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3091B1 - 재봉틀의천누름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의천누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091B1
KR100463091B1 KR10-1998-0009481A KR19980009481A KR100463091B1 KR 100463091 B1 KR100463091 B1 KR 100463091B1 KR 19980009481 A KR19980009481 A KR 19980009481A KR 100463091 B1 KR100463091 B1 KR 100463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presser
cam
cloth
arm
rock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542A (ko
Inventor
게이이찌 아오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594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6823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103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67832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Publication of KR19980086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09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05B29/08Presser feet comprising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천누름기 퇴피시의 부하경감과, 봉제동작 재개까지의 시간단축을 한다. 주축에 고정된 천누름기를 구동하기 위한 캠에 의해 소정 범위내에서 요동되는 요동부재는 천누름기와도 링크로 연결되어, 그 링크 기구 (20) 에 의해, 천누름 (19) 이 주축 (50) 의 회전에 동기하여 상하 이동된다. 상기 링크 기구 중에서의 하나의 관절의 진퇴궤적의 방향을 규제함과 동시에 그 진퇴의 운동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요동부재를, 상기 천누름기를 소정 범위에서 상하 이동시키도록 동작시키거나, 천누름을 퇴피위치로 상승시키는 올림상태로 하기 위한 관절 이동방향 제어수단을 구비시킨다.

Description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
본 발명은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봉제 중에는 작은 스트로크로 천누름기를 소정범위에서 상하 이동시켜, 실끊기나 프레임 이동 등의 필요에 따라, 천누름기를 상기 상하 이동범위보다도 더욱 상방으로 퇴피시키는 기구를 구비한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31991 호 공보의 도 21 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편심 캠의 회전에 의해 요동되는 구동 암의 끝부분에 복수의 링크를 통하여 천누름기를 장착하여, 주축의 회전과 동기하여 천누름기를 상하 이동시키고 있다. 그리고, 천누름기를 퇴피시키는데 있어서는, 퇴피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구동 암을 편심 캠으로부터 떼어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동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구동 암의 캠 종동부 (從動部 : follower) 를 편심 캠에 대하여 맞닿게 해두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공보 제 9 란 제 1 ∼ 2 행 참조).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6-238078 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천누름기의 상하운동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캠 홈을 외주에 구비한 구동 캠에 캠 종동부를 끼워 맞춰 놓고, 봉제 중에는 주축과 동기하여 구동 캠을 회전시킴으로써 소정의 스트로크로 천누름기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천누름기를 상방으로 퇴피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캠 홈의 캠 면과는 반대측의 벽의 일부에 퇴피 홈을 설치하여 놓고, 필요에 따라, 캠 종동부를 퇴피 홈으로 달아나게 함으로써 링크를 통하여 천누름기를 퇴피위치로 상승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는, 제 2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캠 면에 캠 종동부를 맞닿게 해두기 위한 가압력이 부여되고 있다.
이들 종래기술에서는, 천누름기를 상방으로 퇴피시킬 때에는, 캠 종동부를 이것을 캠 면에 맞닿게 하고 있는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들 스프링은, 캠 면에 바르게 추종하도록 캠 종동부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비교적 가압력이 큰 것이 사용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장치에서는, 천누름기 퇴피기구에는 큰 부하가 가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자수재봉틀에서는 다두화 (多頭化) 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재봉틀에서의 부하가 합계되면 큰 부하가 된다. 이들의 천누름기 퇴피기구에 가해지는 부하는, 다두 재봉틀의 주축 회전 중에서는 전체로서는 상당히 큰 값이 되어 주축의 부하가 된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38078호 공보 기재의 것에서는, 일단 상승위치에 퇴피시킨 천누름기를 다시 동작위치로 복귀시킬 때에는, 퇴피 홈으로부터 캠 홈으로 캠 종동부를 완전히 복귀시킬 때까지는 주축을 구동할 수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31991 호 공보 기재의 것도, 천누름기를 비스듬하게 뒤쪽 상방으로 퇴피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재봉바늘의 바로 아래에 천누름기의 투공 (透孔)이 위치하도록 천누름기를 동작위치로 복귀한 후가 아니면 주축을 구동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이들 종래의 것에서는, 천누름기를 퇴피시킨 상태로부터 봉제작업을 재개하기 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천누름기가 퇴피되어 있을 때의 부하를 경감함과 동시에, 봉제 동작 재개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 1, 제 2, 제 3, 제 5 항에 기재의 본 발명의 특징 있는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는, 종속항에 나타나 있다.
본원의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에 의하면, 봉제 실행시에는, 주축의 회전을 받아 제 1 요동부재가 소정의 궤적을 그리며 요동한다. 그러면, 이 제 1 요동부재에 대하여 링크를 통하여 연결된 제 2 요동부재가 요동하여 천누름기를 상하 이동시킨다. 이 때, 링크 기구 중의 하나의 관절이 일정방향으로 이동하여, 이 관절의 이동범위에 의해 천누름기의 상하 이동의 범위가 규정된다. 한편, 천누름기를 퇴피위치로 상승시킬 때는, 상기 관절의 이동방향을 변경하여 제 2 요동부재의 동작범위를 변경한다. 이로써, 천누름기를 퇴피위치로 상승시킨다.
