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44488B1 -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 Google Patents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488B1
KR100444488B1 KR10-2002-0004892A KR20020004892A KR100444488B1 KR 100444488 B1 KR100444488 B1 KR 100444488B1 KR 20020004892 A KR20020004892 A KR 20020004892A KR 100444488 B1 KR100444488 B1 KR 100444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ront block
support wall
retaining wall
sepa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4555A (ko
Inventor
한승호
Original Assignee
한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호 filed Critical 한승호
Priority to KR10-2002-0004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488B1/ko
Publication of KR2003006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48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앞면부 블록과 앵커 바와 앵커 조인트로 이루어진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앞면부 블록의 뒤쪽 방향에서의 지지가 불안정하였으며, 옹벽의 앞면쪽으로부터 화초 등의 식생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앞면부 블록과 앵커 바와 앵커 조인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앞면부 블록은 지지벽과 앞면 걸림턱과 토양 채움용 공간부와 토양 연통용 개방부와 걸림편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과 상기 앞면 걸림턱과 상기 토양 연통용 개방부와 상기 걸림편 걸림턱이 각각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즉,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 바와 상기 앵커 조인트는 상기 앞면부 블록을 이 앞면부 블록의 뒤쪽 방향에서 지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축조용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 축조에서 다양한 기울기의 조절이 가능하고, 아울러 앞면부 블록의 일측과 타측 방향(좌우 방향)으로의 옹벽 축조에서의 앞면부 블록들의 서로 간의 다양한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옹벽의 앞면 윤곽이 다양한 형태의 곡면 및 평면을 이룸이 기능하며, 옹벽의 앞면에 이루어지는 식생용 공간부로 화초 등의 식생이 가능하며, 상기 토양 연통용 개방부로 식생을 위한 수분이나 양분 등의 연통이 가능하고, 옹벽의 축조가 안정된 상태로서 용이하게 유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Block set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본 발명은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앞면부 블록과 앵커 바와 앵커 조인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앞면부 블록은 지지벽과 앞면 걸림턱과 토양 채움용 공간부와 토양 연통용 개방부와 걸림편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과 상기 앞면 걸림턱과 상기 토양 연통용 개방부와 상기 걸림편 걸림턱이 각각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즉,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앞면부 블록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 축조에서 다양한 기울기의 조절이 가능하고, 아울러 앞면부 블록의 일측과 타측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의 옹벽 축조에서의 앞면부 블록들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옹벽의 앞면의 대체적인 윤곽이 다양한 형태의 곡면 및 평면을 이룸이 기능하며, 아울러 용이하게 앞면부 블록을 뒤쪽에서 지지함이 가능하고,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 걸림턱의 상방에 이루어지는 식생용 공간부를 통하여 화초 등의 식생(植生)이가능하며, 상기 토양 연통용 개방부를 통하여 옹벽에서의 앞면부 블록의 뒤쪽의 뒤 채움 토양과 앞면부 블록 내의 토양 채움용 공간부의 토양은, 상기 토양 채움용 공간부에 채워지는 토양에 식생된 화초 등의 식생을 위한 연통이 가능하며, 옹벽의 축조가 안정된 상태로서 유지 가능하도록 된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의 옹벽축조용 앞면부 블록은, 옹벽축조용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앞면부 블록 자체에 형성된 걸림턱을 이용하거나, 상하 연결용 고정핀 설치 구멍의 간격 조절로 그 기울기를 결정하였으나, 콘크리트의 재료의 성질상 상기 걸림턱이나 상기 고정핀 설치용 구멍을 조밀하게 형성할 수 없어, 상하 방향의 축조에서 다양한 기울기로 기울어지게 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의 옹벽축조용 앞면부 블록은, 옹벽축조용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일측과 타측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일측과 타측의 폭이 일정한 앞면부 블록에 의한 축조임에 따라, 필요한 경우 옹벽의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의 폭을 앞면부 블록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의 옹벽 축조용 앞면부 블록은, 옹벽의 앞면부 블록으로서, 옹벽의 높이와 옹벽으로 보강되는 뒤 채움 토양의 성질에 따라, 그 길이나 구조가 결정되는 토목섬유(Geotextile, Geogrid)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이었음에 따라, 상기 토목섬유의 재질과 구조의 특성에 따라 늘어나는 등의 구조적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뒤 채움 토양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옹벽 성토(成土)용 흙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의 옹벽에서는 옹벽의 앞면쪽으로부터 화초 등의 식생을 위한 앞면쪽의 공간부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면부 블록과 앵커 바와 앵커 조인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앞면부 블록은 지지벽과 앞면 걸림턱과 토양 채움용 공간부와 토양 연통용 개방부와 걸림편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과 상기 앞면 걸림턱과 상기 토양 연통용 개방부와 상기 걸림편 걸림턱이 각각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즉,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 바와 상기 앵커 조인트는 상기 앞면부 블록을 이 앞면부 블록의 뒤쪽 방향에서 지지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앞면부 블록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 축조에서 다양한 기울기의 조절이 가능하고, 아울러 앞면부 블록의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의 옹벽 축조에서의 앞면부 블록들의 서로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아울러 앞면부 블록을 그 뒤쪽에서 용이하게 지지함이 가능하고,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 걸림턱의 상방에 이루어지는 식생용 공간부를 통하여 화초 등의 식생(植生)이 가능하며, 상기 토양 연통용 개방부를 통하여, 옹벽에서의 앞면부 블록의 뒤쪽의 뒤 채움 토양과 앞면부 블록 내의 토양 채움용 공간부의 토양은, 상기 토양 채움용 공간부에 채워지는 토양에 식생된 화초 등의 식생을 위한 수분이나 양분 등의 연통이 가능하고, 옹벽의 축조가 안정된 상태로서 용이하게 유지 가능하도록 된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4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5는 앵커 바와 앵커 조인트가 반복 설치된 구성 및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6은 앵커 바가, 앵커 조인트를 중심으로 대칭되며, 앵커 조인트에 양 방향(즉, 앞쪽 방향과 뒤쪽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7은 앵커 바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탄성재인 경우의 탄성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11은 도8의 B-B′선 단면도
