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46437B1 -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437B1
KR100446437B1 KR10-2002-0025354A KR20020025354A KR100446437B1 KR 100446437 B1 KR100446437 B1 KR 100446437B1 KR 20020025354 A KR20020025354 A KR 20020025354A KR 100446437 B1 KR100446437 B1 KR 100446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electron
electromagnetic waves
gas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832A (ko
Inventor
김경엽
Original Assignee
유토파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토파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토파워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437B1/ko
Publication of KR20020086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43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전자파 및 에너지를 포함하는 자극체의 공진공동 발진출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조사기와; 전자조사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조사기에서 생성된 전자파 및 에너지를 방출하는 조사 안테나와; 조사 안테나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및 에너지를 특정 위치에 집중 조사시키는 조사관과; 정화 처리할 기액혼합물을 전자파 및 에너지 조사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반응통수코일관; 및 반응통수코일관의 하단에 설치되어 반응통수코일관을 투과한 전자파 및 전자에너지를 반사시켜 반응통수코일관 내의 기액혼합물에 전자파 및 에너지를 역조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액혼합물[오존가스, 공기, 처리수(오폐수 또는 1차처리수 등) 등]에 강력한 전자파와 전자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플라즈마 및 라디칼을 이용하여 기액혼합물을 산화분해시켜 비산화, 스컴화 또는 슬러지 상태로 분리 처리하여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Electronic radiation apparatus for Sewage/waste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응통수코일관을 통해 유입되는 기액혼합물[오존가스, 공기, 처리수(오폐수 또는 1차처리수 등) 등]에 강력한 전자파와 전자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기액혼합물을 산화분해시켜 비산화, 스컴화 또는 슬러지 상태로 분리 처리하여 정화시키는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생존과 활동에는 각종 자원을 필요로 하며, 그 결과 필연적으로 폐기물을 배출하게 되고, 이로서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은 물론 소음, 진동, 악취 등의 환경오염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수질오염은 물에 임의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물의 성분과 상태를 변화시켜 물을 그대로 이용할 수 없는 폐수상태에 이른 것을 말하며, 하천, 호수, 해양, 연안 내의 수질오염은 인간의 건강에 큰 위협을 주고 있다.
수질을 오염시키는 물질은 유독성 물질과 유기물로 대별할 수 있다. 유독성 물질은 DDT, BHC와 같은 유기 염소계 농약, 유기인제, 수은, 카드뮴, 납, 크롬, 기타 중금속 화합물(예컨대, PCB, 시안, 페놀, 비소 등)을 포함하며, 유기물은 생물원료에 유래되는 폐기물 또는 생물의 신진대사 과정에서 배설되는 분뇨, 하수, 농축산폐수, 식품공장의 폐수 등을 포함한다. 유기폐수는 하천이나 호수의 자정 능력을 초과한 때에 수질오염을 유발시킨다.
화학 폐수 및 폐기물 침출수 등의 난분해성 폐수를 정화하는데는 화학약품에 의한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화학적 폐수처리시스템에서는 미생물의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화학약품에 의존하기 때문에 운전비용이 높으며, 처리수에 산화제 등이 포함된 상태로 외부로 방류되기 때문에 하천 생태계를 파괴하게 되는 2차 오염의 폐단이 있다.
