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0983B1 -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선택적으로 출력 및 증폭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신호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선택적으로 출력 및 증폭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신호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983B1
KR100460983B1 KR10-2001-0063692A KR20010063692A KR100460983B1 KR 100460983 B1 KR100460983 B1 KR 100460983B1 KR 20010063692 A KR20010063692 A KR 20010063692A KR 100460983 B1 KR100460983 B1 KR 100460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digital video
unit
digital
amplify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1802A (ko
Inventor
최정화
서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3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9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31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98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출력 및 증폭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가 개시된다.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디지털 영상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출력부, 선택적으로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화소값을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할 때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 영상신호를 소정의 레벨값을 갖는 디지털 영상신호 및/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증폭/변환하는 증폭변환부, 및 스위칭출력부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고 증폭변환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해당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하나의 증폭변환부로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출력 및 증폭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Digital Image signal Receiver capable of selectively outputting/amplifying digital image signal to be displayed}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수신단을 통해 수신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지털 영상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 및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AV(Audio/Video)시스템이나 데이터통신장치 등의 표시수단으로 CRT(Cathode Ray Tube)가 사용된다. 그러나, CRT는 전자 방출과 전자빔의 각도 조절을 하기 위해 고전압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크기와 무게를 줄이기에 매우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와 같은 CRT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경량화, 저전압 및 저소비전력을 위한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LED(Light Emitting Diode), EL(Electro Luminescence), FED(Field Emission Display), VFD(Visual Fluorescent Display),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들은 화소(pixel)를 통해 빛을 제어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빛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각각의 화소에서 빛을 발생하도록 하는 방법과 빛을 자체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반사하거나 투과시켜 빛의 양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는 외부로부터 디지털 영상신호를 직접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디지털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은 일반 아날로그 형식의 영상표시장치보다 우수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면에는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에 대한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디지털 영상신호가 입력되기 전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에는 복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T1, T2, T3) 각각에 대응하여 수신하는 복수의 입력단(1, 2, 3)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디지털 영상신호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변환 방식을 통해 압축 및 암호화된 영상신호이다. TMDS방식으로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단(1, 2, 3)은 DVI(Digital Visual Interface)가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DVI는 24핀으로 구성된 커넥터이며, 디지털 영상신호의 송수신시 전송 채널을 통한 손실 및 에러를 감시시킨다.
이러한 TMDS방식으로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는 압축률이 뛰어나,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는 수신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를 위해 소정의 증폭을 수행하는 증폭변환부(4, 5, 6)를 갖는다. 이때, 제1 증폭변환부(4), 제2 증폭변환부(5) 및 제3 증폭변환부(6)는, 디지털 영상신호(T1, T2, T3)를 각각 수신하는 DVI인 제1 입력단(1), 제2 입력단(2), 제3 입력단(3)과 각각 연결되어 수신된 디지털 영상신호(T1, T2, T3)를 증폭한다. 증폭변환부(4, 5, 6)의 디지털 영상신호의 증폭은 두가지 방법이 적용된다.
첫째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레벨의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지털 티티엘(TTL) 영상신호라 한다.
둘째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레벨의 아날로그값으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서는 수신된 디지털 영상신호에 대해 디지털방식 및 아날로그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증폭변환부(4, 5, 6)를 통해 디지털 티티엘 영상신호 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는 메모리(7)에 저장된다. 이때, 제어부(8)는 메모리(7)에 저장된 이종의 영상신호 중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한다.
한편으로,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부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에 따르면,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 입력단(1, 2, 3)의 개수에 대응하는 수만큼의 증폭변환부(4, 5, 6)가 필요하다. 이는, 제품 생산에 있어서 생산 원가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입력단(1, 2, 3)이 여러 개인 경우, 입력단(1, 2, 3)의 수만큼 증폭변환부(4, 5, 6)가 필요하게 되어 제품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또한, 제품의 배치를 복잡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단(1, 2, 3)의 개수에 대응되는 증폭변환부(4, 5, 6)가 필요함에 따라 발생하는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단(1, 2,3)의 개수에 대응되는 증폭변환부(4, 5, 6)가 필요함에 따라 발생하는 제품의 배치에 있어서 보다 간결한 구조를 갖는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출력 및 증폭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인터페이스부 22 : 제1 인터페이스부
24 : 제2 인터페이스부 26 : 제3 인터페이스부
40 : 스위칭출력부 42 : 제1 뮤트회로
44 : 제2 뮤트회로 46 : 제3 뮤트회로
50 : 증폭변환부 60 : 제어부
70 : 디스플레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출력 및 증폭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디지털 영상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출력부, 선택적으로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화소값을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할 때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 영상신호를 소정의 레벨값을 갖는 디지털 영상신호 및/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증폭/변환하는 증폭변환부, 및 스위칭출력부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고 증폭변환부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해당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칭출력부는, 인터페이스부 및 증폭변환부 사이에 설치되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각각의 디지털 오디오신호에 대한 증폭변환부로의 출력을 뮤트(mute)시키는 복수의 뮤트회로(mute circuit)이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디지털 영상신호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방식을 통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이며, 인터페이스부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DVI(Digital Visual Interface)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스위칭출력부를 통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증폭변환부를 통해 소정의 레벨로 증폭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동작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증폭변환부로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출력 및 증폭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화면(미도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신호 디스플레이장치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20), 스위칭출력부(40), 증폭변환부(50), 및 제어부(60)를 갖는다.
