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2961B1 - 경사개구장치 - Google Patents

경사개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961B1
KR100462961B1 KR10-2003-0011360A KR20030011360A KR100462961B1 KR 100462961 B1 KR100462961 B1 KR 100462961B1 KR 20030011360 A KR20030011360 A KR 20030011360A KR 100462961 B1 KR100462961 B1 KR 100462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d
connector
frame
heald frame
adjac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506A (ko
Inventor
시미즈노부아키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1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96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5/00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83Arrangements or means for the linking to the drive syste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08Construction of frame parts
    • D03C9/065Side st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종광틀의 경사(經絲) 방향에서, 종광틀의 배열피치를 단축함으로써 경사에 소정의 개구량(開口量)을 부여할 때, 종광틀의 왕복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종광틀(2)과 왕복구동부재(3)를 운동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구(4)가 인접하는 종광틀(2)의 사이에서 방직폭방향으로 중복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는 경사개구장치(1)에 있어서, 인접하는 종광틀(2)중 한쪽의 종광틀(2)의 연결구(4)와 다른쪽의 종광틀(2)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1) 연결구 (4)를 다른쪽의 종광틀(2)의 운동범위로부터 떼어 놓거나, 또는 (2) 종광틀(2)에 다른쪽의 연결구(4)의 운동범위로부터 피하는 퇴피부(11)를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경사개구장치{SHEDING DEVICE}
본 발명은 직기(織機)의 경사개구(經絲開口)장치에 있어서, 복수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종광틀과 왕복구동부재를 운동자유롭게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실개소 57-138986호 공보는, 직기의 개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 공보의 직기의 개구장치는, 경사의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종광틀을 가지고, 각 종광틀은 왕복구동되는 로드에 연결구를 통해 연결되며, 경사의 개구방향으로 왕복구동되어 경사에 개구운동을 부여한다. 또, 로드등의 왕복구동부재, 연결구 등은 인접한 종광틀의 사이에서 방직폭 방향으로 중복되지 않은 위치에 교대로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경사의 개구운동에 의한 경사의 손해를 극히 억제하기 위해서,경사의 개구량을 작게 해야 한다. 경사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종광틀의 배열피치(경사 방향의 두께)가 클 때, 다시 말하면, 위사(緯絲)의 주행위치와 경사의 종광틀과의 거리가 클 때, 위사가 들어가기에 알맞은 경사개구량을 얻는데, 각 종광틀에서는 방직전 위치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보다 큰 왕복운동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광틀의 두께를 얇게 하여, 경사의 방향으로 복수개 종광틀의 배열피치를 단축화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연결구의 강도상의 문제로부터 연결구의 두께는, 종광틀보다도 두꺼워지는 경향으로 있다. 한편, 연결구는 종광틀에 직접 장착된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종광틀과 연결구와의 간섭을 피할 필요도 있고, 종광틀의 배열피치가 넓어지지 않을 수 없다. 요컨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연결구의 두께가 문제로 되어, 종광틀의 배열피치를 단축하기 위해서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 방향에서의 종광틀의 배열피치를 단축함으로써 경사에 소정의 개구량을 부여할 때, 종광틀의 왕복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근거로, 본 발명은 복수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종광틀과 왕복구동부재를 운동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구가 인접하는 종광틀의 사이에서 방직폭 방향으로 중복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는 경사개구장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종광틀중 한쪽의 종광틀의 연결구와 다른쪽의 종광틀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1)연결구를 다른 쪽의 종광틀의 운동범위로부터 떼어놓거나, 또는 (2)종광틀에 다른 쪽의연결구의 운동범위로부터 피하는 퇴피부를 형성하고 있다.
(1)연결구를 다른쪽의 종광틀의 운동범위로부터 이격시키는 수단은, 연결구와 종광틀과의 사이에 이격부의 부재를 끼워 설치하거나, 또는 이격부를 연결구(연결기초부) 혹은 종광틀의 끝단부 중 어느 하나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체화할 수 있다. 상기의 이격거리의 형성길이는 인접하는 부재의 운동범위를 고려하여 정한다.
