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3603B1 -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구조 - Google Patents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603B1
KR100463603B1 KR10-2002-0010954A KR20020010954A KR100463603B1 KR 100463603 B1 KR100463603 B1 KR 100463603B1 KR 20020010954 A KR20020010954 A KR 20020010954A KR 100463603 B1 KR100463603 B1 KR 100463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gnetic contactor
thermal overload
overload relay
auxiliary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305A (ko
Inventor
이경구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0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603B1/ko
Publication of KR20030071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60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1/00Electrothermal relays
    • H01H61/02Electrothermal relays wherein the thermally-sensitive member is heated indirectly, e.g. resistively, inductive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과부하 시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의 전자접촉기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소형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서 사용자가 배선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자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측에 전자접촉기의 3상 전원단자와 연결되는 3상 전원단자 연결대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3상 전원단자 연결대와 인접된 부위에 위치되고,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단자 접점부에 연결되는 일단부와, 배선작업이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보조접점단자 연결대; 및 상기 보조접점단자 연결대와 인접된 부위에 위치되고, 전자접촉기의 코일단자 접점부에 연결되는 일단부와, 배선작업이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코일단자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전자접촉기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가 조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보조접점단자와 코일단자의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구조{contactor in thermal overload relay}
본 발명은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과부하 시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의 전자접촉기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소형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서 사용자가 배선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전자접촉기의 경우 크기가 작은 특성 때문에 보조접점 배선단자와 코일 배선단자가 3상 단자와 나란히 배열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전자접촉기(A)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소형 전자접촉기(A)에는 사용자가 3상의 전선을 연결하는 3상 전원단자(1, 2, 3)와 보조접점단자(4) 및 코일단자(5)가 나란히 배열 설치되어 있고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에는 3상 전원단자 연결대(11, 12, 13)와 출력단자(14, 15, 16)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전자접촉기(A)의 일측에 설치된 3상 전원단자(1, 2, 3)와 보조접점단자(4) 및 코일접점단자(5)에 사용자가 해당 전선을 연결한 후, 각 단자(1, 2, 3, 4, 5)의 반대에 설치된 3상 전원단자 접점부(6, 7, 8)와 보조접점단자 접점부(9), 그리고 코일단자 접점부(10)에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의 3상 전원단자 연결대(11, 12, 13)를 연결하여 스크루로 고정하면, 3상 전류가 전자접촉기(A)의 각 접점부(6, 7, 8, 9, 10)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의 3상 전원단자 연결대(11, 12, 13)를 지나 출력단자(14, 15, 16)를 거쳐 모터(미도시)로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전자접촉기(A)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는 제어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자접촉기(A)의 보조접점단자 접점부(9) 및 코일단자 접점부(10)에 배선작업을 해야 한다.이 때, 종래 전자접촉기(A)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배선작업을 하기 위해 직결 연결된 상태여야 한다.
하지만, 종래 전자접촉기(A)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의 경우 전자접촉기(A)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가 직결 연결된 후에는 전자접촉기(A)의 보조접점단자 접점부(9) 및 코일단자 접점부(10)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에 의해 가려져 배선작업을 할 수 없다.따라서, 종래 전자접촉기(A)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는 보조접점단자 접점부(9) 및 코일단자 접점부(10)에 배선작업을 하기 위해 반드시 전자접촉기(A)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가 조합되기 전에 배선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접촉기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가 조합된 후에도 사용자가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단자 와 코일단자에 간편하게 배선작업을 할 수 있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전자접촉기와 함께 도시한 종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사시도
도 3은 전자접촉기와 함께 도시한 본 발명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접점 단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코일단자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전자접촉기 B :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1, 2, 3 : 3상 전원단자 4 : 보조접점단자
5 : 코일단자 6, 7, 8 : 3상 전원단자 접점부
