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43807B1 -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 - Google Patents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807B1
KR100443807B1 KR10-2001-0040724A KR20010040724A KR100443807B1 KR 100443807 B1 KR100443807 B1 KR 100443807B1 KR 20010040724 A KR20010040724 A KR 20010040724A KR 100443807 B1 KR100443807 B1 KR 100443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over
blade
horizontal
roller
divi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4954A (ko
Inventor
유인성
정원단
김영근
Original Assignee
유인성
김영근
정원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성, 김영근, 정원단 filed Critical 유인성
Priority to KR10-2001-004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807B1/ko
Publication of KR2003000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80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9/00Safety guard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ood saws; Auxiliary devices facilitating proper operation of wood saws
    • B27G19/02Safety guard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ood saws; Auxiliary devices facilitating proper operation of wood saws for circular saws
    • B27G19/025Safety guard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ood saws; Auxiliary devices facilitating proper operation of wood saws for circular saws with guards for t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29)을 개재하여 작업대에 장착되고,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수 개의 장착공(21a)을 구비하는 분할날(21); 상기 분할날(21)을 수용하도록 상자형으로 성형되고, 상단의 감시창(28)과 하단의 회전바퀴(27)와 후단의 안내홈(22a)을 구비하는 안전덮개(22); 상기 분할날(21)과 안전덮개(22) 사이에 장착되고, 안전덮개(22)의 수평 유지 상태에서 전후상하 운동이 유도되도록 하는 수평연결대(23); 상기 분할날(21) 상에 상기 수평연결대(23)의 하단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연결수단; 상기 안전덮개(22) 상에 상기 수평연결대(23)의 상단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연결수단; 및 상기 분할날(21)의 중앙에 링크(25)를 이용하여 장착되고, 스프링(26)의 힘으로 하단의 로울러(24)를 가압하는 반발예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함에 따라, 목재의 종류나 형태와 무관하게 항상 톱날부분을 자동적으로 방호할 수 있고 현장작업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아 생산성 저하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 {Protecting device for circular sawing machine}
본 발명은 둥근톱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의 종류나 형태 및 두께에 따라 톱날 방호거리가 자동적으로 조절되며, 또한 가변형 로울러를 통해 작업물 반발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함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 또는 일반 목공소에서 다량 사용하고 있는 목재가공용 등근톱은 작업시 톱날이 고속 회전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톱날에 접촉될 경우 절단될 수 있으며, 더구나 목재를 다룰 때 가시 등이 손에 박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장갑을 착용하기 때문에 재해발생시 손가락 절단 부위가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산업안전보건법(제33조)에서는 목재가공용 둥근톱을 위험기계기구로 정하고 있으며 톱날접촉예방장치(이하 안전덮개라 한다) 및 목재 반발예방장치 부착을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둥근톱 방호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종래의 안전덮개(12)는 분할날(11) 상에 1개의 힌지축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어 입구에서의 상하 운동만 가능하며, 이에 따라 양측면에 보조날개(13)를 부착하여 톱날(S)이 노출 또는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목재(W) 투입시 안전덮개(12)의 무게가 목재에 직하방향으로 전달되어 수평으로 미는 힘이 안전덮개(12)의 자중 저항과 톱날(S)의 작용력을 상쇄시키지 못하여 안전덮개(12)의 입구에서 목재가 걸리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작업시 안전덮개(12)(13)를 떼어 내고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할날(11)과 안전덮개(12)의 결합에 1개의 힌지축만 사용하여 안전덮개(12)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입구부분만이 부채모양으로 상하 이동되므로 목재의 두께가 커질 경우 안전덮개(12)의 입구에서 톱날(S)의 노출 정도가 심화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분할날(11)에 수 개의 구멍을 뚫어 볼트로 안전덮개(12)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작업대에 대한 안전덮개(12)의 상대 위치 수정을 실시하여 보기도 하지만, 목재의 치수가 변동될 때마다 수작업으로 높이를 조정하는 것은 한계에 이를 수 밖에 없어 커다란 불편을 초래하고 있었다.
