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60514B1 -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514B1
KR100460514B1 KR10-2002-0064141A KR20020064141A KR100460514B1 KR 100460514 B1 KR100460514 B1 KR 100460514B1 KR 20020064141 A KR20020064141 A KR 20020064141A KR 100460514 B1 KR100460514 B1 KR 100460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clock
signal
data
b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083A (ko
Inventor
전기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4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5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34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51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05Fixed allocated frame structures
    • H04J3/1611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DH] or SO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8Intermediate station arrangements, e.g. for branching, for tapping-off
    • H04J3/085Intermediate station arrangements, e.g. for branching, for tapping-off for ring networks, e.g. SDH/SONET rings, self-healing rings, meashed SDH/SONE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78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28Local loop
    • H04J2203/0039Topology
    • H04J2203/0042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비트니킹블록부와, 상기 비트니킹블록부에 각각 연결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광신호중에서 일정 클럭과 병렬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추출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추출처리부로부터 출력된 클럭신호와 병렬데이터를 이용하여 STM-1 ReFraming, AU pointer 해석, TU pointer 해석을 순차적으로 처리한 다음 각각의 84채널별 제어클럭신호(Rctrl[83:0])와 데이터(Rd[7:0])를 각각의 LIU 블록으로 출력하는 SDH 프로세서와, 상기 데이터 추출처리부의 클럭신호를 4분주하여 설정된 위상의 6M 클럭신호를 생성하고 서로 다른 위상에서 데이터를 읽어가도록 먹스 어드레스신호(muxad)를 생성하는 먹스어드레스부로 이루어진 SDH 전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의 비트 니킹블록을 구비한 비트니킹블록부에 먹스와 클럭수단을 구비하여 다수의 비트 니킹블록의 신호들을 멀티플렉싱하므로써, 각각의 비트니킹블록부로부터 역다중화되는 PDH신호의 라인포트수가 상당히 줄어들게 되므로 그에 따라 전송시스템의 공간설계성도 극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PDH 데이터의 라인수가 역다중화방향으로 저감되는 만큼 칩으로 구현되는 시스템의 핀수도 상당히 줄어들므로 그에 따라 SDH 전송장치의 제조비용도 상당히 저감시킨다.

Description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SDH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SDH 전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비트 니킹블록을 구비한 비트니킹블록부에 멀티플렉서와 클럭수단을 구비하여 다수의 비트 니킹블록의 신호들을 역다중화하는 SDH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송기술은 1910년대 나선 반송으로 시작하여 아날로그 전송기술로 그리고 디지털 전송기술의 형태로 발전되어 왔으며, 후에 이러한 디지털 전송기술은 1960년대 1.544 Mbps 전송속도를 갖는 T1 채널 뱅크의 개발을 효시로 발전하였다. 더욱이, 상기 디지털 전송방식은 광케이블을 전송매체로 사용하는 광전송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는데, 점대점 형태의 광통신이 광 통신망의 형태로 진화해 나가면서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의 표준화의 결과로 생긴 것이 곧 동기식 전송방식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통신 시스템들에 의한 망의 구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동기식 광 통신망(SONET: synchronous optical network) 접속 표준을 만들던 중, 이를 B-ISDN의 망 노드 접면(NNI:network node interface) 표준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화시킨 것이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이고, 이 동기식 디지털 계위에 의거한 전송방식이 동기식 전송방식이다. 특히, 유사 동기식 디지털 계위신호들을 구성하여 기저대역을 통해서 이를 전송하던 기존의 통신방식을 디지털 전송방식이라고 한 것에 비해서, 상기 동기식 디지털 계위 신호들을 구성하고 전송하는 새로운 전송방식을 동기식 전송방식이라한다.