또, 천누름기는 퇴피위치로 상승될 뿐으로, 게다가, 퇴피위치에 있을 때도 관절 이동방향 제어수단과의 결합은 유지되어 있으므로, 퇴피위치로부터 봉제 실행위치로 복귀되고 있는 도중에 주축을 회전시켰다고 해도, 천누름기는 링크 기구를 통하여 상하 이동을 할 뿐이다. 따라서, 퇴피상태로부터 봉제를 재개할 때, 천누름기가 봉제위치로 완전히 복귀되기 전에 주축의 회전을 재개할 수 있어, 재개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기구의 결합을 도중에 해제하지 않고 천누름기를 퇴피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봉제 중에서, 종래품과 같이 캠 기구의 결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가해 둘 필요는 없고, 퇴피에 있어서의 부하가 작아져, 이동이 스무스하게 실행된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 효과는, 종래품에 비교하여 천누름기를 퇴피시킨 상태에서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어, 주축의 부하부담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재봉틀의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다두재봉틀에 적용한 경우에는, 부하의 경감과, 시간적으로 대폭적인 가동율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 6 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 (10) 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도 2 는 그 일부에 대하여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천누름 장치 (10) 는, 기초 틀 (1 ; 도 4 참조) 에 대하여 지지부재 (11)를 통하여 고정된 천누름기 가이드봉 (13) 과, 이 천누름기 가이드봉 (13) 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통체 (15 ; 筒體) 와, 이 통체 (15) 에 대하여 스프링 (17) 으로 하방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천누름기 (19) 와, 통체(15) 를 천누름기 가이드봉 (13) 을 따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링크 기구 (20) 와, 이 링크 기구 (20) 에 의한 천누름기 (19) 의 상승높이를 변경하기 위한 높이 제어기구 (40) 와, 주축 (50) 에 장착부재 (51 ; 도 1 참조) 로 고정되어 주축(50) 의 회전에 따라 링크 기구 (20) 를 동작시키는 천누름기 구동 캠 (52) 을 구비하고 있다.
링크 기구 (20) 는, 위에서부터, 제 1 링크 (21), 제 2 링크 (22), 제 3 링크 (23), 제 4 링크 (24), 제 5 링크 (25) 및 제 6 링크 (26)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링크 (21) 는, 일단 (21a) 을 회전축 (31) 에 고정하고, 타단 (자유단 ; 21b)의 축 (21d) 에 장착된 캠 종동부 (21c) 를 천누름기 구동 캠 (52) 의 캠 홈 (53)에 끼워 맞춰져 있다. 그리고, 이 제 1 링크 (21) 의 자유단 (21a) 에 제 2 링크 (22) 의 상단 (22a) 이, 이 제 2 링크 (22) 의 하단 (22b) 의 축 (g2) 에 제 3 링크 (23) 의 후방단 (23a) 이, 이 제 3 링크 (23) 의 전방단 (23b) 의 축 (g1) 에 제 4 링크 (24) 의 상단 (24a) 이, 모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3 링크 (23) 의 후방단 (23a) 의 관절에 위치하는 축 (g2) 에는, 후술하는 높이 제어기구 (40) 의 안내 캠 (42) 에 끼워맞춰지는 캠 종동부 (23c) 가 설치되어 있다. 이 관절 (g2) 은, 진퇴방향을 규제하지 않는 경우는, 자유로운 방향으로 동작하여 힘의 전달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제 4 링크 (24) 의 하단 (24b) 과 제 5 링크 (25) 의 후방단 (25a) 은, 회전축 (32) 을 통하여 소정의 각도로 고정되어 있다. 이 회전축 (32) 및 상기의 회전축 (31) 은, 모두 기초 틀 (1) 에 의해, 정위치에서의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도 2 참조). 또, 제 5 링크 (25) 의 전방단 (25b) 의 축 (25c)에는 제 6 링크 (26) 의 상단 (26a) 이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제 6 링크 (26)의 하단 (26b) 이 통체 (15) 의 상단 (15a) 에 축 (26c) 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결과, 링크 기구 (20) 의 각각의 요소가 되는 암 형상의 각 링크 (21 ~ 26) 는, 주축 (50) 이 회전하면, 각각의 가까이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을 실시하여, 천누름기 (19) 를 소정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관절 이동방향 제어수단으로 예시하는 천누름기의 높이 제어수단(40) 에 대하여 설명한다.
높이 제어수단으로서의 기구 (40) 는, 상단을 기초 틀 (1) 에서의 축 (g3) 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제어판 (41) 과, 상기 축 (g2) 에 부설되어 있는 캠 종동부 (23c) 가 끼워 맞춰져 있는 안내 캠 (42) 과, 이 제어판 (41) 에 고정되어 있는 안내 캠 (42) 을, 제어판 (41) 의 경사를 제어함으로써, 경사시키기 위한 안내 캠 이동수단 (41a) 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 캠 이동수단 (41a) 에는 모터 (43) 로서 무여자 (無勵子) 작동형의 전자 브레이크가 부착된 모터를 이용한다. 이 모터 (43) 는, 기초 틀 (1) 에 연결되는 판 (43a) 에 장착되어 있고,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 (44) 및 원호상 랙 (45) 을 통하여 제어판 (41) 을 원하는 각도로 요동시켜, 그 경사지게 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모터 (43) 대신에 도 13 에 나타나는 회전 솔레노이드 (43b) 등의 임의의 회전 구동장치를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안내 캠 (42) 에는 원호상 캠 홈 (46) 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천누름 장치 (10)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도 5 는 모두 봉제 동작 중의 링크 기구 (20) 및 천누름기 (19) 의 움직임을 나타내며, 도면 중의 부호 (61) 는 침봉 (針棒) 이다. 이 침봉 (61) 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292194 호 공보에도 기재되어 있고, 또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봉 (64)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회전 판 (64a) 에 대하여, 복수개의 침봉 (61) 을 각각 상하 이동을 자유롭게 한 상태로 병설되어 있는 것 중의 1 개를 나타낸다. 각각의 침봉 (61) 의 하단에는 봉제용의 재봉바늘 (62) 을 구비하고 있다. 또, 침봉 (61) 의 상단에는, 침봉 구동용 승강체 (71) 의 구동자 (71a) 와 결합하는 피동자 (63) 가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침봉 (61) 의 각각에 장착된 재봉바늘 (62) 에는, 서로 다른 성질의 실이 장착되고, 봉제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판 (64a) 을 돌려, 바늘구멍 (65a) 의 상방에서, 또한 구동자 (71a) 에 자체의 피동자 (63) 가 결합하는 위치에 선택한 침봉(61) 을 위치시켜, 많은 침 중의 1 개의 재봉바늘 (62) 을 상하 이동하여 봉제에 이용한다.
