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2789B1 - 이진 산술 부호화를 이용한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 방법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진 산술 부호화를 이용한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 방법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789B1
KR100462789B1 KR10-2002-0033019A KR20020033019A KR100462789B1 KR 100462789 B1 KR100462789 B1 KR 100462789B1 KR 20020033019 A KR20020033019 A KR 20020033019A KR 100462789 B1 KR100462789 B1 KR 100462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binary
bit
encoding
probabil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6504A (ko
Inventor
이철수
박현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2-003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789B1/ko
Publication of KR2003009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78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다중 부호를 이진 형태로 표현한 후 각각의 비트를 순차적으로 먼저 부호화된 비트를 조건으로 하는 조건부 확률을 이용하여 QM 코더와 같은 이진 산술 코더에 의해 부호화한다. 이진 산술 부호기(BAC: binary arithmetic coder)는 확률 구간을 계산할 때 뺄셈과 비트의 이동만을 이용하고, 적응적 확률 분포를 계산하기 위해서 베이시언(Bayesian) 추정 원리에 기초를 둔 상태기(state machine)를 사용하여 부호 확률의 계산시에 나눗셈 연산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계산이 간단하며, 부호화할 각 비트에 대해서 상위의 모든 값을 고려한 조건부 확률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므로 독립적인 부호화를 하는 경우에 비해 압축률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진 산술 부호화를 이용한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ymbol data compression using a binary arithmetic coder}
본 발명은 이진 산술 부호기(BAC: binary arithmetic coder)를 이용하여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미지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에서 이진 산술 부호기를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를 압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즉, 그 하나는 손실이 있는 압축이고, 다른 하나는 손실이 없는 압축이다. 손실이 있는 압축의 대표적인 예로는 JPEG를 들 수 있고, 손실이 없는 압축의 대표적인 예로는 LZW(GIF 파일)를 들 수 있다. 손실이 있는 압축의 경우에는 정보가 많은 부분의 데이터만 활용하고 나머지 부분은 버리는 방법을 취한다. 하지만, 손실이 없는 압축의 경우에는 압축 전의 데이터와 압축 후의 데이터가 같아야 한다. 손실이 있는 압축의 경우 압축률이 높지만, 상당량의 정보를 잃어버리게 되므로 데이터의 완벽한 복원을 위해서는 무손실 압축 방법을 이용한다.
한편, 무손실 압축의 경우에는 데이터의 엔트로피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압축방법을 만든다. 기존의 압축 방법에서 널리 쓰이는 기술로는 허프만(Huffman) 코딩이나 산술 코딩이 있다. 이 중, 허프만 코딩의 경우에는 심벌의 확률값이 1/2의 멱승이어야 엔트로피에 근접할 수 있는 반면, 산술 코딩의 경우에는 그러한 제약이 없이도 엔트로피에 도달한다. 따라서, 압축 효율에 있어서는 산술 코딩이 매우 뛰어나므로 많은 경우의 알고리즘에서 산술 코딩을 채택하고 있다.
산술 코딩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는 위튼(Witten)이 발표한 다중 심벌의 산술 코딩이다. 이는 0과 1사이의 구간을 여러 개의 심벌 구간으로 나누고, 심벌이 발생하는 확률을 각각의 구간에 할당하는 방법이다. 각각의 구간을 재귀적인 방법으로 계산하고, 그 구간 내의 한 수를 전송한다.
