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533B1 - Camera head - Google Patents
Camera hea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44533B1 KR100444533B1 KR1019970032087A KR19970032087A KR100444533B1 KR 100444533 B1 KR100444533 B1 KR 100444533B1 KR 1019970032087 A KR1019970032087 A KR 1019970032087A KR 19970032087 A KR19970032087 A KR 19970032087A KR 100444533 B1 KR100444533 B1 KR 1004445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head
- outer case
- printed wiring
- wiring board
- portio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137 moulding (plastic)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32 little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Lens Barrel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소형형태의 환형커넥터의 접속핀을 용이하게 납땜할 수 있도록 한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의 접속장치와, 소형형태로 접속핀의 납땜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다수의 핀의 환형커넥터를 가지는 소형카메라헤드를 제공한다. 환형커넥터는, 커넥터 본체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면을 2분할 하는 중심축을 통하는 소정의 폭을 가진 띠형태의 경계영역의 서로 평행한 경계선 위에 대칭으로 배치된 짝수개의 접속핀과,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에 따른 부분에 배치된 복수의 접속핀과를 갖추는 환형커넥터에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을 접속한다.Compact camera with a connecting device for a urineable printed wiring board for easily soldering the connecting pins of a small circular connector, and a plurality of pin annular connectors for easily soldering the connecting pins in a small form To provide the head. The annular connector has an even number of connecting pins symmetrically arranged on the parallel lines of the strip-shaped boundary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rough the central axis dividing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connector body, and the center axis. The urineable printed wiring board is connected to an annular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arranged in a portion along the circumfere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형커넥터 및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의 접속장치에 관하여, 예를들면 원통형의 소형 카메라헤드 등의 소형 전자장치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mall electronic device such as, for example, a cylindrical small camera head with respect to a connection device of an annular connector and a urethane printed wiring board.
종래, 예를들면 카메라헤드에서는 각종 회로구성 부품이 실장된 리지드 회로기판이 다층으로 되어서 케이스체에 내장되어 있었다. 그때 이미지센서와 상기 회로기판과의 접속,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과 출력커넥터와의 접속에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을 사용한다던지, 양단에 커넥터가 접속된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었다.Conventionally, for example, in a camera head, a rigid circuit board on which various circuit components are mounted has been multilayered and incorporated in a case body. At that time, a urgent printed wiring board was used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image sensor and the circuit boar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output connector, or a cable with connectors connected at both ends.
상술과 같은 접속구조를 채용한 종래의 카메라헤드에서는, 제조에 있어서, 복잡한 공정이 많고, 제조코스트가 높게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뢰성도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카메라헤드를 소형화 하는데도 곤란하였다.In the conventional camera head employing the connection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problems in manufacturing that there are many complicated processes,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also lowered. It was also difficult to downsize the camera head.
그래서, 상술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미지센서나 출력커넥터에 직접 접속할 수 있고, 편면 실장에서도 양면 실장과 동일한 실장면적을 확보한 스페이스팩터가 좋은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rineable printed wiring board device which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n image sensor or an output connector, and has a good space factor in which the same mounting area as that of double-sided mounting is secured even in single-sided mounting.
또, 이와같은 구조의 카메라헤드를 소형화 하는데는, 상기 출력커넥터도 소형화 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downsize the camera head having such a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also downsize the output connector.
커넥터에 있어서, 납땜이 가능한 접속핀의 간격에는 한계가 있고 커넥터를 소형화 하는 경우에 접속핀의 배치가 문제가 된다.In the connector, there is a limit to the spacing of the connection pins that can be soldered, and the arrangement of the connection pins becomes a problem when the connector is downsized.
그래서, 소형형태로 더구나 접속핀의 납땜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다수의 핀의 환형커넥터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pin-shaped annular connectors which can be easily soldered to the connecting pins in a compact form.
또, 소형형태의 환형커넥터의 접속핀을 용이하게 납땜할 수 있도록 한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ng device made of a urethane-curable printed wiring board which can be easily soldered to a connecting pin of a compact annular connector.
또한, 이미지센서는 그 촬상면의 중심을 촬상광학계의 광축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촬상면이 광축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부착 설치할 필요가 있다.The image sensor needs to be attached so that the imaging surface i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n a state where the center of the imaging surface is aligned with the optical axi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종래의 카메라헤드에서는, 이미지센서를 소정위치에 높은 정밀도로 부착해서 유지하기 위해 복잡한 구조의 유지기구가 장치의 소형화를 방해하는 동시에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camera head, in order to attach and hold an image sens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high precision, a holding mechanism of a complicated structure has been a factor that reduces the size of the device and reduces reliability.
그래서, 간단한 구조로 이미지센서를 소정위치에 높은 정밀도로 부착해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이미지센서의 유지장치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lding device for an image sensor that can be attached to and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a high precision with a simpl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카메라헤드의 요부 종단 측면도이다.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side view of a main portion of a camera hea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상기 카메라헤드의 분해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head.
