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0710B1 -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710B1
KR100460710B1 KR10-2002-0055945A KR20020055945A KR100460710B1 KR 100460710 B1 KR100460710 B1 KR 100460710B1 KR 20020055945 A KR20020055945 A KR 20020055945A KR 100460710 B1 KR100460710 B1 KR 100460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parking brake
elastic member
vehicle
oper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4355A (ko
Inventor
정동식
Original Assignee
삼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7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2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B60T7/104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with a lock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41Braking for 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래칫휘일(10)의 톱니(12)에 걸림/해제되는 래칫(30)과 작동로드(60) 사이에 연결부재(40)를 설치하고, 상기 래칫(30)과 연결부재(40) 사이에 탄성부재(50)를 설치하여 연결부재(40)와 래칫(30)이 탄력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작동로드(60)의 버튼부(66)가 눌려지더라도 탄성부재(50)가 작동로드(60)의 눌림작동을 완충하게 됨으로 작동로드(60)의 눌림은 래칫(30)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래칫(30)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예기치 않는 버튼부(66)의 눌림에 의해 발생하는 주차상태 해제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a parking brake for automobile having unlock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 및 승객의 부주의로 인하여 버튼이 눌리더라도 래칫이 래칫휘일로부터 곧바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주차 브레이크가 풀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가장자리에 다수의 톱니(2a)가 형성되어 차체에 고정된 래칫휘일(2)과, 상기 래칫휘일(2)의 톱니(2a)에 걸리는 래칫(4)과, 일측에 상기 래칫(4)의 중간부가 회전가능하게 힌지(6)로 결합되며, 브레이크(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인출된 브레이크 케이블(8)의 일단을 회전시켜 브레이크 케이블(8)을당기도록 일측이 상기 래칫휘일(2)에 힌지(6a)로 결합된 작동레버(1)와, 상기 작동레버(1)의 중공부(1a)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래칫(4)의 일단에 연결되어 래칫(4)을 회동시키는 작동로드(5)와, 상기 작동로드(5)의 타단에 연결되어 작동로드(5)를 밀어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동레버(1)의 선단에 설치되는 버튼(3)과, 상기 작동레버(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드(5)와 결합된 버튼(3)을 래칫(4)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기 위한 탄성을 발생시키는 스프링(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차 브레이크 작동장치는 작동레버(1)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작동레버(1)에 일단이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8)이 당겨져서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래칫(4)이 래칫휘일(2)의 톱니(2a)에 걸려 주차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차상태를 해제하려면, 작동레버(1)를 잡고 버튼(3)을 누르면 이에 연결된 작동로드(5)가 래칫(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래칫(4)가 래칫휘일(2)의 톱니(2a)로부터 해제되며, 이때 상기 작동레버(1)는 최초 회전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당겨졌던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8)은 느슨하게 이완되어 주차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눌려진 버튼(3)은 스프링(7)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주차 브레이크 작동 메커니즘은 버튼(3)을 한번만 누르면 래칫(4)이 래칫휘일(2)로부터 곧바로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탑승자의 부주의나 어린이의 장난으로 버튼(3)이 눌리게 되면 주차 브레이크가 쉽게 해제되어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버튼(3)의 누름력이 곧바로 래칫(4)에 전달되어 톱니(2a)에 맞물린 래칫(4)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버튼(3)이 부주의로 눌리게 되면 곧바로 주차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주차상태에서 버튼이 눌리더라도 래칫이 래칫휘일로부터 해제되지 않도록 하여 주차상태 무단 해제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주차 브레이크의 풀림 방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의 풀림 방지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차 브레이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4b,4c는 도 3의 A-A'선, B-B'선, C-C'선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탄성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설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7b,7c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래칫휘일 12 : 톱니
20 : 작동레버 22 : 손잡이부
24 : 리턴 스프링 30 : 래칫
32 : 걸림단 34 : 지지단
36,46 : 축공 38 : 안착홈
40 : 연결부재 41 : 끼움부
42 : 걸림턱 43 : 이탈방지턱
44 : 연결단 45 : 지지돌부
47 : 끼움공 48 : 안착돌기
50 : 탄성부재 60 : 작동로드
62 : 회전홈 64 : 체결돌기
66 : 버튼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톱니를 구비하여 차체에 설치되는 래칫휘일; 상기 래칫휘일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레이크 케이블의 일단이 고정되는 작동레버; 상기 톱니에 걸림/해제되기 위한 걸림단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지지단이 상기 걸림단과 설정된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작동레버에 축으로 설치되는 래칫; 상기 걸림단의 일측에 간섭되어 상기 래칫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연결단이 형성되어 상기 축에 의해 래칫의 일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 상기 지지단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단에 지지되어 상기 래칫과 연결부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재; 상기 연결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레버의 손잡이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에 의해 손잡이부 측으로 복원력을 갖는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를 제공한다.
