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47506B1 -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 - Google Patents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506B1
KR100447506B1 KR10-2001-0082866A KR20010082866A KR100447506B1 KR 100447506 B1 KR100447506 B1 KR 100447506B1 KR 20010082866 A KR20010082866 A KR 20010082866A KR 100447506 B1 KR100447506 B1 KR 100447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luene
reactor
impinger
tce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2805A (ko
Inventor
박옥현
정인경
우혜진
김용찬
Original Assignee
동아엔바이로 주식회사
박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엔바이로 주식회사, 박옥현 filed Critical 동아엔바이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2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506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50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46Controlling the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8Halogens or halogen compounds
    • B01D53/70Organic halogen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을 고효율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스 형태로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이 공급되는 반응기를 다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유기염소 화합물이 하강하면서 미생물이 발생하는 분해효소에 의해 산화되어 단계별로 여과 및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A Biofilteration Device For Eliminating Volatile Organic Chlorine Compound}
본 발명은 생물여과법을 이용하여 톨루엔을 주식으로 하는 미생물로 하여금 상기 톨루엔과 더불어 반응기로 투입되는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을 동반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생물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미생물이 내포되는 반응기를 다단계로 분할하여 상기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이 가스 형태로 하강하면서 단계별로 여과 및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용제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각종 산업공정에서는 여러 종류의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 : 이하 VOC라 약칭함) 가스가 대량 방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VOC 가스는 대기중에서 질소 산화물과 더불어 광화학적 산화반응을 일으키며, 그 결과 지표면의 오존 농도를 증가시켜 스모그 현상 등의 심각한 환경오염 및 공해문제를 유발시켰다.
또한 상기 VOC 가스는 낮은 농도로도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만성 혹은 급성 건강장해를 일으키며, 특히 암을 유발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VOC 가스 중에서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의 일종인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 이하 TCE라 약칭함)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염소 화합물로서 사염화 아세틸렌을 물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탄산칼슘이나 알칼리와 함께 처리되거나 에틸렌을 염소화해서 분별 증류하여 얻어지는 무색의 액체이며, 휘발성이 강하여 쉽게 대기 중으로 확산하는 비연소성의 독성 유기용제이다.
이러한 TCE가 특히 VOC가스 중 문제가 되는 것은 산업 현장에서 각종 용매,그리스 제거제, 드라이 클리닝(Dry Cleaning) 제제 등과 같은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며, 그 종래 처리과정이 부적절하여 상당량이 유출되어 지하수, 식수, 토양을 오염시키는데도 그 독성이 타 유기용제에 비해 낮다고 인식되어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TCE가 암을 유발함은 물론 유전자 변이를 초래한다고 밝혀지면서 특유해물질(Priority Pollutants)로 규정되어 기존의 오염물질인 COD, BOD, SS 등과 구분하여 취급하고 있으며, SDWA(Safe Drinking Water Act)에 의해 규제되는 음용수 관련 유해물질 중에서 휘발성 유기 화학물(Volatile Organic Chemicals) 항목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유발시키는 TCE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가열하여 연소시키는 방법이나, 공기 주입으로 제거하는 방법(Air Stripping Method) 또는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 제거방법 등에 의해 처리되어 왔다.
하지만 상기 연소장치는 시설면에서 초기비용의 지출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또한 운전비가 높을 뿐만 아니라 2차 오염물 생성 등의 문제점을 유발시켰다.