도 3은 이미지센서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환형커넥터와를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을 거쳐서 접속한 형태의 상기 카메라헤드의 분해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head in a form in which an image sensor and an annula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via a urineable printed wiring board.
도 4는 상기 이미지센서의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of the image sensor.
도 5는 상기 이미지센서의 배면도이다.5 is a rear view of the image sensor.
도 6은 상기 이미지센서의 배면에 접착되는 백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a back plate adhered to a rear surface of the image sensor.
도 7은 상기 백플레이트의 종단 측면도이다.7 is a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back plate.
도 8은 상기 가뇨성프린트 배선기판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urine-curable printed wiring board.
도 9는 상기 이미지센서의 접속리드선과 상기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Fig. 9 is a rear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nection lead wire of the image sensor and the urineable printed wiring board.
도 10은 상기 환형커넥터의 일부 종단 측면도이다.10 is a partial longitudinal side view of the annular connector.
도 11은 상기 환형커넥터의 접속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onnection pin of the annular connector.
도 12는 상기 환형커넥터의 접속핀과 상기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necting pins of the annular connector and the urineable printed wiring board.
도 13은 상기 환형커넥터의 접속핀과 상기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necting pin of the annular connector and the urethane printed wiring board.
도 14는 상기 카메라헤드를 유지하는 홀더의 정면도이다.14 is a front view of a holder holding the camera head.
도 15는 상기 카메라헤드를 홀더에 장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Fig. 15 is a side view of the camera head attached to the holder.
도 16은 상기 홀더를 구성하고 있는 제 1 및 제 2헤드그립의 사시도이다.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grips constituting the holde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60.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 61,63A,63B,64A,64B. 굴곡부60. Flexible printed
62A,62B. 칩부품 실장부 65A,65B,66A,66B. 납땜부62A, 62B. Chip
67A,67B,161A,161B,162A, 162B. 스루홀 68A,68B,163A,163B. 랜드부67A, 67B, 161A, 161B, 162A, 162B. Through Hole 68A, 68B, 163A, 163B. Randbu
70. 환형커넥터 71A,71B. 접속핀70.
72. 절연부 73. 셸부7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환형커넥터 및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의 접속장치는, 예를들면 도 1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구조의 카메라헤드(1)에 적용된다.The connecting device of the annular connector and the urethane-curable printed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이 카메라헤드(1)는, 크기가 새끼손가락 정도의 원통형 소형 카메라헤드로서, 그 요부 종단면도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원통형태의 외부케이스(10)내에 옵티컬필터(20), 패킹(30), CCD이미지센서(40), 백플레이트(50),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60)이나 환형 커넥터(70) 등으로 이루는 카메라헤드 본체(100)를 수납하여 이룬다. 상기 카메라헤드 본체(100)는 상기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60)의 부분이 원통형태의 내부케이스(80)로 덮힌 상태로 상기 외부케이스(10)내에 수납되어 있다.The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외주에는, 후술하는 홀더(200)에 장착할 때의 위치규제용에 2개의 외향플랜지부(11A, 11B)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중심축 방향의 양단측에 나사부(12A, 12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카메라헤드(1)는 도시하지 않은 촬상렌즈를 설치한 렌즈경통(2)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중심축 방향의 전편측 나사부(12A)에 착탈 자재로 부착되고 록너트(3)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카메라헤드(1)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중심축 방향의 후편측 나사부(12B)에 플랜지너트(4)가 나사식으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환형커넥터(70)가 고정되고, 이 환형커넥터(70)에 케이블커넥터(5)를 장착함으로써 케이블(6)을 거쳐서 도시하지 않은 카메라 제어유닛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상기 외부케이스(10)는, 상기 원통형태의 내부케이스(80)의 외경에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주면에는 중심축방향의 전편 단부분에 내향 플랜지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외부케이스(10)는 그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원주형의 수납부(14)에, 상기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60)의 부분이 상기 내부케이스(80)로 덮혀진 상태의 카메라헤드 본체(100)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The
