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42533B1 -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533B1
KR100442533B1 KR10-2000-0046656A KR20000046656A KR100442533B1 KR 100442533 B1 KR100442533 B1 KR 100442533B1 KR 20000046656 A KR20000046656 A KR 20000046656A KR 100442533 B1 KR100442533 B1 KR 100442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optical sensor
photocell
photocells
o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3182A (ko
Inventor
지정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레텍
Priority to KR10-2000-0046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533B1/ko
Publication of KR2002001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53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44Fibrous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원통형으로 만들어져 나오는 원단으로부터 광센서를 이용하여 올의 위치를 파악한 뒤에 원단 가이드를 동작시켜 상기한 올의 위치가 칼날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오도록 함으로써 칼날에 의해 원단이 올을 따라 개복되도록 하는 개복기에 있어서, 상기한 광센서는 평행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개의 상단 포토셀과 상기한 상단 포토셀의 하단에 위치되어 각각 쌍을 이루면서 평행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개의 하단 포토셀이 원단이 잘라지는 방향으로 서로 약간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원단이 흘러가는 방향과 올의 개수를 헤아릴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광센서의 포토셀을 어긋나게 배치하여 원단의 올이 흐르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올을 따내지 않도록 하여 작업공수를 줄임과 동시에 올을 따낼 수 없는 원단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a photo-sensor of an automatic opening machine for the textile fabric}
이 발명은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광센서의 포토셀을 어긋나게 배치하여 원단의 올이 흐르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올을 따내지 않도록 하여 작업공수를 줄임과 동시에 올을 따낼 수 없는 원단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니트 원단의 경우에,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직과정에서 원단(1)이 원통형으로 만들어져 나오기 때문에 칼날(2)이 장착되어 있는 개복기를 이용하여 원단(1)의 한쪽을 세로방향으로 길게 잘라서 평면형태로 펴는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에, 원단(1)의 올(11)을 따라서 자르게 되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12)이 직선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원단(1)의 가치가 높아지게 되지만, 원단(1)의 올(11)을 따라서 자르지 않게 되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12)이 경사방향으로 배열됨으로써 원단(1)의 가치가 낮아지게 되므로, 정확하게 올(11)을 따라서 원단(1)을 자르는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올(11)을 따라서 원단(1)을 자르기 위해서는 원단(1)으로부터 올(11)을 한가닥 뽑아 낸 뒤에 자동 개복기에 걸어주게 되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광센서(3)를 이용하여 올(11)이 뽑혀진 위치를 찾아내게 된다. 제어부는 이와 같이 찾아낸 올(11)이 뽑혀진 위치가 칼날(2)이 고정설치되어 있는 곳에 위치할 수 있도록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우산형태의 원단 가이드(4)를 회전시켜 원단(1)이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올(11)이 뽑혀진 위치가 칼날(2)이 고정설치되어 있는 곳에 위치하게 되면, 칼날(2)이 작동됨으로써 올(11)이 뽑혀진 위치를 따라서 원단(1)이 개복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가 올(11)의 뽑혀진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광센서(3)를 이용하게 되는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센서(3)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포토셀(31)이 평행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올(11)이 뽑혀진 자리로부터 투과되는 빛의 양이 다른 부분보다 많은 사실에 기초하여 가장 많은 빛의 양을 수신한 포토셀(31)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올(11)이 있던 위치를 찾아내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는, 올을 따낼 수 있는 원단의 경우에는 기준선을 제공하기 위하여 먼저 원단으로부터 올을 뽑아 내야 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업공수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는, 올을 따내게 되면 전체 실이 풀려나가게 됨으로써 올을 따낼 수가 없는, 최근에 새롭게 개발되어 수요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새로운 니트원단에는 적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센서의 포토셀을 어긋나게 배치하여 원단의 올이 흐르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올을 따내지 않도록 하여 작업공수를 줄임과 동시에, 올을 따낼 수 없는 원단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니트원단을 개복하기 위한 자동 개복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올을 따라서 개복됨으로써 실이 직선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니트원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올을 따르지 않고 개복됨으로써 실이 경사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니트원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원단 2 : 칼날
3, 5 : 광센서 4 : 원단 가이드
11, 12 : 올 31 : 포토셀
51 : 상단 포토셀 52 : 하단 포토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원통형으로 만들어져 나오는 원단으로부터 광센서를 이용하여 올의 위치를 파악한 뒤에 원단 가이드를 동작시켜 상기한 올의 위치가 칼날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오도록 함으로써 칼날에 의해 원단이 올을 따라 개복되도록 하는 개복기에 있어서, 상기한 광센서는 평행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개의 상단 포토셀과 상기한 상단 포토셀의 하단에 위치되어 각각 쌍을 이루면서 평행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개의 하단 포토셀이 원단이 잘라지는 방향으로 서로 약간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원단이 흘러가는 방향과 올의 개수를 헤아릴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는, 원통형으로 만들어져 나오는 원단(1)으로부터 광센서(5)를 이용하여 올(11)의 위치를 파악한 뒤에 원단 가이드(4)를 동작시켜 상기한 올(11)의 위치가 칼날(2)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오도록 함으로써 칼날(2)에 의해 원단(1)이 올(11)을 따라 개복되도록 하는 개복기에 있어서, 상기한 광센서(5)는 평행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개의 상단 포토셀(51)과 상기한 상단 포토셀(51)의 하단에 위치되어 각각 쌍을 이루면서 평행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개의 하단 포토셀(52)이 원단이 잘라지는 방향으로 서로 약간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원단이 흘러가는 방향과 올의 개수를 헤아릴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올(11)을 따라서 원단(1)을 자르기 위해 원단(1)을 자동 개복기에 걸어주게 되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광센서(5)를 이용하여 올(11)의 흐르는 방향과 올(11)의 개수를 헤아리게 된다. 제어부는 올(11)의 위치를 찾아내어 상기한 올(11)의 위치가 칼날(2)이 고정설치되어 있는 곳에 위치할 수 있도록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우산형태의 원단 가이드(4)를 회전시킴으로써 원단(1)이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한 올(11)이 칼날(2)이 고정설치되어 있는 곳에 위치하게 되면 칼날(2)이 작동됨으로써 원단(1)이 올(11)의 위치를 따라 개복된다.