도12a는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비교적 작은 기울기의 경우의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12b는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비교적 큰 기울기의 경우의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12c는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상하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수직으로 축조된 경우의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13a는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일측과 타측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일측과 타측 방향의 간격이 비교적 큰 경우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13b는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일측과 타측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일측과 타측 방향의 간격이 비교적 작은 경우의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13c는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일측과 타측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옹벽의 앞면의 대체적인 윤곽이 평면으로 된 경우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13d는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축조에서 옹벽의 앞면으로부터 다양한 정도의 후진에 따라 옹벽의 앞면의 대체적인 윤곽이 다양한 형태의 곡면을 이루는 경우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14a는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일측과 타측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일측과 타측 방향의 간격이 비교적 큰 경우의 작용을 보인 정면도
도14b는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일측과 타측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일측과 타측 방향의 간격이 비교적 작은 경우의 작용을 보인 정면도
도14c는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일측과 타측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옹벽의 앞면의 대체적인 윤곽이 평면으로 된 경우의 작용을 보인 정면도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에 의하여 옹벽이 축조된 상태에서의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에 의한 옹벽의 축조에서 앞면부 블록이 양 방향(앞쪽 방향과 뒤쪽 방향)으로 축조된 상태에서의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100 ′, 100″, 100″′, 100″″, 100″″′: 앞면부 블록,
100-a : 앞면부 블록의 가장자리의 앞쪽,
100-1 : 앞면부 블록의 가장자리의 일측,
100-2 : 앞면부 블록의 가장자리의 타측,
101, 101′, 101″: 지지벽,
101-a : 지지벽의 앞쪽,
101-1, 101″-1, 101″″′-1 : 지지벽의 일측,
101-1-a, 101′-1-a, 101″-1-a : 지지벽의 일측의 앞쪽부,
101-2, 101′-2, 101″″-2 : 지지벽의 타측,
101-2-a, 101′-2-a, 101″-2-a : 지지벽의 타측의 앞쪽부,
101-1-u : 지지벽의 일측의 상측 중, 앞면 걸림턱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을 제외한, 상면, 101-2-u : 지지벽의 타측의 상측 중, 앞면 걸림턱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을 제외한, 상면,
101-d, 101′-d, 101″-d : 지지벽의 하면,
101-1-d, 101″-1-d : 지지벽의 일측의 하면,
101-2-d, 101′-2-d : 지지벽의 타측의 하면,
102 : 토양 채움용 공간부,
103, 103′,103″ : 저면부,
103-d, 103′-d, 103″-d : 저면부의 하면
103-1, 103″-1 : 저면부의 일측,
103-1-d, 103-″1-d : 저면부의 일측의 하면,
103-2, 103′-2 : 저면부의 타측,
103-2-d, 103′-2-d : 저면부의 타측의 하면,
104 : 토양 연통용 개방부,
105 : 걸림편 걸림턱,
111, 111′: 앞면 걸림턱,
111-1 : 앞면 걸림턱의 일측,
111-1-b, 111″″′-1-b : 앞면 걸림턱의 일측 단면,
111-2 : 앞면 걸림턱의 타측,
111-2-b, 111′-2-b, 111″″-2-b : 앞면 걸림턱의 타측 단면,
200, 200′: 앵커 바,
201, 201′: 걸림편,
202, 202′: 앵커 바 본체,
202-2, 202′-2 : 앵커 바 본체의 끝단부,
300 : 앵커 조인트, 300-1 : 앵커 조인트의 일측,
300-2 : 앵커 조인트의 타측, 301 : 체결 공간부, 302 : 체결 지지턱,
303 : 체결 통로, 305 : 체결 공간부, 306 : 체결 지지턱,
D1, D2, D3 :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일측과 타측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의 축조에서 앞면부 블록들 사이의 간격
H1 : 앞면 걸림턱의 높이, H2 : 지지벽의 높이, W1 : 지지벽의 일측의 앞쪽부의 바깥쪽면과, 지지벽의 타측의 앞쪽부의 바깥쪽면 사이의,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의, 폭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7과, 도12a 내지 도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부 블록(block)(100)과 앵커 바(anchor bar)(200)와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가 구비되며,
상기 앞면부 블록(block)(100)에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가장자리의, 앞쪽(100-a)과, 일측(100-1)과, 타측(100-2)은 지지벽(101)이 저면부(103)의 하면(下面)(103-d)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앞쪽부(101-1-a)와 타측(101-2)의 앞쪽부(101-2-a)는 앞쪽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101-1)의 상기 앞쪽부(101-1-a)의 바깥쪽면과 상기 타측(101-2)의 상기 앞쪽부(101-2-a)의 바깥쪽면 사이의, 일측과 타측 방향(즉, 좌우 방향)에서의, 폭(W1)(즉,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안쪽은 토양(土壤) 채움용 공간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하단부는 저면부(103)가 형성되고,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은 토양 연통용 개방부(土壤 連通用 開放部)(104)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은 걸림편 걸림턱(10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101)과 상기 저면부(103)와 상기 토양 연통용 개방부(104)와 상기 걸림편 걸림턱(105)은 각각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즉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상기 일측(101-1)의 상측(上側) 중, 앞면 걸림턱(111)으로 수직으로 연장(延長)된 부분을 제외한, 상면(上面)(101-1-u)과,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상기 타측(101-2)의 상측(上側) 중, 앞면 걸림턱(111)으로 