상기 내향 플랜지부(13)는, 상기 수납부(14)에 수납하는 카메라헤드 본체(100)의 광축방향의 전편단에 있어서의 위치규제를 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미지센서(40)의 촬상범위를 포함하는 크기의 광로용의 개구(15)를 중앙에 가지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내향 플랜지부(13)는,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이루는 위치규제면(13A)을 갖는다. 또 이 내향 플랜지부(13)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상하방향의 2개소에 축회전방향의 위치규제용의 절결부(16A, 16B)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중심축 방향의 후단측의 상하위치에 축회전방향의 위치규제용의 2개의 돌기부(17A, 17B)가 설치되어 있다.The
상기 외부케이스(10)에 설치한 2개의 돌기부(17A, 17B)는 동일 형태라도 좋으나,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다른 크기로 하고 있다. 이와같이 크기가 다른 상기 돌기부(17A, 17B)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카메라헤드 본체(100)의 정상적인 설치상태에 있어서의 상하방향과의 대응을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다.The two
또한,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상하방향이란 카메라헤드 본체(100)의 정상적인 설치상태에 있어서의 수직방향이다. 또, 상기 카메라헤드 본체(100)의 광축과 외부케이스(10)의 중심축은 일치한다.The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is a vertical direction in the normal installation state of the camera head
상기 옵티컬필터(20)는, 상기 이미지센서(40)의 종횡비가 3 : 4(대각 5)의 촬상면에 대응하는 각각 대략 직사각형태의 입사면 및 출사면을 갖는 직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또, 상기 패킹(30)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경 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의 링부(31)와, 이 링부(31)의 상하좌우의 4개소에 입설된 4개의 암부(32A, 32B, 32C, 32D)로 이룬다. 상기 링부(31)는 상기 이미지센서(40)의 촬상범위를 포함하는 크기의 광로용의 개구(34)를 중앙에 갖는다. 그리고 상기 링부(31)의 상하위치에 입설된 암부(32A, 32B)에는,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향 플랜지부(13)에 설치된 상기 절결부(16A, 16B)에 대응하는 형태의 돌기부(35A, 35B)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패킹(30)은, 예를들면 실리콘고무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acking 30 has a
그리고, 상기 옵티컬필터(20)는 상기 패킹(30)이 장착됨으로써,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그 출사면의 외주부분에 상기 패킹(30)의 링부(31)에 맞닿고, 또 4개의 측면이 상기 패킹(30)의 링부(31)의 4개의 암부(32A, 32B, 32C, 32D)로 잡힌 상태가 된다. 상기 패킹(30)은 옵티컬필터(20)를 외부케이스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부재로서 작용한다.The
상기 옵티컬필터(2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패킹(30)을 장착한 상태로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수납부(14)에 삽입되고, 그 입사면의 외주부분이 상기 내향 플랜지부(13)의 위치규제면(13A)에 맞닿므로서, 광축에 대하여 직각의 상태로 위치규제된다. 또 상기 패킹(30)의 암부(32A, 32B)에 설치된 상기 돌기부(35A, 35B)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향 플랜지부(13)에 설치된 상기 절결부(16A, 16B)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상기 광축에 대한 축회전방향의 위치규제가 되고 소정의 각도위치에 설치되게 된다.The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패킹(30)에는, 각 암부(32A, 32B, 33A, 33B)의 외주면에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주면에 맞닿는 높이의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부케이스(10)내에 있어서 상기 옵티컬필터(20)를 각 암부(32A, 32B, 32C, 32D)에 확실히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packing 30 is provided with ribs having a height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이미지센서(4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종횡비가 3 : 4(대각 5)의 촬상면(41)을 가지며, 그 유효촬상 영역의 중심 즉 광축(O)에 대하여 세라믹케이스(42)가 서로 직교하는 2측면(42A, 42B)과 배면(42C)을 기준으로 하여 규정되어 있다. 또 이 이미지센서(4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13개의 리드선(43)이 세라믹케이스(42)의 배면(42C)의 광축(O)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를 14분할 한 위치에서 도출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또 상기 백플레이트(5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경에 대략 동일한 외경의 원반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미지센서(40)의 13개의 리드선(43)이 삽입되는 13개의 소공(51)이 설치되어 있다. 각 소공(51)은 상기 리드선(43)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삽입측에 넓게 열린 원추형의 경사면을 가지는 깔대기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백플레이트(5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세라믹케이스(42)의 배면(42C)과 대향하는 면측의 상기 13개의 소공(51)으로 둘러싸인 중앙부분이 주변부분 보다도 약간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한 중앙부분이 상기 세라믹스케이스(42)의 배면(42C)과의 접촉면(52)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이 백플레이트(50)에는 그 외주의 상하위치에는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상하방향의 2개소에 축회전방향의 위치규제용의 절결부(53A, 53B)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상기 백플레이트(50)에 설치한 2개의 절결부(53A, 53B)는 동일 형태라도 좋으나,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다른 크기로 하고 있다. 이와같이 상기 절결부(53A, 53B)의 크기를 다르게하여 놓으므로서, 상기 이미지센서(40)의 정상적인 설치상태에 있어서의 상하방향과의 대응을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다.The two