또한, 산업안전보건법 규정에 의하면, 분할날(11)과 톱날(S) 후면의 이격거리가 12mm 이내로 설치한 경우만 분할날(11)이 반발예방장치로 허용되며, 12mm이상인 경우 별도의 반발예상장치를 부착해야 된다. 그러나 작업현장에서는 이러한 규정을 모르거나 무시한 체, 목재 두께에 따라 톱날높이가 변동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따른 분할날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지 않고 처음 고정한 상태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었다. 특히 이렇게 배치한 분할날(11)은 한번 고정하면 위치를 조정할 수 없어 반발예방장치의 기능이 상실될 뿐 아니라 사고발생시 사업주가 벌금부과 등 불이익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재의 종류나 형태, 그리고 두께에 무관하게 항상 톱날부분을 자동적으로 방호할 수 있고, 목재 투입시 안전덮개 또한 거리조정등의 후조작을 필요치 않아 현장작업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는 등 생산성을 향상시킨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구측의 걸림현상을 개선하고, 근본적으로 반발예상장치를 분할날에 고정 설치하여 줌으로서, 작업자의 손가락 절단등 작업장의 안전재해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둥근톱 방호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기구를 상부로 전개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수평연결대 하단의 결합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수평연결대 상단 결합구조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기구의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21: 분할날, 12,22: 안전덮개, 23: 수평연결대, 24: 로울러, 25: 링크, 27: 회전바퀴, 28: 감시창, 31: 누름버튼, 32: 실린더, 33: 스프링, 34: 너트, 41: 로울러, 42: 수직연결편, 43: 스페이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29)을 개재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작업대에 장착되는 호형의 접촉면을 보유한 분할날(21)과; 상기 분할날(21)을 수용하는 하단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성형되고, 상단 전방의 감시창(28)과 후단의 안내홈(22a) 을 각기 구비하는 안전덮개(22)와; 상기 분할날(21)과 안전덮개(22) 사이에 장착되고, 그 양단이 분할날(21) 및 수직연결편(42)의 로울러(4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안전덮개(22)의 수평 유지상태에서 안전덮개(22)의 상하운동과 함께 안전덮개(22) 고정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수평연결대(23)와; 상기 분할날(21) 상에 상기 수평연결대(23)의 하단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연결수단과; 상기 안전덮개(22) 상에 그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수평연결대(2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연결편(42)을 포함하는 제2 연결수단; 및 상기 분할날(21)의 중앙에 링크(25)를 이용하여 장착되고, 스프링(26)의 힘으로 하단의 로울러(24)를 가압하는 반발예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대(23)는, 하단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분할날(21)이 통과되도록 안내홈(23a)을 형성하고, 그 양측면 하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진 다단걸림공(23b)을 천공하며, 절곡 성형되는 양측면 상단에는 또한 절곡면을 따라 안내장공(23c)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연결수단은, 이단원통(31a)(31b)으로 성형되는 누름버튼(31)과, 상기 누름버튼(31)이 일부 노출되도록 대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32)와, 상기 누름버튼(31)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33), 및 상기 실린더(32)를 분할날(21) 상에 관통되게 고정하는 한쌍의 너트(34)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연결수단은, 안전덮개(22) 내면에 하측 일단이 고정되는 상기 수평연결대(23)의 상단 안내장공(23c) 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로울러(41)와, 상기 로울러(41)를 지지하는 수직연결편(42)과, 상기 수직연결편(4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안전덮개(22)와 수직연결편(42) 그리고 수평연결대(23)가 분할날(21)과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별도의 반발예방수단이 분할날(21)에 부착되고, 분할날(21)의 높이가 용이하게 임의로 조정되므로, 안전덮개(22)가 목재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 자동적으로 움직이면서 톱날의 방호범위가 극대화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셜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기구를 상부로 전개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평연결대 하단의 결합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수평연결대 상단의 결합구조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분할날(21)은, 프레임(29)을 개재하여 작업대에 장착하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천공한 복수개의 장착공(21a)을 구비한다. 분할날(21)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앞쪽은 얇고 뒤쪽이 두꺼운 칼날 구조로 목재와 닿게되는 전방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최대접촉면을 유지하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분할날(21)의 하단에 연속적으로 가공되는 상기 장착공(21a)은 분할날(21)의 중심축을 따라 상하 일직선 상에 6-7개 형성한다.