따라서, 상기 동기식 다중화 과정을 통해서 기존의 DS-1 ~ DS-4 계위신호들을 STM-n신호로 다중화시키고 DACS(digital access cross-connet system) 장치등을 통해서 재구성하고, 동기식 광 통신망을 통해서 전송하고 재생하는 일련의 동기식 처리 과정을 통틀어서 동기식 전송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SDH 전송장치를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가입자측으로부터 전송된 PDH(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신호를 STM-n신호로 다중화하거나 그의 역의 과정을 수행하는 다수개 예컨대, 21개의 블록으로 구성된 비트니킹블록부(70A-N)와, 상기 비트니킹블록부(70A-N)에 각각 연결되어 외부 장치 예컨대, 교환기(71)로부터 입력된 STM-n 데이터 예컨대, ck_155M과 dt_155M 직렬데이터중에서 일정 클럭과 병렬데이터를 추출하는 예컨대, 19M과 6M 클럭과, 8bit의 병렬데이터(Rstm1[7:0])를 출력하는 데이터 추출처리부(72)와, 상기 데이터 추출처리부(72)로부터 출력된 19m 클럭과 8bit의 병렬데이터(Rstm1[7:0])를 이용하여 STM-1 ReFraming, AU pointer 해석, TU pointer 해석을 순차적으로 처리한 다음 각각의 84채널별 제어신호인 제어클럭신호(Rctrl[83:0])와 데이터(Rd[7:0])를 각각의 LIU 블록(70A-N)으로 출력하는 SDH 프로세서(7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비트니킹블록부(70A-N)의 각각에는 각 채널별 데이터 입력신호와 독립적인 제어신호 시스템클럭을 사용하여 실제 T1/E1 데이터(rxdt) 및 클럭(rck)을 재생하는 비트 니킹블록(74A-D: bit-leaking block)이 다수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비트 니킹블록(74A-D)은 하나의 비트니킹블록부(70A-N)에 T1의 경우는 4개, E1의 경우 3개가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총 21개의 비트니킹블록(70A-N)은 총 84채널을 처리한다.
또한, 상기 각 비트 니킹블록(74A-D)의 입력단에는 SDH 프로세서(73)로부터 8bit의 데이터(7:0)와 개별 채널제어신호(RCTRL[83:0])가 제공되고, 데이터 추출처리부(72)로부터 클럭신호(19M, 6M)가 각각 제공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SDH 전송장치(75)의 동작은 하부의 가입자측으로부터 비트니킹블록부(70A-N)로 PDH신호가 입력될 경우 이 비트니킹블록부(70A-N)는 입력된 PDH신호를 다중화하여 STM-1 포맷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 예컨대, 교환기(71)로 전송처리한다.
반면에, 상기 SDH 전송장치(75)의 데이터 추출처리부(72)로 다중화된 STM-1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데이터 추출처리부(72)는 외부 장치 예컨대, 교환기(71)로부터 입력된 STM-n 데이터 예컨대, ck_155M과 dt_155M 직렬데이터중에서 일정 클럭과 병렬데이터를 추출하여 예컨대, 19M 클럭과 6M 클럭을 21개의 각 비트니킹블록부(70A-N)내에 구비된 즉, T1일 경우 4개의 각 비트-니킹블록(74A-D)과 SDH 프로세서(73)로 입력시키고, 또다른 19M 클럭신호와 8bit의 병렬데이터(Rstm1[7:0])는 SDH 프로세서(73)로 출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SDH 프로세서(73)는 상기 데이터 추출처리부(72)로부터 출력된 19m 클럭과 8bit의 병렬데이터(Rstm1[7:0])를 이용하여 각 비트니킹블록부(70A-N)의 비트-니킹블록(74A-D)을 제어하는 STM-1 ReFraming, AU pointer 해석, TU pointer 해석 등을 순차적으로 처리한 다음 각각의 84채널별 제어신호인 제어클럭신호(Rctrl[83:0])와 데이터(Rd[7:0])를 해당 LIU 블록(70A)의 비트-니킹 블록(74A-D)으로 각각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 상기 SDH 프로세서(73)는 84 채널의 VC11 혹은 63 채널의 VC12를 구분하는 신호, 비트-니킹을 위한 Pointer stuff 결정신호 