그리고 흡착의 경우에는 용제를 회수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으며, 또한 TCE 가스의 대부분이 물에 잘 녹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반해 상기 생물여과법은 기본적으로 초기 비용이 적게 들고 2차 오염물 생성이 없는 제거 기술이지만, 통상 물에 잘 녹는 유해물질에만 적용되고 톨루엔 등과 같은 물에 잘 녹지 않는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염소 화합물과 탄소원 기질간의 경쟁, 분해효소의 활동도, 분해 중간생성물이 효소에 미치는 독성 등과 같은 여러 영향 인자들이 복잡하게 서로 연루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실험단계에만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이루는 각 공정을 간략화함으로써, 일반공중에게 널리 보급시킬 수 있는 안정적이고도 범용적인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톨루엔을 주식으로 배양되는 미생물의 공동대사(Co-metabolism)를 이용하여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미생물의 배양효율을 높이고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을 단계별로 여과하여 제거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높이방향을 따라 단계별로 분할되는 반응기에 단계별로 대응하여 톨루엔이 제공되며,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은 가스 형태로 하강하면서 단계별로 제거될 수 있는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가스 형태의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이 하강하면서 단계별로 미생물에 접촉될 수 있도록 높이방향을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고,
상기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을 공동대사(Cometabolism) 반응으로 산화시켜 제거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미생물의 배양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칩 형태의 세라믹충전물(71)이 각 단계별로 무작위로 적층되는 반응기(70);
상기 반응기(70)에 단계별로 대응 연결되어 상기 미생물의 에너지원으로 톨루엔을 공급하기 위해 액상의 톨루엔이 내포되는 복수개의 톨루엔 임핀저(50);
상기 톨루엔 임핀저(5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톨루엔과 더불어 상기 반응기(70)에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을 공급하기 위해 액상의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이 내포되는 TCE 임핀저(40);
상기 반응기(70)에 공급되는 톨루엔 및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상기 톨루엔 임핀저(50) 및 TCE 임핀저(40)의 출구에 각각 구비되는 체크밸브(80); 및
상기 톨루엔 및 TCE를 휘발시켜 상기 반응기(70)에 가스 형태로 제공하도록 상기 각 톨루엔 임핀저(50) 및 TCE 임핀저(40)에 각각 대응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일정유량으로 공급하기 위한 질량유량 컨트롤러(30) 및 에어펌프(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반응기(70)에는 상기 미생물에 일정한 유량으로 영양염료를 제공하도록 상기 영양염료가 내포되고, 유량조절 펌프(91)가 구비되는 교반기(90)가 일측에 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반응기(70)에는 전도되는 열이 대류하면서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수온의 물을 포함하는 워터 자켓(72)이 외측에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질량유량 컨트롤러(30)에는 질량유량을 단위시간별로 체크할 수 있는 질량유량 체크박스(35)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TCE 임핀저(40)에는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로 물을 기화시켜 상기 반응기(70) 내에 일정하게 수분을 공급하면서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및 동반 공급되는 톨루엔의 농도를 조절하도록 물이 내포되는 워터 임핀저(60)가 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에어펌프(10)는 방출되는 공기에 혼재된 수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필터(11) 및 상기 각 질량유량 컨트롤러(30)에 방출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공급하기 위한 공압 레귤레이터(2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물여과장치에서 TCE 유입농도에 따른 제거효율을 기존 여과장치와 비교한 그래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 에어펌프 11: 여과필터
20: 공압 레귤레이터 30: 질량유량 컨트롤러
35: 질량유량 체크박스 40: TCE 임핀저
50: 톨루엔 임핀저 60: 워터 임핀저
70: 반응기 71: 세라믹 충전물
72: 워터 자켓 80: 체크 밸브
90: 교반기 91: 유량조절 펌프
100: 생물여과장치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물여과장치(100)는 미생물의 공동대사(Cometabolism) 반응으로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설명의 편의상 이하 TCE라 약칭함)을 제거하는 생물여과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이 때 상기 미생물이 포함되는 반응기(70)는 상기 TCE의 여과 및 제거 효율을 높힐 수 있도록 다단계로 구분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생물여과장치(100)는 크게 일정한 유량과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부분과, 공급받는 공기를 통해 TCE 및 톨루엔을 휘발시켜 가스 형태로 반응기(70)에 제공하는 부분과, 제공된 TCE 및 톨루엔을 생물학적으로 여과 처리하여 제거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기의 공급을 위한 부분으로서 에어펌프(10) 및 상기 에어펌프(10)에 관연결되어 공기에 혼재된 먼지와 같은 이물질과 수분 등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필터(1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필터(11)에는 분기되는 관연결로 5개의 공압 레귤레이터(20)가 설치되어 상기 에어펌프(10)에서 여과필터(11)를 통과하여 제공되는 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한다.