복수의 인터페이스부(20)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스위칭출력부(40)는 인터페이스부(20)에 수신된 디지털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디지털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증폭변환부(50)는 스위칭출력부(40)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화소(pixel)값을 디스플레이부(7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레벨의 신호로 변환한다. 증폭변환부(50)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의 형태는, 소정의 증폭 레벨값을갖는 디지털 영상신호 및/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태를 갖는다. 제어부(60)는 스위칭출력부(40)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고, 증폭변환부(5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70)에 출력한다.
따라서, 각각의 인터페이스부(20)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스위칭출력부(40)를 통해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증폭변환부(50)를 통해 소정의 레벨로 증폭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동작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증폭변환부(50)로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영상신호는 TMDS방식으로 통해 변화 및 암호화된 영상신호이다. 또한,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방식으로 변환 및 암호화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20)로는 DVI(Digital Visual Interface)가 일반적이다.
도면에 따르면, 복수의 인터페이스부(20)는 각각의 디지털 영상신호(T1, T2, T3)를 대응하여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22), 제2 인터페이스부(24), 제3 인터페이스부(26)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스위칭출력부(40)는 제1 인터페이스부(22), 제2 인터페이스부(24), 제3 인터페이스부(26) 각각에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제어부(60)로부터 출력제어신호가 입력되기 전에는 출력을 차단(mute)하는 뮤트회로(mute circuit)(42, 44, 46)이다. 따라서, 뮤트회로(42, 44, 46) 중에서 해당 뮤트회로에 제어부(60)로부터 출력된 출력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뮤트회로의 차단을 해지하고 해당 뮤트회로에 입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증폭변환부(50)로 출력한다. 이러한, 뮤트회로(42, 44, 46)는 증폭변환부(50)에 비해 규모가 소형이고 단가가 저렴하다. 즉, 제어부(50)는 제1 뮤트회로(42), 제2 뮤트회로(44), 및 제3 뮤트회로(46)의 디지털 영상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한 해당 뮤트회로에 대해 스위칭 출력제어신호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뮤트회로(42, 44, 46)를 인터페이스부(2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두어 각각의 디지털 영상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으나, 스위칭출력부(40)를 하나의 뮤트회로로 모듈화하여 제어부(60)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디지털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뮤트회로(42, 44, 46)를 통해 복수 종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하나의 증폭변환부(50)가 해당 뮤트회로에서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증폭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제품 생산에 있어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인터페이스부(20)를 설치함에 따른 스위칭출력부(40)의 뮤트회로 수가 증가하지만, 이는 증폭변환부(50)의 크기에 비해 소규모에 해당하므로, 제품의 외부 케이스와 결합될 때 제품의 규모가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증폭변환부(50)는 해당 뮤트회로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70)에서 인식하여 디스플레이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증폭한다. 증폭변환부(50)의 디지털 영상신호의 증폭은 두 가지 방법을 통해 디지털 영상신호를증폭한다. 먼저, 증폭변환부(50)는 TMDS변환에 따라 압축 및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부(70)에서 디스플레이동작을 위한 인식이 불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부(70)에서 소정의 디지털 값을 산출할 수 있도록 디지털 증폭할 수 있다. 이렇게 증폭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지털 티티엘(TTL) 영상신호라 한다. 또한, 증폭변환부(50)는 TMDS변환에 따라 압축 및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아날로그형태로 변환하여 증폭하는 아날로그 증폭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티티엘 영상신호 및/또는 증폭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제어부(6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70)에 제공된다.