및 구분되는 VC11/VC12 신호내의 각 T1/E1 채널의 information bit을 표현 하는 enable신호 등각각 84채널별로 별도의 제어신호를 표시하는 Rctrl신호와 데이터신호를 해당 비트니킹블록부(70A-N)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비트니킹블록부(70A-N)의 해당 비트-니킹 블록(74A-D)은 각 채널별 데이터 입력신호와 독립적인 제어신호 시스템클럭을 사용하여 즉, 데이터 추출처리부(72)로부터 제공되는 19M 및 6M 클럭신호와 SDH 프로세서(73)로부터 제공되는 제어클럭신호(Rctrl[83:0])와 데이터(Rd[7:0])를 근거로 실제 T1/E1 데이터(rxdt) 및 클럭(rck)을 재생하여 출력하게된다. 이때, 상기 각 비트-니킹 블록(74A-D)의 출력은 독립적으로 rpdt[83:0], rndt[83:0], rck[83:0]을 각각 출력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SDH 전송장치는 STM-1 1개의 용량을 기준으로 할 때 시스템상의 T1/E1 채널 데이터 및 클럭신호을 위해 504개의 포트가 필요한데, 이러한 단순한 PDH 라인 데이터만을 위해 필요한 포트가 504개나 되므로 그에 따라 이를 구현하기위한 전송시스템의 매우 복잡하게 되어 설계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504개의 포토를 구현하기위해서는 전송시스템의 제조비용도 상당히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뿐만아니라, 상기와 같은 종래 SDH 전송장치는 역다중화한 T1/E1 클럭 및 데이터가 입력된 비트니킹블록의 특성에 맞추어 T1/E1 채널데이터신호와 채널클럭신호사이의 위상을 제어하기위한 별도의 제어신호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각각의 비트니킹블록부로부터 역다중화되는 PDH신호의 라인포트수가 상당히 줄어들므로 그에 따라 전송시스템의 공간설계성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DH 데이터의 라인수가 역다중화방향으로 저감되는 만큼 칩으로 구현되는 시스템의 핀수도 상당히 줄어들므로 그에 따라 SDH 전송장치의 제조비용도 상당히 저감되는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광 PDH신호를 역다중화처리하고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비트니킹블록부와, 상기 비트니킹블록부에 각각 연결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광신호 직렬데이터중에서 일정 클럭과 병렬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추출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추출처리부로부터 출력된 클럭신호와 병렬데이터를 이용하여 STM-1 ReFraming, AU pointer 해석, TU pointer 해석을 순차적으로 처리한 다음 각각의 84채널별 제어클럭신호(Rctrl[83:0])와 데이터(Rd[7:0])를 각각의 비트니킹블록부로 출력하는 SDH 프로세서와, 상기 데이터 추출처리부의 클럭신호를 4분주하여 설정된 위상의 6M 클럭신호를 생성하고 서로 다른 위상에서 데이터를 읽어가도록 먹스 어드레스신호(muxad)를 생성하는 먹스어드레스부로 이루어진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SDH 전송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SDH 전송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부호의 상세한 설명>
1A-N: 비트니킹블록부 2 : 데이터 추출처리부
3 : SDH 프로세서 4 : 먹스어드레스부
5A-D: 비트 니킹블록 6 : 먹스부
7 : 래치 8 : 클럭위상 래치부
9 : 먹스 어드레스생성기 10A-D: 제1 내지 제4 래치부
11A-D: 제1-4 정래치부 12A-D: 제1-4 부래치부
