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50010B1 - 차량용 백미러 쉴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백미러 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010B1
KR100450010B1 KR10-2001-0019805A KR20010019805A KR100450010B1 KR 100450010 B1 KR100450010 B1 KR 100450010B1 KR 20010019805 A KR20010019805 A KR 20010019805A KR 100450010 B1 KR100450010 B1 KR 100450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view mirror
shield
vehicle
driving
mirr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120A (ko
Inventor
장재석
Original Assignee
장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석 filed Critical 장재석
Priority to KR10-2001-0019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0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7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01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comprising means for cleaning or de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의 좌우측에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자동차용 백미러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쉴드결합되어 빗물 또는 눈이 백미러면에 직접적으로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백미러의 케이스 외부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자동차용 빗물튀김방지 쉴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백미러케이스 내부에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슬라이딩인출가능하게 함몰되며, 백미러 전방으로 돌출되어 백미러의 미러면에 빗물 또는 눈이 흘러내려 운행시 시야간섭받는 것을 방지하는 쉴드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백미러에 대해 장착되는 쉴드에 의해 비 또는 눈이 백미러면에 직접적으로 묻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서, 운전시 시야간섭받지 않아 안전운행에 기여하며, 쉴드를 백미러에 대해 장착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구조 간단화로 인해 원가비용을 줄이며, 백미러 절첩용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백미러에 내장되는 쉴드를 슬라이딩인출시킴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백미러 쉴드{back mirror shield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좌우측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동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백미러에 대해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쉴드(shield)에 의해 빗물(雨) 또는 눈(雪)이 백미러(back mirror)면에 직접적으로 묻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백미러 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백미러에 대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쉴드에 의해 비 또는 눈이 올때 운전시 백미러에 물방울 또는 습기가 생성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시야간섭받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운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백미러 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백미러는 차체에 부착되는 고정부재의 내부에 정,역회전 구동가능한 모터를 설치하여, 모터 구동시 힌지축이 연동되어 힌지축에 결합되는 미러가 부착된 회동부재가 모터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90각도로 접히거나 또는 전개되도록 함으로서, 협소한 골목에서 주행 또는 주차하는 경우 백미러를 접어 차폭을 최소화시켜 차량을 보다 안전하게 주행 또는 주차시킬 수 있고, 백미러의 절첩 또는 전개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즉,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미러(11)는 차체의 외측면(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2)와, 이 고정부재(12)와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회동부재(13)를 구비한다. 이때 고정부재(12)와 회동부재(13)의 전면에는 각각 힌지축 삽입부(14,15)가 돌설되어 부착되며, 힌지축(16)이 힌지축 삽입부(14,15)에 삽입됨에 따라 이들을 연결하며, 힌지축(16)의 양단부에는 베어링(17)이 결합된 후 캡(18)이 장착되어 힌지축(16)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부재(12)와 회동부재(13)사이에는 자바라형의 얇은 커버(19)가 장착되어 눈 또는 비가 올때 또는 외부로 부터 이물질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고정부재(12)내부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20)가 설치되며, 모터축과 힌지축(16)사이에는 동력이 전달되는 수단이 설치되며, 이때 동력전달수단으로 모터축에 기어(21)를 형성하고 기어(21)와 힌지축(16)의 기어(24)사이에 감속용 중간기어(22)를 장착하며, 중간기어(22)의 회전축(23)은 고정부재(12) 내부벽에 피봇고정되도록 한다.
전술한 힌지축(16)의 회전력을 회동부재(13)에 전달함에 있어서는 고정부재(12)의 축삽입부(14)는 평면형으로 형성되며 회동부재(13)의 축삽입부(15)는 힌지축(16)에 설치된 기어(24)와 결합되게 내부기어(25)가 형성되어 힌지축(16)의 회전에 따라 스플라인 타입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백미러(11)가 전개된 상태에서 주차 또는 좁은 골목길을 주행함에 따라 차폭을 최소한 좁게해야되는 경우, 운전석에서 조작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전술한 회동부재(13)는 90각도로 접혀지는 것이다. 즉 조작스위치의 조작으로 인해정,역회전가능한 모터(2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모터(20)의 회전축에 설치된 기어(21)가 구동하며, 중간기어(22)가 구동력을 전달받아 힌지축(16)을 회전시키며, 힌지축(16)의 회전으로 인해 힌지축(16)의 기어(24)와 치합하는 회동부재(13)의 축끼움부(15)가 회전하게되므로 회동부재(13)가 회전하여 90각도로 접혀지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조작스위치의 조작으로 인해 정,역회전되는 모터(2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전술한 회동부재(13)는 초기상태로 전개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백미러에서는, 비 또는 눈이 올때 운전하는 경우 비 또는 눈이 미러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물기 또는 습기가 생성되므로 시야간섭을 받게되어 운전경험이 적은 운전초보자 또는 시력이 나쁜 운전자 등은 운행시 백미러를 통하여 차량의 측면 또는 후방을 선명하게 주시할 수 없게되어 안전사고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백미러에 대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쉴드에 의해 비 또는 눈이 백미러면에 직접적으로 묻는 것을 예방하여 운전시 