여기서, 상기 백플레이트(50)가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수지성형을 행하면 발생하는 돌출핀에 의해 소위 버르가 생기는 것은 피할 수 없으므로, 상기 세라믹케이스(42)의 배면(42C)과의 대향면 전체를 평면으로 한 것은, 상기 버르에 의해 평면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이 백플레이트(50)에서는, 상기 세라믹스케이스(42)의 배면(42C)와의 대향면에 중앙부분과 주변부분과의 사이에 단차(D)를 설치하고, 주변부분에 돌출핀에 의한 버르(55)가 생기는 성형을 행함으로써, 돌출한 중앙부분의 접착면(52)의 평면도를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이미지센서(40)는, 상기 13개의 리드선(43)이 상기 백플레이트(50)의 13개의 소공(51)에 삽입되고, 상기 세라믹케이스(42)의 상기 2측면(42A, 42B) 즉 각 기준면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맞춘상태로, 상기 세라믹케이스(42)의 배면(42C) 즉 기준면에 상기 백플레이트(50)의 접착면(52)이 접착된다. 상기 이미지센서(40)의 13개의 리드선(43)은, 상기 백플레이트(50)의 13개의 소공(51)에 삽입됨으로써 소정의 간격으로서 유지된다.In the
상기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60)은, 칩부품 등의 전기부품을 실장하는 실장면을 외측으로 하여 U자형으로 되접어꺾인 직사각형태의 제 1 및 제 2칩부품 실장부(62A, 62B)에, 상기 이미지센서(40)의 구동회로나 전치증폭기 등의 구성하는 칩부품이 실장되고, 제 1 및 제 3의 납땜부(65A, 65B)에 상기 이미지센서(40)의 리드선(43)이 접속되고, 상기 환형커넥터(70)의 접속핀(71A, 71B)이 제 2 및 제 4납땜부(66A, 66B)에 접속되어 있다.The urethane-curable printed
상기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60)은, 그 전개도를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박막층으로 이루는 제 1굴곡부(61)를 거쳐서 연달아 설치된 각각의 후막층으로 이루는 직사각형태의 제 1 및 제 2칩부품 실장부(62A, 62B)와, 상기 제 1칩부품실장부(62A)의 각 단변부분에 각각 박막층으로 이루는 제 2 및 제 3굴곡부(63A, 64A)를 거쳐서 연달아 설치된 각각의 후막층으로 이루는 대략 반원형태의 제 1 및 제 2납땜부(65A, 66A)와, 상기 제 2칩부품 실장부(62B)의 각 단변 부분에 각각의 박막층으로 이루는 제 4 및 제 5굴곡부(63B, 64B)를 거쳐서 연달아 설치된 각각의 후막층으로 이루는 제 3 및 제 4납땜부(65B, 66B)를 갖는다. 상기 제 1 및 제 2칩부품 실장부(62A, 62B)에는, 상기 이미지센서(40)의 구동회로나 전치증폭기 등이 구성하는 칩부품이 실장된다.As shown in FIG. 8A, the urethane-curable printed
그리고, 상기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60)은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칩부품 실장면을 외측으로 하여 상기 제 1굴곡부(61)에 있어서 U자형으로 굴곡되고, 또한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제 2 내지 제 5굴곡부(63A, 64A, 63B, 64B)에 있어서 굴곡되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납땜부(65A, 66A, 65B, 66B)가 대략 90°로 열려서 이룬다.As shown in Fig. 8B, the urethane-curable printed
상기 제 1납땜부(65A)에는, 상기 이미지센서(40)의 리드선(43)이 삽입되는 7개의 스루홀(67A)이 설치되고, 상기 제 3납땜부(65B)에는 상기 이미지센서(40)의 리드선(43)이 삽입되는 6개의 스루홀(67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60)에는, 상기 제 1 및 제 3납땜부(65A, 65B)의 각 스루홀(67A, 67B)을 각각 둘러싸도록 상기 이미지센서(40)의 리드선(43)의 접속랜드부(68A, 68B)가 부품실장면측에 설치되어 있다.Seven through-
또 상기 제 2 및 제 4납땜부(66A, 66B)에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기 환형커넥터(70)의 원주상, 또는 원주에 따라서 배치된 접속핀(71A)이 삽입되는 각각 5개의 스루홀(161A, 161B)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기 환형커넥터(70)의 경계선상에 배치된 접속핀(71B)이 삽입되는 각각 3개의 스루홀(162A, 162B)이 설치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60)에는, 상기 제 2 및 제 4납땜부(66A, 66B)의 각 스루홀(161A, 161B)을 각각 둘러싸도록 상기 환형커넥터(70)의 접속핀(71A)의 각 접속랜드부(163A, 163B)가 부품실장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칩부품 실장부(62A, 62B)의 상기 제 2 및 제 4납땜부(66A, 66B)의 각 스루홀(161A, 161B)과 인접하는 부분에 상기 환형커넥터(70)의 접속핀(71B)의 각 접속랜드부(164A, 164B)가 부품실장면측에 설치되어 있다.In the second and
이와같은 구조의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60)에서는, 칩부품이 편면에만 실장되어 있으므로 실장작업의 작업성이 좋다. 또 칩부품실장면을 외측으로 하여 U자형으로 되접어꺾어져 있으므로 양면 실장한 것과 동일한 실장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더구나 점유공간을 적게 할 수 있다.In the urineable printed
그리고, 이와같은 구조의 상기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60)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3납땜부(75A, 65B)에는, 상기 이미지센서(40)의 13개의 리드선(43)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스루홀(67A, 67B)에 삽입되고 접속랜드부(68A, 68B)에 납땜된다.The thirteen
또 상기 환형커넥터(70)는, 그 요부단면도를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접속핀(71A, 71B)이 소정위치에 압입 관통된 원주형태의 절연부(72)와 이 절연부(72)가 끼워넣어진 원통형태의 셸부(73)로 이룬다.As shown in Fig. 10, the
상기 환형커넥터(70)의 셸부(73)는, 예를들면 황동 등의 도전성 금속에 의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경에 대략 동일한 외경의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셸부(73)의 외주에는 상기 외부케이스(10)에 장착할 때의 위치규제용에 외향 플랜지부(74)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축심방향의 후편측에 나사부(7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환형커넥터(70)에는 상기 나사부(75)를 거쳐서 상기 케이블커넥터(5)가 착탈자재로 나사식으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The