프레임(29)은 좌우로 각각 분리되는 "ㄱ"자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며, 이들은 대향하는 면에 상기 장착공(21a)과 동일한 크기 및 간격의 관통공을 2-3개 형성한다. 설치에 있어서 우선 분리된 프레임(29)을 작업대에 고정한 후 프레임(29)의 대향하는 면 사이로 분할날(21)을 통과시키면서 볼트를 이용하여 삽입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덮개(22)는, 상기 분할날(21)을 수용하도록 저부가 개방된 상자형으로 성형된다. 전방 상단에는 감시창(28)을 설치하고, 그 하단에는 구름마찰이 용이하도록 회전바퀴(27)를 구비하는 것이며, 후단에는 또한 접힘시 상기 분할날(21)에 대한 간섭을 받지 않도록 안내홈(22a)을 구비한다.
상기 감시창(28)은 안전덮개(22)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투명한 소재로 선단에 장착한다. 회전바퀴(27)는 하단에서 양측으로 충분히 노출시켜(2-3mm 정도) 길이가 긴 합판 등이 지나갈 때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안내홈(22a)은 목재 투입등 작업시 안전덮개(22)가 분할날에 걸리지 않게 뒤로 젖혀지도록 분할날(21)의 폭보다 조금 크게 형성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덮개(22)의 수평 유지 상태에서 전후상하 운동이 유도되도록 하는 수평연결대(23)가 상기 분할날(21)과 안전덮개(22) 사이에 장착된다. 수평연결대(23)는 판재를 "ㄷ"자로 절곡하고 하단 중앙에서 길이방향으로 분할날(11)이 통과되는 안내홈(23a)을 형성한다. 안내홈(23a)은 수평연결대(23)의 고정위치 이동시 분할날(21)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한다.
수평연결대(23)의 양측면 하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이 하나로 연결되는 다단걸림공(23b)을 형성한다. 다단걸림공(23b)은 복수의 관통공을 일직선상에 형성한 다음 그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모두 연결시킨 구조이다. 수평연결대(23)의 상단은 도 4처럼 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ㄱ"자형으로 경사지는 구조를 보이고 있고, 그 양측면에 안내장공(23c)을 각각 형성한다. 이러한 경사구조에 의해 안전덮개(22)가 고정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목재 투입시 입구부분 마찰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반면, 안전덮개가 입구부분으로 기울어 톱날전면과 접촉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덮개(22)가 전방으로 하강하시 이를 억제하기 위한 각도를 약 45°정도로 유지시켜 톱날과 부딪히지 않게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할날(21) 상에 수평연결대(23)의 하단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연결수단이 설치된다. 이같은 제1 연결수단은 이단원통(31a)(31b)으로 성형되는 누름버튼(31)과, 상기 누름버튼(31)이 일부 노출되도록 대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32)와, 상기 누름버튼(31)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33)과, 상기 분할날(21)에 관통된 상태로 설치되는 상기 실린더(32)를 고정하는 너트(34)를 구비한다. 이때 누름버튼(31)의 대경원통(31a)은 수평연결대(23)의 다단걸림공(23b) 에서 원형부에 안착되는 크기이고, 소경원통(32a)은 다단걸림공(23b) 의 통로부를 통과하는 크기이다.
누름버튼(31)은 스프링(33)의 작용으로 도 3처럼 최대로 노출되지만 양단을 눌러 대경원통(31a) 이 실린더(32)로 들어가면 소경원통(31b) 만 노출된다. 그러므로 수평연결대(23)의 고정위치 변경시 누름버튼(31)을 누르면 다단걸림공(23b) 상에서 이동할 수 있고, 누름버튼(31)을 놓으면 스프링(33)에 의해 도 3의 상태로 되면서 현 위치의 다단걸림공(23b)에 안착 고정된다.
