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57453B1 - 횡편기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453B1
KR100457453B1 KR10-1999-0057716A KR19990057716A KR100457453B1 KR 100457453 B1 KR100457453 B1 KR 100457453B1 KR 19990057716 A KR19990057716 A KR 19990057716A KR 100457453 B1 KR100457453 B1 KR 100457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hook
terminal
yarn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8141A (ko
Inventor
모리타도시아키
이코마겐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4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1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narrowing or widening to produce fully-fashioned go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단 편사 삽입장치(末端 編絲 揷入裝置)의 말단 편사 훅을 필요할 때에만 작동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트릭 갭 근방, 또는 급사구나 편침 등의 편성부재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로 후퇴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말단 편사 삽입장치는 가이드 레일과, 말단 편사 훅을 구비하는 말단 편사 삽입부와, 말단 편사 훅을 니들 베드상의 X축, Y축 방향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제어하는 제1제어부, 제2제어부로 구성함과 아울러 가이드 레일상을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또한 기반에 형성된 축지부(軸支部)에 지지되고, 이송사(移送絲)와 결합하는 훅부를 구비하는 말단 편사 훅과, 압력부를 구비하는 말단 편사 훅 누름쇠가 각각 겹쳐진 상태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말단 편사 훅과 말단 편사 훅 누름쇠 각각을 상기 제2제어부에 연동(連動)하게 하여 후퇴위치와 하강위치 사이를 회전하도록 형성한다.

Description

횡편기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END YARN INSERTING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 베드(needle bed)를 대향시켜 설치한 장갑 편성기나 양말 편성기 등의 횡편기에 있어서, 상기 횡편기의 이송사 등에서의 남는 부분을 삽입시키는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장갑을 편성할 경우에, 우선 니들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급사구로부터 니들 베드상의 새끼 손가락부를 편성하는 편침에 편사를 공급하여 새끼 손가락 삽입부를 편성한 후에 계속해서 약지, 중지, 검지를 편성하는 편침에 편사를 공급하여 각 손가락 삽입부를 순서대로 편성한다. 그 후 손가락 인접부분의 편성과 거기에 계속되는 엄지 손가락 삽입부를 편성한 후에 손목 인접부분과 손목을 편성함으로써 완성된다.
각각의 손가락에 있어서, 손가락 선단을 편성 시점으로 하여 기단측(基端側)의 손가락이 갈라지는 부분을 향하여 적절한 길이의 손가락 삽입부가 편성된다. 이 편성을 각 손가락별로 편성하면 각 손가락 기단부와 다음에 편성되는 손가락 삽입부의 선단부 사이에 이송사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장갑 편성기에는 장갑을 편성하는 중에 이들 이송사를 절단됨과 아울러 파지(把持)하기 위한 이송사 절단 파지장치와 절단된 이송사의 끝 부분을 손가락 삽입부 안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말단 편사 삽입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장갑을 편성한 후의 뒷처리가 필요없다.
상기 이송사의 처리에 관하여 본 출원인은 전에 일본국 공개특허 특공소 53-1863호 공보, 동 특공소 53-1864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과 장치를 발명했다.
이들은 먼저 편성된 손가락 삽입부의 기단부 내를 통과하여 그 손가락 삽입부 밖으로 인출된 이송사 부분을 다음 손가락 삽입부가 편성되는 편침의 작용위치 아래의 트릭 갭(trick gap) 안으로 끌어들이고, 상기 이송사를 다음 손가락 삽입부의 편성이 시작되는 측단에 위치시킨 말단 편사 훅에 건 상태에서 다음 손가락 삽입부의 손가락 선단부분을 편성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손가락 선단부를 단일 또는 여러 코스 편성하는 동안에 상기 이송사를 먼저 편성한 손가락 삽입부 이외의 손가락 삽입부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절단하고, 손가락 선단부를 단일 또는 여러 코스 편성할 때에 상기 말단 편사 훅을 트릭 갭의 상방 위치에서 급사구와 함께 먼저 편성된 손가락 삽입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손가락 선단부에서 생긴 손가락 선단측의 편사 끝 부분을 말단 편사 훅으로 유도하여 편성 도중에 있는 손가락 삽입부 안으로 삽입시키거나 혹은 급사구에 의하여 공급되는 편사와 함께 편성하여 손가락 선단부에 편입되도록 함으로써 장갑편성이 다 완료된 상태에서 이송사가 장갑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특공소 53-1863호 공보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손가락 선단부에서 생긴 편사의 끝 부분을 말단 편사 훅으로 유도하여 편성 도중에 있는 손가락부 안으로 삽입시키기 위하여 말단 편사 훅의 위치는 급사구의 선단보다도 아래쪽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특공소 53-1864호 공보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손가락 선단부에서 생긴 편사 끝 부분을 급사구에 의하여 공급되는 편사와 함께 손가락 선단부에 편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보와 마찬가지로 급사구의 선단보다도 아래쪽에 설정된 말단 편사 훅이 이동하는 동안만 급사구의 선단과 같은 높이까지 상승하여 변위될 수 있도록 편사 훅이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말단 편사 훅이 항시 니들 베드의 간극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말단 편사 훅이 이동할 때에 말단 편사 훅에 의하여 편침과 결합되는 스티치가 걸리게 되어 장갑이 손상되는 일이 발생한다. 