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55456B1 - 적외선 흡수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 Google Patents

적외선 흡수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456B1
KR100455456B1 KR10-2004-0003432A KR20040003432A KR100455456B1 KR 100455456 B1 KR100455456 B1 KR 100455456B1 KR 20040003432 A KR20040003432 A KR 20040003432A KR 100455456 B1 KR100455456 B1 KR 100455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reaction
iron oxide
manganese oxide
infrared absorp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기
김연숙
최병옥
박경진
Original Assignee
태광산업주식회사
대한화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광산업주식회사, 대한화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광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3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456B1/ko
Priority to PCT/KR2004/003379 priority patent/WO2005068531A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1One-piece elements
    • E04G17/0654One-piece elemen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05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29C49/0006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for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I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6PBT, i.e. polybutylene terephtha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용기 성형 시에 적외선 흡수효율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기제조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중합 시 변색이 되지 않으며, 분산성이 좋은 내열성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을 중합반응 전 또는 중합반응 중에 3 내지 100ppm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제조한 예비성형체의 적외선 히터 존 통과 후 적외선 흡수효율은 첨가제를 넣지 않은 것에 비하여 7%이상 향상되고, 색상, 투명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적외선 흡수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수지{Polyester resin with improved infrared absorbing properties}
본 발명은 색상이 양호하면서 적외선 흡수효율이 우수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이하 'PET'라 한다)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PET 수지에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이하 'MFO'라 한다)을 3 내지 100ppm 혼합하여 균일 분산되도록 함으로서 예비성형체를 제조 후 이를 재가열하여 브로우몰딩(blow molding)하여 용기 제조 시, 첨가제를 넣지 않은 일반 PET수지를 사용한 것 보다 적외선 흡수성능을 높여 보다 단시간에 예비성형체가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성형된 용기의 색상 및 투명성도 양호한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을 함유한 열가소성 PET수지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을 함유한 열가소성 PET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을 함유한 열가소성 PET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예비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을 함유한 열가소성 PET수지예비성형체로 제조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고,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을 함유하는 PET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PET수지는 안정성 및 우수한 강도 등의 물성을 지니고 있어 각종 탄산음료, 생수, 과즙음료용 용기 및 쉬트 등에 그 사용량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소재이다. 따라서 성형 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투명하고 색상이 우수한 수지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다.
각종 PET음료용 용기는 한 기계에서 사출한 후 수지가 완전히 고화되기 전에 고압 브로우(blow)하여 제조하는 방식과 1단계로 예비성형체(preform)를 사출하고, 2단계로 이 예비성형체를 재가열한 후 성형틀에 넣고 고압 브로우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의 방법중 생산성 및 용기 종류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2단계 방식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2단계 방식으로 성형용기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생산성을 높이는데 가장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특성은 재가열 시간의 단축에 있다. 예비성형체의 재가열은 보통 적외선 히터를 사용하므로 적외선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PET수지의 온도가 유리전이온도 이상으로 균일하고 빠르게 승온되어 연화되느냐가 중요 인자로 작용한다. 또한 성형용기의 색상, 투명도, 검은 반점, 두께의 균일성 등은 성형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요소가 된다.
종래에 PET용기 예비성형체에 대하여 적외선 가열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많은 방법들이 고안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408,004호, 제4,476,272호 및 제4,535,118호에는 카본 블랙을 첨가하여 예비성형체의 재가열 시 적외선 흡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또한 미국 특허 제5,925,710호, 제6,034,167호 및 공개특2001-0,043,209호에는 그래파이트를 첨가하여 적외선 흡수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만, 카본블랙이나 그래파이트 사용 시 문제점은 극성이 없기 때문에 분산이 극히 어려워 검은 반점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소량을 첨가하여도 색상이 어두워진다는 점이다.