톱날의 높이 변화에 따라 안전덮개(22)의 수평거리를 분할날(21)로부터 단축시키기나 늘려주면 감시창(28)으로부터 톱날 전면부까지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 감시창(28)에서 톱날 전면부가 가깝게 보일 수 있다. 누름버튼(31)에 의해 안전덮개(22)의 위치 수정이 원터치로 조작될 뿐 아니라 톱날위치를 항시 가까운 거리에서 관찰할 수 있어 정밀한 목재 절단도 무리없이 수행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전덮개(22) 상에 상기 수평연결대(23)의 상단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연결수단이 사용된다. 제2 연결수단은 상기 수평연결대(23)의 상단에 개재되는 로울러(41)와, 상기 로울러(41)를 지지하는 수직연결편(42)과, 상기 수직연결편(4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43)를 구비한다. 상기 제2 연결수단은 안전덮개(22)가 상하,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로울러(41)를 개재하여 연결시킨다. 즉 수직연결편(42)이 상하 2개의 스페이서(43)로 일정 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단에 로울러(41)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수직연결편(42)의 상단은 로울러(41)를 개재하여 수평연결대(23)의 안내장공(32c) 상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수직연결편(42)의 하단은 안전덮개(22) 볼트로 고정 장착된다. 이때 상기 볼트는 안전덮개(22), 수직연결편(42), 스페이서(43)를 관통하여 느슨하게 결합됨으로서 힌지의 역활을 담당하게 된다. 결합위치는 안전덮개(22)의 무게중심 또는 무게중심에 인접한 부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직연결편(42)이 수평연결대(23)를 기준으로 360°회전되면 각목등이 톱날 전·후방부를 통과할 때 안전덮개(22)가 전면 또는 후면으로 기울어질 수 있어 톱날 전방 또는 후방부를 각각 방호할 수 있다. 즉, 안전덮개(22)가 제1 연결수단 및 제2 연결수단에 의한 2점 지지이므로 종래의 1점 지지와 달리 톱날의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수평이 유지된 상태에서 회동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할날(21)의 중앙에 링크(25)를 이용하여 장착되고, 스프링(26)의 힘으로 하단의 로울러(24)를 가압하는 반발예방수단이 사용된다. 링크(25)는 X형 구조로 하여 하단에 로울러(24)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단의 스프링(26)에 의해 로울러(24)에 하방향 탄성력을 작용한다. 이와 같은 반발예방수단은 분할날(21)의 양측에 동일하게 설치된다. 작업시 목재의 두께에 맞춰 로울러(24)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스프링(26)에 의해 톱날 후방에서 목재가 상측으로 튀는 현상을 억제하게 된다.
작용에 있어서, 안전덮개(22), 수평연결대(23), 수직연결편(42)이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이고 수평연결대(23)와 수직연결편(42)이 로울러(41)로 연결되므로 가공할 목재의 두께에 상관없이 별도의 기기 조작없이도 안전덮개(22)가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자동 조절된다. 안전덮개(22)는 수직연결편(42)의 길이(약2-3cm) 만큼 회전이 가능하여 합판 등 얇은 목재 절단시 안전덮개의 높이를 별도 조정하지 않고 수직연결편(42)의 회전반경 내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수평연결대(23)의 상단이 경사진 구조에 의해 안전덮개(22)가 안내장공(23c)을 따라 우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목재의 입구부분 통과시 저항을 줄이는 보조역할이 수행된다. 최초 목재 투입시 안전덮개(22)가 수직연결편(42)을 개재하여 시이소처럼 좌우로 움직이면서 안전덮개(22) 입구부분에 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목재 진행방향의 0~90°방향으로 고루 분산시켜 하중이 50%이상 감축되고 목재는 입구부분에 걸리지 않고 쉽게 통과된다. 안전덮개(22)가 수직연결편(42)의 하부와, 그리고 수평연결대(23)가 수직연결편(42) 상부의 로울러(41)와 각각 연결되는 구조는 목재가 반발할 경우에 충격을 2단계로 분산시켜 안전덮개의 상승력을 완화시켜 주는 기능도 지닌다. 그러므로 이로인해 안전덮개(22)가 상하 방향 및 목재 진입방향의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며 360°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목재 두께와 무관하게 항시 톱날 부분을 덮어 주게 된다. 각목 등을 절단할 경우 안전덮개(22)의 기울기가 변화되어 톱날 후면을 방호하고 각목이 톱날 후면부를 통과 할 때에는 톱날의 전방부분을 방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작업현장에서 둥근톱은 항시 일정한 두께의 것만을 자르는 것이 아니고 상황에 따라 두꺼운 나무(두께 ± 10cm )를 자른 후, 다시 합판(두께 ± 1.5cm) 등 얇은 목재를 절단하기 위해 안전관리 측면에서 톱날 높이를 하향조정 하는데, 이때 톱날이 작업대 하방으로 이동하여 감시창(28)으로부터 톱날 전면부까지의 거리가 멀어진다. 이 경우 누름버튼(31)을 누른 상태에서 안전덮개(22)의 위치를 분할날(21)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놓으면 다단걸림공(23b) 상의 적절한 위치에 안착되면서 감시창(28)과 톱날 전면부의 이격거리가 단축되고 톱날위치를 근접하여 관찰할 수 있으므로 목재의 정밀한 절단작업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호기구의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도 2는 안전덮개(22)가 최고높이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반면에 도 5는 안전덮개(22)가 작업대 높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조립된 안전덮개(22)가 최저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안전덮개(22)의 하부면이 작업대와 밀착된다. 회전바퀴(27)에 의해 안전덮개(22)의 하부면과 가공재(합판 등)의 접촉 저항이 줄어들고 안전덮개(22) 가 상하,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목재 투입시 안전덮개(22)의 하중에 의한 직하방향 마찰(저항)이 목재 이동방향 및 그 상부로 분산되어 입구부분의 저항이 최소화된다.