또한 상기 각 공압 레귤레이터(20)에는 1개씩의 질량유량 컨트롤러(30)가 연결되어 있는데, 공압을 일정하게 조정된 공기의 유량을 역시 일정하게 조절하며, 상기 질량유량 컨트롤러(30)는 공통적으로 질량유량 체크박스(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위시간당 공기의 질량유량을 체크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상기 질량유량 체크박스(35)의 시간별 유량을 확인하고, 각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공기의 질량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 질량유량 컨트롤러(30)에는 1개의 TCE 임핀저(40), 3개의 톨루엔 임핀저(50) 및 1개의 워터 임핀저(60)가 각각 연결되어 있어 일정한 압력 및일정한 유량의 공기를 계속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TCE 임핀저(40)는 안측에 액상의 TCE가 담겨져 있는데,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TCE를 휘발시켜 가스 형태로 상기 반응기(70)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톨루엔 임핀저(50)는 안측에 톨루엔이 담겨져 있는데, 역시 공기의 공급으로 휘발되어 가스 형태로 상기 반응기(70)에 제공되며, 제공된 상기 톨루엔은 반응기(70)에서 배양되는 미생물의 주식으로 기능한다.
상기 워터 임핀저(60)는 안측에 담겨 있는 물이 유입되는 공기로 기화되어 반응기(70)에 제공되는데, 이 때 상기 워터 임핀저(60)는 3개의 톨루엔 임핀저(50) 중 근접하는 1개의 톨루엔 임핀저(50) 및 상기 TCE 임핀저(40)와 연결되어 결국 가스 형태의 TCE 및 톨루엔와 더불어 상기 반응기(70)에 공급된다.
이러한 수분의 공급은 상기 반응기(70)의 미생물에 보다 적절한 배양환경(습도)을 제공하여 배양 효율을 높히기 위한 것이며, 상기 TCE 및 톨루엔이 일정한 농도를 갖도록 희석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TCE는 미생물이 톨루엔을 섭취하여 분해할 때 더불어 분해하여 여과 및 제거되는 것으로, 농도가 비교적 과하면 미생물의 여과 및 제거 효율이 하락하기 때문에, 적정한 농도를 유지해야 한다.
한편 상기 TCE 임핀저(40)에 연결되는 톨루엔 임핀저(50) 이외에 나머지 2개의 톨루엔 임핀저(50)는 단게별로 구분된 상기 반응기(70)에 대응하여 연결되고, 역시 유입되는 공기로 휘발되어 가스 형태로 반응기(70)에 제공된다.
이 때 상기 각 임핀저(40,50,60)의 출구에는 각각 개별적으로 체크 밸브(80)가 설치되어 가스 형태로 발생하는 상기 TCE 및 톨루엔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TCE 및 톨루엔이 공급되는 상기 반응기(70)는 높이방향을 따라 3단계로 구분되어 있고, 그 높이가 약 950㎝, 직경이 약 10㎝ 정도인 원통형 용기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내부환경 및 반응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주재질은 유리이다.
이러한 상기 반응기(70)에서 상기 TCE 임핀저(40) 및 상기 TCE 임핀저(40)에 연결된 톨루엔 임핀저(50) 및 워터 임핀저(60)는 반응기(70)의 최상부에 연결되고, 중간부 및 하단부에는 각각 1개씩의 톨루엔 임핀저(50)가 단계별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응기(70)에는 각 단계별로 칩 형태의 세라믹 충전물(71)이 무작위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세라믹 충전물(71)을 거처삼아 미생물이 배양된다.