13: SDH 전송장치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신된 PDH신호를 역다중화처리하고다수개 예컨대, 21개의 블록으로 구성된 비트니킹블록부(1A-N)와, 상기 비트니킹블록부(1A-N)에 각각 연결되어 외부 장치 예컨대, 교환기(도시안됨)로부터 입력된 STM-n 데이터 예컨대, ck_155M과 dt_155M 직렬데이터중에서 일정 클럭과 병렬데이터를 추출하는 예컨대, 25M과 19M 클럭신호와, 8bit의 병렬데이터(Rstm1[7:0])를 출력하는 데이터 추출처리부(2)와, 상기 데이터 추출처리부(2)로부터 출력된 19M 클럭신호와 8bit의 병렬데이터(Rstm1[7:0])를 이용하여 STM-1 ReFraming, AU pointer 해석, TU pointer 해석을 순차적으로 처리한 다음 각각의 84채널별 제어신호인 제어클럭신호(Rctrl[83:0])와 데이터(Rd[7:0])를 각각의 비트니킹블록부(1A-N)로 출력하는 SDH 프로세서(3)와, 상기 데이터 추출처리부(2)의 25M 클럭신호를 4분주하여 4위상의 6M 클럭신호를 생성하고 서로 다른 위상에서 데이터를 읽어가도록 먹스 어드레스신호(muxad)를 생성하는 먹스어드레스부(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LIU 블록(1A-N)의 각각에는 각 채널별 데이터 입력신호와 독립적인 제어신호 시스템클럭을 사용하여 실제 T1/E1 데이터(rxdt) 및 클럭(rck)을 재생하는 예컨대, 4(T1)개 혹은 3(E1)개의 비트 니킹블록(5A-D)과, 상기 4개의 비트 니킹블록(5A-D)의 데이터출력단(rxdt[0~3])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먹스어드레스부(4)의 먹스어드레스신호(muxad)에 따라 비트 니킹블록(5A-D)의 데이트를 멀티플렉싱하여 출력하는 먹스부(6)와, 상기 먹스부(6)에 의해 다중화된 데이터신호를 안정화시키기위해 일정 클럭 예컨대, 25M 클럭신호로 래치시키는 래치(7)와, 상기 비트 니킹블록(5A-D)의 각 클럭단에 복수개 연결되어 각 채널의 클럭신호를 일정 클럭 예컨대, 25M 클럭신호로 정에지(rising-edge)와 부에지(falling-edge)에서 각각 래치시켜주는 복수개의 클럭위상 래치부(8)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먹스어드레스부(4)에는 상기 데이터 추출처리부(2)의 시스템 클럭 예컨대, 25 M클럭신호를 4분주하여 출력하고 먹스부(6)의 먹스 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먹스 어드레스생성기(9)와, 상기 먹스 어드레스생성기(9)에 의해 4분주된 6M 클럭신호를 각각 직렬쉬프트하여 다수의 비트 니킹블록(5A-D)이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도록 하는 4위상의 클럭 예컨대, 6 M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1 내지 제4 래치부(10A-D)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래치부(10A)는 상기 비트 니킹블록(5A)의 입력단에, 상기 제2 래치부(10B)는 상기 비트 니킹블록(5B)의 입력단에, 상기 제3 래치부(10C)는 상기 비트 니킹블록(5C)의 입력단에, 상기 제4 래치부(10D)는 상기 비트 니킹블록(5D)의 입력단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상기 클럭위상 래치부(8)는 시스템클럭 즉, 25M 클럭신호의 폭이 데이터 중앙에 클럭 에지가 오도록 하기위해 상기 비트 니킹블록(5A-D)의 각 클럭출력신호를 입력받아 25M 클럭신호로 클럭의 정에지에서 래치하여 출력하는 제1-4 정래치부(11A-D)와, 상기 시스템클럭 즉, 25M 클럭신호의 폭이 데이터 중앙에 클럭 에지가 오도록 하기위해 상기 비트 니킹블록(5A-D)의 각 클럭출력신호를 입력받아 25M 클럭신호로 클럭의 부에지에서 래치하여 출력하는 제1-4 부래치부(12A-D)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비트 니킹블록(5A-D)은 하나의 LIU블록(1A-N)에 T1의 경우는 4개, E1의 경우 3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각 비트 니킹블록(5A-D)의 입력단에는 SDH 프로세서(3)로부터 8bit의 데이터(7:0)와 개별 채널제어신호(RCTRL[83:0])가 제공되고, 데이터 추출처리부(2)로부터 클럭신호(19M) 그리고, 먹스어드레스부(4)로부터 6M 클럭신호가 각각 제공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하부의 가입자측으로부터 LIU 블록(도시안됨)으로 PDH신호가 입력될 경우 이 LIU 블록은 입력된 PDH신호를 다중화하여 STM-1 포맷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 예컨대, 교환기로 전송처리한다.