9 : 보조접점단자 접점부 10 : 코일단자 접점부11, 12, 13 : 3상 전원단자 연결대 14, 15, 16 : 출력단자17 : 보조접점단자 연결대 17a, 18a : 단자부18 : 코일단자 연결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측에 전자접촉기의 3상 전원단자와 연결되는 3상 전원단자 연결대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3상 전원단자 연결대와 인접된 부위에 위치되고,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단자 접점부에 연결되는 일단부와, 배선작업이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보조접점단자 연결대; 및 상기 보조접점단자 연결대와 인접된 부위에 위치되고, 전자접촉기의 코일단자 접점부에 연결되는 일단부와, 배선작업이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코일단자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구조가 제공된다.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도 3은 전자접촉기와 함께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단자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단자구조의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3과 같이 전자접촉기(A)의 일측에는 3상의 전선을 연결하는 3상 전원단자(1, 2, 3)와 보조접점단자(4) 및 코일단자(5)가 각각 설치되고, 타측에는 3상 전원단자 접점부(6, 7, 8)와 보조접점단자 접점부(9), 그리고 코일접점단자 접점부(10)가 각각 설치된다.또한, 첨부된 도 4와 같이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의 일측(전자접촉기(A)와 대향되는 측)에는 3상 전원단자 접점부(6, 7, 8)에 직결되는 3상 전원단자 연결대(11, 12, 13)와, 보조접점단자 접점부(9) 및 코일단자 접점부(10)에 연결되는 보조접점단자 연결대(17) 및 코일단자 연결대(18)가 각각 설치되며, 타측에는 모터와의 연결을 위한 출력단자(14, 15, 16)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접점단자 연결대(17)와 코일단자 연결대(18)의 사시도이다.첨부된 도 5와 같이 보조접점단자 연결대(17)의 일단부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전자접촉기(A)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단자부(17a)가 형성되어 배선작업이 가능하도록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의 외부로 노출된다.또한, 첨부된 도 6과 같이 코일단자 연결대(18)의 일단부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전자접촉기(A)와 연결되며, 타단부는 단자부(18a)가 형성되어 배선작업이 가능하도록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의 외부로 노출된다.이 때, 코일단자 연결대(18)의 단자부(18a)는 출력단자(16)와 인접된 부위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단자구조는 전자접촉기(A)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를 조합할 경우 3상 전원단자 연결대(11, 12, 13)가 전자접촉기(A)의 3상전원단자 접점부(6, 7, 8)에 연결되어 3상 전원을 모터에 공급하게 된다.이 때, 상기 보조접점단자 연결대(17) 및 코일단자 연결대(18)의 각 단자부(17a, 18a)는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각 단자부(17a, 18a)에 배선작업을 하면 전자접촉기(A)의 보조접점단자 접점부(9) 코일단자 접점부(10)에 전선을 연결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단자구조는 보조접점단자(4) 및 코일 단자(5)에 배선을 할 때 반드시 전자접촉기(A)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가 조합되기 전에 배선작업을 해야 했던 종래 구조와 달리, 전자접촉기(A)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B)가 조합된 후에도 보조접점단자 연결대(17) 및 코일단자 연결대(18)의 각 단자부(17a, 18a)를 통해 배선작업이 가능하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구조는 전자접촉기에 조합된 이후에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보조접점단자와 코일단자에 배선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케이스의 일측에 전자접촉기의 3상 전원단자와 연결되는 3상 전원단자 연결대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3상 전원단자 연결대와 인접된 부위에 위치되고,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단자 접점부에 연결되는 일단부와, 배선작업이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보조접점단자 연결대; 및
    상기 보조접점단자 연결대와 인접된 부위에 위치되고, 전자접촉기의 코일단자 접점부에 연결되는 일단부와, 배선작업이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부를 가지는 코일단자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구조.
KR10-2002-0010954A 2002-02-28 2002-02-28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463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954A KR100463603B1 (ko) 2002-02-28 2002-02-28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954A KR100463603B1 (ko) 2002-02-28 2002-02-28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305A KR20030071305A (ko) 2003-09-03
KR100463603B1 true KR100463603B1 (ko) 2004-12-29

Family

ID=3222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95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3603B1 (ko) 2002-02-28 2002-02-28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2922A1 (zh) * 2021-11-23 2023-06-01 浙江正泰电器股份有限公司 热过载继电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5936U (ko) * 1986-10-17 1988-04-30
JPH065186A (ja) * 1992-04-21 1994-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過電流継電器
KR19980025000A (ko) * 1996-09-26 1998-07-06 나카자토 요시히코 열동형 과부하계전기
KR20010055321A (ko) * 1999-12-10 2001-07-04 이종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히터 어셈블리
KR20020063056A (ko) * 2001-01-26 2002-08-01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보호용 계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5936U (ko) * 1986-10-17 1988-04-30
JPH065186A (ja) * 1992-04-21 1994-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過電流継電器
KR19980025000A (ko) * 1996-09-26 1998-07-06 나카자토 요시히코 열동형 과부하계전기
KR20010055321A (ko) * 1999-12-10 2001-07-04 이종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히터 어셈블리
KR20020063056A (ko) * 2001-01-26 2002-08-01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보호용 계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305A (ko)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8018B2 (en) Device for coupling an asynchronous motor with an electrical power cable
KR100463603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단자구조
DE50211308D1 (de) Elektrische Klemme
JPH0526683Y2 (ko)
JP2002033141A (ja) 一次送り用端子台
EP1189321A1 (en) Wiring circuit breaker and switchboard
ES2075984T3 (es) Rotor de una maquina electrica con una linea de alimentacion de corriente de excitacion.
JP6433336B2 (ja) 分電盤
US20230387743A1 (en) Electrical drive unit
KR200310901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JP7526995B2 (ja) リニアモータ用コイルブロックの連結構造
JPH0713367Y2 (ja) 分電盤
JPH0733341Y2 (ja) 回路接続用ユニット
ATE332029T1 (de) Verbindungsanordnung, insbesondere für die statorwicklungen eines elektromotor
KR100510712B1 (ko)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KR0131528Y1 (ko) 전기계전기의 단자대 구조
JPH0526682Y2 (ko)
KR19980056209U (ko) 커넥터 접점과 와이어 연결장치
KR200311368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379568Y1 (ko) 측면 결선형 배선용 차단기
KR200310902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JP2003061214A (ja) 配電盤
JP2000340275A (ja) 保護継電器
JP2001268762A (ja) 圧縮クランプ
JP2000041311A (ja) 分岐ブレーカと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