또한, 독성 및 난분해성 오염 물질을 처리하기 위해서 과산화수소와 2가 철이온이 반응하여 발생한 수산화(-OH) 라디칼의 강한 산화력을 이용하여 오폐수 내에 존재하는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하는 펜톤(Fenton) 산화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반응의 촉매로 사용되는 철로 인하여 철수산화물 형태의 슬러지가 다량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 실용화되고 있는 자외선 및 과산화수소(H2O2)를 이용한 광분해 산화 시스템의 경우 그 효과는 이미 입증되었지만, 계속적으로 약품(즉, 과산화수소)을 주입해 주어야 하는 단점과 오폐수 내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이온 성분(예컨대, Cr+2, Co+2, Ni+2등)은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광분해 산화 시스템은 600ppm급의 고농도 유기물을 함유한 오폐수에 대한 유기물 제거율이 80%에도 못미쳐 처리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자외선의 폐수에 대한 투과성이 나쁘고 반응속도가 느려 소량의 오폐수처리에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 나아가, 자외선 광촉매[UV/이산화티탄(TiO2)]를 이용한 광촉매 산화 시스템의 경우, 아직까지 독성 및 난분해성 화학물질을 분해시키는데 주된 역할을 하는 수산화 라디칼의 형성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실용화를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즉, 광촉매 산화 시스템은 유기물에 대한 제거율이 80∼90%까지 높아지지만, 이 역시 반응시간은 30시간 이상을 필요로 하며, 첨가된 TiO2산화촉매의 영향으로 오폐수에 대한 자외선의 투과깊이가 제한되어 처리효율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이와 같이 산업발달과 더불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오폐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여러 다양한 처리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 만족할 만한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기액혼합물[오존가스, 공기, 처리수(오폐수 또는 1차처리수 등) 등]에 강력한 전자파와 전자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기액혼합물을 산화분해시켜 비산화, 스컴화 또는 슬러지 상태로 분리 처리하여 정화시키는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기액혼합물의 진행통로인 반응통수코일관을 전자파 및 전자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침투할 수(조사될 수) 있도록 세라믹 유전체관(투명체), 유리관 또는 앨탈피관으로 구성하여 기액혼합물이 전자파 및 전자에너지와의 간섭반응을 극대화시키고, 반응통수코일관을 나선 평면형 또는 달팽이관(소용돌이) 모양으로 구현하여 반응시간을 극대화시키는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반응통수코일관을 투과한 전자파 및 전자에너지를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반응통수코일관의 하단에 설치하여 투과된 전자파 및 전자에너지를 역조사시킴으로써 반응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통수코일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통수코일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자조사기 20: 조사 안테나
30: 조사관 40: 반응통수코일관
50: 반사경 100: 전자조사장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자파 및 에너지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에 있어서, 전자파 및 에너지를 포함하는 자극체의 공진공동 발진출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조사기와; 전자조사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조사기에서 생성된 전자파 및 에너지를 방출하는 조사 안테나와; 조사 안테나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및 에너지를 특정 위치에 집중 조사시키는 조사관과; 정화 처리할 기액혼합물을 전자파 및 에너지 조사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반응통수코일관; 및 반응통수코일관의 하단에 설치되어 반응통수코일관을 투과한 전자파 및 전자에너지를 반사시켜 반응통수코일관 내의 기액혼합물에 전자파 및 에너지를 역조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100)의 구성도로서, 본 전자조사장치(100)는 전자조사기(10), 조사 안테나(20), 조사관(30), 반응통수코일관(40) 및 반사경(5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자조사기(10)는 고전압 발생부(12), 충방전 콘덴서(14), 다이오드(16) 및 전자관(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조사기(10)는 자극체의 공진공동 발진출력(즉, 전자파 및 에너지)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전자조사기(100)는 고압 트랜스, 2차 고압코일 및 2차 저압코일로 구성되어 입력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시키는 고전압 발생부(12), 고전압 발생부(12)에서 발생한 고전압을 충전 및 방전하는 충방전 콘덴서(14),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그 반대쪽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하는 정류 특성을 갖는 다이오드(16) 및 자기장 속에서 극초단파(ultrahigh frequency:UHF)를 발진하는 전자관(magnetron)(1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자관은 일반적으로 순동(純銅)의 전극을 양극으로 하고, 축방향으로 음극과 그리드가 배치되어 있다. 음극의 축방향으로 자기장을 걸면 음극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튀어나온 전자는 양극에 흡인됨과 동시에 자기장에 의해서 진행방향으로 직각의 힘을 받는다. 그 결과 전자는 나선상의 운동을 하게 되며, 여기서 자기장의 강도를 크게 하면 전자가 구부러지는 양도 커지며, 양극에 도달하기 전에 여러번 회전하게 된다. 또한, 자기장의 강도가 어느 한계(임계자속밀도)에 도달하면 전자는 거의 양극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며, 이때 음극 주위에는 전자에 의한 회전전자극(回轉電子極)이 생기고 양극의 진동회로에는 유도전류가 생겨 진동이 자극되어 지속한다. 발진 주파수는 대부분 진동회로에 의해 정해지고 고능률이며, 또한 대출력을 얻는다. 전자관(18)에서 발생되는 발진출력은 수기가 헤르쯔(예컨대, 1.5∼3 GHz)의 전자파와 수KW급 에너지(즉, 충격 에너지)를 포함한다.