침봉 구동용 승강체 (71) 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주축 (50) 에 장착된 편심륜 (72) 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크랭크 로드 (73 ; 모두 도 1 참조) 에 대하여 레버 크랭크 기구 (도시생략) 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 주축 (50) 의 회전에 동기하여 상하 이동한다. 한편, 구동자 (71a) 는 구동자 가이드봉 (64) 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승강체 (71) 에 연결되어 있다. 그 연결구성은, 승강체 (71) 로부터 돌출하는 암 (71b) 에 대하여, 구동자 (71a) 로부터 돌출설치한 회전축 (71c) 을 회전이 자유롭게 구비시킨다. 피동자 (63) 의 끼워 맞춤부 (63a) 에 대해서는, 구동자 (71a) 의 자유단을 횡방향으로의 끼워맞춤 이탈을 자유롭게 연결하고 있다. 이 구동자 (71a) 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시한 것 외의 로타리 솔레노이드에 의해 회전제어한다.
따라서, 주축 (50) 의 회전에 동기하여 침봉 구동용 승강체 (71) 가 상하 이동하면, 침봉 (61) 도 상하 이동하고, 재봉바늘 (62) 이 바늘판 (65) 을 관통하는 위치와, 바늘판 (65) 으로부터 관통된 위치와의 사이를 상하 이동하여 봉제가 실행된다. 이 때, 천누름기 구동용 캠 (52) 도 주축 (50) 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각 링크 (21 ~ 26) 및 천누름기 (19) 가 도 1 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동작한다. 도 4 는 침봉 (61) 및 천누름기 (19) 가 봉제중에 가장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5 는 반대로 가장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66) 는 천이다. 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자 가이드봉 (64) 과 천누름기 가이드봉 (13) 은 평행으로 장착되어 있고, 재봉바늘 (62) 의 축심, 천누름기 (19) 의 투공 (19a) 의 중심, 및 바늘판 (65) 의 투공 (바늘이 떨어지는 위치 ; 65a) 의 중심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동작시는, 침봉의 상하방향과 천누름기 (19) 의 투공 (19a) 의 중심 이동방향은 일치하므로, 침봉과 천누름기가 충돌하는 일이 없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인 천누름기 (19) 의 상승높이의 변경에 대하여 도 6(a) ∼ 도 6(f) 로 설명한다. 도 6(a), 6(d) 는, 도 4, 도 5로 설명한 것에 대응하여, 보통의 얇은 천 (66) 을 자수하는 경우의 제어판 (41) 의 경사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b), 도 6(e) 는, 이것보다 두꺼운 천 (67)(예를 들면 우레탄 시트를 깐 것) 에 대하여 자수를 실시하는 때의 제어판 (41) 의 경사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상태에서는, 관절 (g2) 이 화살표방향으로 왕복운동함으로써, 관절 (g1) 은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각각 실선과 이점쇄선 위치로 왕복운동한다). 또한, 도 6(c), 6(f) 는, 재봉틀을 단독으로 중지시키거나, 자수틀 (68) 을 이동시키는 때에, 천누름기 (19) 를 높은 곳에 설정하는 퇴피위치로 달아나게 해 둘 때의 제어판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퇴피위치로 천누름기 (19) 를 달아나게 한 상태에서는, 원호상 캠 홈(46) 이, 링크의 관절 (g1, g2) 사이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고, 또한, 도면에서 좌측의 관절 (g1) 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궤적에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만약, 주축 (50) 이 회전하여도, 관절(g2) 은 실선과 이점쇄선의 위치를 화살표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것만으로, 제 4 링크 (24) 로부터 아래로는 운동이 전달되지 않아, 천누름기 (19) 는 퇴피위치에 계속 유지된다. 또한, 제어판 (41) 의 경사의 변경은, 모터 (43) 를 미리 전기적으로 설정한 양만큼, 소정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꺼운 천 (67) 에 대하여 자수를 실행할 때는, 모터 (43) 를 구동하여, 제어판 (41) 의 후연 (41b) 을,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직축에 대하여 통상보다도 작은 각도 Y (<X) 가 되는 위치에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임의의 장소에 세팅한다. 이로써, 안내 캠 (42) 의 캠 홈 (46) 의 위치와 각도가 변화하여, 도 6(a) 의 상태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천누름기 (19) 가 상하 이동한다. 또, 자수틀 (68) 을 이동시킬 때는, 모터 (43) 를 구동하여, 도 6(c) 와 같이 제어판 (41) 의 후연 (41b) 이 연직이 되도록 세팅한다. 이로써, 천누름기 (19) 가 퇴피위치까지 상승한다.