반면에, 상기 SDH 전송장치(13)의 데이터 추출처리부(2)로 다중화된 STM-1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데이터 추출처리부(2)는 외부 장치 예컨대, 교환기로부터 입력된 STM-n 데이터 예컨대, ck_155M과 dt_155M 직렬데이터중에서 일정 클럭과 병렬데이터를 추출하여 예컨대, 19M 클럭신호를 21개의 각 비트니킹블록(1A-N)내에 구비된 4(T1) 혹은 3(E1)개의 각 비트 니킹블록(5A-D)과 SDH 프로세서(3)로 입력시키고, 또다른 19M 클럭신호와 8bit의 병렬데이터(Rstm1[7:0])는 SDH 프로세서(3)로 출력시킨다. 또한, 상기 데이터 추출처리부(2)의 25 M 클럭신호는 먹스어드레스부(4)의 먹스 어드레스생성기(9)로도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SDH 프로세서(3)는 상기 데이터 추출처리부(2)로부터 출력된 19m 클럭과 8bit의 병렬데이터(Rstm1[7:0])를 이용하여 각 비트니킹블록(1A-N)의 비트 니킹블록(5A-D)을 제어하는 STM-1 ReFraming, AU pointer 해석, TU pointer 해석 등을 순차적으로 처리한 다음 각각의 84채널별 제어클럭인제어클럭신호(Rctrl[83:0])와 데이터(Rd[7:0])를 해당 비트니킹블록부(1A-N)의 비트-니킹블록(5A-D)으로 각각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 상기 SDH 프로세서(3)는 84 채널의 VC11 혹은 63 채널의 VC12를 구분하는 신호, 비트-니킹을 위한 Pointer stuff 결정신호 및 구분되는 VC11/VC12 신호내의 각 T1/E1 채널의 information bit을 표현 하는 enable신호 등 각각 84채널별로 별도의 제어신호를 표시하는 Rctrl신호와 데이터신호를 해당 비트니킹블록부(1A-N)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먹스어드레스부(4)의 먹스 어드레스생성기(9)는 데이터 추출처리부(2)로부터 제공된 25M 클럭신호를 4분주하여 제1 내지 제4 래치부(10A-D)로 출력하고 2비트의 먹스 어드레스신호(muxad[1:0])를 생성하여 각 비트니킹블록부(1A-N)에 구비된 먹스부(6)로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동작과 동시에 상기 먹스어드레스부(4)의 제1 내지 제4 래치부(10A-D)는 상기 먹스 어드레스생성기(9)에 의해 4분주된 6M 클럭신호를 각각 직렬쉬프트하여 상기 각 비트니킹블록부(1A-N)에 구비된 다수의 비트 니킹블록(5A-D)으로 출력하므로써, 이 각 비트니킹블록부(1A-N)의 다수의 비트 니킹블록(5A-D)이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도록 하는 4위상의 클럭 예컨대, 6 M 클럭신호를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제1 래치부(10A)는 상기 비트 니킹블록(5A)의 입력단에, 상기 제2 래치부(10B)는 상기 비트 니킹블록(5B)의 입력단에, 상기 제3 래치부(10C)는 상기 비트 니킹블록(5C)의 입력단에, 상기 제4 래치부(10D)는 상기 비트 니킹블록(5D)의 입력단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상기 비트니킹블록부(1A-N)의 해당 비트-니킹블록(5A-D)은 각 채널별 데이터 입력신호와 독립적인 제어신호 시스템클럭을 사용하여 즉, 데이터 추출처리부(2)로부터 제공되는 19M과 제1 내지 제4 래치부(10A-D)로부터 제공된 6M 클럭신호 및 SDH 프로세서(3)로부터 제공되는 제어클럭신호(Rctrl[83:0])와 데이터(Rd[7:0])를 근거로 실제 T1/E1 데이터(rxdt) 및 클럭(rck)을 재생하여 먹스부(6)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비트니킹블록부(1A-N)에 구비된 먹스부(6)는 상기 제1 내지 제4 래치부(10A-D)의 6M 클럭에 의해 형성된 서로 타이밍에 상기 각 비트 니킹블록(5A-D)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가 멀티플렉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먹스부(6)는 먹스어드레스부(4)의 먹스 어드레스생성기(9)로부터 제공된 먹스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읽어 멀티플렉싱하고 그 출력신호(s_rxdt)를 래치(7)로 출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래치(7)는 상기 먹스부(6)에 의해 다중화된 데이터신호를 안정화시키기위해 일정 클럭 예컨대, 25M 클럭신호로 래치시켜 출력한다(rxdt[0]-[20].