조사 안테나(20)는 전자조사기(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자조사기(10)에서 생성된 전자파 및 에너지를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조사관(30)은 조사 안테나(20)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및 에너지를 특정 위치에 집중 조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재질은 스텐레스 또는 티타늄 합금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통수코일관(40)은 정화 처리할 기액혼합물[오존가스, 공기, 처리수(오폐수 또는 1차처리수 등) 등]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반응통수코일관(40)은 전자파 및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침투할 수(조사될 수) 있도록 세라믹 유전체관(투명체) 또는 유리관 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통수코일관(40)은 기액혼합물이 조사관 영역 내에서 최대한 긴 시간동안 전자파 및 에너지를 조사받을 수 있도록 나선 평면형 또는 달팽이관(소용돌이)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통수코일관(40)은 정화 처리할 기액혼합물을 투입시키는 투입구(40a) 및 정화 처리된 기액혼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40b)를 포함한다.
반사경(50)은 반응통수코일관(40)의 하단에 설치되어 반응통수코일관(40)을 투과한 전자파 및 전자에너지를 반사시켜 반응통수코일관(40) 내의 기액혼합물에 전자파 및 에너지를 역조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반사경(50)은 반응통수코일관(40)을 투과된 전자파 및 에너지를 역조사시킴으로써 반응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위해 반사율이 좋은 스텐레스 또는 티타늄 합금 재질로 구현하고 일정한 곡율을 유지하여 특정 위치에 전자파 및 에너지가 집중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통수코일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통수코일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통수코일관(40)을 나선 평면형으로 구현하여 조사관(30)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반응통수코일관(40) 내의 기액혼합물이 보다 길게 조사관(30)에 머무를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통수코일관(40)을 달팽이관(소용돌이) 모양으로 구현하여 조사관(30)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반응통수코일관(40) 내의 기액혼합물이 보다 길게 조사관(30)에 머무를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반응통수코일관(40)을 전술한 나선 평면형 및 달팽이관(소용돌이) 모양으로 구현하는 이유는 반응 시간을 길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모양 이외에 다른 모양(예컨대, 지그재그형 등)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에 대한 동작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반응통수코일관은 나선 평면형 및 달팽이관(소용돌이) 모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사관 내에 위치시켰다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는 전자조사기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자조사기를 가동시켜 전자관을 통해 전자파 및 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자파 및 에너지를 조사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킨다(S310). 여기에서, 전자파 및 에너지는 고전압 발생부, 충방전 콘덴서, 다이오드 및 전자관으로 구성된 전자조사기에서 생성되며, 전자파는 수기가 헤르쯔(예컨대, 1.5∼3 GHz)이고, 에너지(즉, 충격 에너지)는 수KW급이다. 조사 안테나를 통해 방출된 전자파 및 에너지는 조사관에 의해 일정 범위를 일탈되지 않고 조사관 범위 내에서 조사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다음에, 사용자는 반응통수코일관의 투입구로 정화 처리할 기액혼합물을 투입시킨다(S320). 투입구로 투입된 기액혼합물은 반응통수코일관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이동 도중 방출된 전자파 및 에너지에 의해 기액혼합물은 정화 처리된다(S330). 전자파 및 에너지는 반응통수코일관 내에서 이동중인 기액혼합물[오존가스, 공기, 처리수(오폐수 또는 1차처리수 등) 등]을 산화반응시켜 유기물,악취, 색상, 세균류, 영양류(질소인), 페놀 및 중금속성 등을 분해시키고, 해당 기액혼합물을 비산화, 스컴화 또는 슬러지 상태로 분리하여 정화 처리한다. 전자파 및 에너지가 반응통수코일관에 조사되면 전자파의 마이너스와 플라스 전자극이 빠르게 전환되는데, 이때 기액혼합물 내에 존재하는 물분자, 유해물질 및 오존 가스 및 산소 등이 맹렬하게 상충 산란하면서 전리현상과 이온화로 플라즈마 현상이 발생된다. 이때 전리되는 이온들의 활성화로 유해물(유기물 등의 오염원), 오존 및 공기(산소)의 반응으로 강력한 산화력을 가진 OH 등의 라디칼이 생성되고, OH 라디칼에 의해 각종 오염 물질이 정화된다. 즉, 전자파 및 에너지는 공기와 접촉하여 H+, HO2, H2O2, O3및 이온들의 혼합물(플라즈마 가스)을 생성하여 기액혼합물 내에서 수하전자, H+, OH 및 각종 라디칼 또는 자유전자를 생성한다. 이러한 라디칼들이 기액혼합물의 각종 오염 물질과 반응하여 정화작용을 일으킨다. 또한, 전자파 및 에너지의 활성화에 따라 반응통수코일관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고 그로 인해 기액혼합물이 활성화되어 플라즈마 상태로의 전환을 가속화시킨다. 예를 들어, 플라즈마 및 라디칼들은 불포화 화합물(예컨대, -C≡C-, -C=C-, -N=N-, -C=C-)을 포화 화합물(예컨대, -C-C, -N-, -C-O-)로 전환시키거나 독성이 있는 난분해성 방향족 화합물(예컨대, 벤젠, 토로엔, 크레졸 등)을 사슬 화합물로 전환시키거나 긴 사슬 화합물을 짧은 사슬 화합물의 이온화 물질로 전환시키거나 전하를 띠지 않는 부유물질을 전하를 띠는 이온화 물질로 전환시켜 응집반응 및 침전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라디칼에 의한 산화분해작용이 극대화되면서 일부 산소는 물속에 용해되어 용존되고, OH 라디칼 반응은 반응통수코일관 내로 이동하는 기액혼합물의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및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Chemical Oxygen Demand)을 낮추고 용존산소량을 증가시켜 맑고 깨끗하게 정화 처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응통수코일관은 나선 평면형 또는 달팽이관(소용돌이) 모양으로 구현하여 정화 처리 시간이 최대가 되도록 한다.
