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49345B1 -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345B1
KR100449345B1 KR10-2002-0038299A KR20020038299A KR100449345B1 KR 100449345 B1 KR100449345 B1 KR 100449345B1 KR 20020038299 A KR20020038299 A KR 20020038299A KR 100449345 B1 KR100449345 B1 KR 100449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resent
emblica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3556A (ko
Inventor
이선영
이근수
이강태
정지헌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2-0038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345B1/ko
Publication of KR20040003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34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엠블리카 (Emblica officinalis) 추출물 및/또는 상지 (Ramulus mori)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엠블리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및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상승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및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의 미백제에 비하여 현저하게 향상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 자극 등 부작용이 거의 없다.

Description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Whitening Comprising Emblica officinalis Extract and Ramulus mori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엠블리카 (Emblica officinalis) 추출물 및/또는 상지 (Ramulus mori)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 모발 및 눈 등에서 발현되는 색은 멜라닌, 카로틴 및 헤모글로빈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특히 피부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멜라닌으로, 피부색은 멜라닌의 양과 성질 및 분포의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사람에 있어 피부나 모발의 색소는 햇빛, 특히 자외선의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이러한 색소가 부족한 사람은 햇빛에 매우 민감하여 화상을 입기 쉬우며 어린 나이에도 피부암 발생 확률이 높다. 단파장의 자외선 (290-320 nm) 및 발암 물질은 피부에서 유해 라디칼, 예컨대, 산소 라디칼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산소 라디칼이 피부 세포를 공격하여 피부를 노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의 주요한 기능은 이러한 유해 라디칼을 제거하여 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따라서, 멜라닌의 양이 많다는 것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독성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응 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멜라닌의 생성을 촉진하는 요인으로서는 햇빛 (자외선) 뿐만 아니라 에스트로겐 또는 프로스타글라딘 등이 있다.
멜라닌은 자외선에 의해 멜라노사이트에서 티로신이 티로시나아제라는 효소에 의해 도파와 도파크롬으로 변환된 뒤 복잡한 산화와 축합 반응을 거쳐 생성된다. 생성된 멜라닌은 피부 세포에 전달되고 표피 박리와 함께 멜라닌이 상실되어 소멸되는 순환 작용을 보인다.
이러한 멜라닌 생성 과정은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서, 정상 상태에서는 사람의 피부에서는 멜라닌의 과다 생성이 일어나지 않지만 피부가 외부의 자극, 예컨대, 자외선, 환경오염 또는 스트레스 등에 반응하면 멜라닌 과다 생성이 일어나고 이것이 피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피부 속에 남아 있게 되면 색소 침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외부 자극 요인 중 자외선은 가장 큰 멜라닌 생합성 자극원으로서, 멜라닌 생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과정에서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자외선은 멜라닌 생성 세포인 멜라노사이트의 활성 촉진, 멜라닌 생합성 자극 호르몬 분비 촉진, 멜라닌의 산화 촉진, 또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촉진 등을 통해 멜라닌 과다 생성의 중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멜라닌 생성 메카니즘의 가장 큰 특징은 티로시나아제라는 단 한 개의 효소가 관여하는 것으로, 상기 티로시아나제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막음으로써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미백 화장료에 있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첫째, 멜라닌 생성의 주 원인인 자외선을 차단하여 제거하는 것으로써, 이 방법은 화장품 조성물에 광 산란제 또는 광 차단제를 함유시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코어 탄수화물의 합성을 저해하는 물질, 예컨대, 글루코사민을 사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이다. 셋째, 효소산 (코직산) 또는 알부틴과 같은 물질을 사용하여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의 기능을 방해하는 방법이다. 