이렇게 하여 천누름기 (19) 를 퇴피시키고, 그 아래를 자수틀 (68) 이 이동한 후에는, 모터 (43) 를 조금 전과는 역방향으로 소정량 구동하여, 도 6(c) 의 상태로부터 도 6(a) 또는 도 6(b) 의 상태로 제어판 (41) 의 경사상태를 변경하여 복귀시킨다. 이로써, 자수를 재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퇴피위치에 있을 때도, 제 3 링크 (23) 의 후방단 (23a) 에 설치한 캠 종동부 (23c) 를 안내캠 (42) 의 캠 홈 (46) 에 결합시킨 상태로 하고 있다. 또, 천누름기 (19) 는, 봉제위치와 퇴피위치와의 사이를 연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뿐이기 때문에, 퇴피위치에 있을 때도, 또, 퇴피위치로부터 봉제위치로 복귀하고 있을 때도, 천누름기 (19) 의 투공 (19a) 의 중심이 재봉바늘(62) 의 축심과 일치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퇴피위치로부터 봉제위치로 천누름기 (19) 가 완전히 복귀하기 전에 주축 (50) 을 회전시키기 시작할 수 있고, 퇴피상태로부터 자수재개까지의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1 회의 퇴피동작에만 주목하면 약간의 시간이 단축되더라도, 자수공장에서는, 이러한 퇴피동작은 1 일의 작업 중에서 막대한 회수가 실행되게 되므로, 그 누적시간은 큰 것이 되어, 재봉틀의 가동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퇴피동작시에는, 제 4 링크 (24) 로부터 아래로는 주축 (50) 의 회전운동이 전달되므로, 침봉 (61) 을 점프 상태로 해 두기만 하면, 주축 (50) 이 계속 회전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내 캠 (42) 의 원호형상 캠 홈 (46) 에 대하여, 항상, 캠 종동부 (23c) 를 결합시켜 두는 구성이므로, 예를 들면 상기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231991 호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38078 호에서 제안된 것과 같이, 캠에 대하여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강한 가압력을 부여하는 구성과 다르게, 특히 고속화한 경우에는, 상기 캠에 대한 결합상태를 강력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강한 가압력을 부여하지 않으면 안되는 구성의 것과는 달라, 상기 캠에 대한 결합상태를 강력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강한 가압력을 부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천누름기 (19) 를 퇴피시킬 때의 부하는, 오로지 링크 기구 (20) 를 움직이기 위한 부하만으로 되어, 퇴피상태에서의 주축의 부하경감도 달성되는 것은 물론, 고속운전시 주축에 가해지는 부하도 경감된다. 이들의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에 기인하는 부하를 없앤다는 것 자체는, 1 두의 재봉틀만 보면 그 만큼 큰 부하경감이 되어 있지 않아도, 자수공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다두 재봉틀 시스템이 되면, 이러한 조금씩의 부하가 주축에 누적되므로, 1 두 앞으로의 재봉틀의 부하의 경감은, 누적하여 큰 부하경감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요동부재로서는, 회전축 (31) 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된 제 1 링크 (21) 를 나타내고, 제 2 요동부재로서는, 회전축 (32) 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제 4 링크 (24) 및 제 5 링크 (25) 를 예시하였다. 또, 예시에서는, 제 4 링크 (24) 가 제 1 암에 제 5 링크 (25) 가 제 2 암에 각각 상당한다.
다음으로 도 1 ∼ 도 6 에 나타내는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에서의 관절 이동 방향 제어수단 (40) 과 동 기능을 구비하는 제어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 7 ∼ 11 을 참고로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있어, 도 7 ∼ 도 13에서 기능상 앞의 도 1 ~ 도 6 의 것과 동일 또는 균등구성으로 생각되는 부분에는, 앞의 도면과 동일부호를 달아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관절 이동방향 제어수단 (80) 에서의 안내 암 (81) 은, 근원부 (81a) 를 안내 암 이동수단 (80a) 에서의 제어판 (41) 에 구비시킨 축 (g4) 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끝부 (81b) 는 축 (g2) 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안내 암 (81) 위 근원부 (81a) 의 축 (g4) 을 지점으로 하는 반경으로 축 (g2) 의 진퇴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도 11 참조). 또 축 (g4) 과, 축 (g2) 과의 서로 대향하는 상대관계 위치는, 안내 암 이동수단 (80a) 에서의 제어판 (41) 을 모터 (43) 를 돌려 축 (g3) 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요동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도 1 의 캠 방식의 것에 비교하여, 캠 종동부 (23c) 와 캠 홈 (46) 과의 덜렁거림을 없앨 수 있어, 정밀도의 향상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 홈 (46) 을 구비하는 안내 캠 (42) 과, 캠 종동부 (23c) 를 형성하는 캠 방식의 구성에 비교하여 이 안내 암 (81) 을 구비하는 방식은, 축 (g4) 과, 안내 암 (81) 로 충분하여, 부재비용이 적어 가공비도 저렴해지는 특징이 있다.