상기 셸부(73)의 외주에 설치된 외향 플랜지부(74)는,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수납부(14)에 수납하는 카메라헤드 본체(100)의 광축방향의 후편단에 있어서의 위치규제를 행하는 것으로써,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이루는 위치규제면(74A)을 갖는다. 또 이 외향 플랜지부(74)에는 그 축심방향과 직교하는 상하방향의 2개소에 축회전방향의 위치규제용의 절결부(76A, 76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76A, 76B)는 상기 외부케이스(10)의 광축방향 후단에 설치된 위치규제용의 돌기부(17A, 17B)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셸부(73)는 그 축심방향의 전단부에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이루는 위치규제면(73A)을 갖는 동시에, 광축과 직교하는 상하방향의 2개소에 축회전 방향의 위치규제용의 절결부(77A, 77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77A, 77B)는 상기 백플레이트(50)에 설치된 절결부(53A, 53B)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환형커넥터(70)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환형커넥터로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커넥터 본체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면을 2분할 하는 상기 중심축을 통하는 소정의 폭을 가진 띠형태의 경계영역의 서로 평행한 경계선(L1, L2)상에 대칭으로 배치된 6개의 접속핀(71B)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으로서 상기 경계영역 이외의 부분에 배치된 10개의 접속핀(71A)을 갖춘 16핀 커넥터이다. 그리고 상기 경계선상에 대칭으로 배치된 6개의 접속핀(71B)의 돌출량(H2)은, 상기 원주상에 배치된 10개의 접속핀(71A)의 돌출량(H1)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The
이와같은 구조의 환형커넥터(70)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접속핀(71A, 71B)이 상기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60)의 상기 제 2 및 제 4납땜부(66A, 66B)의 각 스루홀(161A, 161B), 스루홀(162A, 162B)에 삽입되고, 각 접속랜드부(163A, 163B, 164A, 164B)에 납땜된다.In the
이와같이 상기 환형커넥터(70)의 접속핀(71A, 71B)에, 상기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60)의 상기 제 2 및 제 4납땜부(66A, 66B)의 각 스루홀(161A, 161B), 스루홀(162A, 162B)을 삽입하여 각 접속랜드부(163A, 163B, 164A, 164B)가 납땜되어서 이루는 것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의 접속장치이다.In this way, the through
이 환형커넥터(70)에 있어서, 상기 원주상에 배치된 접속핀(71A)은 외측에서 납땜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간격이 좁더라도 접속랜드부(163A, 163B)에 확실이 납땜할 수 있다. 또 상기 경계선상에 대칭으로 배치된 6개의 접속핀(71B)이 납땜되는 상기 제 1 및 제 2칩부품 실장부(62A, 62B)의 상기 각 접속랜드부(164A, 164B)는, 상기 원주상에 배치된 접속핀(71A)이 납땜되는 접속랜드부(163A, 163B)와 비교하여 비교적 큰 형태로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접속핀(71B)의 납땜작업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접속랜드부(164A, 164B)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접속핀(71B)을 거쳐서 큰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경계선상에 대칭으로 배치된 6개의 접속핀(71B)을 상기 각 접속랜드부(164A, 164B)에 납땜하여, 상기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60)을 가고정하고서 상기 원주상에 배치된 접속핀(71A)을 상기 접속랜드부(163A, 163B)에 납땜함으로써, 상기 접속핀(71A)의 납땜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납땜의 작업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선상에 대칭으로 배치된 6개의 접속핀(71B)의 돌출량(H2)을 상기 원주상에 배치된 10개의 접속핀(71A)의 돌출량(H1)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상기 접속핀(71B)의 납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8)는 중심축과 직교하는 양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을 상기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2분할 한 반원통형태의 2개의 내부케이스하프(80A, 80B)를 맞대서 이룬다. 이 내부케이스(8)는 예를들면 스테인리스스틸로 이룬다. 또 이 내부케이스(80)는 상기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6))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inner case (8) forms two semi-cylindrical inner half (80A, 80B) of a semi-cylindrical shape by dividing the cylindrical having both end faces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in a plane including the central axis. The inner case 8 is made of stainless steel, for example. In addition, the
상기 내부케이스(80)를 구성하고 있는 각 내부케이스하프(80A, 80B)는 도 3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내부케이스(8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축회전방향의 위치맞춤용의 돌기부(81A, 81B, 82A, 82B)가 각 단면부분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each
상기 내부케이스하프(80A)에 설치된 각 돌기부(81A, 82A)는, 상기 환형커넥터(70)의 셸부(73) 및 상기 백플레이트(50)에 설치된 각 절결부(53A, 77A)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내부케이스하프(80B)에 설치된 각 돌기부(81B, 82B)는, 상기 환형커넥터(70)의 셸부(73) 및 상기 백플레이트(50)에 설치된 각 절결부(53B, 77B)와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Each
이와같은 구조의 상기 내부케이스(80)는, 상기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60)을 둘러싸는 것같이 각 내부케이스하프(80A, 80B)가 맞대어서, 각 돌기부(81A, 82B)가 상기 백플레이트(50)에 설치된 각 절결부(53A, 53B)에 끼워넣어지는 동시에, 각 돌기부(82A, 82B)가 상기 환형커넥터(70)의 셸부(73)에 설치된 각 절결부(77A, 77B)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상기 백플레이트(50)가 접착된 이미지센서(40)와 환형커넥터(70)와를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통으로서 기능한다.In the