(2)종광틀에 다른 쪽의 연결구의 운동범위로부터 피하는 퇴피부를 형성하는 수단은, 종광틀에 다른 쪽의 연결구의 운동범위로부터 피하는 퇴피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구체화할 수 있고, 퇴피부는 종광틀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종광틀에 절결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한다. 상기의 퇴피부의 형성길이는, 인접하는 부재의 운동범위를 고려하여 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경사개구장치의 주요부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경사개구장치의 주요부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경사개구장치의 주요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의한 경사개구장치의 주요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경사개구장치의 주요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의한 경사개구장치의 주요부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경사개구장치의 주요부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의한 경사개구장치의 주요부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사개구장치 2 : 종광틀
21 : 헬드 3 : 왕복구동부재
31 : 밀어올림로드 32 : 와이어
4 : 연결구 40 : 연결핀
41 : 연결기초부 42 : 결합체
43 : 로드핀 44 : 장착볼트
45 : 구멍 46 : 결합구멍
47 : 그리스 니플 48 : 나사부
49 : 결합체 5 : 이격부
51 : 상단부 52 : 하단부
53 : 연결부 54 : 공간부
6 : 장착볼트 7 : 경사
8 : 라테랄가이드 9 : 고정구
10 : 고정가이드 11 : 퇴피부
[발명의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적극(積極)구동식의 경사개구장치(1)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도 1 및 도 2에서 경사개구장치(1)는, 복수개의 종광틀(2)과 왕복구동부재(3)로서의 밀어올림로드(31)를 왕복운동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구(4)를 가지고 있다. 복수개의 종광틀(2)은, 경사의 방향으로 겹친 상태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연결구(4)는, 인접하는 종광틀(2)의 사이에서, 종광틀 (2)마다, 경사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직폭방향으로 중복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경사개구장치(1)에 있어서, 특징적인 부분으로서, 각 종광틀(2)의 끝단부와 연결구(4)와의 사이에 이격부(5)를 설치하여, 이 이격부(5)를 왕복운동에서의 종광틀(2)의 끝단부와 인접하는 종광틀(2)의 끝단부와의 최대상대거리(L1)보다도 긴 길이(L)로서 형성해 두고, 연결구(4)를 이격부(5)에 있어서 종광틀(2)의 끝단부에 연결하고 있다.
또, 이 예에서 종광틀(2)의 끝단부는 종광틀(2)의 방직폭방향을 따라서 연결하는 부분으로 하단부분이다. 또한, 이격부(5)는 종광틀(2)의 하단면에 대하여 장착볼트(6)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이격부(5)의 길이(L) 및 최대상대거리(L1)는, 종광틀(2)의 높이방향의 길이(거리)이다.
이 예에서 이격부(5)는, 연결구(4)와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격부(5)는 상단부(51), 하단부(52) 및 연결부(53)를 가지고 있다. 상단부 (51) 및 하단부(52)는 종광틀(2)의 하단부분 및 연결기초부(41)의 각각 대응하는 장착단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각 장착단면을 길이(L)만큼 이격하여 배치해야 하고, 연결부(53)가 상단부(51) 및 하단부(52)에 연속하도록 설치된다. 또, 연결부(53)에는 공간부(54)가 설치되고, 종광틀(2)의 하단부로의 고정부착을 위한 장착볼트 (6)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격부(5)를 형성하는 각 부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형성하지만, 별개로 구성하여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연결구(4)는 연결기초부(41), 결합체(42) 및 로드핀(4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연결기초부(41)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끝단에서 이격부(5)의 끝단면에 대하여 장착볼트(44)로 장착되고, 또한 다른쪽 끝단이 대향하는 부위에서 로드핀(43) 삽입용의 구멍(45)을 가지고, 구멍(45) 및 결합체(42)의 결합구멍(46)에 삽입된 로드핀 (43)에 의해 결합체(42)에 연결되어 있다. 또, 결합체(42)의 결합구멍(46)에 그리스 니플(47)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연결구(4)는 필요한 강도나 내구성을 확보한 두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결합체(42)는 연결기초부(41)에 대하여 회전운동자유롭게 연결되고, 나사부(48)에 의해 턴버클식의 밀어올림로드(31)에 연결되어 있다. 밀어올림로드(31)는 도시하지 않은 방직기의 주축 회전에 동반하는 종광틀(2) 및 헬드(21)를 적극적으로 왕복 구동하여, 경사(7)에 개구운동을 부여한다.
종광틀(2)과 연결구(4)[연결기초부(41)]와의 사이에 이격부(5)가 끼워져 설치되어 있고, 각 이격부(5)는 인접하는 종광틀(2)의 이격부(5)와 간섭하지 않도록 방직폭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인접하는 2개의 종광틀(2)중 이동거리가 큰 종광틀(2)에 대한 최대상대거리(L1)에 착안하여, 이격부(5)의 길이(L)는, 왕복운동에서의 종광틀(2)의 하단부와 인접하는 종광틀(2)의 하단부와의 최대상대거리(L1)보다도 길어져 있으므로, 각 연결기초부(41)는 모두 인접하는 종광틀(2)의 이동범위 밖에 위치하게 된다. 또, 이격부(5)의 길이(L)는 최대상대거리(L1)의 근사치로서도 좋고, 이보다도 큰 값으로 설계상 상정되는 최대의 상대거리를 고려하여 정한 값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격부(5)의 두께는, 종광틀(2)의 두께이하로 하거나, 종광틀(2)을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나 소비전력을 절약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강도(두께·길이)로 하고, 비중이 작은(경량)재료를 사용하며, 또한 공간부(54)와 같은 공간을형성하여 경량화하는 것으로 한다.