이때,상기 탄성부재는 비틀림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로드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버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풀림 방지구조는 상기 걸림단이 래칫휘일의 톱니에 걸려 주차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버튼부가 눌려지면 작동로드가 연결부재만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탄성부재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래칫과는 관계없이 회전하게 되어 래칫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부주의로 버튼이 눌려지더라도 주차상태의 해제가 유지되어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의 풀림방지장치는 작동레버(20)에 축(S)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칫(30)과, 상기 래칫(30)의 회전을 제한하고 래칫(30)과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축(S)에 의해 래칫(30)과 함께 작동레버(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40)와, 상기 연결부재(40)를 래칫(3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을 발생시키고 작동로드(60)의 작동을 완충하기 위한 탄성부재(50)와, 상기 연결부재(40)를 회동시키기 위한 작동로드(6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각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칫휘일(10)은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부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톱니(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레버(20)는 상기 래칫휘일(10)에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중공형의 손잡이부(22)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래칫휘일(10)에 축설되기 위하여 확장된 판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작동레버(20)의 타측에는 브레이크 케이블(C) 일단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래칫(30)은 상기 톱니(12)에 근접되도록 상기 작동레버(20)에 축(S)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톱니(12)에 걸리거나 해제되기 위한 걸림단(3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32)과 설정된 각도를 유지한 위치에는 지지단(34)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래칫(30)의 중앙에는 상기 축(S)이 관통되기 위한 축공(36)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36)의 일측 주변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38)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래칫(30)과 일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축(S)에 의해 작동레버(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걸림단(32)에 간섭되기 위한 걸림턱(4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연결단(44)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연결부재(40)는 상기 래칫(30)과 밀착되게 축(S)으로 설치되어 상기 래칫(30)의 회전을 제한함과 아울러 상기 작동로드(60)에 이동시 상기 탄성부재(50)를 가압하여 걸림단(32)이 톱니(12)로부터 해제되었을 경우에 래칫(30)을 회동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상기 래칫(30)의 걸림단(32) 일측은 상기 걸림턱(42)에 지지됨으로 래칫(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나, 상기 연결부재(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연결부재(40)의 회전각도만큼 회전이 허용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두가지 기능을 갖는다. 하나는 상기 작동로드(60)가 연결부재(4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그 회전력을 완충시켜 래칫(3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기능과, 이와는 반대로 연결부재(40)가 작동로드(60)에 의해 회전될 때 그 회전력을 래칫(30)에 전달하여 래칫(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즉, 상기 래칫(30)의 걸림단(32)이 톱니(12)에 걸려있을 경우에는 연결부재(40)의 회전력을 완충하게 되지만 래칫(30)의 걸림단(32)이 톱니(12)로부터 이격되어 걸림이 해제되어 있을 경우에는 연결부재(40)의 회전력을 래칫(3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5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틀림 스프링은 감겨진 중간부로부터 각 연장된 양측단이 상기 래칫(30)의 지지단(34)과 연결부재(40)의 연결단(44)에 각각 지지되고, 중간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의 일면(래칫(30)과 밀착되는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부(41)에 끼워져 지지된다.