즉, 상기 각 비트니킹블록부(1A-N)내에 구비된 먹스부(6)가 비트니킹블록부(1A-N)내에 다수개 구비된 비트 니킹블록(5A-D)의 데이터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종래에 84개의 채널로 출력되던 것이 그 1/4인 21개의 신호라인으로만 출력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 장치를 사용할 경우 포트수를 상당폭 줄일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데이터 출력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각 비트 니킹블록(5A-D)은 데이터 위상맞춤을 위해 각각의 클럭신호(rck0 ~ rck3)를 상기 클럭위상 래치부(8)의 제1-4 정래치부(11A-D)와 제1-4 부래치부(12A-D)로 각각 출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클럭위상 래치부(8)의 제1-4 정래치부(11A-D)는 시스템클럭 즉, 데이터 추출처리부(2)로부터 제공된 25M 클럭신호의 폭이 데이터 중앙에 클럭 에지가 오도록 하기위해 상기 비트 니킹블록(5A-D)의 각 클럭출력신호를 입력받아 25M 클럭신호로 클럭의 정에지에서 래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4 부래치부(12A-D) 역시 상기 시스템클럭 즉, 25M 클럭신호의 폭이 데이터 중앙에 클럭 에지가 오도록 하기위해 상기 비트 니킹블록(5A-D)의 각 클럭출력신호를 입력받아 25M 클럭신호로 클럭의 부에지에서 래치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경유하여 클럭을 처리하게되면 각 채널의 정에지와 부에지에서 모두 동일한 데이터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출력되는 데이터와 클록의 위상관계를 제어하기위한 제어신호는 필요하지 않게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비트 니킹블록을 구비한 비트니킹블록부에 먹스와 클럭수단을 구비하여 다수의 비트니킹블록부의 신호들을 멀티플렉싱하므로써, 각각의 비트니킹블록부로부터 역다중화되는 PDH신호의 라인포트수가 상당히 줄어들므로 그에 따라 전송시스템의 공간설계성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PDH 데이터의 라인수가 역다중화방향으로 저감되는만큼 칩으로 구현되는 시스템의 핀수도 상당히 줄어들므로 그에 따라 SDH 전송장치의 제조비용도 상당히 저감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PDH신호를 역다중화처리하고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비트니킹블록부와, 상기 비트니킹블록부에 각각 연결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광신호 직렬데이터중에서 일정 클럭과 병렬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추출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추출처리부로부터 출력된 클럭신호와 병렬데이터를 이용하여 STM-1신호를 순차적으로 역다중화 처리한 다음 각각의 84채널별 제어클럭 및 데이터신호를 각각의 비트니킹블록으로 출력하는 SDH 프로세서와, 상기 데이터 추출처리부의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설정된 위상의 클럭신호로 생성하고 서로 다른 위상에서 데이터를 읽어가도록 먹스 어드레스신호(muxad)를 생성하는 먹스어드레스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스어드레스부는 데이터 추출처리부의 클럭신호를 4분주하여 6M클럭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스어드레스부는 데이터 추출처리부의 시스템 클럭신호를 4분주하여 출력하고 먹스부의 먹스 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먹스 어드레스생성기와, 상기 먹스 어드레스생성기에 의해 4분주된 6M 클럭신호를 각각 직렬쉬프트하여 다수의 비트-니킹블록이 서로 다른 타이밍을 갖도록 하는 4위상의 6 M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제1 내지 제4 래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디에이취전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래치부는 D 플립플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니킹블록부는 각 채널별 데이터 입력신호와 독립적인 제어신호 시스템클럭을 사용하여 실제 T1/E1 데이터(rxdt) 및 클럭(rck)을 재생하는 N개의 비트 니킹블록과, 상기 N개의 비트 니킹블록의 데이터출력단(rxdt[0~3])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먹스어드레스부의 먹스어드레스신호(muxad)에 따라 비트 니킹블록의 데이트를 멀티플렉싱하여 출력하는 먹스부와, 상기 먹스부에 의해 다중화된 데이터신호를 안정화시키기위해 시스템 클럭신호로 래치시키는 래치와, 상기 비트 니킹블록의 각 클럭단에 복수개 연결되어 각 채널의 클럭신호를 시스템클럭신호로 정에지(rising-edge)와 부에지(falling-edge)에서 각각 래치시켜주는 복수개의 클럭위상 래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D플립플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위상 래치부는 비트-니킹블록의 각 클럭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클럭신호로 클럭의 정에지에서 래치하여 출력하는 제1-4 정래치부와, 상기 비트-니킹블록의 각 클럭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시스템클럭신호로 클럭의 부에지에서 래치하여 출력하는 제1-4 부래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4 정래치부와 제1-4 부래치부는 D 플립플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