도 7 에 나타나는 안내 암 이동수단 (80a) 과, 안내 암 (81) 으로 구성되는 관절 이동방향 제어수단 (80) 의 동작은, 도 11 에 나타냈다. 도 11 의 움직임은, 도 6 에 나타낸 동작과 거의 같은 움직임이지만, 더욱 확실히 하기 위해,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a), 도 11(d) 은, 도 9, 도 10 에 나타낸 구성에 대응하여, 보통의 얇은 천 (66) 을 자수하는 경우의 제어판 (41) 의 경사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b), 도 11(e) 는, 이것보다 두꺼운 천 (67) (예를 들면, 우레탄 시이트를 깐 것) 에 대하여 자수를 할 때의 제어판 (41) 의 경사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상태에서는, 관절 (g2) 이 화살표방향으로 왕복운동하므로써, 관절 (g1) 은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각각 실선과 이점쇄선 위치로 왕복운동한다). 또한, 도 11(c), 도 11(f) 는, 자수틀(68) 을 이동시킬 때에, 천누름기 (19) 를 상방의 퇴피위치로 크게 달아나게 해 둘 때의 제어판 (41) 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퇴피위치로 천누름기(19) 를 달아나게 한 상태에서는, 축 (g4) 과 축 (g1) 이 중복된다. 축 (g2) 은, 링크의 관절 (g1, g2) 사이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고, 또한, 도면에서 좌측의 관절 (g1) 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궤적에 일치하는 궤적을 상하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만약, 주축 (50) 이 회전하여도, 관절 (g2) 은 실선과 이점쇄선의 위치를 화살표방향으로 왕복운동할 뿐, 관절 (g1) 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제 4 링크 (24) 로부터 아래로는 운동이 전달되지 않아, 천누름기(19) 는 퇴피위치에 계속 유지된다. 또한, 제어판 (41) 의 경사의 변경은, 모터 (43) 를 소정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량만큼 구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9, 도 12에 도시된 위치결정편 (85) 은, 근원부 (86) 를 제 3 링크 (23) 에 대하여 비스 (88) 로 착탈이 자유롭게 고착하고, 자유단 (87) 을 안내 암 (81 ; 또는 이것의 근원부를 지지하는 제어판 (41)) 에 접속 이탈이 자유롭게 할당하도록 되어 있다. 맞닿은 타이밍은, 도 11(a), 도 11(b) 의 상태에서는, 축 (g1) 과 축 (g4) 의 축심이 서로 떨어져 있으므로, 축 (g2) 을 상하 이동시켜도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1(c) 의 상태로 회전시키면, 도 12 와 같이 축의 축심 (g1a) 과, 축의 축심 (g4a) 의 축 중심이 일치하므로 상기 자유단 (87) 은 안내 암 (81) 의 하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공장 출하시, 또는 분해 수리후에서, 모터 (43) 의 제어수단에 대하여, 제어판 (41) 을 정지시키는 위치를 도 11(c) 의 위치에 설정기억시키는 경우는, 제어판 (41) 을 도 11(b) 의 위치로부터, 도 11(c) 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상기 자유단 (87) 이 안내 암 (81) 에 닿아, 제어판 (41) 의 움직임은 멈춘다. 즉, 이 정지위치가, 구하는 바의 축 (g1) 과, 축 (g4) 과의 축심이 일치하는 위치가 된다.
또한, 도 8 의 피니언 (44) 에 부착되어 있는 조절용의 링크 (44b) 는, 고정 비스 (44c) 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모터축 (43d) 과의 회전각을 재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판 (41) 을, 도 11(c) 의 위치에, 수동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고정비스 (44c) 를 느슨하게 하여 실행하면 편리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꺼운 천 (67) 에 대하여 자수를 실행할 때는, 모터 (43) 를 구동하여, 제어판 (41) 의 후연 (41b) 을, 연직축에 대하여 통상 보다도 작은 각도 Y (<X) 가 되는 위치에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임의의 장소에 세팅한다. 이로써, 안내 암 (81) 의 축 (g4) 의 위치가 변화하고, 관절 (g2) 의 운동방향이 변경되어, 도 11(a) 의 상태보다도 높은 위치에서 천누름기 (19) 가 상하 이동한다. 또, 자수틀 (68) 을 이동시킬 때는, 모터 (43) 를 구동하여, 제어판 (41) 의 후연 (41b) 이 연직이 되도록 세트한다. 이로써, 천누름기 (19) 가 도 11(f) 와 같이 퇴피위치까지 상승한다.
이렇게 하여 천누름기 (19) 를 퇴피시키고, 그 아래를 자수틀 (68) 이 이동한 후는, 모터 (43) 를 전과는 역방향으로 소정량 구동하여, 도 11(c) 의 상태로부터 도 11(a) 또는 도 11(b) 의 상태로 제어판 (41) 의 경사상태를 변경하여 복귀시킨다. 이로써, 관절 (g2) 의 움직임 방향을 바꾸어 그 왕복운동 궤적을 규제하여, 자수를 재개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의 일례로, 더욱 여러 가지 양태로 실시하여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모터 (43) 는, 모터를 정지시키고 있을 때에 모터축이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무여자 작동형 전자 브레이크부착 모터 이외의 것이어도 상관없다.