시야간섭받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운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백미러 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쉴드를 백미러에 대해 장착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구조 간단화로 인해 원가비용을 줄여 가격경쟁력을 갖도록 한 차량용 백미러 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백미러를 자동으로 절첩시키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백미러에 내장되는 쉴드를 슬라이딩인출시킴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며, 백미러의 외관미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백미러 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백미러의 개략적인 분리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백미러의 조립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백미러 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백미러 쉴드의 사용상태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백미러 쉴드의 사용상태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백미러
51; 미러면
52; 쉴드(shield)
53; 백미러 케이스
54; 체결부재
55; 고정홈
56; 장공
57; 구동모터
58; 축기어
59; 중간기어
60; 랙기어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좌우측에 절첩가능하게 장착되어 운행시 차량의 측면 또는 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하는 차량용 백미러에 있어서, 백미러의 케이스 외부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는 쉴드를 구비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차용 백미러케이스 내부에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슬라이딩인출가능하게 함몰되며, 백미러 전방으로 돌출되어 백미러의 미러면에 비 또는 눈이 흘러내려 운행시 시야간섭받는 것을 방지하는 쉴드를 구비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쉴드의 돌출폭은, 각 차종별로 각각 다른 높이를 갖는 백미러 수직면의 크기를 100㎜로 볼 때 전술한 쉴드의 돌출폭은 110 ∼ 130㎜범위내에서 돌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쉴드의 가장 바람직한 돌출폭은 백미러의 수직면에 125㎜의 돌출폭을 확보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쉴드의 좌우측에 호형상으로 형성되며, 백미러 케이스의 좌우측에 고정되는 체결부재가 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운행시 쉴드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홈이 형성된 장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케이스 내부에 함몰되는 쉴드를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슬라이딩이동시키도록 구동모터의 축기어와 치합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변경하는 중간기어와, 쉴드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중간기어와 치합하여 구동모터 구동시 쉴드를 백미러 전방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는 랙기어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좌우측에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소정각도로 절첩가능하게 장착되어 운행시 차량의 측면 또는 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차량용 백미러(50)에 적용되며, 이들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기술내용에 속한다 할 것이므로 이하에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백미러(50) 전방으로 돌출되어 백미러(50)의 미러면(51)에 비 또는 눈이 흘러내려 운행시 시야간섭받는 것을 방지하는 쉴드(52)를 전술한 백미러 케이스(53) 외부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하도록 고정한다. 이때 백미러케이스(53)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부재(54)가 고정홈(55)에 선택적으로 안착되어 운행시 쉴드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홈(55)이 형성된 장공(56)이 쉴드(52)의 좌우측에 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쉴드(52)는 백미러(50)의 미러면(51)에 대해 전방으로 110 ∼ 130㎜범위내에서 돌출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쉴드(52)는 미러면(51)에 대해 전방으로 125㎜로서 돌출되어 고정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쉴드(52)를 백미러(50)를 절첩시키는 구동모터(57)의 회전력에 의해 백미러 케이스(53) 내부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함몰고정하되, 구동모터(57)의 축기어(58)와 치합하여 구동모터(57)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변경하는 중간기어(59)와, 쉴드(5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중간기어(59)와 치합하여 구동모터(57) 구동시 쉴드(52)를 백미러(50) 전방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는 랙기어(60)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백미러 쉴드의 사용방법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또는 눈이 올때 운전하는 경우, 전술한 백미러 케이스(53) 외부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하도록 장착된 쉴드(52)를 백미러(50)의 미러면(51)에 대해 전방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쉴드(52)좌우측에 호형상으로 형성된 장공(56)내에 형성된 고정홈(55)이 백미러 케이스(53)좌우측에 고정된 체결부재(54)에 안착되므로, 쉴드(52)를 미러면(51)에 대해 전방으로 약 125㎜로서 돌출되도록 고정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운행시 비 또는 눈이 내리는 경우에도 미러면(51)에 습기 또는 물방울이 흘러내려 시야간섭받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백미러(50)를 절첩시키는 구동모터(57)의 회전력에 의해 전술한 쉴드(52)를 슬라이딩이동시키므로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운전석에서 미도시된 조작스위치의 조작으로 인해 전술한 구동모터(57)를 구동시킴에 따라 구동모터(57)의 축기어(58)와 치합하는 중간기어(59)에 의해 구동모터(57)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변경하며, 중간기어(59)와 치합하도록 쉴드(52)의 내측면에 형성된 랙기어(60)구동으로 인해 쉴드(52)를 백미러(50) 전방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백미러에 대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쉴드에 의해 비 또는 눈이 백미러면에 직접적으로 묻는 것을 예방하여 운전시 시야간섭받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운행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쉴드를 백미러에 대해 장착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구조 간단화로 인해 원가비용을 줄여 가격경쟁력을 갖는다.