또, 연결구(4)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격부 (5)를 별개로 구성하는 것을 대신하여, 연결기초부(41) 혹은 종광틀(2)중 어느 하나의 부재와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이격부(5)의 방직폭방향의 길이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경량화를 위해, 최소한의 길이로 하거나, 최소한의 길이로부터 폭방향으로 연결시키거나 또는 전체폭에 걸쳐 연결시키는 등의 것도 생각된다.
도 3 및 도 4의 실시형태 2는, 적극구동식의 경사개구장치(1)이고, 종광틀 (2)의 탈착작업성을 위해, 방직기상에 장착된 부재 즉 라테랄가이드(8)에 종광틀 (2)을 유지시키는 형식에 응용하여, 라테랄가이드(8)의 하단에 연결되는 연결구(4)에 이격부(5)를 일체로 형성하는 예이다. 이격부(5)는, 종광틀(2) 혹은 라테랄가이드(8)의 두께이하로 하고, 또는 상기의 도 1 및 도 2의 실시형태 1과 같이, 인접하는 종광틀(2)의 끝단부,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하는 라테랄가이드(8)의 하단에 대하여, 최대상대거리(L1) 이상의 길이(L)로 연결시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라테랄가이드(8)는 상하의 위치에서 고정구(9)에 의해 종광틀(2)의 측끝단부에 장착되어, 상하 2개의 고정가이드(10)에 의해 안내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연결구(4), 밀어올림로드(31)는 인접하는 것끼리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방직폭방향으로 교대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그리고, 이격부(5)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기초부(4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도 1 및 도 2의 실시형태 1과 같이 연결기초부(41)와 별개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도 5 및 도 6의 실시형태 3은, 소극(消極)구동식의 경사개구장치(1)에 적용하여, 라테랄가이드(8)의 상단 및 하단에 왕복구동부재(3)로서의 와이어(32)를 왕복운동자유롭게 연결한 예이다. 상하의 와이어(32)는, 결합체(49) 및 결합핀(40)에 의해 라테랄가이드(8)와 일체인 연결구(4)의 연결기초부(41) 및 이격부(5)에 의해 종광틀(2)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결구(4)[연결기초부(41)] 및 이격부 (5)는 상하의 양쪽에 설치된다. 또, 이격부(5)는 종광틀(2) 혹은 라테랄가이드 (8)의 두께이하로 하고, 또한 상기 예와 같이, 인접하는 종광틀(2)의 끝단부,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하는 라테랄가이드(8)의 상단 또는 하단에 대하여, 최대상대거리 (L1) 이상의 길이(L)로 연결시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하의 와이어(32)중, 한쪽의 것은, 도시하지 않은 캠기구 또는 링크기구에 의해 방직기의 주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왕복운동의 전진운동방향으로 구동되고, 다른 쪽의 것은, 도시하지 않은 인장스프링에 의해 왕복운동의 후진운동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도 7 및 도 8의 실시형태 4는, 적극구동식의 경사개구장치(1)에 있어서, 이격부(5)를 설치하는 대신에, 인접하는 종광틀(2)의 대향부분에, 인접하는 연결구 (4)의 왕복운동에 따른 운동범위에 걸쳐 퇴피부(11)를 형성한 예이다. 퇴피부(11)는 방직폭방향으로 인접하는 연결구(4)의 폭(W), 또한 운동방향으로 왕복운동에 의해 인접하는 연결구(4)의 운동범위의 길이(L2)보다도 긴 길이(L)에 걸쳐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 퇴피부(11)는 방직폭방향으로 필요길이, 즉 연결구(4)의 폭 이상의 길이에 걸쳐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또한, 절결부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청구항 1에 의하면, 경사개구장치에 있어서, 종광틀의 끝단부와 연결구와의 사이에 이격부를 설치하여, 이 이격부를 왕복운동에서의 종광틀의 끝단부와 인접하는 종광틀의 끝단부와의 최대상대거리보다도 길게 형성해 두고, 연결구를 이격부에서 종광틀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경사방향의 종광틀의 배열피치를 보다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방직 앞위치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종광틀을 보다 방직 앞에 가까이 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위사를 넣기에 알맞은 경사개구를 얻는 데 필요한 종광틀의 운동량을 종래의 것에 비교하여 작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경사로의 손해를 경감하여, 천의 보풀, 실이 끊어지는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종광틀의 왕복운동에 요하는 에너지소비량을 절약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의하면, 이격부를 연결구와 별개로 형성하므로, 이격부의 치수 설정에 의해 필요한 크기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의하면, 이격부를 연결구와 일체로 형성하므로, 부품수가 적어지고 그 제조도 간단하게 된다.