산술 코딩을 위해서는 심벌의 발생 확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즉, 고정된 또는 적응 모델을 이용해 다중 심벌을 다루게 되는데, 이 중 위튼이 사용한 적응적인 방법에서는 기본적으로 심벌의 발생 빈도를이용해 확률을 계산한다. 즉, 초기 확률을 균일 분포로 가정하고, 심벌이 발생할 때마다, 각각의 심벌의 발생 빈도를 기록하고 이를 총 일어난 사건의 수로 나눔으로써 심벌의 확률을 계산한다. 또한, 각각의 심벌이 발생하면 그 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을 계산해야 하는데 그 계산에 있어서는 곱셈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나눗셈과 곱셈 연산이 반복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계산이 복잡하여 압축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다중 부호 데이터를 빠른 시간 내에 압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압축율을 갖는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방법에서 각 비트를 부호화하는 데 사용되는 노드를 표시한 트리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방법과 종래의 부호화 방법에 따른 압축/해제 시간을 비교한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방법과 종래의 부호화 방법에 따른 압축률을 비교한 표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진 산술 부호기(BAC: binary arithmetic coder)를 이용하여 다중 부호 데이터를 압축하되 조건부 엔트로피의 개념을 이용하여 각각의 비트를 부호화한다. BAC는 확률 구간을 계산할 때 뺄셈과 비트의 이동만을 이용하고, 적응적 확률 분포를 계산하기 위해서 베이시언(Bayesian) 추정 원리에 기초를 둔 상태기(state machine)를 사용하여 부호 확률의 계산시에 나눗셈 연산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계산이 간단하며, 부호화할 각 비트에 대해서 상위의 모든 값을 고려한 조건부 확률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므로독립적인 부호화를 하는 경우에 비해 압축률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 방법은, 다중 부호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부호를 2진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2진 형태의 부호를 산술 코딩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부호화 단계에서는 이진 산술 부호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부호화 단계에서는 상기 변환된 2진 형태의 부호를 순차적으로 부호화하되, 최초로 부호화된 비트 이후의 비트에 대해서는 먼저 부호화된 비트(들)을 조건으로 하는 조건부 확률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 장치, 즉 부호기는, 기억장치, 상기 기억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억장치는 상기 처리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프로그램과 함께 동작하여, 상기 다중 부호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부호를 2진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2진 형태의 부호를 산술 코딩을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압축된 다중 부호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방법의 간략한 흐름도가 나타나 있다. 먼저, 이진 산술 코딩을 사용하여 다중 부호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해서는 부호를 이진 형태로 변환하여야 한다(S110). 예를 들어 처리해야 할 M 개의 부호가 있다면 각각의 부호는 N 비트의 이진수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2N-1M < 2N이다.
다음, 각각의 비트는 그 자신의 확률 상태를 가지고 이진 산술 코딩을 이용해 부호화된다(S120 - S140). 즉, 확률 추정을 위해 N 개의 독립적인 컨텍스트(context)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임의(random) 변수 X의 알파벳 A의 수가 4라면 임의 변수 X를 2개의 임의 변수 B0와 B1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각각의 임의 변수 B0와 B1은 0, 1의 2개의 부호를 가진다. 임의 변수 X의 확률을 p(x)라 할 때 p(x) = Pr{X=x} = Pr{B0= b0, B1= b1}, biIN {0, 1}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Witten이 제안한 코더를 이용해서 X를 부호화 할 때 예상되는 부호의 길이는 엔트로피 H(X)보다 약간 크거나 같다. 이 때, H(X)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p(x)log2p(x)
임의 변수 X의 확률분포는 두 개의 임의 변수 B0와 B1의 결합(joint) 확률분포로 나타낼 수 있다. 결합(joint) 분포 p(b0, b1)를 가진 한 쌍의 이산 임의 변수(B0, B1)의 결합(joint) 엔트로피 H(B0, B1)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p(b0, b1) log2p(b0, b1)
= H(B0) + H(B1vert B0)
H(B0) + H(B1)
여기에서 H(B1vert B0)은 조건부 엔트로피이고, 두 개의 임의 변수 B0와 B1이 서로 독립일 때 등호가 성립한다. 그러나 두 개의 임의 변수가 서로 독립임을 보장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두 개의 임의 변수 B0와 B1를 독립적으로 부호화하면(이진수 표현에 대한 독립 부호화), 예상되는 부호의 길이는 임의 변수 X의 다중 부호 산술코딩의 부호 길이보다 길어지게 된다.