종래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목재 투입시 안전덮개(12)가 올라가면 하부의 일정범위가 노출되어 톱날에 접촉될 수 있으며 안전덮개(12)의 작용방향(F)이 안전덮개 자중에 의해 입구부분의 직하방향으로 집중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초기 목재투입시 안전덮개 입구부분에서 목재가 걸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반면 본 발명의 기구를 사용하여 실제로 목재를 투입하면 안전덮개(22)가 작용하는 방향(F')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대로부터 0~90°까지 고루 분산되므로 목재가 쉽게 통과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목재의 두께 또는 높이 변화에 따라 목재 진입방향의 상하 또는 전후로 안전덮개를 자동 변환하여 목재의 걸림 현상을 제거하고, 톱날 전면부와 감시창의 거리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하여 목재를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목재의 종류나 형태와 무관하게 항상 톱날부분을 자동적으로 방호할 수 있고, 안전덮개가 항시 작업대 면에 밀착되어 있어 톱날이 거의 보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작업 능률과 안전성이 최대로 확보된다.
반발예방수단에 의해 목재 절단 후 톱날 후방에서 발생되는 반발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대로부터 분할날의 설치높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어 분할날이 톱날 후면과 가까운 위치로 조정되고 목재의 반발도 줄어든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목재가공용 둥근톱의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하여 손가락 절단 등의 장해 재해를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고가(500만원 정도)의 자동 절단톱을 사용하지 못하는 중소업체에서 저비용 고효율의 안전장치로서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프레임(29)을 개재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작업대에 장착되는 호형의 접촉면을 보유한 분할날(21)과;
    상기 분할날(21)을 수용하는 하단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성형되고, 상단 전방의 감시창(28)과 후단의 안내홈(22a) 을 각기 구비하는 안전덮개(22)와;
    상기 분할날(21)과 안전덮개(22) 사이에 장착되고, 그 양단이 분할날(21) 및 수직연결편(42)의 로울러(4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안전덮개(22)의 수평 유지상태에서 안전덮개(22)의 상하운동과 함께 안전덮개(22) 고정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되도록 하는 수평연결대(23)와;
    상기 분할날(21) 상에 상기 수평연결대(23)의 하단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연결수단과;
    상기 안전덮개(22) 상에 그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이 상기 수평연결대(2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연결편(42)을 포함하는 제2 연결수단; 및
    상기 분할날(21)의 중앙에 링크(25)를 이용하여 장착되고, 스프링(26)의 힘으로 하단의 로울러(24)를 가압하는 반발예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대(23)는,
    하단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분할날(21)이 통과되도록 안내홈(23a)을 형성하고, 그 양측면 하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진 다단걸림공(23b)을 천공하며, 절곡 성형되는 양측면 상단에는 또한 절곡면을 따라 안내장공(23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수단은,
    이단원통(31a)(31b)으로 성형되는 누름버튼(31)과, 상기 누름버튼(31)이 일부 노출되도록 대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32)와, 상기 누름버튼(31)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33), 및 상기 실린더(32)를 분할날(21) 상에 관통되게 고정 설치하는 너트(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수단은,
    안전덮개(22) 내면에 하측 일단이 고정되는 상기 수평연결대(23)의 상단 안내장공(23c)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로울러(41)와, 상기 로울러(41)를 지지하는 수직연결편(42)과, 상기 수직연결편(4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