미국 특허 제5,419,936호에는 안티몬입자와 인화합물 등을 조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바, 이 방법은 투명성은 유지하지만 재가열 시간을 단축시키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미국 특허 제4,250,078호, 제4,420,581호에는 산화철(red iron oxide)을 첨가하여 재가열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며, 이 방법의 경우 적외선 흡수 성능은 향상되나, 적색의 색상을 띄므로 안트라퀴논계 염료(anthraquinone dyes)를 사용하여 그린색상을 띄도록 하였다. 따라서 PET 본래의 색상을 띄는 용도로 사용하기는 어려우며, 적용에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2단계 방식으로 성형용기 제조 시 수지가 갖추어야할 요소로서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적외선 흡수성능을 향상시켜 재가열 시간을 단축시켜야 할 뿐 만 아니라, 색상, 투명성과 균일 성형성에 있어서도 만족해야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예비성형체의 재가열 시 적외선 흡수효율을 높여 재가열 시간을 단축함으로서 브로우 몰딩 시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투명성 및 색상의 저하를 최소로 할 수 있는 PET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열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며, 수지 합성반응 중 변색되지 않는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MFO)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적외선 흡수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색상 및 성형성이 우수한 PET수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첨가제인 MFO는 산화철과 산화망간 화합물이 주성분이며, 일부 산화규소 및/또는 산화알루미늄 화합물이 소량 혼합되어 고온에서 소결된 것으로 산화철화합물이 55 내지 90중량%, 산화망간화합물이 8 내지 43중량%이고 기타 성분으로 산화규소 및/또는 산화알루미늄 화합물이 2내지 5중량% 함유되어있는 내열성 무기산화물로서 검은 색을 띤다.
또한 상기 MFO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분산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투입 시기는 PET중합 시 반응 초기 또는 반응 중의 어느 시점에 첨가하여도 수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 분포되었고, 변색되지 않아 색상이 양호하였으며, 예비성형체를 제조하여 적외선 히터로 재가열시 MFO를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적외선 흡수효율이 향상되었다.
본 발명에서 MFO의 투입량은 PET수지에 대하여 3 내지 100ppm이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ppm의 농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외선 흡수성능 향상 및 색상에 있어서 좋은 수지가 제공된다. 3ppm 보다 농도가 낮으면 색상은 좋아지나 적외선 흡수효율이 저하되며, 100ppm 보다 농도가 높아지면 색상이 나빠지고 결정화 속도가 빨라 브로우몰딩시 백탁이 발생되어 불투명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MFO의 입자크기는 0.1미크론(micrometer) 내지 20미크론이 바람직하나, 0.1미크론 내지 10미크론 범위의 입자크기를 유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입자크기가 너무 작으면 입자끼리 응집되어 분산이 불균일하게 되어 예비성형체의 적외선 흡수성에 편차가 생기므로 브로우 몰딩시 불량품 발생율이 높아지고, 성형품에 검은 반점이 발견되며, 입자크기가 커지면 성형품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불투명해지는 문제가 야기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지는 결정화가 가능한 열가소성의 호모폴리머(homopolymer) 또는 공중합폴리머(copolymer) 모두에 적용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열가소성 폴리머는 폴리에스테르(PET)수지로서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 및/또는 이의 유도체와 디올(diols) 성분이 화학양론적으로 반응하여 이루어진 열가소성 폴리머이다.
일반적으로 PET 수지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이하 ‘DMT'라 한다)와 에틸렌글리콜(이하 'EG'라 한다)을 망간, 칼슘, 리튬, 소디움 화합물 등과 같은 촉매 존재 하에 에스테르 교환반응 시켜 비스(2-하이드록시에틸)테레프탈레이트(이하 'BHET'라 한다)를 생성시키거나, 테레프탈산(이하 'TPA'라 한다)과 EG와의 직접적인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BHET를 생성시킨 후, 이 BHET를 안티몬, 티타늄, 게르마늄화합물 등의 중축합 촉매 존재 하에 1토르 이하의 진공 하에 265 내지 295 ℃에서 중축합 반응시켜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의 합성 시 사용될 수 있는 주 성분에 대하여 예를 들면, 디카르복실산 및 이의 유도체로는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사이클로헥산디아세트산,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세바식산, 아디픽산, 숙신산 등과 이들에 대응되는 무수물(anhydrides)들과 에스테르류 등이며, 디올류에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메틸-1,4-펜탄디올, 1,3-헥산디올 등이다.