넷째, 멜라닌을 생성하는 세포인 멜라노사이트에 대하여 특이적인 독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 예컨대, 하이드로퀴논을 사용하여 세포 분열을 방해하는 방법이다. 다섯째, 티로신이 도파와 도파크롬을 거쳐 복잡한 산화와 축합 반응을 거치는 동안에 강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는 물질, 예컨대, 비타민 C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종래의 미백 물질로는 아스코르브산 (일본 특개평 4-9320)이 있다. 그러나 아스코르브산 자체가 제형 내에서 상 안정성이 나빠 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유효 성분의 활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캡슐 또는 리포좀으로 안정화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 뚜렷한 안정화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다른 미백 물질인 하이드로퀴논 (일본 특개평 6-192062)은 그 효과가 우수하나 발암성 물질이므로 화장료로서의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또 다른 미백 물질인 코지산 (일본 특개평 56-7710)은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능력이 탁월하여 미백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나지만 역시 제형 내 안전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미백 물질인 알부틴 (일본 특개평 4-9315)은 천연 식물 물질인 고산 지대의 월귤 나무에서 추출하거나 합성을 통하여 얻을 수 있으며 코지산과 마찬가지로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억제 능력이 검증되고 있으나, 알부틴 자체는 하이드로퀴논에 당이 붙어있는 상태로서 화장료에 적용 시 피부 효소에 의해 당이 분리되어 하이드로퀴논에 의한 피부 자극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 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 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미백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인도에서 자생하는 엠블리카 추출물이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종래의 미백제인 상지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백 효과가 개선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엠블리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엠블리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 즉, 안정성의 저하, 부작용의 발생 및 미백 효과의 약화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천연 식물 추출물에 대하여 스크리닝을 하였고, 그 결과 인도 등지에서 자생하는 엠블리카 (Emblica officinalis)의 추출물이 매우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부작용이 거의 발생시키지 않음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상기 엠블리카 추출물이 종래의 미백제인 상지 추출물과 함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경우, 상승적인 (sinergic) 미백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엠블리카 (Emblica officinalis또는Phyllanthus emblica)는 대극과 (Euphorbiaceae)의 식물로, 인도 등지에서 자생하며 인도에서는 아무라 또는 아무카라고 불리운다. 색도 크기도 포도의 한 품종인 머스킷과 비슷하지만 건조시키면 6등분으로 나누어진 선이 보인다. 나무는 야생하며 높이는 18 m정도이다. 과실은 신맛과 떫은맛이 강하지만 식후에 입이 개운해지고 나중에는 단맛이 남는다. 신맛의 원인은 과실 1개당 30-50 mg 정도로 대량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C 때문이다. 과실, 종자, 잎, 수피, 목재에 모두 탄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엠블리카 추출물은 매우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엠블리카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의 작용 방식은 비경쟁적 저해 (noncompetitive inhibition)임이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밝혀졌다.
또한, 뽕나무는 온대 및 아열대 지방이 원산지이며 잎은 누에의 먹이로 이용되고, 과실은 식용이나 술의 제조에 이용된다. 뽕나무는 미백 효과를 갖는 대표적인 천연물로 뽕나무 및 상지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성분에 관한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물질이 옥시레스바레트롤이다 (Biochem & Biophys Res. Com.243:801-803(1998)).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상지 (Ramulus mori) 추출물은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가 뛰어난 식물 추출물로, 본 발명자들의 특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230130 호)에서 그 미백 효과가 입증된 바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이용되는 "엠블리카 추출물"은 대극과에 속하는 엠블리카 (Emblica officinalis)로부터 추출한 물질을 통칭하여 나타내며, 엠블리카의 과실, 잎, 줄기, 뿌리 및 수피 등 여러 부위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엠블리카 추출물은 엠블리카의 과실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이용되는 "상지 추출물"은 뽕나무의 어린 가지인 상지로부터 추출한 물질을 통칭하여 나타낸다. 또한, "상지 추출물"의 범위에는 상지로부터 추출되어 가공된 "멜버린" 및 기타 상지의 가공물이 포함된다.