수직으로 연장(延長)된 부분을 제외한, 상면(上面)(101-2-u)과, 상기 지지벽(101)의 하면(下面)(101-d)과,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저면부(103)의 하면(下面)(103-d)(즉, 일측 저면부(103-1)의 하면(103-1-d)과 타측 저면부(103-2)의 하면(103-2-d))은 모두, 수평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벽(101)의 상기 일측(101-1)의 앞쪽부(101-1-a)와 상기 타측(101-2)의 앞쪽부(101-2-a)는 앞쪽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101-1)의 상기 앞쪽부(101-1-a)의 바깥쪽면과 상기 타측(101-2)의 상기 앞쪽부(101-2-a)의 바깥쪽면 사이의, 일측과 타측 방향(즉, 좌우 방향)에서의, 폭(W1)(즉,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에서, 상기 앞쪽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폭(W1)이 좁아지는 정도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들에 의한 옹벽의 축조에서의 구체적 장소에 따라 필요한, 상기 축조에서의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의 상기 앞면부 블록(100)들 사이의 간격과, 상기 축조에서의 상하 방향에서의 기울기에 따라 그 제조과정에서 정하여진다.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상기 일측(101-1)의 상기 상면(上面)(101-1-u)에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타측(101′-2)의 하면(下面)(101′-2-d)과, 저면부(103′)의 타측(103′-2)의 하면(下面)(103′-2-d)이 적층(積層)으로 쌓이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상기 타측(101-2)의 상기 상면(上面)(101-2-u)에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같은 구성의 또다른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하면(下面)(101″-1-d)과, 저면부(103″)의 일측(103″-1)의 하면(下面)(103″-1-d)이 적층(積層)으로 쌓여 축조 가능하며,
상기 적층으로 쌓여 축조됨에서,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타측(101′-2)의 앞쪽부(101′-2-a)의 바깥쪽면의 하단부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앞면 걸림턱(111)의 일측 단면(端面)(111-1-b)에 상응하여 걸려서 접(接)하는 위치와,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앞쪽부(101″-1-a)의 바깥쪽면의 하단부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앞면 걸림턱(111)의 타측 단면(端面)(111-2-b)에 상응하여 걸려서 접(接)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 사이의,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의, 간격이 정하여지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앞뒤 방향에서의 위치와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앞뒤 방향에서의 위치가 각각 정하여져 소정의 각도의 기울기를 가진 적층(積層)으로 축조 가능하도록,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상기 일측(101-1)의 앞쪽부(101-1-a)의 상측(上側)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이 위치가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대칭된 위치의, 상기 타측(100-2)의 앞쪽부(100-2-a)의 상측(上側)의, 소정의 위치까지에서 상기 지지벽(101)이 상방(上方)으로 수직으로 연장(延長)된 형상으로 앞면 걸림턱(11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벽(101)의 상기 일측(101-1)의 앞쪽부(101-1-a)의 상측(上側)의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이 위치가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대칭된 위치의, 상기 타측(101-2)의 앞쪽부(101-2-a)의 상측(上側)의, 상기 소정의 위치까지에서의 상기 소정의 위치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들에 의한 옹벽의 축조에서의 구체적 장소에 따라 필요한, 상기 축조에서의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의 상기 앞면부 블록(100)들 사이의 간격과, 상기 축조에서의 상하 방향에서의 기울기에 따라 그 제조과정에서 정하여진다.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높이(H1)는 상기 지지벽(101)의 높이(H2)보다 짧은 길이의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높이(H1)인 상기 소정의 높이는, 상기 지지벽(101)의 높이(H2)보다 짧은 길이임에 따라,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의한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상방(上方)으로 화초 등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생용 공간부(S)가 이루어짐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로 이루어진다.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상면(上面)은, 앞면부 블록(100)들에 의한 옹벽 축조에 의하여, 앞쪽 방향으로부터 화초 등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생용 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하는 형상으로서,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의 평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경사진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상기 일측 단면(端面)(111-1-b)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상기 적층으로 쌓여 축조되는 때에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타측(101′-2)의 앞쪽부(101′-2-a)의 바깥쪽면의 하단부에 상응하여 접(接)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상기 타측 단면(端面)(111-2-b)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상기 적층으로 쌓여 축조되는 때에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앞쪽부(101″-1-a)의 바깥쪽면의 하단부에 상응하여 접(接)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벽(101)은 일측(즉, 도면에서 좌측)(101-1)과 타측(즉, 도면에서 우측)(101-2)이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즉, 좌우로) 대칭됨에 있어서,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벽의 앞쪽(101-a)의 바깥쪽면과 상기 지지벽의 일측(101-1)의 바깥쪽면과 상기 지지벽의 타측(101-2)의 바깥쪽면이 모두, 평면인 경우와, 곡면 예컨대, 횡단면이 바깥쪽으로 원호(圓弧)인 경우[그 도시는 생략함]가 모두 가능하다.
상기 저면부(103)에는 배수용 관통구멍[그 도시는 생략함]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앞면부 블록(100)은 콘크리트재가 바림직하며,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도 가능하다.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걸림편 걸림턱(105)에 걸려 상기 앞면부블록(100)을 이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에서 지지 가능하도록 하는, 걸림편(201)과, 앵커 바 본체(202)가 일측과 타측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앵커 바(200)는 그 재질이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가 바람직하며, 그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재도 가능하다.