또한 반응 촉매로서는 전술한 DMT제법에서 에스테르 교환반응촉매로서 망간, 칼슘, 리튬, 소디움, 징크, 코발트화합물 등과 중축합반응 촉매로서 안티몬, 티타늄, 게르마늄 들 중 1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코발트아세테이트와 같은 보색제, 내열제로서 인화합물 및 대전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형광증백제, 착색제 등을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테레프탈산을 40 내지 45몰, 에틸렌글리콜을 80 내지 90몰, 이소프탈산을 0 내지 5몰을 반응기에 넣고, 약10분간 교반한 후 온도를 230 내지 240 ℃가 되도록 하고, 반응기 내부 최대압력은 4.5 kgf/cm2이하가 되도록 하여 에스테르반응을 하였으며, 반응 시 생성되는 물의 유출량으로부터 에스테르화가 97% 내지 98% 진행되면 밸브제어를 통하여 서서히 반응기 내부압력을 상압이 되도록 하여 BHET를 합성 하였다.
이 후 중축합 촉매로서 안티몬트리옥사이드를 200 내지 600ppm을, 보색제로서 코발트아세테이트를 50 내지 300ppm을 투입하고, BHET의 열안정제로서 인산을 50 내지 150ppm 투입하고, 60분간에 걸쳐 서서히 감압시키면서 270 내지 280 ℃까지 승온시켰다. 중축합반응 말기 온도는 285 내지 290 ℃, 진공은 1.0토르 이하에서 130분간 반응시켜 열가소성 PET수지를 제조하였으며, 이 때 폴리머의 극한점도(intrinsic viscosity)는 0.58 내지 0.65 dl/g 수준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적외선 흡수성능 개선을 위한 첨가제인 MFO는 상기 공정에서 반응 초기 또는 반응 중에 투입하였으며, 첨가량은 PET수지에 대하여 3 내지 100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ppm을 에틸렌글리콜에 미리 0.5중량%가 되도록 혼합액을 준비하였다가 첨가하였다. MFO를 200ppm이상 첨가하면 산화망간 및 산화철의 촉매 역할로 인하여 중축합반응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100ppm이하에서는 반응 중 특이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 PET를 용기 및 쉬트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액상중합공정만으로는 요구하는 강도를 가지는 분자량까지 중합도를 올리는 것은 곤란하다.왜냐하면 중합시간을 연장하거나, 촉매량을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럴 경우 색상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액상중합공정 이후 고체상태에서 별도의 중합을 실시하여 중합도를 높여야만 한다.
상기 액상중합으로 제조된 칩을 회전식 고상중합 반응기에 넣고, 2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서서히 160 ℃까지 승온하여 수지 칩 표면을 결정화시켜 칩간에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160 내지 210 ℃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고상중합을 실시하였고, 이 때 진공도는 0.5토르 이하로 유지시켰으며, 고상 중합을 완료한 폴리머의 극한점도는 0.70 dl/g 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고상중합된 칩을 280 내지 290 ℃에서 사출하여 예비성형체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2캐비티(cavity)-2스테이지(stage) 브로우몰딩기(Frontier)에서 적외선 히터 존(zone)을 통과시킨 후 예비성형체의 표면을 적외선온도계를 사용하여 온도 측정 후 고압브로우하여 병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고상중합된 칩의 특성 및 예비성형체의 적외선 흡수효율을 측정한 결과 MFO를 5내지 50ppm 투입하면 적외선 흡수효율이 MFO를 투입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7.5%이상 향상되었고, 색상도 color-L치가 73.3이상, color-b치가 -2.0이하의 매우 양호한 색상 및 투명성을 나타내었으며, 성형성에 있어서도 MFO를 투입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대등한 값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실시한 폴리머의 제반성질 및 물성의 측정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였다.
[물성 측정 방법 1. 극한점도(Intrinsic viscosity, IV)]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의 중량비 6 : 4 혼합용매 50 ml에 동결 분쇄된 수지 시료 0.2g을 정확히 칭량하여 넣고, 용해시킨 후 우벨로드(Ubbelode)모세관 점도계를 사용하여 30 ℃에서 측정하였다.
