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2837B1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837B1
KR100462837B1 KR10-2002-0080639A KR20020080639A KR100462837B1 KR 100462837 B1 KR100462837 B1 KR 100462837B1 KR 20020080639 A KR20020080639 A KR 20020080639A KR 100462837 B1 KR100462837 B1 KR 100462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box
dust
cyclone
filter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1362A (ko
Inventor
도히켄이치로
모리타아키히로
후지요시토시유키
마츠하시히로미치
아즈미타카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1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더스트박스내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사이클론식의 캐니스터타입의 전기청소기를 제공한다.
청소기본체(1)에 사이클론식의 더스트박스(2)가 설치되고, 상기 더스트박스(2)내에, 더스트박스(2) 내벽과의 사이에서 제 1 사이클론공간을 형성하는 외측필터부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필터부내에, 해당 외측필터부의 내벽과의 사이에서 제 2 사이클론공간을 형성하는 내측필터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외측필터부에는, 상기 더스트박스 내벽을 향하여 연장되는 차양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전기청소기.

Description

전기청소기{A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클론식의 더스트박스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청소기, 특히 업라이트형(세로형)청소기에는, 1회용 집진 용지팩을 이용하지 않고, 청소기본체의 흡인경로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내부에서 소용돌이 형상의 공기의 흐름(이른바, 사이클론)을 발생시키는 집진케이스내에 통모양의 필터를 구비하고, 이 필터에 의해 여과된 먼지를 집진케이스내에 축적할 수 있도록 한 사이클론식의 집진장치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집진장치는, 1회용의 종이팩과 비교하여, 필터의 메인터넌스(maintenance)에 의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사이클론식의 전기청소기로서는, 다이손의 발명에 관한 먼지분리장치(일본국 특표평10-511880호 공보 등)를 구비한 전기청소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나는 사이클론식의 전기청소기는, 더스트박스(51) 내부에 내측 사이클론케이스(52)를 설치함으로서, 이중의 사이클론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내측 사이클론케이스(52)의 하부는, 사이클론튜브(53)에 의해 더스트박스(51)의 제 1 사이클론공간(54)에 대하여 기밀하게 닫혀져 있다. 내측 사이클론케이스(52)의 상부는, 통풍성을 갖는 슈라우드(60)를 통하여 더스트박스(51)의 제 1 사이클론공간(54)에 연통하고 있다.
내측 사이클론케이스(52) 상단의 배기구(58)에 접속된 송풍기(미도시) 등에 의해 발생되는 부압(負壓)에 의해,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외부에서부터 흡기관(55)을 통하여 더스트박스(51) 내부의 제 1 사이클론공간(54)에 도입되고, 제 1 사이클론공간(54) 내부에서 선회하고, 큰 먼지가 낙하하여 사이클론튜브(53) 위에 퇴적한다. 또한, 슈라우드(60)를 통하여 내측 사이클론케이스(52) 내부의 제 2 사이클론공간(56)에 도입되고, 제 2 사이클론공간(56) 내부에서 선회하고, 조금 큰 먼지가 낙하하여 사이클론튜브(53) 아래의 공간부(57)에 퇴적한다. 먼지가 제거된 공기는, 내측 사이클론케이스(52) 상단의 배기구(58)로부터 배기된다.