또한 니들 베드의 간극의 바로 위는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급사구, 쇄모(刷毛) 등의 편성부재가 왕복이동하는 공간이므로, 그 공간에 말단 편사 훅이 항상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편성부재의 왕복이동에 방해가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것은 복수의 급사구가 설치되는 횡편기인 경우에 특히 문제가 된다. 또한 편성 중에 파손된 편침이 캐리지의 조작 캠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후퇴되지 않은 채 니들 베드상에 남아 있는 경우에는 이동되는 말단 편사 훅이 편침과 충돌하게 되어 파손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필요할 때에만 말단 편사 훅을 작동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후퇴위치로 후퇴시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릭 갭 근방, 또는 급사구나 편침 등의 편성부재의 통과궤적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말단 편사 훅을 후퇴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편성조건에 맞추어 말단 편사의 처리과정을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실시예에 있어서 장갑 편성용 횡편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2는 횡편기의 측면도,
도3은 말단 편사 삽입장치(末端 編絲 揷入裝置)의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말단 편사 삽입부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도4에 나타내는 기반을 V - V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6은 말단 편사 삽입부의 말단 편사 훅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의 선단에 형성된 훅부(hook部) 및 압력부가 편성영역으로부터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말단 편사 훅 누름쇠의 압력부가 말단 편사 훅의 훅부를 하강시켜, 훅부와 압력부 사이가 이간된 상태(오픈)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말단 편사 훅의 훅부가 상승하여 압력부와 닿은 상태(클로즈)를나타내는 도면,
도9는 말단 편사 삽입장치를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으로서 말단 편사 훅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의 선단에 형성된 훅부 및 압력부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며, 실선은 후퇴위치를 나타내고 파선은 포착위치 및 중간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본 실시예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에 의한 장갑 편성에 있어서 말단 편사 처리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9 : 니들 베드(needle bed) 30 : 말단 편사 삽입장치
31 : 지지 브래킷(支持 bracket) 33 : 가이드 레일(guide rail)
35 : 말단 편사 훅 41 : 제1제어부
43 : 제2제어부 47, 57 : 구동 모터
49, 59 : 모터축 51 : 피니언(pinion)
53 : 래크(rack) 61 : 크랭크축(crank軸)
63 : 제1레버(第1lever) 67 : 링크(link)
69 : 제2레버(第2lever) 81 : 기반(基盤)
127 : 훅부(hook部) 135 : 싱커(sinker)
147 : 압력부 157a : 이송사(말단 편사)
니들 베드의 좌우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에 양단이 지지되며 니들 베드상에서 니들 베드를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상을 자유자재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말단 편사 훅을 구비하는 말단 편사 삽입부와, 상기 말단 편사 삽입부를 니들 베드상의 임의의 위치이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말단 편사 훅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로 구성된 횡편기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말단 편사 삽입부는 이송사와 결합되는 훅부를 구비하는 말단 편사 훅과, 상기 훅부와 결합된 이송사를 누르는 압력부를 구비하는 말단 편사 훅 누름쇠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말단 편사 훅과 상기 말단 편사 훅 누름쇠는 가이드 레일상을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기반에 형성된 축지부에 지지되고, 또한 각각 겹쳐져 있는 상태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제2제어부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말단 편사 훅과 말단 편사 훅 누름쇠가 후퇴위치와 하강위치 사이를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는 가이드 레일의 측방에 형성된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의 회전구동을 왕복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부의 일단에 연결된 말단 편사 삽입부를 니들 베드상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형성된 왕복이동 변환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가이드 레일의 측방에 형성된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의 회전구동을 상하이동으로 변환시키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형성된 상하이동 변환수단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제어부의 왕복이동 변환수단은 모터축에 장착된 피니언과, 그 피니언과 맞물려 가이드 레일의 상면을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래크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2제어부의 상하이동 변환수단은 모터축에 형성된 크랭크축(crank軸)과, 그 크랭크축에 지지되어 있는 제1레버와, 링크(link)를 통하여 가이드 레일상에 지지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제1레버와 