도 13 은 모터 (43) 대신 공지의 솔레노이드 모터를 이용한 예를 나타냈다. 솔레노이드 모터 (43b) 는 고정판 (43a) 에 장착하고, 그것의 회전축 (43d) 에는 암 (43c) 을 고착하고 있다. 암 (43c) 의 자유단에 있는 두갈래 형상의 연계편 (43e) 은, 축 (g4) 의 연장부에 결합시켜 연계편 (43e) 의 화살표방향의 회전에 의해, 제어판 (41) 을 화살표 (41g) 방향으로, 도 11(a) ∼ 도 11(c) 의 범위를 왕복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13 의 위치결정편 (85a) 은, 도 12 에 나타낸 것과는 장착위치가 다른 예를 나타냈다. 근원부 (86a) 는 제어판 (41) 의 일부에 고착되고, 자유단 (87a) 은 축 (g4) 과, 축 (g1) 이 동심위치로 된 때, 제 4 링크 (24) 의 상부위치 (24a) 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그 맞닿는 타이밍은 도 12 의 위치결정편 (85) 에서의 자유단 (87) 과 같고, 용도, 기능도 동일하다.
상기 위치결정편 (85) 또는 (85a) 를 구비시킴으로써, 공장출하시, 도는 전체의 분해수리후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축심 (g1a, g4a) 의 일치점을 구하는 작업이, 본래의 인간의 감각에 의지하는 작업으로부터, 위치결정편 (85) 에 의지하는 작업으로 바뀌어, 도 11(c) 에 나타내는 일치점을 구하는 조절작업은 신속하게, 게다가 정확해진다. 특히, 상기 작업은, 일반적으로, 제어판 (41) 의 주위에는 복잡한 기구가 존재하고, 이들에 둘러싸여진 상태이기 때문에, 인간의 감각에 의지하는데는 매우 곤란하였다. 상기 위치결정편 (85) 의 제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에 도움이 되어, 상기의 효과를 발휘한다.
도 1 은 실시형태의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의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의 일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에서의 높이 제어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에서의 봉제작업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는 실시형태에서의 봉제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은 실시형태에서의 봉제동작 및 퇴피(退避)동작에 있어서의 높이 제어기구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 과는 다른 실시형태의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2 와는 다른 실시형태의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의 일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4 와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관절 이동방향 제어수단의 봉제작업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도 5 와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관절 이동방향 제어수단의 봉제작업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6 과는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봉제작업 및 퇴피동작에 있어서의 높이 제어기구의 동작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12 는 위치결정편의 배치를 나타내기 위한 도 9 에서의 A-A 위치단면도이다.
도 13 은 안내 암의 이동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천누름 장치 19 : 천누름기
21 : 제 1 링크 24 : 제 4 링크
25 : 제 5 링크 50 : 주축
52 : 천누름기 구동캠 61 : 침봉

Claims (5)

  1. 천누름기를, 바늘 떨어지는 위치를 향하여 침봉의 동작과 연동하여 소정범위에서 상하 이동시킴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기 상하 이동되는 범위보다도 더욱 상방의 퇴피위치까지 퇴피시키도록 하는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로서,
    주축에 고정된 천누름기를 구동하기 위한 캠과,
    상기의 캠에 의해 소정범위 내를 요동되는 제 1 요동부재 및 상기 제 1 요동부재와 링크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천누름기와도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요동부재의 요동동작을 받아 그 자신이 요동함으로써, 상기 천누름기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 2 요동부재를 구비하는 링크 기구와,
    상기 링크 기구 중에서의 하나의 관절의 진퇴궤적의 방향을 규제함과 동시에 그 진퇴의 운동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요동부재를, 상기 천누름기를 소정 범위에서 상하 이동시키도록 동작시키거나, 천누름기를 퇴피위치로 상승시키는 올림상태로 하기 위한 관절 이동방향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
  2. 천누름기를, 바늘 떨어지는 위치를 향하여 침봉의 동작과 연동하여 소정범위에서 상하 이동시킴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기 상하 이동되는 범위보다도 더욱 상방의 퇴피위치까지 퇴피시키도록 하는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로서,
    주축에 고정된 천누름기를 구동하기 위한 캠과,
    상기의 캠에 의해 소정범위 내를 요동되는 제 1 요동부재 및 상기 제 1 요동부재와 링크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천누름기와도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요동부재의 요동동작을 받아 그 자신이 요동함으로써, 상기 천누름기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 2 요동부재를 구비하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또한 선단부는 상기 링크 기구 중에서의 하나의 관절에 연계되어, 근원부는 상기 관절을 소정의 원호상 궤적을 그리며 진퇴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안내 암과,
    상기 안내 암의 근원부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요동부재를, 상기 천누름기를 소정범위에서 상하 이동시키도록 동작시키거나, 천누름기를 퇴피위치로 상승시키는 올림상태로 하기 위한 안내 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
  3. 천누름기를, 바늘 떨어지는 위치를 향하여 침봉의 동작과 연동하여 소정범위에서 상하 이동시킴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기 상하 이동되는 범위보다도 더욱 상방의 퇴피위치까지 퇴피시키도록 하는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로서,
    주축에 고정된 천누름기를 구동하기 위한 캠과,
    상기의 캠에 의해 소정범위 내를 요동되는 제 1 요동부재 및 상기 제 1 요동부재와 링크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천누름기와도 링크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요동부재의 요동동작을 받아 그 자신이 요동함으로써, 상기 천누름기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 2 요동부재를 구비하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링크 기구 중에서의 하나의 관절에 설치한 캠 종동부를 끼워 맞춰, 상기 관절을 소정의 진퇴궤적을 그리며 소정방향으로 운동시키기 위한 원호상 캠 홈을 구비한 안내 캠과,