상기 미생물은 환경정화에 이용되는 톨루엔 산화 박테리아의 일종으로 유기탄소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호기성 균이며 발효대사 과정을 행하지 않고, 특히 다양한 탄화수소를 단일 탄소원과 전자 공여체로 사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한다.
그런데 상기 TCE는 호기성 조건에서는 잘 분해되지 않고, 혐기성 조건에서는 매우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된다.
그러나 상기 TCE는 옥시제네스(Oxygenase)라는 효소에 의해 분해되는 특징이 있는데, 상기 미생물은 탄소원을 기질로 하여 배양되면서 톨루엔 디옥시제네스(Toluene Dioxygenase)라는 효소를 발생시킨다.
이 때 상기 효소의 활동은 NADH라는 물질로 인해 시작되는데, 상기 NADH는 에너지원으로 투입되는 상기 톨루엔의 분해시 생성되기 때문에, 결국 상기 톨루엔디옥시제네스 효소에 의해 상기 TCE는 호기성 조건에서 분해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부가적인 생성효소가 상기 TCE와 더불어 산화되는 일련의 과정을 공동대사(Cometabolism)라 한다.
이러한 상기 미생물은 약 15℃ ∼ 35℃의 온도범위 내에서 가장 활동적으로 효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상기 반응기(70)의 외측에는 전도되는 열이 내부에서 대류하며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약 25℃ 정도의 수온의 물을 내포하고 있는 워터 자켓(Water Jacket)(7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응기(70)의 상부에는 상기 미생물에 영양염료가 제공되도록 영양염료가 내포된 교반기(90)가 연결되며, 상기 교반기(90)에는 상기 영양염료가 일정한 유량으로 반응기(70)에 투입되도록 유량조절 펌프(91)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반응기(70)에 톨루엔과 더불어 제공된 TCE 가스는 반응기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하강하면서 단계별로 적층된 세라믹 충전물(71)에서 단계별로 주입되는 톨루엔을 에너지원으로 증식되는 미생물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미생물이 톨루엔을 기질로 발생시키는 효소가 상기 TCE 가스와 공동대사작용으로 산화됨으로써, 결국 상기 반응기(70)의 하부로 방출되는 것은 TCE 성분이 제거된 비교적 순수한 공기 및 수분 등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물여과장치에서 TCE 유입농도에 따른 제거효율을 기존 여과장치와 비교한 그래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래프도에서 X축은 TCE 유입농도(ug/L)이고, Y축은 TCE 제거 효율(%)로서, 반응기(70)의 상부에서 톨루엔을 곧바로 단독 주입(Single-step Feeding)하는 기존 형태와, 다단계로 주입(Multi-step Feeding)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70) 형태를 비교한 것이다.