상기 앵커 바 본체(202) 내지 상기 앵커 바(200)는 탄성재(彈性材) 즉, 탄성이 있는 탄성체인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여, 상기 탄성재인 경우에는 탄성의 방향은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바깥쪽(즉 도7의 화살표 K쪽) 방향인 것이 바림직하며, 그 제조된 상태에서의 앵커 바 본체(202)는 도7의 202-a와 같고, 그 설치 상태는 도3의 202 즉 도7의 202와 같게 된다. 상기 금속재는 녹슬지 아니하는 금속재이거나, 녹 발생 방지 처리가 된 금속재가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는,
상기 앵커 바 본체(202)의 끝단부(202-2)가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공간부(301)와 체결 지지턱(302)과 체결 통로(303)가 앞쪽과 뒤쪽 방향으로 대칭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즉,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앵커 바(200)와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앵커 바(200′)의 걸림편(201′)이 끼워져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 공간부(305)와 체결 지지턱(306)이 앞쪽과 뒤쪽 방향으로 대칭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즉,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이다.
상기 앵커 조인트(300)의 높이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높이(H2)와 같은 길이의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앵커 조인트(300)의 상면(上面)과 하면(下面)은 모두 수평의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 조인트(300)에는 토양 채움용 공간부(30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 조인트(300)는 콘크리트 블록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도 바람직하다.[이하, 상기의 실시예를 "일 실시예"라고 함]
상기 "일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도8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에 하측 걸림턱(108)과 체결 통로(109)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실시예도 가능하다[이하, 이 실시예를 "다른 실시예"라고 함].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작용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은 일측과 타측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지지벽(101)의 일측(101-1)과 타측(101-2)이 상기 저면부(103)의 하면(103-d)에 대하여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지지벽(101)의 상기 일측(101-1)의 상기 상면(101-1-u)과 상기 타측(101-2)의 상기 상면(101-2-u)과, 상기 지지벽(101)의 하면(101-d)이 모두 수평의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일측(101-1)이, 이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상기 상면(101-1-u)의 상방(上方)에서 적층으로 축조되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타측(101′-2)의 하면(101′-2-d)과, 저면부(103′)의 타측(103′-2)의 하면(103′-2-d)를 지지 가능하도록,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하면(101′-d)과 저면부(103′)의 하면(103′-d)이 수평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그 적층 및 지지가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타측(101-2)이, 이 지지벽(101)의 타측(101-2)의 상기 상면(101-2-u)의 상방(上方)에서 적층으로 축조되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같은 구성의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하면(101″-1-d)과, 저면부(103″)의 일측(103″-1)의 하면(103″-1-d)을 지지 가능하도록,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하면(101″-d)과 저면부(103″)의 하면(103″-d)이 수평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그 적층 및 지지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방으로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앞면부 블록들이 적층으로 축조 가능하며 옹벽을 이루게 됨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벽(101)의 상기 일측(101-1)의 앞쪽부(101-1-a)와 상기 타측(101-2)의 앞쪽부(101-2-a)는 앞쪽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101-1)의 상기 앞쪽부(101-1-a)의 바깥쪽면과 상기 타측(101-2)의 상기 앞쪽부(101-2-a)의 바깥쪽면 사이의,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의, 폭(W1)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앞면 걸림턱(111)은 상기 지지벽(101)의 상기 일측(101-1)의 앞쪽부(101-1-a)의 상측(上側)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이 위치가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대칭된 위치의, 상기 타측(101-2)의 앞쪽부(101-2-a)의 상측(上側)의, 소정의 위치까지에서 상기 지지벽(101)이 상방(上方)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앞면 걸림턱(111)이 형성되므로, 상기 앞면 걸림턱(111)도 마찬가지로, 상기 앞면 걸림턱의 상기 일측(111-1)과 상기 타측(111-2)은 앞쪽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111-1)의 바깥쪽면과 상기 타측(111-2)의 바깥쪽면 사이의,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의, 폭(W2)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상기 적층(積層)으로 축조 됨에서,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타측(101′-2)의 앞쪽부(101′-2-a)의 바깥쪽면의 하단부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앞면 걸림턱(111)의 일측 단면(端面)(111-1-b)에 상응하여 걸려서 접하며, 아울러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앞쪽부(101″-1-a)의 바깥쪽면의 하단부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앞면 걸림턱(111)의 타측 단면(端面)(111-2-b)에 상응하여 걸려서 접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일측 단면(端面)(111-1-b)의 형상과 타측 단면(端面)(111-2-b)의 형상이 형성되므로, 상기 상응하여 걸려서 접함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벽(101)은 일측(즉, 도면에서 좌측)(101-1)과 타측(즉, 도면에서 우측)(101-2)이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대칭됨에 있어서, 도1 내지 도6 및 도8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벽의 앞쪽(101-a)의 바깥쪽면과 상기 지지벽의 일측(101-1)의 바깥쪽면과 상기 지지벽의 타측(101-2)의 바깥쪽면이 모두, 평면인경우이거나, 곡면 예컨대, 횡단면이 바깥쪽으로 원호(圓弧)인 경우, 이러한 경우들에 각각 상응하는,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일측 단면(端面)(111-1-b)의 형상과, 타측 단면(端面)(111-2-b)의 형상에 의하여, 상기 상응하여 접함이 가능하다.