그러나, 도 10에 나타나는 종래의 전기청소기는, 더스트박스(51) 내부를 기밀하게 구분하는 사이클론튜브(53)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다. 따라서, 사이클론튜브(53)의 상측 및 하측에 퇴적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단, 더스트박스(51)로부터, 내측 사이클론케이스(52), 사이클론튜브(53) 및 슈라우드(60)를 전부 분리하면서 외부로 꺼낼 필요가 있으며, 더스트박스내의 청소가 상당히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관련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더스트박스내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사이클론식의 캐니스터타입의 전기청소기를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는, 청소기본체에 사이클론식의 더스트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더스트박스내에, 더스트박스 내벽과의 사이에서 제 1 사이클론공간을 형성하는 외측필터부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필터부내에, 해당 외측필터부의 내벽과의 사이에서 제 2 사이클론공간을 형성하는 내측필터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외측필터부에는, 상기 더스트박스 내벽을 향하여 연장되는 차양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내측필터부의 하부에는, 상기 외측필터부의 내벽을 향하여 차양부가 또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양부의 선단부분이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청소기의 평면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청소기를 좌측면에서 본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더스트박스의 사시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의 더스트박스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더스트박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기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더스트박스에 있어서의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설명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사이클론식의 먼지분리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기청소기 2 더스트박스
3 전동송풍기
다음,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설명도, 도 2는 도 1의 전기청소기의 평면설명도, 도 3은 도 1의 전기청소기를 좌측면에서 본 경우의 설명도, 도 4는 도 1의 더스트박스의 사시설명도, 도 5는 도 1의 더스트박스의 정면도, 도 6은 도 1의 더스트박스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1의 전기청소기의종단면도, 도 8은 도 6의 VIII-VIII선 단면도 및 도 9는 도 6의 더스트박스에 있어서의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기청소기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니스터타입의 청소기본체(1)의 전부(前部)에, 사이클론식의 더스트박스(2)가 위쪽에서부터 삽입됨으로서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청소기본체(1)의 후부(後部)에는 전동송풍기(3)가 내장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미도시이지만, 청소기본체(1)의 전단면의 연결구(4)에는, 일련의 흡입호스, 흡입관 및 흡입구가 연결되어 있다. 또, 청소기본체(1)는, 바닥면을 이동할 수 있도록, 전륜(1a) 및 한 쌍의 후륜(1b, 1c)을 구비하고 있다.
더스트박스(2)는, 도 4~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 상의 투명한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더스트박스본체(5)의 내측에 각각 대략 원통상의 외측필터부(6) 및 내측필터부(7)가 더스트박스본체(5)와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필터부(6)는, 외측통상부재(8)와, 이 외측통상부재(8)의 측면에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8a) 주위를 피복하는 외측 필터(9)로 이루어진다.
또, 외측통상부재(8)의 외주측면에는, 더스트박스본체(5)의 내벽을 향하여 연장되는 차양부(10)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더스트박스본체(5)의 내벽과 차양부(10) 사이에는, 틈새(3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더스트박스본체(5)의 내벽과 외측필터부(6) 사이에는, 더스트박스본체(5)의 내벽, 외측 필터(9) 및 차양부(10)에 의해 둘러싸인 제 1 사이클론공간(25), 및 제 1 사이클론공간(25)과 틈새(34)를 통하여 연통하는 먼지를 포집(捕集)하는 공간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차양부(10)의 선단부분(10a)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먼지가 제 1 사이클론공간(25)으로부터 틈새(34)를 통하여 공간부(26)로 이동할 때에, 먼지가 선단부분(10a)에 걸리는 일이 적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내측필터부(7)는, 내측통상부재(11)와, 이 내측통상부재(11)의 측면에 세로방향을 따로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11a) 주위를 피복하는 내측 필터(12)로 이루어진다.
또, 내측통상부재(11)의 외주측면에는, 외측통상부재(8)의 내벽을 향하여 연장되는 차양부(13)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외측통상부재(8)의 내벽과 차양부(13)와의 사이에는, 틈새(3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통상부재(8)의 내벽과 내측 필터부(7) 사이에는, 외측통상부재(8)의 내벽, 내측 필터(12) 및 차양부(13)에 의해 둘러싸인 제 2 사이클론공간(27), 및 제 2 사이클론공간(27)과 틈새(35)를 통하여 연통하는 먼지를 포집하는 공간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양부(10)와 마찬가지로, 차양부(13)의 선단부분(13a)도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먼지가 제 2 사이클론공간(27)에서부터 틈새(35)를 통하여 공간부(28)로 이동할 때에, 먼지가 선단부분(13a)에 걸리는 일이 적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외측필터부(6) 및 내측필터부(7)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스트박스본체(5)의 상단개구를 폐색하는 윗뚜껑부(14)의 하면으로 늘어진 상태로 고정되어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측통상부재(8)의 상부에 연장설치된 중간뚜껑부(8b)가 실링(8c)을 끼운 상태로 윗뚜껑부(14)의 내벽에 끼워져 있다. 중간뚜껑부(8b)와 더스트박스본체(5) 사이는 중간뚜껑부(8b)의 단부에 설치된 실링(8d)에 의해 기밀하게 봉합되어 있다. 한편, 내측통상부재(11)의 상부에 연장설치된 복수개의 슬릿을 갖는 원통상 홀더(11b)는, 원통상 필터(29)를 유지(保持)하는 상태로 윗뚜껑부(14)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원통상 홀더(11b)와 중간뚜껑부(8b) 사이는 원통상 홀더(11b)의 외주면 하단에 설치된 실링(11c)에 의해 기밀하게 봉합되어 있다.
