용하기 위해 함몰 형성된 배터리삽입부(46)와, 배터리케이싱(30a)의 걸림돌기(33a)에 걸려 걸림 유지되는 걸림턱(42a)과, 배터리케이싱(30a)의 상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막힌지(45a)를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B조립체(10a)는 케이싱커버(40a)가 배터리케이싱(30a)의 삽입개구(32a)를 회동하여 폐쇄하여 배터리케이싱(30a)에 삽입된 배터리(20)의 돌출된 상부영역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CB조립체 역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배터리케이싱과 케이싱커버 사이에 막힌지가 마련되나, 케이싱커버가 배터리케이싱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케이싱커버 및 배터리케이싱에 각각 힌지축과 힌지수용공 등이 마련되어 힌지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배터리케이싱과 케이싱커버에 각각 걸림돌기와 걸림턱이 마련되나, 케이싱커버가 배터리케이싱에 회동가능하여 걸림유지 되도록 케이싱커버에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배터리케이싱에 걸림턱이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CI CARD와 같은 전자부품들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배터리가 장착된 PCB를 갖는 PCB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PCB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며, 상기 배터리가 상기 PCB의 판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개구를 갖는 배터리케이싱과;
    상기 배터리케이싱의 삽입개구를 개폐하는 케이싱커버와;
    상기 배터리케이싱에 삽입된 상기 배터리의 일부영역이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PCB에 형성된 배터리수용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커버는 상기 배터리케이싱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삽입개구를 회동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커버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걸림 유지되는 걸림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싱의 양측에는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기 위해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배터리지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조립체.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커버는 플라스틱류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커버는 상기 배터리케이싱과 막힌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수용공에 근접한 상기 PCB에는 상기 배터리케이싱과 체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마련되며,
    상기 배터리케이싱에는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체결가능하게 다수의 체결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조립체.
KR10-2002-0068260A 2002-11-05 2002-11-05 Pcb조립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465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260A KR100465993B1 (ko) 2002-11-05 2002-11-05 Pcb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260A KR100465993B1 (ko) 2002-11-05 2002-11-05 Pcb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997A KR20040039997A (ko) 2004-05-12
KR100465993B1 true KR100465993B1 (ko) 2005-01-13

Family

ID=3733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26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5993B1 (ko) 2002-11-05 2002-11-05 Pcb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9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079A (ko) * 1995-08-25 1999-06-25 세이취크 제이 엘 배터리 커넥터
JP2000133228A (ja) * 1998-10-23 2000-05-12 Renata Ag ボタン形電池用の垂直配置支持装置
JP2001273876A (ja) * 2000-03-27 2001-10-05 Advanex Inc 縦型電池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079A (ko) * 1995-08-25 1999-06-25 세이취크 제이 엘 배터리 커넥터
JP2000133228A (ja) * 1998-10-23 2000-05-12 Renata Ag ボタン形電池用の垂直配置支持装置
JP2001273876A (ja) * 2000-03-27 2001-10-05 Advanex Inc 縦型電池ホル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997A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544B1 (ko) 휴대 단말기
US7553178B1 (en) Socket connector with pre-assembled screw
US20030223286A1 (en) Flash memory apparatus having single body type rotary cover
US5148350A (en) Portable electronics apparatus housing and chassis
US7416441B2 (en) Electronic apparatus
US9083106B2 (en) Receptacle connector
EP1365480B1 (en) Flash memory card connector
US6469912B1 (en) Electrical apparatus having a cover member adapted to provid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to an electronic component
KR100465993B1 (ko) Pcb조립체
KR101457065B1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JP2001125072A (ja) 液晶表示装置
US786700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tiffener device
US6338650B1 (en) Rotatable card connector
US7252529B2 (en) Chip card retaining mechanism
JPH10307642A (ja) 電子機器
US7524199B2 (en) Pick-and-place cap for socket assembly
US6558192B1 (en) Stacked electronic card connector assembly
JP3974558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1144837A (ja) 携帯通信機
KR100872030B1 (ko) 외장형 심카드 젠더
JP6389441B2 (ja) 電子機器
KR1006860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연결부
US20050272309A1 (en) Electronic apparatus
KR100881098B1 (ko) 백라이트램프 고정 소켓
KR200288568Y1 (ko) 전화교환기의 알람모듈용 배터리 장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