이러한 끼움부(41)에는 끼워지는 비틀림 스프링의 중간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탄성을 갖는 이탈방지턱(43)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의 일측은 연결단(44)에 형성된 돌기에 지지되고 타측은 지지단(34)에 형성된 돌기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 타측면(래칫(30)과 밀착된 면의 반대면)의 축공(46) 주변에 형성되는 지지돌기(45)에 그 중간부가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설치구조는 탄성부재(50)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은 걸림단(32)이 톱니(12)에 걸려 주차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걸림단(32)을 톱니(12)로부터 해제시킬 수 없다. 즉,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은 래칫(30)에 하중이 걸려있지 않은 상태에서 래칫(30)을 회전시킬 정도의 힘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작동로드(60)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연결부재(40)와 래칫(30)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연결부재(40)의 연결단(4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레버(20)의 손잡이부(22)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작동로드(60)는 도 2 내지 도 3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로드(60)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부재(40)의 연결단(44)이 삽입되기 위한 원형의 회전홈(62)이 형성되고, 이 회전홈(62)의 중앙에는 절개된 한 쌍의 체결돌기(6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홈(62)에 연결단(44)이 삽입되면 상기 체결돌기(64)는 상기 연결단(44)에 형성되는 끼움공(47)에 끼워져 연결단(44)이 작동로드(6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단(44)과 작동로드(60)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로드(60)의 타단에는 버튼부(66)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작동로드(60)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일체로 성형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로드(60)는 손잡이부(22) 내부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24)에 의해 항상 손잡이부(22) 외측(단부)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작동로드(6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30)이 톱니(12)에 걸려있지 않은 작동전 상태에서 상기 래칫(30)은 연결부재(40)가 허용하는 범위, 결국은 작동로드(60)가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재(40)는 작동로드(60)가 길이방향으로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하여 래칫(30)은 걸림턱(42)에 간섭되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칫(30)은 탄성부재(50)에 의해 연결부재(40)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나 걸림단(32)이 걸림턱(42)에 간섭되어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실질적으로는 작동로드(60)를 손잡이부(22) 측으로 당기는 리턴 스프링(24)의 탄성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0)를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되면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C)이 당겨짐과 동시에 래칫(30)의걸림단(32)은 톱니(12)에 걸리게 된다.
상기 걸림단(32)이 톱니(12)에 걸림으로 인하여 브레이크 케이블(C)의 당겨진 상태가 유지되어 자동차의 주차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케이블(C)로부터 발생된 하중은 톱니(12)에 걸린 걸림단(32)에 집중된다. 즉, 브레이크 케이블(C)을 당긴 후 그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발생되는 작동레버(21)의 지지 하중은 톱니(12)와 걸림단(32)의 접촉부위(P)에 집중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b에 도시된 이점쇄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버튼부(66)를 누르더라도 그 누름에 의해 발생된 힘은 래칫(3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상기 래칫(30)의 걸림단(32)이 톱니(12)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버튼부(66)를 이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작동로드(60)는 연결부재(40)의 연결단(44)을 축(S)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연결부재(40) 자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연결부재(40)의 회전은 상기 탄성부재(50)의 일단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40)의 회전에 의해 가압되는 탄성부재(50)는 압축되기는 하나 그 압축력으로 상기 톱니(12)에 걸려있는 래칫(30)을 회전시키지는 못한다. 이는 탄성부재(50)의 탄성력보다 브레이크 케이블(C)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이 더 크기 때문이다.
결국, 상기와 같이 래칫(30)이 톱니(12)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버튼부(66)가 눌려지더라도 그 눌림은 상기 탄성부재(50)의 완충작용에 의해흡수되어 래칫(30)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것이고, 이는 버튼부(66)의 눌림에 의해서 래칫(30)의 걸림이 해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래칫(30)이 톱니(12)에 걸린 상태에서는 버튼부(66)가 눌려지더라도 탄성부재(50)가 이를 완충하여 래칫(30)을 작동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부주의로 인한 버튼부(66)의 눌림은 연결부재(40)만을 작동시키게 되고, 이는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주차상태가 해제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주차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20)를 파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살짝(걸림단(32)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정도) 들어올린 후 버튼부(66)를 누른다.