상기 엠블리카 추출물 또는 상지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 용매, 예를 들어,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h) 부틸 아세테이트를 추출 용매로 하여 엠블리카 또는 상지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함수 저급 알코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 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엠블리카 추출물 및/또는 상지 추출물 이외에 다른 미백 유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엠블리카 추출물 및/또는 상지 추출물만으로 구성된 유효 성분으로도 매우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엠블리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엠블리카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1.0-15.0 중량%이며, 상기 함량 미만일 경우에는 미백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함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 자극의 문제점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엠블리카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5.0-12.0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동시에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엠블리카 추출물과 상지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각각 1.0-15.0 중량% 및 0.0001-10.0 중량%이며, 상기 함량 미만일 경우에는 미백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미백 효과의 증가가 보이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엠블리카 추출물과 상지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각각 5.0-12.0 중량% 및 0.005-7.0 중량%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엠블리카 추출물과 상지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각각 10 중량% 및 5 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엠블리카 추출물 및/또는 상지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백용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재료
본 발명의 엠블리카는 MERCK 사 (미합중국)에서 구입하여 추출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상지는 고려건재약업사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추출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엠블리카의 추출물 제조
엠블리카의 과실 100 g을 세절하여 건조 중량에 대하여 95% 함수 알코올 100 ㎖을 가한 후 냉각 콘덴서가 장착되어 유효 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100℃로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이것을 여과하고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분말상의 추출물 7.2 g을 얻었다.
실시예 2: 상지의 추출물 제조
상지 100 g을 세절하여 건조 중량에 대하여 95% 함수 알코올 100 ㎖을 가한 후 냉각 콘덴서가 장착되어 유효 성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100℃로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이것을 여과하고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분말상의 추출물 6.4 g을 얻었다.
실험예 1: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기질로는 인산 나트륨 완충액 (pH 6.8)에 용해한 0.1 ㎎/㎖의 티로신 (Sigma) 500 ㎕를 사용하였다.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은 0.05 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 (pH 6.8)에 적당한 농도로 조절하여 용해한 후 사용하였다. 티로신 500 ㎕에 각 농도의 엠블리카 추출물 시료액, 상지 추출물 시료액, 그리고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동시에 포함하는 시료액 500 ㎕을 각각 가하고, 상기 각 시료액에 티로시나아제 (Sigma, 250 U/㎖) 500 ㎕을 첨가한 후 37℃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어느 시료액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저해도는 다음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농도 (㎍/㎖) 저해도 (%)
엠블리카 추출물 상지 추출물 엠블리카 추출물및 상지추출물
0 0 0 0
1 27.9 12.7 38.7
2 51.5 25.3 67.2
5 88.6 60.1 96.8
10 97.3 84.3 97.8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엠블리카 추출물은 종래의 미백제인 상지 추출물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엠블리카 추출물과 상지 추출물을 함께 사용한 경우 상승적인 작용을 나타내어 엠블리카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엠블리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종래의 미백제인 상지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상승적으로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효소 동역학적 특성
상기 실험예 1에서 나타난 미백 효과의 상승 작용에 있어서 엠블리카 추출물과 상지 추출물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엠블리카 추출물과 상지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효소 동역학 (kinetics)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2-1:엠블리카 추출물에 의한 동역학적 특성의 변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제인 엠블리카 추출물의 농도를 0, 0.5, 1.0, 1.5 및 2.0 ㎍/㎖으로 고정하여 기질의 농도 ([S])에 따른 반응속도 (v)를 구하였다. 1/[S]에 대한 1/v를 플로팅 (plotting)하여 x 절편인 -(1/Km)으로부터 Km 값을 구하고, y 절편인 1/Vmax 로부터 Vmax 값을 구하였다. 농도별 Km 값과 Vmax 값을 비교하여 엠블리카 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어떤 방식으로 저해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다.