    상기 안내 캠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관절의 운동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요동부재를, 상기 천누름기를 소정범위에서 상하 이동시키도록 동작시키거나, 천누름기를 퇴피위치로 상승시키는 올림상태로 하기 위한 안내 캠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동부재가, 상기 제 1 요동부재 측에 신장되는 제 1 암과 상기 천누름기측으로 신장되는 제 2 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암과 상기 제 1 요동부재와의 사이에 2 개 이상의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원호상 캠 홈에 결합되는 캠 종동부가, 상기 제 1 암에 연결된 링크의 상기 제 1 암과는 반대측의 관절에 설치되며,
    상기 안내 캠 이동수단은, 상기 제 2 요동부재를 올림상태로 하도록 상기 안내 캠의 위치를 변화시켰을 때, 상기 원호상 캠 홈을 상기 제 1 암의 자유단측의 관절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궤적에 일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
  5. 천누름기를, 침봉의 동작과 연동하여 소정범위에서 상하 이동시킴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기 상하 이동되는 범위보다도 더욱 상방의 퇴피위치까지 퇴피시키도록 하는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로서,
    주축에 고정된 천누름기 구동 캠과,
    기초 틀에 대하여 요동이 가능하게 지지되어, 그 자유단측을 상기 천누름기 구동 캠의 캠 홈에 제 1 캠 종동부를 통하여 결합된 제 1 요동부재와,
    상기 제 1 요동부재와 상기 천누름기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초 틀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요동부재측으로 신장되는 제 1 암과, 상기 천누름기측에만 신장되는 제 2 암을 구비하는 제 2 요동부재와,
    상기 제 2 요동부재의 상기 제 1 암과, 상기 제 1 요동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요동부재 사이의 링크와,
    상기 2 개 이상의 요동부재 사이의 링크 중의 상기 제 2 요동부재의 상기 제 1 암에 연결된 쪽의 링의 상기 제 1 암과는 반대측의 관절에 설치되는 제 2 캠 종동부와,
    상기 제 2 캠 종동부를 결합하는 원호상의 캠 홈을 구비하고, 기초 틀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안내 캠과,
    상기 안내 캠을 상기 기초 틀에 대하여 요동시키고, 상기 원호상 캠 홈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안내 캠 요동수단과,
    상기 제 2 요동부재의 상기 제 2 암과 상기 천누름기를 연결하는 천누름기 연결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캠 요동수단은, 상기 제 2 요동부재를, 상기 천누름기를 퇴피위치로 상승시키는 올림 상태로 하도록 상기 안내 캠을 요동시켰을 때, 상기 원호상 캠 홈을 상기 제 1 암의 자유단측의 관절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궤적에 일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의 천누름 장치.
KR10-1998-0009481A 1997-05-09 1998-03-19 재봉틀의천누름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63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35940 1997-05-09
JP13594097A JP3682360B2 (ja) 1997-05-09 1997-05-09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22103197A JP3678326B2 (ja) 1997-07-31 1997-07-31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97-221031 1997-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542A KR19980086542A (ko) 1998-12-05
KR100463091B1 true KR100463091B1 (ko) 2005-06-22

Family

ID=26469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4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3091B1 (ko) 1997-05-09 1998-03-19 재봉틀의천누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73567A (ko)
KR (1) KR100463091B1 (ko)
CN (1) CN1095894C (ko)
DE (1) DE19820646B4 (ko)
TW (1) TW3630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8169A1 (de) * 1999-04-21 2000-10-26 Zsk Stickmasch Gmbh Höheneinstellung eines Stoffdrückers
US6170414B1 (en) * 1999-05-07 2001-01-09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Quilting machine with adjustable presser plat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quilting machine
JP3764867B2 (ja) * 2001-12-28 2006-04-12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ミシンの押え上げ装置
JP4009522B2 (ja) * 2002-11-12 2007-11-14 ペガサス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ミシンのプレッサ装置
JP4221242B2 (ja) * 2003-04-30 2009-02-12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2005279041A (ja) * 2004-03-30 2005-10-13 Brother Ind Ltd 間欠押さえ上下駆動装置、この装置を備えたミシン
JP2005287554A (ja) * 2004-03-31 2005-10-20 Brother Ind Ltd ミシンの押さえ上げ装置
CN1676716B (zh) * 2004-03-31 2010-08-18 兄弟工业株式会社 缝纫机的抬压脚装置
JP4526917B2 (ja) * 2004-10-12 2010-08-18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中押え装置
JP4605448B2 (ja) * 2004-10-27 2011-0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間欠押え上下駆動装置及びミシン
JP2006122231A (ja) * 2004-10-27 2006-05-18 Brother Ind Ltd 間欠押え上下駆動装置及びミシン
JP2006192071A (ja) * 2005-01-13 2006-07-27 Juki Corp ミシン
JP2007125278A (ja) * 2005-11-07 2007-05-24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JP2007143694A (ja) * 2005-11-25 2007-06-14 Juki Corp ミシン及び縫製条件設定方法
JP4890847B2 (ja) * 2005-12-12 2012-03-07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中押さえ装置
KR100785045B1 (ko) * 2007-01-17 2007-12-12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자수 미싱의 미싱아암 구조
KR20080068504A (ko) * 2007-01-18 2008-07-23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부재 승,하강 장치