다단계로 주입하였을 경우 기존 형태에 비해 10∼30%까지 증대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기존 반응기(70) 형태는 유입되는 톨루엔 가스가 상부에 머무르기 때문에, 상부에서 대부분의 톨루엔이 제거되면서 상대적으로 하부에서는 미생물의 증식 및 분해효소의 생성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TCE 제거량이 주입부에 비해 현저히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톨루엔의 부하를 반응기(70)의 높이에 걸쳐 분할하여 주입함으로써, 반응기(70) 전반적으로 톨루엔의 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미생물의 증식 및 효소생성이 균일하므로 TCE의 제거효율을 높힐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에서, 상기 반응기(70)는 3단계로 구분하는 것 이외에, 제거하고자 하는 TCE의 양에 따라 그 단계별 구분 정도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관은 TCE 및 톨루엔의 흡착을 방지하도록 테플론 튜브(Teflon Tube) 또는 스테인레스 파이프 중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에서, 톨루엔 가스가 단계별로 주입되어 배양미생물의 증식율 및 효소발생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기존의 생물여과용 반응기에서는 톨루엔이 한꺼번에 주입되기 때문에, TCE 와 톨루엔의 경쟁억제 작용으로 TCE 제거효율이 떨어지는 반면에 본 발명의 반응기에서는 톨루엔의 주입이 반응기 전반에 걸쳐 구분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TCE 가스의 제거에 필요한 효소 발생량이 반응기 전체에 걸쳐 균일하여 TCE 가스가 하강하면서 효소와 더불어 단계별로 산화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6)

  1. 가스 형태의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이 하강하면서 단계별로 미생물에 접촉될 수 있도록 높이방향을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고, 상기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을 공동대사(Cometabolism) 반응으로 산화시켜 제거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미생물의 배양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칩 형태의 세라믹 충전물(71)이 각 단계별로 무작위로 적층되는 반응기(70);
    상기 반응기(70)에 단계별로 대응 연결되어 상기 미생물의 에너지원으로 톨루엔을 공급하기 위해 액상의 톨루엔이 내포되는 복수개의 톨루엔 임핀저(50);
    상기 톨루엔 임핀저(5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톨루엔과 더불어 상기 반응기(70)에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을 공급하기 위해 액상의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이 내포되는 TCE 임핀저(40);
    상기 반응기(70)에 공급되는 톨루엔 및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상기 톨루엔 임핀저(50) 및 TCE 임핀저(40)의 출구에 각각 구비되는 체크밸브(80); 및
    상기 톨루엔 및 TCE를 휘발시켜 상기 반응기(70)에 가스 형태로 제공하도록 상기 각 톨루엔 임핀저(50) 및 TCE 임핀저(40)에 각각 대응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를 일정유량으로 공급하기 위한 질량유량 컨트롤러(30) 및 에어펌프(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70)에는 상기 미생물에 일정한 유량으로 영양염료를 제공하도록 상기 영양염료가 내포되고, 유량조절 펌프(91)가 구비되는 교반기(90)가 일측에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70)에는 전도되는 열이 대류하면서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수온의 물을 포함하는 워터 자켓(72)이 외측에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질량유량 컨트롤러(30)에는 질량유량을 단위시간별로 체크할 수 있는 질량유량 체크박스(35)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CE 임핀저(40)에는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고압의 공기로 물을 기화시켜 상기 반응기(70) 내에 일정하게 수분을 공급하면서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및 동반 공급되는 톨루엔의 농도를 조절하도록 물이 내포되는 워터 임핀저(60)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10)는 방출되는 공기에 혼재된 수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필터(11) 및 상기 각 질량유량 컨트롤러(30)에 방출공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공급하기 위한 공압 레귤레이터(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
KR10-2001-0082866A 2001-12-21 2001-12-21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47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866A KR100447506B1 (ko) 2001-12-21 2001-12-21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866A KR100447506B1 (ko) 2001-12-21 2001-12-21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805A KR20030052805A (ko) 2003-06-27
KR100447506B1 true KR100447506B1 (ko) 2004-09-08

Family

ID=2957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866A Expired - Fee Related KR100447506B1 (ko) 2001-12-21 2001-12-21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5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2558B (zh) * 2019-01-18 2024-12-13 朗昆(北京)新环保科技有限公司 含氯有机挥发污染物的生物处理装置及应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3234A2 (de) * 1994-01-14 1995-07-19 ÖMV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eroben mikrobiologischen Dekontaminieren von Gasen
JPH07236895A (ja) * 1994-02-28 1995-09-12 Sangyo Souzou Kenkyusho トリクレンの分解方法