엠블리카 추출물 농도 (㎍/㎖) 0 0.5 1.0 1.5 2.0
Km 449.8 450.2 450.9 451.6 490.3
Vmax 1.0027 0.7334 0.5352 0.4210 0.3624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Km 값은 거의 일정하고, Vmax 값은 엠블리카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였다. 따라서 엠블리카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비경쟁적 (noncompetitive) 저해제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2:상지 추출물에 의한 동역학적 특성의 변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제인 상지 추출물의 농도를 0, 1, 2, 2.5 및 5 ㎍/㎖으로 고정하여 기질의 농도 ([S])에 따른 반응속도 (v)를 구하였다. 1/[S]에 대한 1/v를 플로팅 (plotting)하여 x 절편인 -(1/Km)으로부터 Km 값을 구하고, y 절편인 1/Vmax로부터 Vmax 값을 구하였다. 농도별 Km 값과 Vmax 값을 비교하여 상지 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를 어떤 방식으로 저해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지 추출물농도 (㎍/㎖) 0 1 2 2.5 5
Km 450.3 1578.6 2032.1 2600.4 3177.8
Vmax 1.0038 1.0035 1.0022 1.0030 1.0018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Km 값은 상지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증가하고, Vmax 값은 거의 일정하였다. 따라서 상지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경쟁적 (competitive) 저해제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예 2-1 및 2-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은 각각 비경쟁적 저해제 및 경쟁적 저해제로서 티로시나아제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그 활성을 억제한다. 따라서 엠블리카 추출물이나 상지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이들을 함께 사용할 경우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도에 있어서 상승 효과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발명의 제형예로서 유연 화장수, 밀크 로션 및 영양 크림을예시하고 있으나,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제형예 1 및 비교예 1-3의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제형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엠블리카 추출물 10.0 - - 10.0
상지 추출물 5.0 - 5.0 -
초산 토코페롤 5.2 5.2 5.2 5.2
올레일 알코올 1.5 1.5 1.5 1.5
에탄올 3.2 3.2 3.2 3.2
벤조페논-9 2.0 2.0 2.0 2.0
카르복실비닐 폴리머 1.0 1.0 1.0 1.0
셀룰로오스검 3.5 3.5 3.5 3.5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100
제형예 2: 밀크 로션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제형예 2 및 비교예 4-6의 밀크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2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엠블리카 추출물 10.0 - - 10.0
상지 추출물 5.0 - 5.0 -
글리세린 5.1 5.1 5.1 5.1
프로필렌글리콜 4.2 4.2 4.2 4.2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3.0 3.0 3.0 3.0
유동파라핀 4.6 4.6 4.6 4.6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0 1.0
스쿠알란 3.1 3.1 3.1 3.1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2.5 2.5 2.5
폴리솔베이트 60 1.6 1.6 1.6 1.6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1.6 1.6 1.6
프로필파라벤 0.6 0.6 0.6 0.6
카르복실비닐 폴리머 1.5 1.5 1.5 1.5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100
제형예 3: 영양 크림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제형예 3 및 비교예 7-9의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3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엠블리카 추출물 10 - - 10
상지 추출물 5.0 - 5.0 -
글리세린 4.0 4.0 4.0 4.0
바셀린 3.5 3.5 3.5 3.5
트리에탄올아민 2.1 2.1 2.1 2.1
유동파라핀 5.3 5.3 5.3 5.3
스쿠알란 3.0 3.0 3.0 3.0
밀납 2.6 2.6 2.6 2.6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5.4 5.4 5.4 5.4
폴리솔베이트 60 3.2 3.2 3.2 3.2
카르복실비닐 폴리머 1.0 1.0 1.0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 3.1 3.1 3.1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100
실험예 3: 미백 효과 실험
19-40세의 한국 여성의 지원자 3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피부가 검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 장비로는 Minolta CR 300을 사용하였으며 2주 간격으로 2달 동안 측정하였다. 측정 부위는 팔의 9 군데를 가로 세로 1 cm씩 표시하고 꾸준히 각기 다른 처방 (처방예 2, 3 및 비교예 4-9)을 8 군데에 바르고 한 군데는 비교를 위하여 대조군 값으로 두었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나 있다.