반응통수코일관을 투과한 전자파 및 에너지는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어 반응통수코일관 내의 기액혼합물로 역조사시킨다(S350). 따라서, 역조사된 전자파 및 에너지에 의해 기액혼합물의 정화효율이 극대화된다. 반사경은 스텐레스 또는 티타늄 합금 재질로 구현하고, 일정한 곡율을 유지시킴으로써 반사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화 처리된 기액혼합물은 반응통수코일관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S350).
본 발명의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는 어떤 등급의 오폐수를 정화시킬 수 있지만, 정화 처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1차 또는 2차 처리된 처리수(예컨대, 소정 레벨로 정화 처리된 기액혼합물)를 정화하는 공정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에의하면, 기액혼합물[오존가스, 공기, 처리수(오폐수 또는 1차처리수 등) 등]에 강력한 전자파와 전자에너지를 조사함으로써 플라즈마 및 라디칼을 이용하여 기액혼합물을 산화분해시켜 비산화, 스컴화 또는 슬러지 상태로 분리 처리하여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플라즈마 및 라디칼에 의한 산화 공법은 물리, 화학적 공법이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각종 오폐수의 성상과 농도 변화에 대한 대처 능력이 뛰어나고, 처리비용이 기존 공법에 비해 30% 이상 절감될 수 있고, 설치 부피가 적고 설치 자체가 간단하여 비교적 적은 부지면적에 설치할 수 있고, COD, BOD, 색도, 질소인, 중금속 등에 대한 제거효율이 높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자파 및 에너지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에 있어서,
    전자파 및 에너지를 포함하는 자극체의 공진공동 발진출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조사기;
    상기 전자조사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조사기에서 생성된 상기 전자파 및 에너지를 방출하는 조사 안테나;
    상기 조사 안테나에서 방출되는 상기 전자파 및 에너지를 특정 위치에 집중 조사시키는 조사관;
    정화 처리할 기액혼합물을 상기 전자파 및 에너지 조사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반응통수코일관; 및
    상기 반응통수코일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반응통수코일관을 투과한 전자파 및 전자에너지를 반사시켜 상기 반응통수코일관 내의 상기 기액혼합물에 상기 전자파 및 에너지를 역조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조사기는
    고압 트랜스, 2차 고압코일 및 2차 저압코일로 구성되어 입력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시키는 고전압 발생부, 상기 고전압 발생부에서 발생한 고전압을 충전 및방전하는 충방전 콘덴서, 전류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그 반대쪽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게 하는 정류 특성을 갖는 다이오드 및 자기장 속에서 전자파 및 에너지를 발진시키는 전자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통수코일관은 세라믹 유전체관(투명체) 및 유리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통수코일관은 나선 평면형 및 달팽이관(소용돌이) 모양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스텐레스 및 티타늄 합금 재질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상기 반사경은 일정한 곡율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
KR10-2002-0025354A 2002-05-08 2002-05-08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46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354A KR100446437B1 (ko) 2002-05-08 2002-05-08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354A KR100446437B1 (ko) 2002-05-08 2002-05-08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832A KR20020086832A (ko) 2002-11-20
KR100446437B1 true KR100446437B1 (ko) 2004-09-01

Family

ID=2772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35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46437B1 (ko) 2002-05-08 2002-05-08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4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438B1 (ko) * 2002-05-17 2004-09-01 유토파워주식회사 이온화가스 발생장치 및 전자조사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11398B1 (ko) * 2015-07-01 2017-03-02 주식회사 아트닉스 실시간 자화수 생성 및 자화수 살균장치
CN113830864B (zh) * 2021-11-04 2023-04-07 安庆师范大学 一种单摆运动电极污水处理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263A (ja) * 1993-02-19 1994-09-06 Toyama Pref Gov 排水処理装置と排水処理方法
KR950006364U (ko) * 1993-08-21 1995-03-20 박선엽 음용수 살균용 통수관