따라서, 입력되는 각각의 디지털 영상신호에 대해 각각 디지털 티티엘 영상신호 및/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전에, 제어부(60)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변환부(50)에 출력하도록 뮤트회로(40, 44, 46)와 같은 스위칭출력부(40)를 통해 해당 디지털 영상신호를 증폭변환부(50)로 출력함으로써, 제품 생산에 있어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스위칭출력부를 통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증폭변환부를 통해 소정의 레벨로 증폭된 디지털 영상신호 및/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동작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증폭변환부로 복수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신호 출력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뮤트회로를 통해 복수 종의 디지털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하나의 증폭변환부가 뮤트회로에서 출력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지털 티티엘 영상신호 및/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제품 생산에 있어 생산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력되는 각각의 디지털 영상신호에 대해 각각 디지털 티티엘 영상신호 및/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기 전에, 제어부의 출력제어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변환부에 출력하도록 뮤트회로와 같은 스위칭출력부를 통해 해당 디지털 영상신호를 증폭변환부로 출력함으로써, 제품 생산에 있어 생산 원가를 절감 및 제품의 케이싱에 따른 제품크기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디지털 영상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부;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출력부;
    선택적으로 출력된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에 대응되는 화소값을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할 때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소정의 레벨값을 갖는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 및/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증폭/변환하는 증폭변환부; 및
    상기 스위칭출력부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증폭변환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 및/또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해당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출력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증폭변환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각각의 상기 디지털 오디오신호에 대한 상기 증폭변환부로의 출력을 뮤트 시키는 복수의 뮤트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Signaling)방식을 통해 변환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DVI(Digital Visual Interfa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신호 수신장치.
KR10-2001-0063692A 2001-10-16 2001-10-16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선택적으로 출력 및 증폭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신호수신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60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692A KR100460983B1 (ko) 2001-10-16 2001-10-16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선택적으로 출력 및 증폭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신호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692A KR100460983B1 (ko) 2001-10-16 2001-10-16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선택적으로 출력 및 증폭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신호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802A KR20030031802A (ko) 2003-04-23
KR100460983B1 true KR100460983B1 (ko) 2004-12-09

Family

ID=2956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6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0983B1 (ko) 2001-10-16 2001-10-16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선택적으로 출력 및 증폭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신호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179B1 (ko) * 2001-11-06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Dvi를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된 호스트 기기의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36183B1 (ko) * 2002-10-09 2004-06-12 한국과학기술원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3차원 그래픽 처리용 후-정렬시스템
KR101122215B1 (ko) * 2010-03-08 2012-03-20 주식회사 다원시스 화학 기상 증착 장치용 전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732A (ko) * 1997-05-17 1998-12-05 구자홍 디지탈방식의 액정표시판넬 구동회로
JPH11119748A (ja) * 1992-03-25 1999-04-30 Sharp Corp 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2000039872A (ja) * 1998-07-24 2000-02-08 Nec Kansai Ltd 液晶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9748A (ja) * 1992-03-25 1999-04-30 Sharp Corp 表示装置の駆動回路
KR19980083732A (ko) * 1997-05-17 1998-12-05 구자홍 디지탈방식의 액정표시판넬 구동회로
JP2000039872A (ja) * 1998-07-24 2000-02-08 Nec Kansai Ltd 液晶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802A (ko) 200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8886B2 (en) Flat panel display
EP1265210A1 (en) Flat pane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734792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reset controlling unit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080180432A1 (en) Method of Increasing Efficiency of Video Display and Related Apparatus
US10506199B2 (en) Format conversion circuit applied to set-top box and associated method
US10795159B2 (en) Micro display driving substrate for head-mounted display
CN108806598B (zh) 显示装置及其驱动器及方法
KR100460983B1 (ko)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선택적으로 출력 및 증폭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신호수신장치
US8144075B2 (en) Display system for outputting analog and digital signals to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system and method
US7136078B2 (en)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mixing an RGB graphics signal and a YUV video signal and related method
US2009000255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6366329B1 (en) Projection type video display apparatus using a progressive scanning mode
US10965882B2 (en) Video display apparatus, video display method, and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20080022851A (ko) 영상표시기기의 휘도제어장치 및 방법
US7167149B2 (en) Driving circuit of display and flat panel display
KR100676701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7830996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50031626A (ko) 평판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CN220106006U (zh) 驱动系统及显示装置
US12223220B2 (en) Display modul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 for display module
KR20050123490A (ko) 액정표시장치
KR20040013762A (ko)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598128B1 (ko) 디지탈 영상신호의 전송방식 변환장치
CN109982007B (zh) 应用在机顶盒的格式转换电路及相关的方法
KR100818238B1 (ko) 멀티비전 회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