청구항 4에 의하면, 이격부를 종광틀과 일체로 형성하므로, 종광틀의 제조과정에서 이격부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의하면, 이격부의 두께를 종광틀의 두께이하로 형성하므로, 경사방향의 종광틀의 배열피치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의하면, 경사개구장치에 있어서, 종광틀에 인접하는 연결구의 왕복운동에 따른 운동범위에 걸쳐, 그 인접하는 연결구로부터 퇴피하는 퇴피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청구항 1과 같이 경사방향의 종광틀의 배열피치를 보다 단축할 수 있고, 경사로의 손해를 경감하며, 천의 보풀, 실이 끊어지는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각 종광틀을 가급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광틀의 왕복운동에 요하는 에너지소비량을 절약할 수가 있다.

Claims (6)

  1. 복수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종광틀과 왕복구동부재를 운동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구가 인접하는 종광틀의 사이에서 방직폭방향으로 중복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는 경사개구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광틀의 끝단부와 연결구와의 사이에 이격부를 설치하고, 이 이격부를 왕복운동에서의 종광틀의 끝단부와 인접하는 종광틀의 끝단부와의 최대상대거리보다도 길게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를 상기 이격부에서 상기 종광틀의 끝단부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개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연결구와는 별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개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연결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개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종광틀과 일체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경사개구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의 두께는, 종광틀의 두께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개구장치.
  6. 복수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종광틀과 왕복구동부재를 운동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구가 인접하는 종광틀의 사이에서 방직폭방향으로 중복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는 경사개구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광틀에는, 인접하는 연결구의 왕복운동을 따르는 운동범위에 걸쳐, 그 인접하는 연결구로부터 퇴피하는 퇴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개구장치.
KR10-2003-0011360A 2002-02-27 2003-02-24 경사개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629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51554A JP3850023B2 (ja) 2002-02-27 2002-02-27 経糸開口装置
JPJP-P-2002-00051554 2002-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506A KR20030071506A (ko) 2003-09-03
KR100462961B1 true KR100462961B1 (ko) 2004-12-23

Family

ID=2778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36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2961B1 (ko) 2002-02-27 2003-02-24 경사개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50023B2 (ko)
KR (1) KR100462961B1 (ko)
CN (1) CN1219924C (ko)
TW (1) TW5833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9874B2 (ja) * 2009-04-28 2013-12-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経糸開口装置における開口モータ冷却装置
EP2586895B1 (de) * 2011-10-31 2018-12-19 Groz-Beckert KG Anschlusseinrichtung zur Verbindung eines Webschafts mit einem Schaftantrieb
CN105220297B (zh) * 2015-10-26 2017-11-03 沈春梅 一种织机开口装置
EP4545693A1 (de) * 2023-10-26 2025-04-30 Groz-Beckert KG Seitenstütze, webmaschine und verfahren zum koppeln einer seitenstütze an eine web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9924C (zh) 2005-09-21
KR20030071506A (ko) 2003-09-03
TW200303382A (en) 2003-09-01
TW583360B (en) 2004-04-11
JP2003253536A (ja) 2003-09-10
CN1441099A (zh) 2003-09-10
JP3850023B2 (ja)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2961B1 (ko) 경사개구장치
CN100532668C (zh) 织机的开口装置
EP2194175B1 (en) Heald frame
JP2007107128A (ja) 織機における耳糸開口装置
CN110129949B (zh) 一种组装式综框
CN217556411U (zh) 织机的边纱开口装置
US20060162802A1 (en) Heald frame and weaving machine equipped with same
WO2014136197A1 (ja) 織機用ヘルドとヘルド取付枠部材及び織機
EP1783254B1 (en) Warp yarn weaving device for selvedge formation in weaving looms
CN211079494U (zh) 一种多梭织带机的梭箱升降装置
US5507321A (en) Heald frame for weaving a slide fastener stringer
CN1483875A (zh) 织造用筘
CN217104238U (zh) 一种应用于绞织机型的组合式综框
CN1724732A (zh) 梭口形成机构、三位织造系统及配备该系统的织机
WO2000003077A1 (en) Leno weaving
JPH0634379Y2 (ja) 織機のヘルドフレーム装着装置
CN109554808A (zh) 一种引纬机构及编织机
CN213681106U (zh) 线幕张紧机构、线架及穿经机
CN217869313U (zh) 一种提花龙头及无梭织带机
JP2002146648A (ja) レピア織機における緯入れ装置
CN214736433U (zh) 一种织机停经架托臂
CN203320220U (zh) 绞织机构
KR100913613B1 (ko) 종광
JP2771794B2 (ja) 無杼織機用レノ装置
CN117210990A (zh) 一种新型中撑杆固定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