더스트박스(2)의 측면에는, 흡기관(15)이 돌출설치되고, 흡기관(15)의 선단측개구(16)는, 청소기본체의 폭방향의 중심에 형성된 상기 연결구(4)(도 1 및 도 7 참조)와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더스트박스(2)의 폭방향의 대략 중심부근에 형성되어 있다.
또, 더스트박스(2) 내면의 흡기관(15)의 밑둥측 개구(17) 부근에 있어서, 가이드리브(18)가, 더스트박스(2)의 내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이드리브(18)에 의해, 흡기관(15)을 통과하여 더스트박스(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더스트박스(2) 내부에서 발생하는 사이클론이 흐르는 방향(예를 들면 도 8에 있어서는 시계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8에 나타나는 흡기관(15)으로부터 흡인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더스트박스(2)내에서 선회하게 되고, 높은 집진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스트박스본체(5)의 바닥부에는, 손잡이(19)의 하부에 설치된 힌지(20)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된 바닥뚜껑(21)이 달려 있다. 이 바닥뚜껑(21)은, 흡기관(15) 아래쪽에 설치된 레버(22)의 상부를 누름으로서, 레버(22)의 하단에 형성된 클램프(23)가 바닥뚜껑(21) 측의 걸림고리(24)로부터 벗겨져, 더스트박스본체(5)의 하단개구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더스트박스본체(5) 내부의 공간부(26) 및 공간부(28)에 퇴적한 먼지는, 바닥뚜껑(21)을 열면 낙하하기 때문에, 더스트박스(2)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외측 필터(9) 및 내측 필터(12)의 종류나 재질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여과된 공기의 통기로가 되는 통상체의 외주에 메시필터가 통모양으로 설치된 필터 등이 채용된다. 또, 플리츠(pleats)상(주름상자상)으로 접어개어진 여과지필터를 통모양으로 설치한 필터 등의 다른 필터도 채용할 수 있다.
다음, 본 실시형태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의 먼지 및 공기의 각각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청소기본체(1)의 외부에서부터 흡입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도 6~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연결구(4) 및 흡기관(15)을 통하여 더스트박스(2)내로 들어가고, 더스트박스본체(5)의 내벽을 따라 선회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사이클론공간(25) 내부에 있어서, 공기가 선회하면서 외측 필터(9) 내부로 흐르고, 먼지는,틈새(34)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빨려들고, 더스트박스본체(5) 바닥부의 공간부(26)에 퇴적된다.
마찬가지로, 외측 필터(9) 내부로 흐른 공기도 또한 선회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사이클론공간(27) 내부에 있어서, 공기가 선회하면서 내측 필터(7) 내부로 흐르고, 선회에 수반하여 차양부(13) 아래쪽의 공간부(28)는 부압이 되기 때문에, 내측 필터(12)를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먼지는, 틈새(35)를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빨려들고, 더스트박스본체(5) 바닥부의 공간부(28)에 퇴적된다.
또한, 바닥뚜껑(21)에는, 외측통상부재(8)의 하단 가장자리와 바닥뚜껑(21)과의 사이의 틈새를 폐색하기 위한 패킹(3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뚜껑(21)을 따라 공간부(26)로부터 공간부(28)로 공기가 새는 일이 없다.
더스트박스본체(5)에서 먼지가 여과된 공기는, 윗뚜껑부(14) 내부의 원통상 필터(29)에 의해 더욱 더 여과된 후, 윗뚜껑부(14) 후단의 배기구(30)로부터 더스트박스(2)의 밖으로 나간 다음, 도 7에 나타내는 연락통로(31)를 통하여 전동송풍기(3)로 들어가고, 전동송풍기(3)로부터 배기필터(32)를 통하여 여과되고, 청소기본체(1)의 측면에 형성되는 메시상(狀)의 배기구(33) 및 후륜(1b) 또는 (1c)의 메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통상 필터(29)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판상 필터와 비교하여 작은 외경으로 큰 표면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판상 필터보다도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큰 표면적에 의해 풍속이 작아지고, 필터 내부에 먼지가 깊숙이 파고들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눈막힘이 어려워진다.