연결되는 제2레버로 구성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횡편기에서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횡편기로서 장갑 편성기의 개략 정면도, 도2는 그 측면도, 도3은 장갑 편성기에 설치된 말단 편사 삽입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 장갑 편성기(1)에는 좌우로 형성된 기대(機臺)(3)에 걸쳐있는 산모양의 지지대(5)에 다수의 편침(7)이 자유자재로 진퇴할 수 있도록 수납되어 있는 전후 한 쌍의 니들 베드(9f, 9b)가 각 니들 베드의 트릭 갭부(11)에서 근접되어 측면에서 볼 때에 "ㅅ"자형으로 배치되고, 각 니들 베드(9f, 9b)의 상면부분에는 편침(7)을 진퇴조작하는 캐리지(13f, 13b)가 캐리지 레일(15f, 15b)에 의하여 인도되고, 상기 캐리지(13)는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캐리지 레일(15)을 따라 니들 베드상을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어 장갑을 편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각 니들 베드(9) 상방에는 좌우에 형성된 지지 브래킷(支持 bracket)(31r, 31l, 32r, 32l)에 얀 가이드 레일(yarn guide rail)(17f, 17b)이 각각 지지되어 있으며 이들 얀 가이드 레일(17)에 복수의 급사구(19f, 19b)가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장갑 편성기(1)에는 알려진 바와 같이 양 니들 베드의 간극의 아래에 니들 베드(9f, 9b)의 폭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이송사 절단 파지장치(2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이송사 절단 파지장치(21)는 각 손가락을 편성할 때에 손가락 삽입부의 기단부와 다음에 편성되는 손가락 선단 사이에 생기는 이송사(移送絲)를 절단하여 파지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말단 편사 삽입장치(30)는 대략 뒷 니들 베드(9b)상을 가로질러 설치된 가이드 레일(33)과, 말단 편사 훅(35)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를 구비하는 말단 편사 삽입부(39)와, 그 말단 편사 삽입부(39)를 왕복 이동시켜 니들 베드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부(41)와, 말단 편사 훅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부(43)로 구성된다. 가이드 레일(33)은 그 양단이 상기 얀 가이드 레일(17b)과 마찬가지로 지지 브래킷(31r, 31l)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제어부(41)는 가이드 레일(33)을 지지하는 우측의 지지 브래킷(31r)에 모터 부착대(45)를 통하여 부착된 펄스 모터(pulse motor) 등과 같은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구동 모터(47)와, 모터의 회전구동을 말단 편사 삽입부(39)의 왕복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왕복이동 변환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동 변환수단은 구동 모터(47)의 모터축(49)에 부착된 피니언(pinion)(51)과, 그 피니언(51)에 맞물려 가이드 레일 상면부(33a)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래크(rack)(53)로구성된다. 말단 편사 삽입부(39)는 래크(53)의 좌측단에 장착되어 있고, 구동 모터(47)의 구동에 의하여 모터축(49)을 회전구동함으로써 래크(53)가 가이드 레일(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여 말단 편사 삽입부(39)를 니들 베드상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제2제어부(43)는 가이드 레일(33)을 지지하는 좌측의 지지 브래킷(31l)에 모터 부착대(55)를 통하여 장착된 펄스 모터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 모터(57)와, 구동 모터(57)의 회전구동을 말단 편사 삽입부(39)에 형성한 말단 편사 훅(35)의 훅부(127)와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의 압력부(147)의 상하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상하이동 변환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 변환수단은 구동 모터(57)의 모터축(59)에 형성된 크랭크축(crank軸)(61)과, 그 크랭크축(61)에 축지되어 있는 제1레버(63)와, 가이드 레일 앞면부(33b)에 일단이 고정나사(65, 65)에 의하여 지지된 링크(67, 67)와, 그 링크(67, 67)의 타단에 지지된 제2레버(69)로 구성된다. 제1레버(63)와 제2레버(69)는 각각의 측단부가 나사(70)를 축으로 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구동 모터(57)의 모터축(59)의 회전운동은 제1레버(63)의 왕복이동으로 변환된 후에 링크기구를 통하여 제2레버(69)를 가이드 레일(33)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킨다. 후술하는 제2레버(69)의 상면(69a)은 말단 편사 삽입부(39)에 형성된 말단 편사 훅(35)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롤러(71)의 전동면(轉動面)이 되고, 구동 모터(57)에 의하여 제2레버(69)를 상하방향으로변위시킴으로써 말단 편사 훅(35)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제어한다.
다음에 말단 편사 삽입부(39)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는 말단 편사 삽입부(39)를 구성하는 중요부품을 나타낸다. 도5는 도4의 기반(基盤)(81)에 있어서 V - V선 화살표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6 ∼ 도8은 가이드 레일(33)에 지지되어 있는 말단 편사 삽입부(39)를 나타낸다. 도6은 말단 편사 삽입부의 말단 편사 훅(35)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의 선단에 형성된 훅부(127) 및 압력부(147)가 니들 베드의 간격의 바로 위의 편성영역으로부터 후퇴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7은 훅부(127) 및 압력부(147)가 하강하여 훅부(127)와 압력부(147)가 이간된 상태(오픈(open))를 나타낸다. 도8은 말단 편사 훅(35)의 훅부(127)가 상승하여 압력부(147)와 닿은 상태(클로즈(close))를 나타낸다.