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상기 적층(積層)으로 축조 됨에서,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타측(101′-2)의 앞쪽부(101′-2-a)의 바깥쪽면의 하단부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앞면 걸림턱(111)의 일측 단면(端面)(111-1-b)에 상응하여 걸려서 접하는 위치와,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앞쪽부(101″-1-a)의 바깥쪽면의 하단부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앞면 걸림턱(111)의 타측 단면(端面)(111-2-b)에 상응하여 걸려서 접하는 위치가 정하여지면,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 사이의,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 간격이 정하여지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앞뒤 방향에서의 위치가 정하여져 소정의 각도의 기울기를 가진 적층(積層)으로 축조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앞면 걸림턱(111)은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을, 상기 상응하여 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상응하여 걸려서 접함에 의하여, 상기 앞면 걸림턱(111)이 저지하는 방향으로, 고정하여 상기 접하는 위치를 유지하며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일측 단면(111-1-b)에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타측(101′-2)의 앞쪽부(101′-2-a)가 상응하여 접하는 위치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타측 단면(111-2-b)에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앞쪽부(101″-1-a)가 상응하여 접하는 위치에 따라, 축조되는 옹벽의 상하 방향의 기울기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며, 축조되는 옹벽의 일측과 타측 방향(즉, 좌우 방향)에서의 폭의 다양성과, 옹벽의 앞면에서의 대체적인 윤곽이 다양한 형태의 곡면 또는 평면의 형태를 이룸이 가능하다. 즉,
우선,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일측 단면(111-1-b)에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타측(101′-2)의 앞쪽부(101′-2-a)가 상응하여 걸려서 접하는 위치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타측 단면(111-2-b)에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앞쪽부(101″-1-a)가 상응하여 걸려서 접하는 위치가, 도12a, 도13a, 도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앞쪽과 뒤쪽의 방향에서 비교적 작은 길이 만큼 후진한 위치인 경우에는, 도12a, 도13a, 도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상하 방향에서 수직선으로부터 비교적 작은 기울기로 후진되어 축조가 가능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의 간격이 비교적 큰 간격(D1)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축조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앞면부 블록(100)들에 의한 옹벽의 축조는, 그 상하 방향에서 수직선으로부터 비교적 작은 기울기로 후진되어 축조가 가능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의 간격이 비교적 큰 간격(D1)들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일측 단면(111-1-b)에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타측(101′-2)의 앞쪽부(101′-2-a)가 상응하여 걸려서 접하는 위치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타측 단면(111-2-b)에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앞쪽부(101″-1-a)가 상응하여 걸려서 접하는 위치가, 도12b, 도13b, 도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앞쪽과 뒤쪽의 방향에서 비교적 큰 길이 만큼 후진한 위치인 경우에는, 도12b, 도13b, 도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상하 방향에서 수직선으로부터 비교적 큰 기울기로 후진되어 축조가 가능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의 간격이 비교적 작은 간격(D2)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축조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앞면부 블록(100)들에 의한 옹벽의 축조는, 그 상하 방향에서 수직선으로부터 비교적 큰 기울기로 후진되어 축조가 가능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의 간격이 비교적 작은 간격(D2)들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일측 단면(111-1-b)에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타측(101′-2)의 앞쪽부(101′-2-a)가 상응하여 걸려서 접하는 위치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타측 단면(111-2-b)에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앞쪽부(101″-1-a)가 상응하여 걸려서 접하는 위치가, 도12c, 도13c, 도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앞쪽과 뒤쪽의 방향에서 전혀 후진하지 아니한 위치인 경우에는, 도12c, 도13c, 도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상하 방향에서 수직으로 축조가 가능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의 간격이 상기 상응하여 접하는 경우 중 가장 큰 간격(D3)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축조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앞면부 블록(100)들에 의한 옹벽의 축조는, 그 상하 방향에서 수직으로 축조가 가능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의 간격이 상기 상응하여 접하는 경우 중 가장 큰 간격(D3)들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일측 단면(111-1-b)에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타측(101′-2)의 앞쪽부(101′-2-a)가 상응하여 걸려서 접하는 위치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타측 단면(111-2-b)에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앞쪽부(101″-1-a)가 상응하여 걸려서 접하는 위치가 각각, 도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앞쪽과 뒤쪽 방향에서 후진하는 길이와,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앞쪽과 뒤쪽의 방향에서 후진하는 길이를 다양하게 하여, 접하는 위치인 경우에는, 도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들에 의한 옹벽의 축조에서 상하 방향에서 다양한 기울기가 가능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 옹벽의 앞면의 대체적 윤곽이 다양한 형태의 곡면을 이룸이 가능하다.
이러한 축조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앞면부 블록(100)들에 의한 옹벽의 축조는, 상하 방향에서 다양한 기울기가 가능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 옹벽의 앞면의 대체적 윤곽이 다양한 형태의 곡면을 이룸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들에 의한 상기 옹벽의 축조에서, 상하 방향에서 다양한 기울기로 축조함이 가능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즉, 좌우) 방향에서의 상기 간격의 조절이 용이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즉, 좌우) 방향에서의 옹벽의 축조에서 옹벽의 앞면의 대체적 윤곽을 다양한 형태의 곡면이나 평면으로 이룸이 가능하다.
상기 옹벽의 축조에서, 상하 방향에서 수직선으로부터 적절한 기울기로 후진한 상태로 앞면부 블록들이 축조되면, 미관상 심미감을 줄뿐만아니라, 우천시 자연 상태 그대로의 빗물 유입이 원활하여 화초 등의 식생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높이(H1)인 상기 소정의 높이는, 상기 지지벽(101)의 높이(H2)보다 짧은 길이의 높이임에 따라, 상기 앞면부 블록(100)들에 의한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높이(H2) 및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 의 높이(H2)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앞면 걸림턱(111)의 높이(H1)의 차이 만큼의 높이를 가지는 공간부(S)가,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상방(上方)으로 화초 등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생용 공간부(S)로서, 형성 가능하다.