[물성 측정 방법 2. 아세트알데히드 함량(AA)]
내부 용적이 50 ml인 용기에 수지 시료 5.0g을 정확히 칭량하여 넣고, 증류수 10 ml를 넣은 후 질소로 밀폐한 후 160 ℃에서 2시간 동안 열 추출을 수행하였다. 추출된 용액내의 아세트알데히드의 양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HP 5890-II)에서 기준 물질은 이소부틸 알콜을 사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물성 측정 방법 3. color-L, b]
용액중합 및 고상중합된 수지 칩을 색차계를 사용하여 색조 측정하였으며, color-L치는 높을수록 백색을 나타내며, 낮을수록 흑색을 나타낸다. color-b치는 높을수록 황색을 나타내며, 낮을수록 청색을 나타낸다.
[물성 측정 방법 4. 적외선 흡수효율(%)]
고상중합된 수지 칩을 용융사출하여 예비성형체를 제조하고, 2-캐비티(cavity)-2-스테이지(stage) 브로우몰딩기(Frontier)에서 통과속도가 일정하게 조정된 상태에서 적외선 히터 존(heater zone)을 통과 후 적외선온도계로 예비성형체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하기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적외선 흡수효율(%)=100 x (a - b ) / b
a : 첨가제를 투입하여 제조된 예비성형체의 측정 표면 온도
b : 미첨가 예비성형체의 측정 표면 온도
[물성 측정 방법 5. 성형성]
브로우 몰딩(blow molding) 후 제조된 용기의 형상, 표면 상태 및 투명성 등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판정하였다.
매우양호 : 100개중 비정상 용기 발생 개수가 1개 내지 없음
양호 : 100개중 비정상 용기 발생 개수가 2개 내지 3개 발생
불량 : 100개중 비정상 용기 발생 개수가 4개 이상 발생
이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하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측정한 제반 물성에 대하여는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부용적 20리터의 스테인리스스틸 반응기에 TPA(Terephthalic acid) 6688g, EG 5120g, IPA(Isophthalic acid) 160g, DEG(Diethylene glycol) 104g을 투입하고, 10분간 교반한 후 EG중에 0.5중량%의 농도로 미리 분산시켜 놓은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Bayer AG사 Bayferrox '303T'를 사용함)을 20ppm 투입하고,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켰다. 에스테르화 반응은 235 ℃ 온도에서, 반응기 내부 최대압력은 4.5kgf/cm2으로 유지 시켰으며, 물의 생성량으로부터 97%정도 에스테르화 반응이 진행된 것을 확인한 후 압력 밸브를 서서히 조절하여 완전히 개방시켜 에스테르화 반응을 종료하였으며, 이 후 코발트아세테이트를 114ppm, 안티몬트리옥사이드를 540ppm, 인산을 70ppm 투입하고, 60분간에 걸쳐 서서히 감압시키면서 270 ℃까지 승온시켰다. 중축합반응 말기 온도는 285 ℃, 진공은 0.8토르에서 130분간 반응시킨 후 20 ℃의 냉각수조에 5구 노즐을 통하여 폴리머를 압출시켜 냉각시키면서 절단기로 절단하여 지름2.5mm, 길이3mm의 칩을 제조하였다. 이 폴리머의 극한점도는 0.61dl/g이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칩은 중합도를 높이기 위하여 고상중합을 실시하였다. 내부용적이 20리터인 회전식 고상중합 반응기에 상기 제조된 칩을 넣고, 2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칩간에 융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60 ℃까지는 서서히 승온하였으며, 160 내지 210 ℃에서 12시간동안 고상중합을 실시하였고, 이 때 최종 진공도는 0.2토르이었으며, 폴리머의 극한점도는 0.79dl/g이었다.
고상중합된 칩을 285 ℃에서 사출하여 예비성형체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2캐비티-2스테이지 브로우몰딩기(Frontier)에서 적외선 히터 존을 통과 후 예비성형체의 표면을 적외선온도계를 사용하여 온도 측정 후 고압브로우하여 병성형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 투입량을 표1 및 표2에서와 같이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중축합반응, 고상중합, 예비성형체 제조 및 병성형품을 제조하였으며, 결과를 표1과 표2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실시예1에서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반응 초기에 투입하지 않고, 에스테르화 반응 종료 후에 30ppm을 투입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중축합 반응, 고상중합, 예비성형체 제조 및 병성형품을 제조하였으며, 결과를 표1과 표2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1에서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반응 초기에 투입하지 않고, 에스테르화 반응 종료 후에 5ppm을 투입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중축합 반응, 고상중합, 예비성형체 제조 및 병성형품을 제조하였으며, 결과를 표 1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실시예 1]
실시예1에서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을 200ppm 투입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중축합반응을 실시하였으며, 중축합반응시간은 110분이었고, 105분 이후 급격하게 중합도가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로부터 얻어진 폴리머의 극한점도는 0.64dl/g이었다.