JPH08192023A (ja) * 1995-01-18 1996-07-30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生物脱臭装置
JPH11169654A (ja) * 1997-12-17 1999-06-29 Toyo Dynam Kk 循環式微生物脱臭装置
KR19990046720A (ko) * 1999-04-19 1999-07-05 이태용 휘발성유기화합물및악취를제거하기위한쌍방향흐름형생물학적제거장치
KR19990046234A (ko) * 1998-12-02 1999-07-05 유철진 생물학적 악취제거 시스템_
KR20000006651A (ko) * 1999-09-17 2000-02-07 임재신 악취성분 및 VOCs가 함유된 폐가스를 생물학적으로정화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3234A2 (de) * 1994-01-14 1995-07-19 ÖMV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eroben mikrobiologischen Dekontaminieren von Gasen
JPH07236895A (ja) * 1994-02-28 1995-09-12 Sangyo Souzou Kenkyusho トリクレンの分解方法
JPH08192023A (ja) * 1995-01-18 1996-07-30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生物脱臭装置
JPH11169654A (ja) * 1997-12-17 1999-06-29 Toyo Dynam Kk 循環式微生物脱臭装置
KR19990046234A (ko) * 1998-12-02 1999-07-05 유철진 생물학적 악취제거 시스템_
KR19990046720A (ko) * 1999-04-19 1999-07-05 이태용 휘발성유기화합물및악취를제거하기위한쌍방향흐름형생물학적제거장치
KR20000006651A (ko) * 1999-09-17 2000-02-07 임재신 악취성분 및 VOCs가 함유된 폐가스를 생물학적으로정화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805A (ko) 200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n et al. Autotrophic deodorization of hydrogen sulfide in a biotrickling filter
US2003017327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lying high concentrations of dissolved oxygen and ozone for 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Jin et al. Co-treatment of hydrogen sulfide and methanol in a single-stage biotrickling filter under acidic conditions
Prado et al. Removal of formaldehyde, methanol, dimethylether and carbon monoxide from waste gases of synthetic resin-producing industries
CN112007506A (zh) 一种医药化工污水及有机废气联合生物处理方法
Yang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pilot-scale bio-trickling filters with counter-and cross-current flow patterns in the treatment of emissions from chemical fibre wastewater treatment plant
KR100447506B1 (ko) 휘발성 유기염소 화합물 제거용 생물여과장치
WO1996023529A1 (en) Biodegradation of volatile organic contaminants from air using biologically activated foam
Guo et al. Co-metabolic degradation of trichloroethylene by Pseudomonas putida in a fibrous bed bioreactor
Mezgebe et al. Effectiveness of biosurfactant for the removal of trihalomethanes by biotrickling filter
TW446572B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organic exhaust by combining ultraviolet oxidation method with bio-decomposition method
Aguirre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microbial community in a biotrickling filter treating a complex mixture of gaseous compounds causing odor nuisance
KR100267632B1 (ko) 생물학적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 물질의 제거방법
Nourmohammadi et al. Absorption and biodegradation of toluene in a two-phase low-pressure bioscrubber using cutting oil as the organic phase
Pascual et al. Trimethylamine abatement in algal-bacterial photobioreactors
Peixoto et al. Biodegradation of toluene in a trickling filter
JPH07116467A (ja) 揮発性有機化合物の処理方法
US9890343B2 (en) Process and biofilter system for H2S removal from a H2S contaminated energy production gas stream containing methane and use of such a biofilter system
Chen et al. Effects of gas flow‐rate and inlet concentration on nitric oxide removal in an autotrophic biofilter
Strand et al. Kinetics of methane-oxidizing biofilms for degradation of toxic organics
KR100363209B1 (ko) 염소계 유기화합물 폐수의 탈염소화 방법 및 장치
Morita et al. Optimizing nutrient supply in a rotatory-switching biofilter for toluene vapor treatment
Kamenev11 et al. Aerobic bio-oxidation combined with ozonation in the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s
Ghiasvand et al. Boosting biodegradation and mineralization efficiencies of chlorinated VOCs: The synergy of H2O2 and biotrickling filtration
Cai et al. Treatment of styrene-contaminated air using combined process of microelectrolysis and biotrickling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8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82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