기반(81)은 가이드 레일(33)과 대향하는 면에 오목부(85)를 형성하여 측면에서 볼 때 대략 "ㄷ"자형을 이루고 있다. 오목부(85)는 얕은 오목부(85a)와 깊은 오목부(85b)로 구성되며, 얕은 오목부(85a)를 지지면으로 하여 가이드 레일(33)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고, 깊은 오목부(85b)에 상기 제2제어부(43)의 제2레버(69)를 관통시킨다. 기반(81)의 뒷면에는 지지 플레이트(87)가 부착되어 있어 기반(81)이 가이드 레일(33)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기반(81) 상면에 형성된 연결 플레이트(89)로 기반(81)과 래크(53)를 연결한다. 기반(81) 앞면의 우측부에말단 편사 훅 홀더(83), 말단 편사 훅(35),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의 회전지점이 되는 축지부(투공(透孔))(91)가 형성된다. 기반 중앙의 앞면에 형성된 개구(93)는 깊은 오목부(85b)를 통하여 후술하는 말단 편사 훅 홀더(83)의 제어 롤러(71)가 기반내를 관통하는 제2레버(69)의 상면에 배치되도록 한다. 95는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의 하방위치를 제한하는 스톱퍼 핀(stopper pin)을 나타내고, 97은 말단 편사 훅 홀더(83)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99)의 결합 핀을 나타낸다. 101, 103은 기반 앞면을 원호상으로 절삭시킨 오목부를 각각 나타낸다. 기반(81)의 좌하단에 형성된 핀(88)은 편심 핀으로서, 말단 편사 훅(35)의 하방으로의 회전량이 소정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말단 편사 훅(35)에 형성된 결합면(138)과 접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편심 핀(88)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훅부(127)의 하강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말단 편사 훅 홀더(83)는 대략 "ㄷ"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축지용의 관통구멍(105)을 구비하는 본체부(107)와 상하로 형성된 암(arm)(109, 111)의 안쪽을 따라 절삭되어 말단 편사 훅(35)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를 수용하는 수용부(113)가 형성된다. 또한 말단 편사 훅 홀더(83)의 상부 암(109)의 선단부에는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는 제어 롤러(71)가 장착된다. 115는 본체부(107)의 우상단부에 형성된 스프링 결합부를 나타내고, 117은 후술하는 나선형 스프링(119)의 결합부를 나타낸다.
상기 수용부(113)에 말단 편사 훅(35),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의 순으로 수용하고, 각각에 형성된 관통구멍(121, 123)에 고정나사(125)를 관통시켜 기반(81)의 축지부(91)에 자유자재로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시킨다. 스프링(99)은 스프링 결합부(115)와 기반(81)상의 결합 핀(97)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축지부(91)를 중심으로 암의 선단에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제어 롤러(71)를 항시 제2레버(69)의 상면(69a)에 닿게 한다. 그리고 제2제어부(43)의 구동 모터(57)를 구동시켜 제2레버(69)를 상하로 변위시키면, 말단 편사 훅 홀더(83) 및 그 수용부(113)에 수용된 말단 편사 훅(35)과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말단 편사 훅(35)은 박판상의 플레이트 재료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사각형의 투공(124)을 구비하고, 일단에 축지용의 투공(121)을 구비하며 타단에 훅부(127)를 구비한다. 136은 말단 편사 훅(35)을 말단 편사 훅 홀더(83)에 적재시킨 상태에서 그 선단측을 기반(81)에 닿게 하기 위한 절곡부(折曲部)를 나타낸다. 129는 아래로 회전할 때에 기반(81)에 형성된 스톱퍼 핀(95)에 방해받지 않게 하기 위한 홈을 나타내고, 138은 기반(81)에 형성된 편심 핀(88)과의 접합면을 나타낸다. 132는 롤러 부착부로서, 기반(81)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롤러(131)를 부착대(132)에 형성된 핀(134)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한다. 롤러(131)는 말단 편사 훅(35)을 기반상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기반(81) 앞면에 접촉시키고, 말단 편사 훅(35)이 상승한 후퇴위치에서는 롤러(131)가 기반(81)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101) 안에 삽입되고, 말단 편사 훅(35)이 하강할 때의 롤러(131)는 상기 오목부(101)로부터 빠져 나와 하부에 형성된 오목부(103)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퇴위치는 앞 니들 베드(9f)의 편침(7)의 진퇴궤적으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진 위치로서 편침(7)이나 급사구(19)에 방해되지 않는다.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는 본체부(137), 압력 플레이트(139), 본체부(137)와 압력 플레이트(139) 사이에 형성된 코일 스프링(141)으로 구성된다. 본체부(137)는 축지용 투공(123)과 압력 플레이트(139)를 지지하는 축지부(143)를 구비하고, 압력 플레이트(139)는 지지 핀(144)에 축지됨과 아울러 코일 스프링(141)에 의하여 말단 편사 훅(35)에 닿는다. 119는 일단이 말단 편사 훅 홀더(83)의 스프링 결합부(117)와 결합되고 타단이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의 스프링 관통구멍(145)과 결합되는 나선형 스프링으로서, 압력 플레이트(139) 선단의 압력부(147)를 말단 편사 훅(35)의 훅부(127)에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갑 편성기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30)에 있어서의 장갑 편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갑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니들 베드(9)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급사구(19)로부터 니들 베드(9)상의 편침(7)으로 편사가 공급되어, 새끼 손가락에서 검지까지의 네 손가락 삽입부(도시하지 않음)가 손가락 선단으로부터 손가락이 갈라지는 부분을 향하여 편성된 후에 손가락 인접부분의 편성이 이루어지고, 다음에 엄지 손가락의 편성이 그 밖의 네 손가락 삽입부와 마찬가지로 손가락 선단으로부터 손가락이 갈라지는 부분을 향하여 편성된 후에 여기에 계속되는 손목 인접부분과 손목의 편성을 거쳐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손가락부가 편성될 때마다 우선 손가락이 갈라지는 부분으로부터 급사구로 연장되는 이송사를 이송사 절단 파지장치(21)(도1)의 훅으로 포착하여 급사구측으로 연장하는 편사의 끝 부분을 파지하여 절단하여 다음 장갑편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의 방법은 새끼 손가락 삽입부 편성으로부터 다음의 약지 삽입부 편성이 개시되는 예를 도10과 함께 설명한다. 손가락 삽입부가 편성되는 동안 말단 편사 삽입장치(30)의 말단 편사 훅(35)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는 상승한 후퇴위치에 있다. 도9는 말단 편사 훅(35)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의 선단에 형성된 훅부(127) 및 압력부(147)를 측면에서 볼 때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것이며, 실선이 후퇴위치를 나타내고 파선이 포착위치 및 중간위치를 나타낸다.