이진수로 표현된 부호에 대한 코딩을 위해서는 이진 산술 부호기(BAC)가 사용될 수 있다. 이진 산술 부호기로는 Q-코더, QM-코더, MQ-코더 등이 있다. BAC는 확률 구간을 계산하는 데 있어서 단지 뺄셈과 비트의 이동만을 필요로 한다. 뿐만 아니라, 적응적 확률 분포를 계산하기 위해서 베이시언(Bayesian) 추정 원리에 근거를 둔 상태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상태기를 사용하면 부호 확률의 계산시에 나눗셈 연산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BAC는 Witten의 다중 부호 산술 코더에 비해 구현이 용이하다.
한편, 이진수 표현에 대한 다중 부호 산술 코딩의 압축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조건부 엔트로피의 개념을 도입한다. 먼저 공조건(null condition)을 가진 확률 p(BN-1)을 이용하여 최상위 비트(MSB: most significant bit)를 부호화한다(S120). 두 번째 비트는 조건으로 MSB의 값을 고려한 조건부 확률 p(BN-2vert BN-1)을 이용하여 부호화된다(S130).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k 번째 비트는 조건부 확률 p(Bkvert BN-1, BN-2, ....., Bk+1)을 가지고 부호화한다(S140).
이러한 상황은 도 2에 나타난 이진 트리와 같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즉, MSB는 공조건(null condition)인 루트 노드(210)를 이용한다. 두 번째 비트 bN-2를 부호화하기 위한 조건은 MSB의 값에 따른 2명의 자손(220_1, 220_2) 중의 하나이다. 임의 변수 X에 대한 이진수 표현의 k번째 비트(bN-k; 0k<N)를 부호화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전에 부호화된 N-k-1 비트의 값에 따라 루트 노드의 k-1의 자손(240_1, ..., 240_m) 중의 하나를 조건으로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조건부 확률 분포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이진수 표현에 대한 독립적인 부호화 방법과 구분된다. 즉, 이진수 표현에 대한 독립적인 부호화 방법은 단지 독립적인 확률 분포, 즉, p(BN-1), p(BN-2), ..., p(B0)만을 다루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는 조건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트리의 모든 노드를 이용한다.
[수학식 2]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에서는 이진수 표현에 대한 독립적인 부호화의 경우에 비해 좀 더 짧은 부호화 길이를 얻을 수 있다.
이제 컨텍스트(context)의 수를 분석해보기로 한다. 이진수 표현에 대한 독립적인 부호화 방법을 이용해 다중 부호 임의 변수 X를 부호화하기 위해서는 단지 N개의 컨텍스트만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N 비트가 서로 독립적이라고 가정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k번째 비트를 부호화하기 위해 이전의 N-k-1 비트의 값을 모두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k번째 비트의 부호화는 2N-k-1의 컨텍스트를 갖는다. 즉, N 비트의 이진수로 표현된 임의 변수 X를 부호화하는데 필요한 총 컨텍스트의 수는 다음과 같다.
2i-1= 2N-1
만약 알파벳의 수가 2의 멱승이 아니라면 총 컨텍스트의 수는 어느 정도 줄어들게 된다. BAC에서 컨텍스트 수는 컨텍스트 상태를 저장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메모리의 양을 나타낸다.
<실험예>
본 발명의 압축률과 계산시간을 다른 방법들과 비교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른 특성을 갖는 6개의 계조 이미지가 실험에 사용되었으며, 각 이미지는 화소당 8 비트, 512*512 화소로 구성되었다. 3가지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압축과 해제를 수행한 결과가 도 3 및 도 4의 표에 나타나 있다. 도 3과 도 4는 각각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 방법과 종래의 부호화 방법에 따른 압축/해제 시간 및 압축률을 비교한 표이다.