다음, 도 9에 나타나는 외측 필터(9)와 내측 필터(12)와의 상하방향의 거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더스트박스(2)의 흡기관(15)으로부터 들어온 먼지를 외측필터부(6)의 외측 필터(9)로 제거하는 과정에 있어서, 메시상의 외측 필터(9)의 흡기범위와 내측 필터(12)의 흡기범위와의 거리 H1에 대하여 규정한다.
거리 H1을 9.5㎜, 0㎜ 및 -9.5㎜의 3 종류로 설정한 경우에 대하여, 포집효율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 포집효율은, 9.5㎜의 경우>0㎜의 경우>-9.5㎜의 경우 순으로 높았다.
이러한 포집효율의 상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즉, 외측의 제 1 사이클론공간(25)과 비교하여, 내측의 제 2 사이클론공간(27)에서는, 바람의 회전력이 약해진다. 그 때문에, 외측 필터(9)의 흡입방향에 내측 필터(12)가 배치되어 있으면, 제 2 사이클론공간(27) 내부에서 선회하지 않고 외측 필터(9)로부터 내측 필터(12)에 직선적으로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집진 효율이 낮아진다고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외측 필터(9)는, 내측 필터(12)보다 약간 높은 위치, 바람직하게는 9.5㎜ 정도의 높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리 H1은, 클수록, 포집효율은 향상하지만, 청소기본체의 설계상, 높이가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9.5㎜ 정도가 상한이 된다.
다음, 도 9에 나타나는 더스트박스본체(5)의 내벽과 외측필터부(6)의흡기부(도 9에서는 슬릿(8a))와의 거리 D1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거리 D1은, 제 1 사이클론공간(25)에 있어서의 먼지의 포집효율 및 흡입률(흡입작업률)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거리 D1이 클수록, 원심분리가 효과적에 움직여, 먼지가 외측필터부(6)의 흡기부에 흡입되기 어려워져, 포집효율이 높아진다.
한편, 거리 D1을 크게 하면, 더스트박스본체(5)의 내경을 일정하게 한 경우, 외측필터부(6)의 흡기부의 외경 및 그에 비례하는 면적이 작아지고, 풍량이 저하되어 흡입력이 약해진다.
예를 들면, 더스트박스본체(5)의 내경을 직경 130㎜로 하고, 외측필터부(6)의 흡기부의 외경을 변화시켜서, 포집효율과 흡입작업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이하와 같다.
표 1
외측필터부(6)의흡기부의 외경(직경 ㎜) 90 80 70 60
포집호율(%) 93 95 97 98
흡입작업율(W) 375 365 360 355
포집효율:JIS Z8901 시험용 더스트 4종류(활석가루)를 10g 흡입시킨다.
흡입작업율:JIS C9802에서 정해진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표 1의 결과로부터, 현재의 전기청소기의 주류인 종이팩식과 같은 포집효율(97~98%)을 확보하고, 흡입작업율이 최대로 되는 것은, 외측필터부(6)의 흡기부의 외경이 60~70㎜ 사이이다(더스트박스본체(5)의 내경이 130㎜). 따라서, 원심분리방식으로 집진하는 전기청소기에 있어서는, 외측필터부(6)의 흡기부의 외경은 더스트박스본체(5)의 내경의 54~56%로 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다음, 도 9에 나타나는 외측필터부(6)의 외측통상부재(8)의 내벽과 내측필터부(7)의 흡기부(도 9에서는 슬릿(11a))와의 거리 D2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거리 D2는, 제 2 사이클론공간(27)에 있어서의 먼지의 포집효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거리 D2가 작을수록, 먼지는 충분하게 원심분리되지 않고, 내측필터부(7)의 흡기부에 흡입되어, 포집효율은 저하된다.
예를 들면, 외측필터부(6)의 외측통상부재(8)의 내경을 직경 60㎜로 하고, 내측필터부(7)의 흡기부의 외경을 변화시켜서, 포집효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이하와 같다.