KR101364556B1 (ko) * 2007-05-18 2014-02-18 주식회사 썬스타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부재 구동 전환 구조
DE102008016353A1 (de) * 2008-03-29 2009-10-08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JP4596349B2 (ja) * 2008-04-10 2010-12-08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送り出し腕形偏平縫いミシン
CN101265642B (zh) * 2008-05-05 2014-04-30 新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花样缝纫机的压脚自动控制装置
JP5253992B2 (ja) * 2008-12-24 2013-07-31 Juki株式会社 ミシン
CN102849503A (zh) * 2011-06-29 2013-01-02 吴江市依林针织整型有限公司 压布件的滑动方式
CN103757826A (zh) * 2013-12-30 2014-04-30 张章生 缝纫机及其柔性中压脚驱动机构
DE102014213877A1 (de) * 2014-07-16 2016-01-21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JP6606929B2 (ja) * 2015-09-04 2019-1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CN105568581B (zh) * 2016-01-13 2018-04-13 浙江浙丽机电有限公司 一种带独立压脚的电脑绣花机
CN105839313B (zh) * 2016-05-20 2018-03-16 诸暨市乐业机电有限公司 一种新型高速链式毛巾绣花机
CN105937105A (zh) * 2016-07-01 2016-09-14 深圳市山龙电控有限公司 一种毛巾刺绣机控制系统
CN106012359A (zh) * 2016-07-24 2016-10-12 浙江越隆缝制设备有限公司 单凸轮三连杆的毛巾绣花机机头
CN108301125A (zh) * 2017-01-11 2018-07-20 天津宝盈电脑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缝纫机的压脚驱动及控制机构
CN111593509B (zh) * 2020-06-16 2022-04-08 浙江乐佳机电有限公司 绣花机头的机械结构
CN112267224B (zh) * 2020-11-05 2025-06-03 琦星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剪线、抬压脚和针距调节的驱动装置
CN113174707B (zh) * 2021-05-28 2024-07-23 浙江杜马缝纫机股份有限公司 缝纫机的内、外压脚交互量调节和抬压脚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6235A (en) * 1987-07-27 1990-06-26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transport mechanism
JPH05115642A (ja) * 1991-10-31 1993-05-14 Juki Corp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H06126055A (ja) * 1992-10-20 1994-05-10 Brother Ind Ltd 縫製材押さえ装置
JPH06304362A (ja) * 1993-04-26 1994-11-01 Brother Ind Ltd 刺繍ミシンの押え足切換え装置
JPH0919585A (ja) * 1995-07-06 1997-01-2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38894C2 (de) * 1979-09-26 1981-10-01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lautern Stickmaschine
JPH01103483A (ja) * 1987-10-16 1989-04-20 Brother Ind Ltd 転写材製造用シート
JPH0532062Y2 (ko) * 1988-06-07 1993-08-17
JPH06238078A (ja) * 1993-02-22 1994-08-30 Brother Ind Ltd ミシン
DE4324741C2 (de) * 1993-07-23 1996-01-25 Pfaff Ag G M Stick- oder Nähmaschine mit einer Einrichtung zum Fadenwischen
JPH07231991A (ja) * 1994-02-22 1995-09-05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3079246B2 (ja) * 1995-07-13 2000-08-21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法面緑化擁壁
JP3761116B2 (ja) * 1997-06-10 2006-03-29 ホーチキ株式会社 遠隔試験機能付火災報知設備及び試験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6235A (en) * 1987-07-27 1990-06-26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Sewing machine with an upper transport mechanism
JPH05115642A (ja) * 1991-10-31 1993-05-14 Juki Corp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H06126055A (ja) * 1992-10-20 1994-05-10 Brother Ind Ltd 縫製材押さえ装置
JPH06304362A (ja) * 1993-04-26 1994-11-01 Brother Ind Ltd 刺繍ミシンの押え足切換え装置
JPH0919585A (ja) * 1995-07-06 1997-01-21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894C (zh) 2002-12-11
US6073567A (en) 2000-06-13
DE19820646A1 (de) 1998-11-12
DE19820646B4 (de) 2014-07-03
CN1199109A (zh) 1998-11-18
TW363095B (en) 1999-07-01
HK1016665A1 (en) 1999-11-05
KR19980086542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3091B1 (ko) 재봉틀의천누름장치
JP2017184980A (ja) ミシン
KR100343605B1 (ko) 미싱의중압체높이조정장치
CN101168885A (zh) 缝纫机的进给机构
JP4261698B2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KR100831059B1 (ko) 미싱
KR101171396B1 (ko) 재봉기
JP3682360B2 (ja) ミシンの布押え装置
KR101240382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KR100989741B1 (ko) 단추 구멍 사뜨기 재봉틀
KR101240386B1 (ko) 재봉기
JP3983367B2 (ja)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2006102399A (ja) ミシン
KR20070104839A (ko) 재봉기
US4106419A (en) Sewing machine
JP3678326B2 (ja)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H11319356A (ja) 畳縫着装置
KR860001541B1 (ko) 자수기의 대기장치(Waiting means for an embroidery machine)
JPH07231991A (ja)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2005287554A (ja) ミシンの押さえ上げ装置
JPH09299643A (ja) ミシン
JP2586701Y2 (ja) ミシンの中押え装置
KR20030018236A (ko) 미싱의 실 절단 장치
JP2002273081A (ja) 送り調節器組立体、布送り機構付き釜モジュール、布送り機構付き釜モジュールを備えたミシン
KR200434476Y1 (ko) 미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1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3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