또한, 백미러를 자동으로 절첩시키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백미러에 내장되는 쉴드를 슬라이딩인출시킴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며, 백미러의 외관미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차량의 좌우측에 절첩가능하게 장착되어 운행시 차량의 측면 또는 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백미러에 있어서: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구동력을 발휘하도록 백미러의 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장착되는 축기어;
    상기 축기어에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변경하는 중간기어;
    상기 중간기어와 맞물려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랙기어가 일측에 형성되고,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홈과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백미러의 케이스로부터 그 케이스의 외부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백미러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쉴드; 및
    상기 쉴드의 고정홈 및 장공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상기 고정홈의 소정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 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는 상기 백미러의 미러면에 대해 전방으로 110 ∼ 130㎜범위내에서 돌출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10-2001-0019805A 2001-04-13 2001-04-13 차량용 백미러 쉴드 Expired - Fee Related KR100450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805A KR100450010B1 (ko) 2001-04-13 2001-04-13 차량용 백미러 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9805A KR100450010B1 (ko) 2001-04-13 2001-04-13 차량용 백미러 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457U Division KR200256007Y1 (ko) 2001-04-13 2001-04-13 차량용 백미러 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120A KR20020079120A (ko) 2002-10-19
KR100450010B1 true KR100450010B1 (ko) 2004-10-02

Family

ID=2770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805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0010B1 (ko) 2001-04-13 2001-04-13 차량용 백미러 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0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6505B1 (fr) * 2008-01-21 2010-03-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Retroviseur lateral de vehicule automobile, a tige(s) retractable(s) de guidage de gouttes de pluie
CN104149695A (zh) * 2014-05-27 2014-11-19 陈方舟 一种自动控制汽车后视镜挡雨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7A (ja) * 1989-05-26 1991-01-07 Hitachi Ltd 印字装置の用紙搬送機構
JPH0360463A (ja) * 1989-07-25 1991-03-15 Kyocera Corp 圧電磁器
KR960029157A (ko) * 1995-01-18 1996-08-17 설재범 자동차의 백밀러
KR19980018636U (ko) * 1996-09-30 1998-07-06 양재신 자동차 도어 미러의 빗방울 방지막
KR19980021423U (ko) * 1996-10-21 1998-07-15 김영석 빗물 차단용 바이저(visor)를 갖는 백 미러
KR19990029079U (ko) * 1997-12-27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용 후사경의 빗물 방지장치
KR200256007Y1 (ko) * 2001-04-13 2001-12-13 주식회사 나은환경 차량용 백미러 쉴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7A (ja) * 1989-05-26 1991-01-07 Hitachi Ltd 印字装置の用紙搬送機構
JPH0360463A (ja) * 1989-07-25 1991-03-15 Kyocera Corp 圧電磁器
KR960029157A (ko) * 1995-01-18 1996-08-17 설재범 자동차의 백밀러
KR19980018636U (ko) * 1996-09-30 1998-07-06 양재신 자동차 도어 미러의 빗방울 방지막
KR19980021423U (ko) * 1996-10-21 1998-07-15 김영석 빗물 차단용 바이저(visor)를 갖는 백 미러
KR19990029079U (ko) * 1997-12-27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용 후사경의 빗물 방지장치
KR200256007Y1 (ko) * 2001-04-13 2001-12-13 주식회사 나은환경 차량용 백미러 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120A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010B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20010001742U (ko) 차량용 햇빛가리개의 배니티미러구조
KR200256007Y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100220339B1 (ko) 차량용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카메라
KR20030077693A (ko) 자동차의 눈부심 제거용 편광판
KR0136437Y1 (ko) 빗물 차단용 커버를 갖는 사이드미러
KR200153384Y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950002751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의 자동개폐장치
KR19980026083U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리어 미러의 자동 절첩구조
KR970004478Y1 (ko) 자동차용 자동 절첩식 사이드밀러
KR0140686Y1 (ko) 자동차용 도어 미러
KR930006246Y1 (ko) 차량용 백밀러의 조절장치
KR100235490B1 (ko) 사이드 미러의 자동 접이식 장치
KR19980030521U (ko) 자동차의 백미러 승강장치
KR0142351B1 (ko) 상용차용 백밀러의 절첩장치
KR100581107B1 (ko) 용이한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
KR19980045136U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미러 구조
KR20010066050A (ko) 자동차용 스포일러 내장형 후사경
KR19990003099U (ko) 방향지시레버와 연동되는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전동미러
KR19980031301A (ko) 후방미러가 일체화 된 차량용 리어스포일러
KR19990016486U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조립체
KR19980029227U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19980010825U (ko) 축전방 시계 확보가 가능한 미러
KR19990002492U (ko) 차량용 선바이저(Sunvisor)
KR19980046714U (ko) 자동차용 와이퍼 스포일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107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310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3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10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309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40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3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40611

Appeal identifier: 2004101001538

Request date: 20040408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4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4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406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52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9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