캐리지(13)에 의하여 진퇴조작되는 전후 니들 베드(9f, 9b)의 편침(7)에 급사구(19)로부터 시계방향(예를 들면, 앞 니들 베드에서는 좌에서 우로, 뒷 니들 베드에서는 우에서 좌로)으로 편사(157)를 공급하여 새끼 손가락(155)의 삽입부(155a)를 손가락 선단(155b)으로부터 손가락이 갈라지는 부분 (155c)까지 편성한다. 뒷 니들 베드에서 새끼 손가락(155) 삽입부의 코스편성이 끝나면 급사구(19)를 약지가 편성되는 구간(P)의 좌측으로 이동시킨다(도10a). 이 상태에서 니들 베드(9)의 아래에 설치된 이송사 절단 파지장치(21)를 작동시켜 그 훅(160)을 상승시키고, 새끼 손가락(155) 삽입부의 마지막 스티치 루프와 결합하는 뒷 니들 베드의 편침(7n)과 급사구(19) 사이에 연장하는 이송사(157a)을 훅(160)으로 포착하여 하강시키고 절단하여 유지시킨다(도10b). 이송사의 절단에 의하여 새끼 손가락으로부터 연장하는 이송사 부분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새끼 손가락(155) 삽입부 안으로 삽입된다.
다음에 말단 편사 삽입장치(30)의 구동 모터(47)를 작동시켜 말단 편사 삽입부(39)에 설치된 말단 편사 훅(35)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를 약지가 편성되는 구간(P)의 편침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하는 동안에는 제2제어부(43)의 구동 모터(57)가 구동되지 않으므로 말단 편사 훅(35)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는 후퇴위치를 유지한다(도10c, 도6의 상태).
말단 편사 훅(35)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의 이동이 완료되면, 구동 모터(57)를 구동시켜서 제2레버(69)를 아래쪽으로 변위시키고 훅부(127)와 압력부(147)를 하강시킨다(포착위치). 이 포착위치에 있어서의 훅부(127)는 급사구(19)의 선단부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한다(도10d, 도7의 상태).
말단 편사 훅(35)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가 후퇴위치로부터 포착위치까지 회전한다. 이 때 말단 편사 훅 홀더(83)와 함께 말단 편사 훅(35)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가 같이 회전하지만,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는 기반(81)에 형성된 스톱퍼 핀(95)에 닿아 멈추고 말단 편사 훅(35)은 더 회전하여 이동됨으로써 훅부(127)와 압력부(147) 사이가 이간된다. 이 동안에 니들 베드의 간극의 아래에서 편사의 끝 부분을 유지하고 있는 이송사 절단 파지장치(21)의 훅(160)을 약지가 편성되는 구간(P)의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 급사구(19)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약지를 편성하는 편침에 편사(157)를 공급하여 그 약지(161)를 편성하기 시작한다. 상기 급사구(19)의 이동에 의하여 니들 베드의 간극의 아래에 있는 이송사 절단 파지장치(21)의 훅(160)으로부터 급사구(19)에 연장되어 있는 이송사(157a)은 이간된 상태에 있는 말단 편사 훅(35)의 훅부(127)와 압력부(147) 사이로 인도되어 훅부(127)에 휘감긴다(도10e, 도7의 상태).