그리고, 상기 카메라헤드 본체(100)는, 상기 이미지센서(40)의 페이스플레이트(45)를 상기 패킹(30)의 링부(31)를 끼워넣은 가조립상태로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수납부(14)에 수납되고,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중심축방향의 후편측나사부(12B)에 플랜지너트(4)가 나사식으로 부착됨으로서, 다음과 같은 위치규제된 상태로 고정된다.In addition, the camera head
즉,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중심축방향의 후편측 나사부(12B)에 플랜지너트(4)가 나사식으로 부착되면, 상기 플랜지너트(4)의 나사진행에 의해 상기 환형커넥터(70)와 함께 카메라헤드 본체(100)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중심축방향의 전편측에 가입된다.That is, when the
이것에 의해, 상기 카메라헤드 본체(100)의 광축방향의 선두에 위치된 옵티컬필터(20)는, 그 입사면의 외주부분이 상기 내향 플랜지부(13)의 위치규제면(13A)에 맞닿으므로써, 광축에 대한 직각의 상태로 위치규제되는 동시에, 상기 패킹(30)의 암부(32A, 32B)에 설치된 상기 돌기부(35A, 35B)가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향 플랜지부(13)에 설치된 상기 절결부(16A, 16B)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상기 광축에 대한 축회전방향의 위치규제가 되고, 소정의 설치위치에 높은 정밀도로 유지하게 된다.As a result, in the
또, 상기 전편측에 가압에 의해 상기 환형커넥터(70)의 셸부(73)의 중심축 방향의 전단부에 설치된 위치규제면(73A)과 내부케이스(80)의 한편의 단면이 맞대게 되고, 상기 이미지센서(40)의 세라믹케이스(42)의 기준면인 배면(42C)에 접착 고정된 백플레이트(50)에 상기 내부케이스(80)의 다른편의 단면이 맞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이미지센서(40)의 세라믹케이스(42)의 기준면인 배면(42C)과 상기 셸부(73)에 설치된 위치규제면(73A)과의 평행도가 확보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센서는 촬상면측이 상기 패킹(30)을 거쳐서 상기 옵티컬필터(20)의 출사면에 가압되어서 위치규제된다.Further, by pressing the front piece side, the end face of the
또한 상기 환형커넥터(70)는, 상기 셸부(73)의 외향 플랜지부(74)에 설치한 위치규제면(74A)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후단측 위치규제면(17)에 맞대게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셸부(73)의 외향 플랜지부(74)에 설치한 위치규제면(74A)과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향 플랜지부(13)에 설치한 위치규제면(13A)과의 평행도가 확보된다.In addition, in the
그리고 각 위치규제면을 맞대게 함에 있어서, 각 돌기부와 절결부의 상대결합에 의해 축회전방향의 위치규제가 되므로, 상기 옵티컬필터(20)와 이미지센서(40)를 소정의 상대위치에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배치고정할 수 있다.In the abutment of the respective position regulating surfaces, the positional regulation in the axial rotation direction is achieved by the relative coupling between the protrusions and the cutouts, so that the
또한 상기 카메라헤드(1)는, 예를들면 도 14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구조의 홀더(200)에 장착된다.The
이 홀더(200)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홀더본체(210)와 제 1 및 제 2헤드그립(220, 230)으로 이루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헤드그립(220, 230)이 상기 홀더본체(210)에 나사(241)와 너트(242)로 소정의 각도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상기 홀더본체(210)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부착기판(211)과, 이 부착기판(211)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지지판(2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212)에는 반 빼는 가공에 의해 형성된 돌기부(213)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돌기부(213)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의 장공(214)이 상기 돌기부(213)의 상편에 설치되어 있다.The
또 상기 제 1헤드그립(220)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띠형의 스테인리스스틸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212)에 따른 직선형의 고정부(221)와, 상기 카메라헤드(1)의 저부를 지지하도록 헤어핀 형태로 절곡된 지지부(2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221)에는 상기 지지판(212)에 설치된 돌기부(213)와 장공(21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환공(223, 224)이 설치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16, the said
또한 상기 제 2헤드그립(230)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띠형태의 스테인리스스틸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판(212)에 따른 직선형의 고정부(231)와, 상기 카메라헤드(1)의 상편부를 지지하도록 U자형태로 만곡된 지지부(232)로 이루어 진다. 상기 고정부(231)에는 상기 지지판(212)에 설치된 돌기부(213)와 장공(21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환공(233, 234)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제 1 및 제 2헤드그립(220, 230)은, 상기 지지부(232)의 선단부분과 상기 지지부(222)의 기판에 있어서, 힌지(235)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헤드그립(23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head grips 220 and 2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이와같은 구조의 홀더(200)에서는, 상기 제 2헤드그립(230)을 열고 상기 카메라헤드(1)를 상기 제 1헤드그립(220)의 지지부(222)상에 재치하여 상기 제 2헤드그립(230)을 닫음므로서, 상기 제 1 및 제 2헤드그립(220, 230)의 지지부(222, 232)에서 상기 카메라헤드(1)의 외브케이스(10)에 설치한 2개의 외향 플랜지부(11A, 11B)의 사이의 부분을 끼우고, 이 상태에서 상시 제 1 및 제 2헤드그립(220, 230)의 고정부(221, 231)에 설치되어 있는 환공(223, 233)을 상기 지지판(212)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부(213)에 끼워맞춤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헤드그립(220)이 가멈춤된다. 