상기 식생용 공간부(S)를 통하여, 옹벽의 앞쪽으로부터 화초 등의 관리와, 햇빛과 공기와 수분 및 영양의 공급이 가능하여 그 식생이 가능하다.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상면(上面)은, 앞면부 블록(100)들에 의한 옹벽 축조에 의하여, 앞쪽 방향으로부터 화초 등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생용 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하는 형상이므로, 도1 내지 도4 및 도8 내지 도11 및 도14a 내지 도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된 평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경사진 평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곡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앞면부 블록(100)들에 의한 옹벽 축조에서,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상방에 이루어지는 식생용 공간부(S)에 의하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토양 채움용 공간부(102)에 채워진 토양에 심어진 화초 등의 식생이 가능함에 더하여,
상기 토양 채움용 공간부(102)는, 토양이 채워지면, 상기 토양 연통용 개방부(土壤 連通用 開放部)(104))를 통하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에 성토(成土)되는 뒤 채움 토양과 연통(連通)하여 화초 등의 식생을 위한 수분 및 양분, 미생물 등의 공급 및 배수 등의 기능이 가능하게 되어, 일반 자연 상태의 토양과 동일한 상태에서 옹벽의 앞면쪽에 이루어지는 상기 식생용 공간부(S)를 통하여 화초 등의 식생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걸림편 걸림턱(105)에 걸려 상기 앞면부 블록(100)을 이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에서 지지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걸림편(201)과, 상기 앵커 바 본체(202)가 일측과 타측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므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대칭인, 상기 걸림편 걸림턱(105)에 걸려 체결가능하고, 아울러 상기 앵커 조인트(300)의,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대칭인, 상기 체결 공간부(301)와, 상기 체결 지지턱(302)와. 상기 체결 통로(303)에 의하여 체결 가능하다.
따라서, 옹벽을 축조함에서, 상기 앵커 바(200)와 상기 앵커 조인트(300)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을 이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 방향에서 견고하게 지지하여, 뒤 채움 토양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보강한다.
아울러 상기 걸림편(201)과, 상기 앵커 바 본체(202)가 일측과 타측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므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 바(200)는, 이 앵커 바(200)와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앵커 바(200′)의 걸림편(201′)이 반복적으로, 체결 공간부(305)와 체결 지지턱(306)이 앞쪽과 뒤쪽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즉,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상기 앵커 조인트(300)에 끼워져 체결됨이 가능하다.
따라서, 옹벽을 축조하는 장소의 구체적 상황에 따른 필요에 따라 앵커 조인트(300)가 반복 설치되고,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앵커 조인트(300)의 사이 및, 이 앵커 조인트(300)와 새로이 반복 설치되는 앵커 조인트(300) 사이에 반복적으로 앵커 바(200)가 설치되어, 상기 반복 설치된 앵커 바(200)와 상기반복 설치된 앵커 조인트(300)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을 이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 방향에서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여, 뒤 채움 토양을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보강한다.
더욱이, 도6과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이 양 방향 즉 앞쪽 방향과 뒤쪽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뒤쪽 방향에 설치되는 앞면부 블록(100)에 체결되는 앵커 바(200′)는, 앵커 바 본체(202′)의 끝단부(202′-2)가 상기 앵커 조인트(300)의, 앞쪽과 뒤쪽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즉,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된, 체결 공간부(301)와 체결 지지턱(302) 과 체결 통로(303)의 각각의 뒤쪽의 것에 체결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앵커 바(200)는 그 재질이 금속재나 합성수지재인 경우에는, 콘크리트재에 비하여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함이 가능하므로,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체결됨에 있어서, 상기 토양 연통용 개방부(104)의 공간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최소화되어, 상기 토양 연통용 개방부(104)에 의한 토양 연통의 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앵커 바(200)가 그 재질이 금속재인 경우에는, 콘크리트재인 경우의 제조에 비하여, 제조용 몰드를 다양하게 구비할 필요없이, 다양한 길이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앵커 바(200)가 그 재질이 금속재나 합성수지재인 경우에는, 콘크리트재인 경우에 비하여, 가벼워 시공이 간편하고, 설치 속도가 빠르므로, 설치비용과 설치 시간과 물류 비용이 최소화함이 가능하다.
상기 앵커 바(200)는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서 탄성재로 된 탄성체이고,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 바깥쪽 방향(도7에서 화살표 K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앵커 바 본체(202)는 상기 걸림편(201)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걸림편 걸림턱(105)에 걸려 체결된 후 상기 걸림편(201)은 용이하게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체결이 유지되도록 지지 가능하다.
상기 축조된 옹벽에서의 토양은 식생을 위하여 수분이 함유됨에 따라 녹이 발생하기 쉬운 여건이므로, 상기 금속재는 녹슬지 아니하는 금속재이거나, 녹 발생 방지 처리가 된 금속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 조인트(300)는, 상기 앵커 바(200)가 개재(介在)하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을 이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 방향에서 안정적으로 지지가능하며, 뒤 채움 토양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보강한다.
상기 반복 설치된 앵커 바(200)와 상기 반복 설치된 앵커 조인트(300)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을 이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 방향에서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여, 뒤 채움 토양을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보강한다.
상기 앵커 조인트(300)의 높이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높이(H2)와 같은 길이의 높이가 바람직하며, 이때에는 상기 앵커 조인트(300)의 상면과 하면은 수평의 평면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축조와 마찬가지 원리로서, 상기 앵커 조인트(300)의 일측(300-1)의 상방에는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앵커 조인트(300)의 타측(300-2)이 적층으로 쌓이며, 아울러 상기 앵커 조인트(300)의 타측(300-2)의 상방에는 같은 구성의 또다른 별개의 앵커 조인트(300)의 일측(300-1)이 적층으로 쌓이며, 이러한 쌓임이 반복되어 앵커 조인트(300)들의 축조가 가능하다.