또한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상중합, 예비성형체 제조 및 병성형품을 제조하였으며, 결과를 표 1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실시예 2]
실시예1에서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반응 초기에 투입하지 않고, 에스테르화 반응 종료 후에 3ppm을 투입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중축합 반응, 고상중합, 예비성형체 제조 및 병성형품을 제조하였으며, 결과를 표 1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실시예3]
실시예1에서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을 투입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중축합 반응, 고상중합, 예비성형체 제조 및 병성형품을 제조하였으며, 결과를 표 1과 표 2에 나타낸다.
[표 1]
[표 2]
상기 결과 표 1 및 2에서 보듯이,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을 첨가하였을 경우, 본 발명의 PET수지 예비성형체의 적외선흡수율은 모두 7% 이상 증가되었고, 그와 동시에 색상 및 투명도에 있어서도 같은 수준을 유지 하고 있어, 본 발명에 따라,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적외선흡수 PET수지, 예비성형체 및 용기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중합 시 반응 초기 또는 반응 중에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서 적외선 흡수성능을 향상시켜 용기 성형 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색상, 투명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여 각종 PET용기 제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디올을 주성분으로 에스테르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후 중축합반응을 시킴으로서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수지에 있어서,
    에스테르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전 또는 반응 중에 0.1 ~ 20미크론의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을 폴리에스테르 수지대비 3 내지 100ppm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축합반응을 통하여 극한점도가 0.58 내지 0.65 dl/g 이상의 중합도를 가지는 적외선 흡수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제조 방법.
  2. 0.1 ~ 20미크론의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을 수지 대비 3 내지 100ppm을, 에스테르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전 또는 반응중간에 투입 하여 중합하고 난 후 고상중합하고, 고상중합된 수지의 적외선 흡수효율이 투입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7.5%이상 향상되고, color-L치가 70.0이상, color-b치가 -1.0이하인 특성을 가지는 테레프탈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디올을 주성분으로 에스테르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후 중축합반응을 시킴으로서 제조되는 적외선 흡수 폴리에스테르 수지.
  3. 제 2항에 있어서,
    0.1 ~ 20미크론의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을 수지 대비 5 내지 50ppm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흡수 폴리에스테르 수지.
  4. 제 2항에 있어서,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 화합물은 고온에서 소결된 것으로, 산화철이 55내지 90중량%, 산화망간이 8내지 43중량%이 포함되고, 산화규소 및/또는 산화알루미늄이 2내지 5중량% 함유되어있는 내열성 무기산화물인 적외선 흡수 폴리에스테르 수지.
  5. 제 4항에 있어서, 산화망간이 코팅된 산화철화합물의 크기는 0.1 미크론 내지 10 미크론 범위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적외선 흡수 폴리에스테르 수지.
  6. 제 2항 내지 제 5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상중합을 통하여 극한점도가 0.7dl/g 이상이 되도록 하는 용기제조용 적외선 흡수 폴리에스테르 수지.
  7. 제 6항의 적외선 흡수 폴리에스테르 수지 칩을 275 내지 295 ℃에서 용융압출하여 제조한 예비성형체.
  8. 제 7항의 예비성형체를 재가열하여 브로우 몰딩함으로써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용기.