KR960037411U (ko) * 1995-05-30 1996-12-16 노성훈 음용수용 살균 처리통
KR19980085039A (ko) * 1997-05-27 1998-12-05 이대원 전자선 및 오존에 의한 폐수처리 방법 및 장치
KR19990032337A (ko) * 1997-10-17 1999-05-15 이해규 전자선을 이용한 폐수처리용 분사형 반응기
KR19990032338A (ko) * 1997-10-17 1999-05-15 이해규 전자선에 의한 폐수처리공정에서의 오존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38680A (ko) * 1997-11-06 1999-06-05 이해규 전자 가속기를 이용한 폐수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263A (ja) * 1993-02-19 1994-09-06 Toyama Pref Gov 排水処理装置と排水処理方法
KR950006364U (ko) * 1993-08-21 1995-03-20 박선엽 음용수 살균용 통수관
KR960037411U (ko) * 1995-05-30 1996-12-16 노성훈 음용수용 살균 처리통
KR19980085039A (ko) * 1997-05-27 1998-12-05 이대원 전자선 및 오존에 의한 폐수처리 방법 및 장치
KR19990032337A (ko) * 1997-10-17 1999-05-15 이해규 전자선을 이용한 폐수처리용 분사형 반응기
KR19990032338A (ko) * 1997-10-17 1999-05-15 이해규 전자선에 의한 폐수처리공정에서의 오존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38680A (ko) * 1997-11-06 1999-06-05 이해규 전자 가속기를 이용한 폐수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832A (ko) 200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raes et al. Electrical discharge in water treatment technology for micropollutant decomposition
US10934197B2 (en) Electronic water pre-treatment equipment and methods
Li et al. Removal of organic matter from landfill leachate by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a review
Babuponnusami et al. Advanced oxidation of phenol: a comparison between Fenton, electro-Fenton, sono-electro-Fenton and photo-electro-Fenton processes
Atharizade et al. Evaluation of efficacy of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fenton, fenton-like and photo-fenton for removal of phenol from aqueous solutions
JP3910849B2 (ja) 浄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2517989B1 (ko) 라디칼공기를 이용한 하폐수의 난분해성 유기물 고도처리장치
KR100770422B1 (ko) 촉매반응의 강화방법
Ghasemi et al. A review of pulsed power systems for degrading water pollutants ranging from microorganisms to organic compounds
WO2007142442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treating wastewater using hydrated electrons and multi-frequency waves
Pandis et al. Key points of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AOPs) for wastewater, organic pollutants, and pharmaceutical waste treatment: A mini-review. ChemEngineering. 2022; 6 (1): 8
Kebriaei et al. Pulsed corona discharge, a new and effective technique for water and air treatment
KR0182803B1 (ko) 전자가속기의 전자빔에 의한 폐수처리방법
KR100446437B1 (ko) 오폐수 처리용 전자조사장치
EP1201609A1 (en) Apparatus for oxidatively destructing trace injurious substance
KR100446438B1 (ko) 이온화가스 발생장치 및 전자조사장치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91524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water electromagnetic activation and active metals generation
Salameh Treatment of olive mill wastewater by ozonation and electrocoagulation processes
Park et al. Decomposition of naproxen by plasma in liquid process with TiO2 photocatslysts and hydrogen peroxide
KR101660712B1 (ko) 플라즈마 수중 방전 기법을 이용한 난분해성 유기물 처리 장치 및 방법
KR970002617B1 (ko) 폐수처리방법 및 장치
KR20050022181A (ko) 전기분해와 프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및 폐수처리방법
Heidari et al. Removal of cyanide from synthetic wastewater by combined coagulation and advanced oxidation process
Luste et al. UVC irradiation–based water treatment
Koçak et al. Treatment of landfill leachate by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10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