이 가멈춤을 행하는 경우, 상기 제 1헤드그립(220)의 환공(223)이 상기 지지판(212)의 돌기부(213)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도, 상기 제 2헤드그립(230)의 고정부(231)에 설치되어 있는 환공(233)은, 상기 돌기부(213)까지 도달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제 2헤드그립(230)의 지지부(232)를 카메라헤드(1)와 함께 하편으로 아래로 누르는 것으로, 상기 제 2헤드그립(220)의 헤어핀형으로 절곡된 지지부(222)가 탄성변형하여 하편으로 내려가고, 상기 제 2헤드그립(230)의 환공(233)을 상기 돌기부(213)에 끼워맞출 수 있다. 이상태에서 상기 제 2헤드그립(230)의 지지부(232)를 카메라헤드(1)와 함께 하편으로 내리 누르는 것을 멈추면, 상기 제 1 및 제 2헤드그립(220, 230)의 지지부(222, 232)에서 상기 카메라헤드(1)를 끼워넣고 구속한 상태가 된다. 이 가고정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헤드그립(220, 230)의 고정부(221, 231)에 설치된 환공(224, 234)과 상기 홀더본체(210)의 부착기판(211)에 설치된 장공(214)에 상기 나사(241)를 삽입하여 너트(242)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카메라헤드(1)가 장착 고정된다.In the
이때, 상기 장공(214)의 범위내에서 상기 카메라헤드(1)의 설치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또한, 상기 카메라헤드(1)의 외부케이스(10)에 설치된 2개의 외향 플랜지부(11A, 11B)에는, 상기 카메라헤드(1)의 천지(天地) 즉 상하를 식별하기 위해 광축으로 하는 상하방향의 상측의 위치에 천(天) 즉 위를 나타내는 마크가 목시 가능하게 기재되어 있다. 상기 마크를 기재할 수 있는 위치는 2개소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헤드(1)의 형식의 식별에도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광축과 평행인 직선을 상기 마크로서 이용하고, PAL방식의 카메라헤드와 NTSC방식의 카메라헤드에서, 다른 외향 플랜지부(11A, 11B)에 상기 마크를 기재함으로써 카메라헤드의 천지와 함께 형식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two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환형커넥터에서는, 커넥터본체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면을 2분할 하는 상기 중심축을 통하는 소정의 폭을 갖인 직선형의 경계영역의 서로 평행한 경계선상에 대칭으로 배치된 짝수개의 접속핀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으로서 상기 경계영역의 부분에 배치된 복수의 접속핀을 갖춤으로써, 소형형태라도 다수의 접속핀을 갖추고, 더구나 각 접속핀의 납땜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선상에 대칭으로 배치된 짝수개의 접속핀의 돌출량을 상기 원주상에 배치된 각 접속핀의 돌출량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납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nnula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ven number arranged symmetrically on a parallel boundary line of a linear boundary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rough the central axis dividing a plane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of the connector body. By having two connecting pins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arranged in a portion of the boundary region in a circumferential shape centering on the central axis, a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can be provided even in a small form, and further, soldering of each connecting pin can be easily performed. can do. Further, the workability of soldering can be improved by making the amount of protrusion of even number of connecting pins symmetrically arranged on the boundary line larger than the amount of protrusion of each connecting pin arranged on the circumference.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의 접속장치에서는, 커넥터본체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면을 2분할하는 상기 중심축을 통하는 소정의 폭을 가진 직선형의 경계영역의 서로 평행한 경계선상에 대칭으로 배치된 짝수개의 접속핀이 납땜되는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상의 제 1 및 제 2칩부품 실장부의 각 접속랜드부는, 원주상에 배치된 접속핀이 납땜되는 접속랜드부와 비교하여 비교적 큰 형태로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접속핀의 납땜작업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접속랜드부의 면적을 크게함으로써, 상기 접속핀을 거쳐서 큰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onnecting device for a urine-curable printed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ymmetrical pattern is formed on the boundary lines parallel to each other in a linear boundary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hrough the central axis that divides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connector body in two. The connection la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hip component mounting portions on the urinal printed wiring board to which the even number of connection pins arranged are soldered are relatively large in comparison with the connection land portions to which the connection pins arranged on the circumference are soldered. Since the soldering work of the connecting pin can be performed easily.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area of each connection land portion, a large current can flow through the connection pin.