상기 버튼부(66)를 누르게 되면 작동로드(60)는 연결부재(4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탄성부재(50)의 일단부는 래칫(30)의 지지단(34)을 밀어 래칫(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40)와 래칫(30)은 축(S)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탄성부재(50)는 끼움부(4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래칫(30)이 회전할 수 있는 것은 상기 걸림단(32)에 집중되던 하중이 작동레버(20)를 들어올림으로 인하여 모두 분산되었기 때문에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30)은 걸림턱(42)에 지지된 상태에서 연결부재(40)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단(32)이 톱니(12)로부터이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들어올렸던 작동레버(20)를 다시 내리게 되면 작동레버(20)는 아무런 간섭없이 최초 상태로 복귀될 수 있고, 이는 주차상태가 해제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는 래칫휘일의 톱니에 걸림/해제되는 래칫과 작동로드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 그 사이에 버튼부의 누름에 의한 작동을 완충시킬 수 있는 연결부재와 탄성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버튼부가 눌려지더라도 래칫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지 않아 예기치 않는 버튼부의 눌림에 의하여 발생하는 주차상태 해제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8)

  1. 다수의 톱니(12)를 구비하여 차체에 설치되는 래칫휘일(10);
    상기 래칫휘일(10)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브레이크 케이블(C)의 일단이 고정되는 작동레버(20);
    상기 톱니(12)에 걸림/해제되기 위한 걸림단(32)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지지단(34)이 상기 걸림단(32)과 설정된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작동레버(20)에 축(S)으로 설치되는 래칫(30);
    상기 걸림단(32)의 일측에 간섭되어 상기 래칫(30)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42)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연결단(44)이 형성되어 상기 축(S)에 의해 래칫(30)의 일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부재(40);
    상기 지지단(34)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단(44)에 지지되어 상기 래칫(30)과 연결부재(4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을 발생시키기 위한 탄성부재(50);
    상기 연결단(44)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레버(20)의 손잡이부(22)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22) 내부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24)에 의해 손잡이부(22) 측으로 복원력을 갖는 작동로드(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30)에 형성되는 축공(36) 주변에는 안착홈(38)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40)에 형성되는 축공(46) 주변에는 상기 안착홈(38)에 삽입되는 안착돌기(48)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0)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40)의 일측면에는 상기 탄성부재(50)의 중간부가 끼워지기 위한 끼움부(4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41)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50)의 중간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턱(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0)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40)의 타측면 축공(46) 주변에는 지지돌부(45)가 돌설되어 상기 탄성부재(50)의 중간부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60)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60)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단(44)이 회동되게 안착되기 위한 원호형의 회전홈(62)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홈(62)의 중앙에는 상기 연결단(44)에 형성되는 끼움공(47)에 끼워지기 위한 체결돌기(64)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버튼부(66)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60)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KR10-2002-0055945A 2002-09-14 2002-09-14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KR100460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945A KR100460710B1 (ko) 2002-09-14 2002-09-14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945A KR100460710B1 (ko) 2002-09-14 2002-09-14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355A KR20040024355A (ko) 2004-03-20
KR100460710B1 true KR100460710B1 (ko) 2004-12-08

Family

ID=3732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945A KR100460710B1 (ko) 2002-09-14 2002-09-14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7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743A (ko) * 2002-10-15 2004-04-29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용 파킹레버의 해제방지장치
KR101676482B1 (ko) * 2016-01-28 2016-11-23 김희섭 지능형 안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355A (ko) 200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3789B1 (en) Webbing lenght adjuster
US5309786A (en) Self-adjusting parking brake actuator
US5887918A (en) Automobile door handle
KR970705490A (ko) 케이블 이완 조절기(cable slack adjuster)
US6282980B1 (en) Self-adjusting parking brake actuator
KR100460710B1 (ko)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JP2007532438A (ja) 吊上フック装置
JP2006056505A (ja) 車両のパーキングレバーシステム
JPH086657Y2 (ja) 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US7021174B2 (en) Parking brake actuator with anti-release feature
KR20200101073A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US7658126B2 (en) Safety release feature
US20030015380A1 (en) Brake actuator with one-piece take-up reel
JP2000229560A (ja) レバーユニット
KR101035639B1 (ko) 차량용 파킹 브레이크 레버
JP4617057B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のケーブル引張り調節装置
KR100391676B1 (ko) 안전장치를 갖는 차량용 주차브레이크
JP3577102B2 (ja) 自転車用ブレーキ装置
CA2477324C (en) Latch with shipping condition
KR102440584B1 (ko) 차량용 변속 케이블 잠금 장치
JPH0123877Y2 (ko)
JPH0427731Y2 (ko)
KR0136398Y1 (ko) 자동차의 주차브레이크 풀림 방지구조
KR200300494Y1 (ko) 차량용 파킹레버의 버튼록킹장치
KR200142975Y1 (ko) 풋 파킹 브레이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