먼저, 각 화소의 값이 다중 심벌이라고 가정하고 Witten의 적응적 방법을 이용하여 압축하였다. 이리하여 256개의 심벌이 처리되었다. 두 번째로 각 화소를 8 비트의 이진수로 변환하고 각 비트를 이진수 표현에 대한 독립적 부호화를 이용하여 각각 압축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화소 값을 이진수로 변환한 후에 각 비트를 상술한 바와 같이 조건부 확률을 갖는 이진 산술 코더인 본 발명의 코더를 이용하여 압축하였다. 이 때 이진 산술 코더로는 QM 코더를 사용하였다.
계산 시간과 압축률을 512MB 메모리를 갖는 펜티엄 III(1.0GHz) 컴퓨터에서 윈도우즈 2000 운영체제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각 방법을 이용해 압축/해제하는 데 걸린 시간이 도 3에 나타나 있다. 확률 분포를 추정하고 확률 구간을 계산하는 데에 QM 코더가 곱셈과 나눗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Witten의 코더에서와 같은 다중 심벌 산술 코더에 비해 계산이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는 2진수 표현에 대한 독립 부호화 방법이 약간 낮은 압축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8 개의 비트가 서로 독립적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이미지를 압축한 결과 압축률이 다른 방법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Witten의 코더와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의 압축률 차이는 확률 추정과 그 구간을 계산하는 것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실험 결과는 본 발명의 방법이 다중 심벌데이터 압축의 압축률과 계산 속도를 현저히 개선하였음을 나타낸다.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이진 부호를 부호화하기 위하여 QM 코더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단순히 예로서 제시된 것이며, 다른 종류의 이진 산술 부호기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진 산술 부호화를 이용함으로써 압축 및 해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진 부호에 대해 조건부 확률을 이용한 부호화를 수행함으로써 압축률을 높일 수 있다.

Claims (9)

  1. 컴퓨터를 이용하여 다중 부호 데이터를 압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중 부호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부호를 2진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2진 형태의 부호를 이진 산술 부호기(BAC: binary arithmetic coder)를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 단계에서는 상기 변환된 2진 형태의 부호를 순차적으로 부호화하되, 최초로 부호화된 비트 이후의 비트에 대해서는 먼저 부호화된 비트(들)을 조건으로 하는 조건부 확률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압축된 다중 부호 데이터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복원하는 방법.
  5. 컴퓨터를 이용하여 다중 부호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기억장치,
    상기 기억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억장치는 상기 처리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프로그램과 함께 동작하여,
    상기 다중 부호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부호를 2진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2진 형태의 부호를 BAC를 이용하여 부호화하고,
    상기 변환된 2진 형태의 부호를 순차적으로 부호화하되, 최초로 부호화된 비트 이후의 비트에 대해서는 먼저 부호화된 비트(들)을 조건으로 하는 조건부 확률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 장치.
  6. 삭제
  7. 삭제
  8. 기억장치,
    상기 기억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기억장치는 상기 처리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처리장치는 상기 프로그램과 함께 동작하여,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압축된 다중 부호 데이터를 복원하는 다중 부호 데이터 복원 장치.