옹벽이 축조되는 장소의 구체적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앵커 조인트(300)의 높이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높이(H2)보다 짧은 길이의 높이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부족한 높이는 토양으로 메꾸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축조와 그 높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옹벽이 축조되는 장소의 구체적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앵커 조인트(300)의 높이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높이(H2)보다 긴 길이의 높이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이 큰 길이의 높이의 앵커 조인트(300)의 상방 또는 하방에는 상기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높이(H2)보다 짧은 길이의 높이의 앵커 조인트가 설치되어,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축조와 그 높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토양 채움 공간부(102) 및, 상기 앵커 조인트(300)의 토양 채움용 공간부(309)에 토양이 채워지면, 그 토양의 중량과 그 저항력에 의하여 상기 앞면부 블록(100) 및 상기 앵커 조인트(300)는 그 자체의 중량에 더하여 더욱 안정된 축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 세트는, 도6과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의 양 방향(앞쪽과 뒤쪽 방향)으로 축조됨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앵커 바(200)은 상기 앵커 조인트(300)를 중심으로 양 방향(앞쪽과 뒤쪽 방향)으로 대칭되게, 상기 앵커 조인트(300)에 설치되며, 상기 앵커 바(200)의 길이는 옹벽의 상방(上方)으로 갈수록 짧아지는 길이의 앵커 바(200)가 사용되는 구성이며, 옹벽의 상방(上方)으로 갈수록 짧아지는 길이의 앵커 바(200)는 옹벽이 축조되는 구체적 상황의 필요에 따라 미리 그 제조 과정에서 제조된다. 물론, 상기 양 방향으로 축조됨에서도, 앵커 바(200)와 앵커 조인트(300)가 반복 사용되어, 옹벽의 상기 양 방향의 축조에서의 폭을 조정함이 가능하다.
상기 "다른 실시예"는 상기 "일 실시예"의 상기 작용에 더하여, 도8 내지 도11에서 도시된, 하측 걸림턱(108)과 체결 통로(109)는, 상기 "다른 실시예"의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앵커 바 본체(202)의 앞쪽 부재가 상기 체결 통로(109)에 끼워져 상기 앵커 바(200)의 걸림편(201)이 상기 걸림편 걸림턱(105)에 걸려 체결되면, 하측 걸림턱(108)에 의하여 그 이탈이 방지됨이 가능하여, 상기 앵커 바(200)의 상기 체결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앞면부 블록의 상하 방향으로의 옹벽 축조에서 다양한 기울기의 조절이 가능하고, 아울러 앞면부 블록의 일측과 타측 방향(좌우 방향)으로의 옹벽 축조에서의 다양한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아울러 옹벽의 앞면의 대체적인 윤곽이 다양한 형태의 곡면과 평면으로 이룸이 가능하며, 아울러 앞면부 블록을 그 뒤쪽에서 용이하게 견고하게 지지함이 가능하고,
상기 앞면부 블록에 의한 옹벽의 축조에서 상기 앞면 걸림턱의 상방에 이루어지는 식생용 공간부를 통하여 화초 등의 식생(植生)이 가능하며, 상기 토양 연통용 개방부를 통하여 옹벽에서의 앞면부 블록의 뒤쪽의 뒤 채움 토양과 상기 앞면부 블록 내의 토양 채움용 공간부의 토양이, 상기 토양 채움용 공간부에 채워지는 토양에 식생된 초목의 식생을 위한 연통이 가능하여 자연 그대로 수분과 양분과 미생물의 공급이 가능하며, 용이하게 옹벽의 축조가 안정된 상태로서 유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앞면부 블록(block)(100)과 앵커 바(anchor bar)(200)와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가 구비되며,
    상기 앞면부 블록(block)(100)에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가장자리의, 앞쪽(100-a)과, 일측(100-1)과, 타측(100-2)은 지지벽(101)이 저면부(103)의 하면(下面)(103-d)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앞쪽부(101-1-a)와 타측(101-2)의 앞쪽부(101-2-a)는 앞쪽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101-1)의 상기 앞쪽부(101-1-a)의 바깥쪽면과 상기 타측(101-2)의 상기 앞쪽부(101-2-a)의 바깥쪽면 사이의,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의, 폭(W1)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안쪽은 토양(土壤) 채움용 공간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하단부는 저면부(103)가 형성되고,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은 토양 연통용 개방부(土壤 連通用 開放部)(104)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은 걸림편 걸림턱(10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101)과 상기 저면부(103)와 상기 토양 연통용 개방부(104)와 상기 걸림편 걸림턱(105)은 각각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상기 일측(101-1)의 상측(上側) 중, 앞면 걸림턱(111)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을 제외한, 상면(上面)(101-1-u)과,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상기 타측(101-2)의 상측(上側) 중, 앞면 걸림턱(111)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을 제외한, 상면(上面)(101-2-u)과, 상기 지지벽(101)의 하면(下面)(101-d)과,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저면부(103)의 하면(下面)(103-d)은 모두, 수평의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상기 일측(101-1)의 상기 상면(上面)(101-1-u)에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같은 구성의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타측(101′-2)의 하면(下面)(101′-2-d)과, 저면부(103′)의 타측(103′-2)의 하면(下面)(103′-2-d)이 적층(積層)으로 쌓이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상기 타측(101-2)의 상기 상면(上面)(101-2-u)에 상기 앞면부 블록(100)과 같은 구성의 또다른 별개(別個)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하면(下面)(101″-1-d)과, 저면부(103″)의 일측(103″-1)의 하면(下面)(103″-1-d)이 적층(積層)으로 쌓여 축조 됨에서,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타측(101′-2)의 앞쪽부(101′-2-a)의 바깥쪽면의 하단부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앞면 걸림턱(111)의 일측 단면(端面)(111-1-b)에 상응하여 걸려서 접(接)하는 위치와,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앞쪽부(101″-1-a)의 바깥쪽면의 하단부가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앞면 걸림턱(111)의 타측 단면(端面)(111-2-b)에 상응하여 걸려서 접(接)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과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 사이의, 일측과 타측 방향에서의, 간격이 정하여지며, 아울러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앞뒤 방향에서의 위치와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앞뒤 방향에서의 위치가 각각 정하여져 소정의 각도의 기울기를 가진 적층(積層)으로 축조 가능하도록,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상기 일측(101-1)의 앞쪽부(101-1-a)의 상측(上側)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이 위치가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대칭된 위치의, 상기 타측(101-2)의 앞쪽부(101-2-a)의 상측(上側)의, 소정의 위치까지에서 상기 지지벽(101)이 상방(上方)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앞면 걸림턱(111)이 형성되고,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높이(H1)는 상기 지지벽(101)의 높이(H2)보다 짧은 길이의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상기 일측 단면(端面)(111-1-b)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상기 적층으로 쌓여 축조되는 때에 상기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타측(101′-2)의 앞쪽부(101′-2-a)의 바깥쪽면의 하단부에 상응하여 접(接)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앞면 걸림턱(111)의 상기 타측 단면(端面)(111-2-b)은 상기 앞면부 블록(100)에 대하여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이 상기 적층으로 쌓여 축조되는 때에 상기 또다른 별개의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지지벽(101″)의 일측(101″-1)의 앞쪽부(101″-1-a)의 바깥쪽면의 하단부에 상응하여 접(接)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는,