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형태로 더구나 접속핀의 납땜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많은 핀의 환형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환형커넥터의 접속핀을 용이하게 납땜할 수 있도록 한 가뇨성 프린트 배선기판의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nnular connector of many pins which can be soldered to the connecting pins in a compact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necting device for a urineable printed wiring board which can easily solder the connecting pin of the small annular connector.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원통형 카메라헤드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rical camera head can be miniaturized and the reliability can be improved.
Claims (1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185221A JPH1032739A (en) | 1996-07-15 | 1996-07-15 |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system |
JP96-185221 | 1996-07-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44533B1 true KR100444533B1 (en) | 2004-10-14 |
Family
ID=1616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320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444533B1 (en) | 1996-07-15 | 1997-07-10 | Camera head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H1032739A (en) |
KR (1) | KR100444533B1 (en) |
CN (1) | CN1184798C (en) |
SG (1) | SG79945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87765B2 (en) * | 2001-11-30 | 2006-06-2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08668055A (en) * | 2017-03-29 | 2018-10-16 | 上海荆虹电子科技有限公司 | The bio-identification camera module and terminal device of external security encryption chip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75400B2 (en) * | 1990-12-28 | 1995-08-09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Camera head of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2858173B2 (en) * | 1991-05-20 | 1999-02-17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Solid-state imaging device |
JP2746171B2 (en) * | 1995-02-21 | 1998-04-28 | 日本電気株式会社 |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1996
- 1996-07-15 JP JP8185221A patent/JPH1032739A/en not_active Withdrawn
-
1997
- 1997-07-10 KR KR1019970032087A patent/KR10044453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7-14 SG SG9702458A patent/SG79945A1/en unknown
- 1997-07-15 CN CNB97117119XA patent/CN1184798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SG79945A1 (en) | 2001-04-17 |
CN1175847A (en) | 1998-03-11 |
JPH1032739A (en) | 1998-02-03 |
CN1184798C (en) | 2005-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382180B (en) | Camera lens | |
US7045775B2 (en) | Optical navigation sensor with integrated lens | |
US5021888A (en) | Miniaturized solid state imaging device | |
US20210364778A1 (en) | Endoscope device | |
JP7085013B2 (en) | Observation unit and endoscope | |
JP2019186619A (en) | Imaging module and endoscope | |
JP2000125161A (en) | Image pickup device | |
KR100444533B1 (en) | Camera head | |
JP4517611B2 (en) | Lens barrel and optical equipment | |
JP3372479B2 (en) | Endoscope imaging device | |
JP4552784B2 (en) | Imaging element fixing structure,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 |
JP4472296B2 (en) | Imaging device | |
JPH1032737A (en) | Holding device for image sensor | |
JP4884122B2 (en) | Adapter type endoscope | |
JPH1032035A (en) | Round connector and flexible printed board connecting device | |
JPS6017963Y2 (en) | Mounting structure of image sensor in imaging device | |
JPH1032034A (en) | Round connector, and flexible printed board connecting device | |
JPH065765Y2 (en) | Electronic endoscope | |
JPH05152701A (en) | Connection structure of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 |
JP2686251B2 (en) | Single-lens reflex camera | |
JPH0421211Y2 (en) | ||
KR20130033157A (en) | Camera module | |
US20250016434A1 (en) | Sensor Unit with Roll Adjustable Housing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 |
JPH0478188A (en) | Semiconductor laser device | |
JP2001078958A (en) | Imaging device for endosco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6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7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4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0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