구분 제형예2 제형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대조군
??L 값 2.51 2.33 0.50 1.00 1.26 0.75 1.13 1.35 0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8주 후의 ??L 값은 제형예 2 및 제형예 3이 비교예 4-9와 대조군에 비하여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엠블리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및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상승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및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의 미백제에 비하여 현저하게 향상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 자극 등 부작용이 거의 없다.

Claims (8)

  1. 엠블리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2.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3. 엠블리카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엠블리카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는 비경쟁적 저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엠블리카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1.0-1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001-1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2-0038299A 2002-07-03 2002-07-03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Expired - Lifetime KR100449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299A KR100449345B1 (ko) 2002-07-03 2002-07-03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299A KR100449345B1 (ko) 2002-07-03 2002-07-03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556A KR20040003556A (ko) 2004-01-13
KR100449345B1 true KR100449345B1 (ko) 2004-09-18

Family

ID=3731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299A Expired - Lifetime KR100449345B1 (ko) 2002-07-03 2002-07-03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6405A (zh) * 2016-03-15 2016-07-27 江南大学 一种王不留行提取物面膜的应用
US11185492B2 (en) 2018-12-14 2021-11-30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CN112402323B (zh) * 2020-12-09 2022-09-16 广东柏俐臣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淡斑组合物、化妆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5571A1 (de) * 1988-06-09 1989-12-13 Singh-Verma, Shyam Bir, Dr. Pflanzliche Wirkstoffzubereitung zur Verwendung in Kosmetika
JPH0469343A (ja) * 1990-07-10 1992-03-04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抽出物からなる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
KR19980069943A (ko) * 1997-02-18 1998-10-26 유상옥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US6124268A (en) * 1999-02-17 2000-09-26 Natreon Inc. Natural antioxidant compositions, method for obtaining same and cosmetic, pharmaceutical and nutritional formulations thereof
KR20000074101A (ko) * 1999-05-18 2000-12-05 유상옥 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US6261605B1 (en) * 1996-12-28 2001-07-17 Shyam B. Singh-Verma Cosmetic preparations containing extracts from phyllanthus emblica and centella asiatica and/or bacopa monnieri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5571A1 (de) * 1988-06-09 1989-12-13 Singh-Verma, Shyam Bir, Dr. Pflanzliche Wirkstoffzubereitung zur Verwendung in Kosmetika
JPH0469343A (ja) * 1990-07-10 1992-03-04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抽出物からなる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
US6261605B1 (en) * 1996-12-28 2001-07-17 Shyam B. Singh-Verma Cosmetic preparations containing extracts from phyllanthus emblica and centella asiatica and/or bacopa monnieri
KR19980069943A (ko) * 1997-02-18 1998-10-26 유상옥 상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US6124268A (en) * 1999-02-17 2000-09-26 Natreon Inc. Natural antioxidant compositions, method for obtaining same and cosmetic, pharmaceutical and nutritional formulations thereof
KR20000074101A (ko) * 1999-05-18 2000-12-05 유상옥 상지추출물과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556A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009B1 (ko)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8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39327A (ko) 예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530669B1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1781545B1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449345B1 (ko) 엠블리카 추출물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2044935B1 (ko) 병아리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1722B1 (ko) 연호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090117364A (ko) 아담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2555418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2k-3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천심련 및 바위손의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83028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090119340A (ko) 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29718B1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20040087644A (ko)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495454B1 (ko) 피토라이트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3604A (ko) 피부보호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0008846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6547B1 (ko) 산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522A (ko) 기실, 원보초, 상기생, 여정자 및 지골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을 갖는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4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010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