KR10-2004-0003432A 2004-01-16 2004-01-16 적외선 흡수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Expired - Fee Related KR100455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432A KR100455456B1 (ko) 2004-01-16 2004-01-16 적외선 흡수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PCT/KR2004/003379 WO2005068531A1 (en) 2004-01-16 2004-12-21 Polyester resin with improved infrared absorbing proper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432A KR100455456B1 (ko) 2004-01-16 2004-01-16 적외선 흡수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5456B1 true KR100455456B1 (ko) 2004-11-06

Family

ID=3479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4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5456B1 (ko) 2004-01-16 2004-01-16 적외선 흡수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55456B1 (ko)
WO (1) WO20050685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8523B2 (en) 2004-11-12 2008-05-06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polymer and co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titanium nitride particles
US7662880B2 (en) 2004-09-03 2010-02-16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polymer and co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metallic nickel particles
US7300967B2 (en) 2004-11-12 2007-11-27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polymer and co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metallic titanium particles
US8557950B2 (en) 2005-06-16 2013-10-15 Grupo Petrotemex, S.A. De C.V. High intrinsic viscosity melt phase polyester polymers with acceptable acetaldehyde generation rates
US7745512B2 (en) 2005-09-16 2010-06-29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polymer and co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carbon-coated iron particles
US7838596B2 (en) 2005-09-16 2010-11-23 Eastman Chemical Company Late addition to effect compositional modifications in condensation polymers
US9267007B2 (en) 2005-09-16 2016-02-23 Grupo Petrotemex, S.A. De C.V. Method for addition of additives into a polymer melt
US7776942B2 (en) 2005-09-16 2010-08-17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polymer and co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particles of titanium nitride and carbon-coated iron
CN102190786B (zh) * 2011-03-28 2012-09-05 黄山永佳三利科技有限公司 一种消光聚酯树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5630A (ja) * 1983-03-25 1983-10-29 Mitsubishi Petrochem Co Ltd 透光性及び保温性の良好な農業用合成樹脂フイルム
JPH0249611A (ja) * 1988-08-11 1990-02-20 Sun A Chem Ind Co Ltd 電子レンジ調理用食品容器
JP2626856B2 (ja) * 1992-03-13 1997-07-02 株式会社巴川製紙所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情報処理方法
JPH08165444A (ja) * 1994-12-15 1996-06-25 Kansai Paint Co Ltd ガラスに適した一時保護用光線遮蔽剤
US6034167A (en) * 1998-05-01 2000-03-07 Shell Oil Company Fast heatup polyesters using graphite as an additive
WO2001021709A1 (fr) * 1999-09-21 2001-03-29 Mitsui Chemicals, Inc. Preforme pour moulage en creux constituee d'une composition de resine de polyester, moulage en creux constitue de cette composition, et procede de production assoc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68531A1 (en) 200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9317B2 (en) Slow-crystallizing polyester resins
US7094863B2 (en) Polyester preforms useful for enhanced heat-set bottles
US8304510B2 (en) Polyester resins for high-strength articles
US8791225B2 (en) Titanium-nitride catalyzed polyester
EP1049738A1 (e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black iron oxide
JP2001510869A (ja) 大型ポリエステル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504352A5 (ko)
CN105392816A (zh) 耐热聚对苯二甲酸乙二醇酯及其制备工艺
KR100455456B1 (ko) 적외선 흡수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US8524343B2 (en) Polyester resins for high-efficiency injection molding
US20050261462A1 (en) Methods of making titanium-catalyzed polyester resins
CN104271635B (zh) 含有作为再热添加剂的特殊炭黑的聚酯树脂
CN101270184B (zh) 一种使用无机的钛-镁催化剂合成的pet聚酯粒及其应用
CN102153839B (zh) 一种含碳化钨钛粒子的聚酯树脂及由其制成的聚酯瓶胚
CA2562046A1 (en) Methods of making titanium-catalyz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s
JP3427202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3662563B2 (ja) 耐熱性およびガス遮断性に優れたプラスチック容器用飽和ポリエステル組成物の製造方法
CA2333219A1 (en) Hollow molded product comprising ethylene-2,6-naphthalene dicarboxylate polymer and ultraviolet absorber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US8735482B2 (en) Polyester resin containing tungsten—titanium carbide particles and polyester preform made therefrom
KR101420793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형체 제조방법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형체
KR100560287B1 (ko) 보틀용 내열성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50065313A (ko) 투명성 및 열적 특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및 그 제조방법
JP2004026853A (ja) 紫外線透過率を下げるポリエステル組成物及びこれを使って製造したペットボトル
US20130158228A1 (en) Ethylene terephthalate type polyester resin for forming container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057697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