    상기 앞면부 블록(100)의 상기 걸림편 걸림턱(105)에 걸려 상기 앞면부블록(100)을 이 앞면부 블록(100)의 뒤쪽에서 지지 가능하도록 하는, 걸림편(201)과, 앵커 바 본체(202)가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앵커 조인트(anchor joint)(300)는,
    상기 앵커 바 본체(202)의 끝단부(202-2)가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공간부(301)와 체결 지지턱(302)과 체결 통로(303)가 앞쪽과 뒤쪽 방향으로 대칭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앵커 바(200)와 같은 구성의 별개의 앵커 바(200′)의 걸림편(201′)이 끼워져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 공간부(305)와 체결 지지턱(306)이 앞쪽과 뒤쪽 방향으로 대칭되며 아울러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바(anchor bar)(200)는 탄성재(彈性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10-2002-0004892A 2002-01-28 2002-01-28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Expired - Fee Related KR100444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892A KR100444488B1 (ko) 2002-01-28 2002-01-28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892A KR100444488B1 (ko) 2002-01-28 2002-01-28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079U Division KR200273569Y1 (ko) 2002-01-31 2002-01-31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555A KR20030064555A (ko) 2003-08-02
KR100444488B1 true KR100444488B1 (ko) 2004-08-16

Family

ID=3221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8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444488B1 (ko) 2002-01-28 2002-01-28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463B1 (ko) * 2020-01-22 2020-06-16 이현우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959A (ko) * 2004-10-21 2006-04-27 레이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옹벽
KR101104083B1 (ko) * 2011-03-07 2012-01-11 동방산업(주) 친환경 식생블록
KR102302152B1 (ko) * 2021-06-28 2021-09-15 다성기업(주) 현장에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으로 만든 옹벽블록유닛과 이를 이용한 중력식축조옹벽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5547U (ko) * 1985-11-19 1987-06-01
JPH0441536A (ja) * 1990-06-07 1992-02-12 Showa Denko Kk 樹脂組成物
JPH0571126A (ja) * 1991-03-20 1993-03-23 Taiyo Gijutsu Kaihatsu Kk 無土圧盛土工法及び盛土用ブロツク
US5350256A (en) * 1991-11-26 1994-09-27 Westblock Products, Inc. Interlocking retaining walls blocks and system
KR950014446U (ko) * 1993-11-29 1995-06-16 박윤희 축대용 블럭고정구
KR19990038627U (ko) * 1998-03-28 1999-10-25 오성훈 옹벽지지용 연결식 지지블럭
KR200290011Y1 (ko) * 2002-06-25 2002-09-27 오세희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KR20030056648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한설그린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5547U (ko) * 1985-11-19 1987-06-01
JPH0441536A (ja) * 1990-06-07 1992-02-12 Showa Denko Kk 樹脂組成物
JPH0571126A (ja) * 1991-03-20 1993-03-23 Taiyo Gijutsu Kaihatsu Kk 無土圧盛土工法及び盛土用ブロツク
US5350256A (en) * 1991-11-26 1994-09-27 Westblock Products, Inc. Interlocking retaining walls blocks and system
US5688078A (en) * 1991-11-26 1997-11-18 Westblock Products, Inc. Interlocking retaining walls blocks and system
KR950014446U (ko) * 1993-11-29 1995-06-16 박윤희 축대용 블럭고정구
KR19990038627U (ko) * 1998-03-28 1999-10-25 오성훈 옹벽지지용 연결식 지지블럭
KR20030056648A (ko) * 2001-12-28 2003-07-04 주식회사 한설그린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200290011Y1 (ko) * 2002-06-25 2002-09-27 오세희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463B1 (ko) * 2020-01-22 2020-06-16 이현우 옹벽용 블록 조립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555A (ko) 200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9922E1 (en)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US5117583A (en) Landscape terracing material
US20090116911A1 (en)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0930886B1 (ko)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
AU2003210567A1 (en) Interlocking and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US20090090077A1 (en)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0444488B1 (ko)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20180020476A (ko)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KR200273569Y1 (ko) 옹벽축조용 블록 세트
KR20050035408A (ko)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US7351007B2 (en) Waterfall spillway
KR20090007221U (ko)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KR20150083386A (ko) 조립식 토목 블록
JP3537398B2 (ja) 組立柵工
KR20150086052A (ko) 수직 옹벽 축조용 블록 유닛
KR100701484B1 (ko)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
KR20100026042A (ko) 식생블럭식 영구화를 위한 사면 보강장치
KR200451790Y1 (ko) 적층식 식생 옹벽블록
KR20220017145A (ko) 콘크리트 옹벽
KR200372011Y1 (ko) 식생블록용 고정구
KR102779989B1 (ko) 절취면을 덮도록 구비된 플레이트형 식생옹벽
JP7141145B1 (ja) 水路側壁用嵩上壁
KR102371639B1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KR102371637B1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시공방법
KR100650751B1 (ko) 조립식 수로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