표 2
내측필터부(7)의흡기부의 외경(직경㎜) 35 30
포집효율(%) 96 98
표 2의 결과로부터, 현재의 전기청소기의 주류인 종이팩식과 같은 포집효율(97~98%)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내측필터부(7)의 흡기부의 외경이 30㎜ 이하가 바람직하다(외측필터부(6)의 외측통상부재(8)의 내경이 60㎜의 경우). 따라서, 내측필터부(7)의 흡기부의 외경은 외측필터부(6)의 외측통상부재(8)의 내경의 50% 이하로 하면, 종이팩과 같은 높은 포집효율을 얻을 수 있다.
다음, 도 9에 나타나는 더스트박스본체(5)의 내벽과 차양부(10)와의 거리 D3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풍량 1.6~1.7 ㎥/㎜ 의 조건하에서, 거리 D3이 7㎜ 및 10㎜의 경우에 대하여 포집효율의 평가를 행하였다.
거리 D3이 10㎜의 경우, 먼지가 차양부(10) 위의 제 1 사이클론공간(25)에서 선회한 채 낙하되지 않게 되어, 차양부(10) 아래쪽의 공간부(26)에 쌓이기 어려웠다. 또한, 먼지가 제 1 사이클론공간(25)내에서 계속 선회하기 때문에, 외측 필터(9)의 메시에 면쓰레기가 달라붙거나, 외측필터부(6)의 내부에 침입하기 때문에, 포집효율이 낮아진다. 한편, 거리 D3이 7㎜의 경우에는, 상기 10㎜의 경우의 문제가 해소되고, 높은 포집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거리 D3은 작을수록 포집효율이 좋다고 생각되어지지만, 거리 D3이 너무 작으면 더스트박스본체(5)의 내벽과 차양부(10)와의 틈새(34)에 먼지가 막히기 쉬워지기 때문에, 먼지의 크기도 고려하여 거리 D3이 결정된다.
다음, 도 9에 나타나는 외측필터부(6)의 외측통상부재(8)의 내벽과 내측필터부(7)의 차양부(13)와의 거리 D4, 및 차양부(13) 상면과 바닥뚜껑(21)과의 사이의 거리 H2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거리 D4및 거리 H2는, 제 2 사이클론공간(27)에 있어서의 먼지의 포집효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외측필터부(6)를 통과하는 먼지는, 제 2 사이클론공간(27)에 있어서, 다시 한번, 먼지와 공기가 분리된다. 이 때 분리된 먼지는, 외측통상부재(8)의 내벽과 차양부(13)와의 사이의 틈새(35)에 빨려들어간다(거리 D4가 좁고 유속이 빠르기 때문에). 제 2 사이클론공간(27)에서 분리된 먼지는 비교적 세세하기 때문에, 거리 D4가 1㎜ 이상이면 포집효율에 문제가 없다. 또, 거리 H2가 짧으면 공간부(28)에 쌓였던 먼지가 내측필터부(7)의 흡기부에 다시 한번 빨아올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현재의 전기청소기의 주류인 종이팩식과 같은 포집효율(97~98%)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거리 D4가 1~3㎜의 범위, 거리 H2가 30㎜ 이상이면, 종이팩과 같은 높은 포집효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더스트박스내부에 2개의 사이클론공간을 갖고 있기 때문에, 높은 집진효율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외측필터부에 더스트박스 내벽을 향하여 연장되는 차양부를 설치함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서로 연통하는 사이클론공간 및 먼지를 포집하는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더스트박스내의 공간부에 쌓인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더스트박스의 청소가 용이해진다.

Claims (3)

  1. 청소기본체에 사이클론식의 더스트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더스트박스내에, 더스트박스 내벽과의 사이에서 제 1 사이클론공간을 형성하는 외측필터부가 설치되고,
    상기 외측필터부내에, 해당 외측필터부의 내벽과의 사이에서 제 2 사이클론공간을 형성하는 내측필터부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외측필터부에는, 상기 더스트박스 내벽을 향하여 연장되는 차양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전기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필터부의 하부에는, 상기 외측필터부의 내벽을 향하여 차양부가 또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전기청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의 선단부분이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이루어지는 전기청소기.