그리고 이송사 절단 파지장치(21)를 작동시켜 이송사(157a)을 훅(160)으로부터 해방시킴과 동시에 구동 모터(57)를 구동시켜 제2레버(69)를 상승시켜 변위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말단 편사 훅 홀더(8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우선 말단 편사 훅(35)이 상승하여 이송사 절단 파지장치(21)의 훅(160)으로부터 방금 이탈된 이송사(157a)을 훅부(127)와 압력부(147)로 협지하고(도8의 상태), 말단 편사 훅 홀더(83)가 더 많이 회전함으로써 이송사(157a)을 협지한 채 상승하여 편침의 진퇴궤적으로부터 떨어진 후방의 후퇴위치로 인도된다(도10f, 도6의 상태). 후퇴위치를 상기 위치로 함으로써 회전 스트로크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급사구(19)나 편침(7)에 방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송사(157a)을 확실하게 훅부(127)와 압력부(147)로 협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퇴위치로 회전할 때에 이송사(157a)이 연직방향(鉛直方向)으로 향하도록 X축 방향의 구동 모터(47)를 구동제어하여 말단 편사 삽입부(39)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후술하는 도10h에서 이송사를 손가락 삽입부에 삽입시킬 때에 이송사에 헐거움이 발생하지 않아 보다 확실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약지(161)의 손가락 선단이 여러 코스로 편성되어 급사구(19)가 손가락 삽입부의 좌측으로 이동된 후(도10g), 말단 편사 훅(35)의 훅부(127)가 도10h에 나타내는 궤적(파선부)을 그리듯이 제1제어부(41) 및 제2제어부(43)의 각 구동 모터(47, 57)를 구동시켜 말단 편사 훅(35)과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로 협지된 이송사(157a)을 손가락 삽입부 안으로 삽입시킨다. 그 후 말단 편사 훅(35)과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를 다시 후퇴위치로 후퇴시킴과 아울러 말단 편사 삽입부(39)가 손가락 삽입부를 초과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상기 이송사(157a)의 삽입에 연속하여 급사구(19)에 의하여 약지(161)가 편성된다(도10i).
또한 구동 모터(47, 57)의 출력 타이밍을 변경함으로써 말단 편사 훅(35)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이동궤적을 임의로 변경하여 편성조건에 따라 말단 편사의 삽입방법을 변경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새끼 손가락과 약지 사이에 생기는 이송사를 처리하기 위하여 말단 편사 훅을 1회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여기에서는 새끼 손가락측으로 연장하는 이송사를 이송사 절단 파지장치에 의하여 절단되는 처리에 대해서도 말단 편사 훅이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다.
여기에 대하여 먼저 나타낸 도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편사를 시계방향으로 공급하여 새끼 손가락(155)의 삽입부(155a)를 편성한다. 새끼 손가락(155)의 편성은 마지막에 형성되는 스티치 루프가 앞니들 베드의 좌단측 혹은 뒷 니들 베드의 좌단측의 편침으로 편성되도록 구성한다. 새끼 손가락의 편성이 끝나기 전에 말단 편사 훅(35)이 새끼 손가락(155) 좌측의 포착위치에 세트되도록 X축, Y축의 각 구동 모터(47, 57)를 구동하여 말단 편사 삽입부(39)를 이동시킨다. 다음에 새끼 손가락(155)의 편성이 끝난 급사구(19)를 약지의 좌측까지 이동시킨다. 이 급사구(19)가 말단 편사 훅(35)을 넘어 이동할 때에 이송사를 말단 편사 훅(35)의 훅부(127)와 압력부(147) 사이로 진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이송사 절단 파지장치(21)를 작동시켜 이송사(157)을 훅(160)으로 절단하여 파지함과 아울러 말단 편사 훅을 포착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회전시키도록 하여 새끼 손가락으로부터 이송사 절단 파지장치(21)의 훅(160)으로 연장되어 있는 이송사 부분을 말단 편사 훅(35)과 말단 편사 훅 누름쇠(37)로 파지한다. 그리고 도10h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말단 편사 훅(35)이 새끼 손가락(155)에 대하여 궤적을 그리도록 각 구동 모터(47, 57)를 구동시켜 말단 편사 훅(35)으로 파지되어 있는 이송사를 새끼 손가락 안으로 삽입시킨다.
그 후 도10c의 상태가 되도록 말단 편사 삽입부(39)를 이동시킨 후에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10d ∼ 도10i의 공정을 실시하여 이송사 절단 파지장치(21)로부터 급사구(19)에 연장되는 이송사(157a)을 약지(161) 삽입부 안으로 삽입시킨다.