KR10-2001-0040724A 2001-07-07 2001-07-07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0443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724A KR100443807B1 (ko) 2001-07-07 2001-07-07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724A KR100443807B1 (ko) 2001-07-07 2001-07-07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449U Division KR200260261Y1 (ko) 2001-09-24 2001-09-24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954A KR20030004954A (ko) 2003-01-15
KR100443807B1 true KR100443807B1 (ko) 2004-08-16

Family

ID=2771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7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43807B1 (ko) 2001-07-07 2001-07-07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6987A (zh) * 2012-12-05 2014-06-11 朱玉静 一种圆盘锯防护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5094U (ko) * 1973-10-12 1975-06-12
JPS53135687U (ko) * 1977-03-31 1978-10-26
JPS58115307U (ja) * 1982-01-30 1983-08-06 株式会社テラオ 横挽き丸鋸盤の安全カバ−
US4418597A (en) * 1982-01-18 1983-12-06 Emerson Electric Co. Anti-kickback device
KR940026412U (ko) * 1993-05-19 1994-12-08 목재가공용 둥근톱 방호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5094U (ko) * 1973-10-12 1975-06-12
JPS53135687U (ko) * 1977-03-31 1978-10-26
US4418597A (en) * 1982-01-18 1983-12-06 Emerson Electric Co. Anti-kickback device
JPS58115307U (ja) * 1982-01-30 1983-08-06 株式会社テラオ 横挽き丸鋸盤の安全カバ−
KR940026412U (ko) * 1993-05-19 1994-12-08 목재가공용 둥근톱 방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6987A (zh) * 2012-12-05 2014-06-11 朱玉静 一种圆盘锯防护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954A (ko)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9681B1 (en) Table saw with dropping blade
EP2969423B1 (en) Blade drop power tool with dust management
US6578460B2 (en) Blade guard assembly
EP1990156B1 (en) A modular guard system for a power saw
US8079295B2 (en) Table saw blade guards and blade guard assemblies including lateral blade guards, and table saws including the same
CA2050654A1 (en) Anti-pinch device for chain saw
EP2089182B1 (de) Schutzvorrichtung
WO2008137249A1 (en) Brush chipper with improved feed rollers
US20120118120A1 (en) Safety device for table saw
US20160151931A9 (en) Safety device for power cutting tools
EP2603364A1 (en) A fence system for a power saw
US7261025B2 (en) Circular saw bench
KR100443807B1 (ko)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
DE202004007699U1 (de) Fußeinheit für Trennschleifer
KR200260261Y1 (ko) 둥근톱 머신의 방호기구
Dąbrowski Reducing kickback of portable combustion chain saws and related injury risks: laboratory tests and deductions
US4062391A (en) Safety guard
KR101040894B1 (ko) 목재 제재기 안전장치
DE202018102266U1 (de) Schutzvorrichtung für Tischkreissägen
US20040118255A1 (en) Saw guard
EP1472058B1 (de) Handkreissägemaschine
RU212948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распиловки лесоматериалов на пилопродукты, каретка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механизма пиления, переносная моторная пи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дания толщины пилопродукта в установке для распиловки лесоматериалов
WO2020201715A1 (en) Portable sawmill assembly
KR940007241Y1 (ko) 목재용기계톱의톱날덮개
CA2415113A1 (en) Saw gu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7073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70731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