KR10-2002-0080639A 2001-12-18 2002-12-17 전기청소기 KR100462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84387A JP2003180578A (ja) 2001-12-18 2001-12-18 電気掃除機
JPJP-P-2001-00384387 2001-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362A KR20030051362A (ko) 2003-06-25
KR100462837B1 true KR100462837B1 (ko) 2004-12-23

Family

ID=1918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639A KR100462837B1 (ko) 2001-12-18 2002-12-17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323370A3 (ko)
JP (1) JP2003180578A (ko)
KR (1) KR100462837B1 (ko)
CN (1) CN14295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15B1 (ko) * 2003-02-26 2005-04-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US7552506B2 (en) 2003-07-09 2009-06-30 Lg Electronics Inc. Filte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CN100382740C (zh) * 2003-09-28 2008-04-2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真空吸尘器的集尘装置的安装/分离结构
US7662198B2 (en) * 2004-03-15 2010-02-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paration assembly for a vaccuum cleaner with multi-stage dirt separation
US7706917B1 (en) 2004-07-07 2010-04-27 Irobot Corporation Celestial navigation system for an autonomous robot
KR100512624B1 (ko) 2004-12-27 2005-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싸이클론 집진유닛 및 집진유닛의 필터구조
US9301666B2 (en) 2006-12-12 2016-04-05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O2008070962A1 (en) * 2006-12-12 2008-06-19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CA2593950C (en) * 2006-12-12 2013-01-15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8146201B2 (en) 2006-12-12 2012-04-03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192269B2 (en) 2006-12-15 2015-11-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AU2013228064B2 (en) 2012-09-26 2017-11-23 Bissell Inc. Vacuum cleaner
US9420925B2 (en) 2014-07-18 2016-08-23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Portable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064530B2 (en) 2015-09-16 2018-09-04 Bissell Homecare, Inc. Handheld vacuum cleaner
CN108463151B (zh) 2015-11-10 2021-07-23 创科实业有限公司 手持式真空清洁器
JP2017192406A (ja) * 2016-04-18 2017-10-2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GB2554933B (en) * 2016-10-14 2022-04-27 Techtronic Floor Care Tech Ltd Cyclonic separation device
US11154169B2 (en) 2018-08-13 2021-10-26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ic air treatment member and surface clea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71910D1 (en) * 1980-06-19 1985-09-26 Rotork Appliances Ltd Vacuum cleaning appliance
US4853008A (en) * 1988-07-27 1989-08-01 Notetry Limited Combined disc and shroud for dual cyclonic cleaning apparatus
US5267371A (en) * 1992-02-19 1993-12-07 Iona Appliances Inc. Cyclonic back-pack vacuum cleaner
GB9503334D0 (en) * 1995-02-21 1995-04-12 Black & Decker Inc A cyclone dust extractor
GB9817071D0 (en) * 1997-11-04 1998-10-07 Bhr Group Ltd Cyclone separator
GB2362341B (en) * 2000-05-16 2002-12-04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Upright-type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29523A (zh) 2003-07-16
JP2003180578A (ja) 2003-07-02
EP1323370A2 (en) 2003-07-02
KR20030051362A (ko) 2003-06-25
EP1323370A3 (en)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2837B1 (ko) 전기청소기
AU2004201748B2 (en)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688613B1 (ko) 진공청소기용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942415B1 (ko) 전기 청소기
JP3659191B2 (ja) 遠心力集塵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ITRM20000006A1 (it) Complesso di contenitore di sporcizia ad effetto ciclonico.
GB2485304A (en) A collection chamber arrangement for a cyclonic vacuum cleaner
KR20030071374A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JP2003339596A (ja)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JP2005204880A (ja) 電気掃除機及びその集塵装置
US10363565B2 (en) Portable cyclone dust separator and corresponding dedusting system
KR100577280B1 (ko) 진공 청소기
JP2005342304A (ja) サイクロン式ゴミ分離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4154483A (ja) 集塵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4159813A (ja) 集塵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2054419B1 (ko) 사이클론 진공청소기
KR100484409B1 (ko) 전기청소기
CN205548457U (zh) 手持旋风式吸尘装置
JP2003325400A (ja) サイクロン式集塵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CN102273982A (zh) 吸尘器集尘装置
KR100595230B1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KR20090018482A (ko) 집진장치
JP2004154482A (ja) 集塵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4160019A (ja) 集塵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0587357B1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