  9. 컴퓨터를 이용해 판독되고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에서 실행되어,
    상기 다중 부호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부호를 2진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2진 형태의 부호를 BAC를 이용하여 부호화하고,
    상기 변환된 2진 형태의 부호를 순차적으로 부호화하되, 최초로 부호화된 비트 이후의 비트에 대해서는 먼저 부호화된 비트(들)을 조건으로 하는 조건부 확률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및 실행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2-0033019A 2002-06-12 2002-06-12 이진 산술 부호화를 이용한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 방법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62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019A KR100462789B1 (ko) 2002-06-12 2002-06-12 이진 산술 부호화를 이용한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 방법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019A KR100462789B1 (ko) 2002-06-12 2002-06-12 이진 산술 부호화를 이용한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 방법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504A KR20030096504A (ko) 2003-12-31
KR100462789B1 true KR100462789B1 (ko) 2004-12-20

Family

ID=32386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019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2789B1 (ko) 2002-06-12 2002-06-12 이진 산술 부호화를 이용한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 방법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7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7355B2 (en) 2010-02-19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motion resolution for video coding
KR100985657B1 (ko) * 2010-06-17 2010-10-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방귀 소리를 예방하는 기능을 가진 일회용 기저귀
KR101006059B1 (ko) * 2010-07-16 2011-01-07 오재원 정보 압축방법
US10327008B2 (en) 2010-10-13 2019-06-18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motion vector resolution signaling for video coding
KR101468307B1 (ko) * 2013-05-27 2014-12-02 김정훈 이진데이터 압축 및 압축해제 장치와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3440A (ja) * 1995-09-26 1997-04-04 Ricoh Co Ltd 多値画像処理装置
US5881176A (en) * 1994-09-21 1999-03-09 Ricoh Corporation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with wavelet style and binary style including quantization by device-dependent parser
JPH11289461A (ja) * 1998-03-31 1999-10-19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装置
US6091854A (en) * 1997-01-14 2000-07-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rged VLSI implementation of hardware optimized Q-Coder and software optimized QM-Coder
JP2001103315A (ja) * 1999-09-28 2001-04-13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装置
KR20010045329A (ko) * 1999-11-04 2001-06-05 윤종용 비트 오류에 견실한 산술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61188A (ko) * 2001-01-15 2002-07-24 한국과학기술원 이진 영상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1176A (en) * 1994-09-21 1999-03-09 Ricoh Corporation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with wavelet style and binary style including quantization by device-dependent parser
JPH0993440A (ja) * 1995-09-26 1997-04-04 Ricoh Co Ltd 多値画像処理装置
US6091854A (en) * 1997-01-14 2000-07-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rged VLSI implementation of hardware optimized Q-Coder and software optimized QM-Coder
JPH11289461A (ja) * 1998-03-31 1999-10-19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装置
JP2001103315A (ja) * 1999-09-28 2001-04-13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装置
KR20010045329A (ko) * 1999-11-04 2001-06-05 윤종용 비트 오류에 견실한 산술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61188A (ko) * 2001-01-15 2002-07-24 한국과학기술원 이진 영상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504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5852A (en) Dynamic model selection during data compression
RU2417518C2 (ru) Эффективное кодирование и декодирование блоков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US73656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ssless run-length data encoding
EP079334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ata compression
KR100733795B1 (ko) 이진상태들의 산술적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및 장치, 및이에 해당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저장매체
US58085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nite-length arithmetic coding
KR930024507A (ko) 영상데이타의 가변장부호화/복호화방법 및 장치
US6778109B1 (en) Method for efficient data encoding and decoding
WO2001063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lossless compression using a plurality of coders
RU2611249C1 (ru) Модификатор энтропии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Khandwani et al. A survey of lossless image compression techniques
Gupta et al. A review on different types of lossless data compression techniques
KR100462789B1 (ko) 이진 산술 부호화를 이용한 다중 부호 데이터 압축 방법및 장치
Mathpal et al. A research paper on lossless data compression techniques
Yang et al. On the redundancy of the fixed-database Lempel-Ziv algorithm for/spl phi/-mixing sources
KR100499966B1 (ko) 신호처리기
JP2005521324A (ja) 損失のないデータの圧縮および圧縮解除方法および装置
Logeswaran et al. Performance survey of several lossless compression algorithms for telemetry applications
Helman et al. Data compression
KR101573983B1 (ko) 데이터 압축 및 데이터 복원 방법과 장치
Makala et al. Stiff Frame Encryption Using Compression
BC et al. Q-Coder Bit Rate (MSB to LSB)(LSB to MSB) Plane BC GC BC GC BC GC
JPH0629861A (ja) データ圧縮方法
KR101676420B1 (ko) 데이터의 압축 및 복원 방법과 장치
KR100306891B1 (ko) 패턴 변환을 이용한 데이터 코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