다음은 말단 편사 삽입 방법의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한 도10h, 도10i 대신에 말단 편사 훅(35)의 훅부(127)를 급사구(19)와 같은 높이로 하강시킴과 아울러 급사구(19)에 대하여 약간 선행시킨 상태로 급사구(19)와 함께 말단 편사 삽입부(39)가 이동하도록 제1제어부(41)와 제2제어부(43) 각각의 구동 모터(47, 57)를 제어시키면, 말단 편사 훅(35)과 결합한 이송사(157a)과 급사구(19)의 편사(157)가 서로 평행한 상태가 되어 손가락 선단의 스티치 루프 코스 안으로 편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말단 편사 훅의 X축, Y축 방향의 구동제어를 펄스 모터 등의 구동 모터로하였으나, 이들 대신에 리니어 모터(linear motor), 에어 실린더 등의 다른 구동수단으로 하여도 무방한 본 발명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제어부는 가이드 레일상에 지지된 말단 편사 삽입부를 X축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다. 이 가이드 레일 측방향에 설치된 구동 모터가 회전구동을 왕복이동으로 변환시켜 일단에 말단 편사 삽입부가 연결된 전달부(傳達部)를 왕복이동시킨다. X축 방향의 모터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면 말단 편사 삽입부를 편성에 따라서 니들 베드상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왕복이동 변환수단을 모터축에 장착된 피니언과 가이드 레일 상면을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래크로 구성하고, 래크의 일단에 말단 편사 삽입부를 장착하면 모터의 회전구동이 래크의 왕복이동으로 변환되어 말단 편사 삽입부를 니들 베드상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제어부는 가이드 레일상에 지지된 말단 편사 삽입부의 말단 편사 훅을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가이드 레일 측방향에 설치된 구동 모터의 회전구동이 상하이동 변환수단에 의하여 변환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형성된 전달부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이 상하이동 변환수단을 모터축에 형성된 크랭크축, 제1레버, 링크, 제2레버로 구성하면 모터의 회전구동은 크랭크축을 회전시켜 제1레버를 왕복이동시키고 이 왕복이동을 링크를 통하여 가이드 레일상에 지지된 제2레버에 전달하여 제2레버를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상기 제2제어부에 있어서, 제2레버의 상하이동은 말단 편사 삽입부에 겹쳐져 있는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말단 편사 훅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에 전달되고, 제2레버가 상승하면 말단 편사 훅 및 말단 편사 훅 누름쇠는 회전하여 후퇴위치로 오게 되고 제2레버가 하강하면 포착위치로 회전한다. 이렇게 하여 트릭 갭 근방, 또는 급사구나 편침 등의 편성 부재의 통과궤적으로부터 떨어진 후퇴위치에서 편성영역내의 트릭 갭 바로 위의 포착위치로 회전되거나 혹은 그 반대로 회전된다.
장갑 편성의 경우와 같이 각 손가락 삽입부 사이에 생기는 이송사 처리가 필요한 때에만 말단 편사 훅의 X축방향, Y축방향의 위치를 제어하는 모터를 구동시켜 후퇴위치로 후퇴시킨 말단 편사 삽입부의 말단 편사 훅을 편성영역내로 작동시키고 말단 편사 훅에 이송사를 유지시킨 후 이송사를 손가락 삽입부 내로 삽입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말단 편사 훅과 편침, 급사구, 쇄모 등의 편성부재를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파손된 편침이 니들 베드 상에 남아 있는 경우라도 말단 편사 훅과의 충돌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편성조건에 맞추어 X축방향, Y축방향의 위치를 제어하는 각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말단 편사의 처리과정을 임의로 변경시킬 수있다.

Claims (4)

  1. 니들 베드(needle bed)의 좌우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支持 bracket)에 양단이 지지되며 니들 베드상에서 니들 베드를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guide rail)상을 자유자재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말단 편사 훅을 구비하는 말단 편사 삽입부와, 상기 말단 편사 삽입부를 니들 베드상의 임의의 위치이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말단 편사 훅의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로 구성된 횡편기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말단 편사 삽입부는 이송사와 결합되는 훅부(hook部)를 구비하는 말단 편사 훅과, 상기 훅부와 결합된 이송사를 누르는 압력부를 구비하는 말단 편사 훅 누름쇠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말단 편사 훅과 상기 말단 편사 훅 누름쇠는 가이드 레일상을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기반에 형성된 축지부에 지지되고, 또한 각각 겹쳐져 있는 상태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제2제어부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말단 편사 훅과 말단 편사 훅 누름쇠가 후퇴위치와 하강위치 사이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가이드 레일의 측방에 형성된 구동 모터(驅動 motor)와, 구동 모터의 회전구동을 왕복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부의 일단에 연결된 말단 편사 삽입부를 니들 베드상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형성된 왕복이동 변환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가이드 레일의 측방에 형성된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의 회전구동을 상하이동으로 변환시키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형성된 상하이동 변환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의 왕복이동 변환수단은 모터축에 장착된 피니언(pinion)과, 그 피니언과 맞물려 가이드 레일의 상면을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래크(rack)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의 상하이동 변환수단은 모터축에 형성된 크랭크축(crank軸)과, 그 크랭크축에 축지되어 있는 제1레버와, 링크(link)를 통하여 가이드 레일상에 지지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제1레버와 연결되는 제2레버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
KR10-1999-0057716A 1998-12-16 1999-12-15 횡편기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 KR100457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57158 1998-12-16
JP35715898A JP3347079B2 (ja) 1998-12-16 1998-12-16 横編機の端糸挿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141A KR20000048141A (ko) 2000-07-25
KR100457453B1 true KR100457453B1 (ko) 2004-11-17

Family

ID=1845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716A KR100457453B1 (ko) 1998-12-16 1999-12-15 횡편기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19486A (ko)