KR10-2002-0064141A 2002-10-21 2002-10-21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60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141A KR100460514B1 (ko) 2002-10-21 2002-10-21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141A KR100460514B1 (ko) 2002-10-21 2002-10-21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083A KR20040034083A (ko) 2004-04-28
KR100460514B1 true KR100460514B1 (ko) 2004-12-08

Family

ID=3733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1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60514B1 (ko) 2002-10-21 2002-10-21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5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67985B (zh) * 2005-03-24 2010-09-29 Ut斯达康通讯有限公司 Sdh/sonet未装载插入方法及设备
US8670504B2 (en) 2006-12-19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Beamspace-time coding based on channel quality feedbac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2150A (ja) * 1991-07-10 1993-09-28 Gpt Ltd Sdhデータ伝送タイミング
KR19980046391A (ko) * 1996-12-12 1998-09-15 양승택 10g 동기식 중계기의 다중화 방식 및 그 장치
KR19990042437A (ko) * 1997-11-26 1999-06-15 이계철 동기식 전송 모듈-64 재생 중계기
KR19990050542A (ko) * 1997-12-17 1999-07-05 이계철 광전송 장치간의 신호 접속 장치
KR20010003166A (ko) * 1999-06-21 2001-01-15 서평원 디지털 위상동기루프를 이용한 브이씨12 디맵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2150A (ja) * 1991-07-10 1993-09-28 Gpt Ltd Sdhデータ伝送タイミング
KR19980046391A (ko) * 1996-12-12 1998-09-15 양승택 10g 동기식 중계기의 다중화 방식 및 그 장치
KR19990042437A (ko) * 1997-11-26 1999-06-15 이계철 동기식 전송 모듈-64 재생 중계기
KR19990050542A (ko) * 1997-12-17 1999-07-05 이계철 광전송 장치간의 신호 접속 장치
KR20010003166A (ko) * 1999-06-21 2001-01-15 서평원 디지털 위상동기루프를 이용한 브이씨12 디맵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083A (ko)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0835A2 (en) SDH Rejustification
EP0216456A2 (en) Multiplex structure
WO2001010092A1 (en) Flexible time division multiplexed bus using sonet formatting
JPH05183530A (ja) 同期ペイロードポインタ処理方式
US201002659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xing PDH and Packet Data
JP3974855B2 (ja) データ伝送装置
US575780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a signal in a time division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US5511077A (en) Frame transmission system
KR100460514B1 (ko) 에스디에이취 전송장치
US7394831B2 (en) Method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JP3298353B2 (ja) 同期信号源選択方式
KR100271311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관리단위신호에 대한 관리단위 포인터및 계위단위 포인터 처리장치
KR100397644B1 (ko) 에스디에이치방식의 브이씨 매핑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367520B2 (ja) 多重伝送装置、多重伝送方法及び多重伝送制御用ソフトウェアを記録した記憶媒体
KR100399413B1 (ko) 동기식 디지털 계위 전송 시스템의 고계위 신호 연결 장치
KR100313141B1 (ko) 다중화전송회로
KR100439216B1 (ko) 동기식 전송시스템의 채널 스위치의 읽기/쓰기 어드레스생성장치 및 그 방법
KR100263382B1 (ko) 광 가입자 전송장치에 있어서의 tsi기능을 위한 tu 포인터및 au 포인터 정렬 장치
JP3264212B2 (ja) リング型ネットワーク
KR0152724B1 (ko) E1-ds3 다중/역다중 장치
KR20000026042A (ko) 고속데이터 전송장치에 구비되는 선입력선출력메모리를 이용한데이터 다중화/역다중화 회로
KR100452514B1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기 디에스3급 듀얼모드 회선망 정합장치
KR100292200B1 (ko) 비동기식 전송모드교환기의 프레임데이터 출력장치
JPH08321843A (ja) リング型ネットワーク
JPS5816772B2 (ja) 同期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