EP (1) EP1010789B1 (ko)
JP (1) JP3347079B2 (ko)
KR (1) KR100457453B1 (ko)
DE (1) DE69925975T2 (ko)
TW (1) TW4573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505B1 (ko) * 2001-08-24 2006-01-3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루프 프레서, 루프 프레서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 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 방법
EP1595989B1 (en) * 2003-02-05 2011-03-30 Shima Seiki Mfg., Ltd Stitch presser for a weft knitting machine
CN100432314C (zh) * 2003-03-07 2008-11-12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横机的给纱装置
JP4015973B2 (ja) * 2003-07-30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糸保持切断方法および装置
JP4015980B2 (ja) 2003-09-19 2007-1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端糸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4965913B2 (ja) * 2006-06-30 2012-07-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糸の退避方法および横編機
JP2008095217A (ja) 2006-10-06 2008-04-24 Shima Seiki Mfg Ltd 端糸挿入装置
JP5160760B2 (ja) * 2006-10-06 2013-03-1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端糸挿入装置
EP2123815B1 (en) * 2006-12-29 2014-06-25 Shima Seiki Mfg., Ltd Yarn end treating device for flat knitting machine
CN102454028A (zh) * 2010-10-18 2012-05-16 吴江二练亚氏印染有限责任公司 横机引纬架锁定装置
CN102094288B (zh) * 2011-03-15 2012-10-10 浙江海森纺机科技有限公司 一种全电脑手套机针板上的橡筋勾刀装置
JP7424901B2 (ja) * 2020-04-23 2024-01-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0354A (ko) * 1973-12-13 1975-08-08
JPS531864A (en) * 1976-06-29 1978-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Printed circuit board
JPH08325901A (ja) * 1995-05-24 1996-12-10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編糸切断把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27029A (en) * 1969-12-23 1973-08-15 Courtaulds Ltd Flat bed knitting machines
DE3316961C2 (de) * 1982-05-19 1985-07-11 Courtaulds Plc, London Mascheneinstreicher für eine Strickmaschine
JPH0390665A (ja) * 1989-01-06 1991-04-16 Ikenaga:Kk 横編機の柄出制御装置
DE3922513C2 (de) * 1989-07-08 1998-09-17 Stoll & Co H Einrichtung zur selektiv ansteuerbaren Mitnahme von Fadenführern an Flachstrickmaschinen
JPH07111022B2 (ja) * 1991-03-08 1995-11-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手袋および手袋編成における端縁部の処理方法
DE29500019U1 (de) * 1995-01-02 1995-02-16 Huhn, Jürgen, Dipl.-Ing. (TH), 72585 Riederich Fadenführer für eine Flachstrickmaschine, mit einem verfahrbaren Fadenführerkasten auf einem Träger, mit mindestens einem Fadenführernüßchen versehenen Fadenführerarm und wenigstens einer steuerbaren Fadenklemme je zugeführten Fad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0354A (ko) * 1973-12-13 1975-08-08
JPS531864A (en) * 1976-06-29 1978-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Printed circuit board
JPH08325901A (ja) * 1995-05-24 1996-12-10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編糸切断把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57310B (en) 2001-10-01
EP1010789A3 (en) 2002-05-02
US6119486A (en) 2000-09-19
JP3347079B2 (ja) 2002-11-20
KR20000048141A (ko) 2000-07-25
EP1010789B1 (en) 2005-06-29
DE69925975T2 (de) 2006-05-24
EP1010789A2 (en) 2000-06-21
DE69925975D1 (de) 2005-08-04
JP2000178861A (ja) 2000-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453B1 (ko) 횡편기의 말단 편사 삽입장치
JP4015978B2 (ja) 可動糸ガイド部材を備えた横編機
KR20190111889A (ko) 가로 편물기
JP5160760B2 (ja) 端糸挿入装置
KR101019428B1 (ko) 횡편기의 끝실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243957B1 (ko) 셋업장치를 구비한 횡편직기
CN213074619U (zh) 一种绳头的内塞机构及绳头内塞打结机
TWI412642B (zh)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thread blooming
KR20140106431A (ko) 재봉기
KR920008018B1 (ko) V 베드 횡편기에 있어서의 편지(編地) 프레서
KR20040036733A (ko) 루프 프레서, 루프 프레서를 구비하는 횡편기 및루프 프레서를 이용하는 편성포 편성 방법
KR100629307B1 (ko)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EP1514963B1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JP5252894B2 (ja) 自動横編機
CN210684111U (zh) 针织手套机的缝口三角和密度三角的控制装置
JP2008520845A5 (ko)
JP2004065976A (ja) 特に靴下類の爪先部又は筒状製品全般の軸方向端部の縫合を行う縫製方法、及びこの縫製方法を実施する装置
KR20180092292A (ko) 이중 박음질 재봉틀 및 짧은 공칭 초과 실 길이를 갖는 솔기 시작 바늘 실을 제조하는 방법
EP2241660B1 (en) Yarn-end treating device for flat-knitting machine
CN108796855B (zh) 产生具有目标线缝突出部的线缝起始顶线的组件和缝纫机
KR20050106570A (ko)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컷팅 및 마무리장치
JPH09279442A (ja) 編出し櫛を有する横編機
KR100374490B1 (ko) 실꿰기장치
KR200411256Y1 (ko) 장갑편직기의 편직사의 절단 마무리 처리장치
SU1280060A1 (ru) Механизм в зани плоскофанговой маш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9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2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