제어부가 올(11)의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광센서(5)를 이용하게 되는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센서(5)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상단 포토셀(51)과 하단 포토셀(52)이 서로 약간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어서 양자간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올(11)의 흘러가는 방향을 알아내고, 상기한 포토셀(51, 52)로부터 나오는 펄스수를 헤아림으로써 올(11)이 몇 개나 흘러갔는지를 알아냄으로써 올(11)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먼저, 올(11)이 오른쪽으로 조금씩 이동하는 경우에 인접한 상단 포토셀의 일부를 가리게 되고 하단 포토셀은 가리지 않은 상태가 발생된다. 이 상태에서는 해당 상단 포토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고, 상기한 상단 포토셀과 쌍을 이루고 있는 하단 포토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대적으로 크게 유지된다.계속해서 올(11)이 오른쪽으로 조금씩 이동하게 되면 일부를 가리고 있던 상단 포토셀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기 이전에, 상기한 상단 포토셀과 쌍을 이루고 있는 하단 포토셀의 일부를 가리게 되는 상태가 발생된다. 이 상태에서는 해당 상단 포포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되고, 상기한 상단 포토셀과 쌍을 이루고 있는 하단 포토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계속해서 올(11)이 오른쪽으로 조금씩 이동하게 되면 상단 포토셀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게 되고 하단 포토셀은 일부를 가리고 있게 되는 상태가 발생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단 포포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대적으로 크게 되고, 상기한 상단 포토셀과 쌍을 이루고 있는 하단 포토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된다.계속해서 올(11)이 오른쪽으로 조금씩 이동하게 되면 상단 포토셀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게 되고 하단 포토셀로부터도 완전히 벗어나게 되는 상태가 발생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단 포포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대적으로 크게 유지되고, 상기한 상단 포토셀과 쌍을 이루고 있는 하단 포토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위에서 알 수 있듯이 올(11)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단 포토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에 대응하여, 하단 포토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가 약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변화하게 된다.이와는 반대로, 올(11)이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단 포토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에 대응하여, 상단 포토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가 약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변화하게 된다.따라서, 한쌍의 상단 포토셀과 하단 포토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올(11)이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있는지 아니면 왼쪽으로 움직이고 있는지그 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다음에, 각각의 상단 포토셀 또는 하단 포토셀에는 올이 지나갈때마다 전기적 신호의 크기가 변화됨으로써 펄스가 형성되는데, 이 펄스의 개수를 카운트하게 되면 홀이 몇개가 지나갔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광센서의 포토셀을 어긋나게 배치하여 원단의 올이 흐르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올을 따내지 않도록 하여 작업공수를 줄임과 동시에 올을 따낼 수 없는 원단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이와 같은 효과는 개복기 분야에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응용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2)

  1. (정정) 원통형으로 만들어져 나오는 원단으로부터 광센서를 이용하여 올의 위치를 파악한 뒤에 원단 가이드를 동작시켜 상기한 올의 위치가 칼날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오도록 함으로써 칼날에 의해 원단이 올을 따라 개복되도록 하는 개복기에 있어서,
    상기한 광센서는 평행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개의 상단 포토셀과 상기한 상단 포토셀의 하단에 위치되어 각각 쌍을 이루면서 평행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개의 하단 포토셀이 원단이 잘라지는 방향으로 서로 약간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원단이 흘러가는 방향과 올의 개수를 헤아릴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부는 한쌍의 상단 포토셀과 하단 포토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올의 흘러가는 방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
KR10-2000-0046656A 2000-08-11 2000-08-11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442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656A KR100442533B1 (ko) 2000-08-11 2000-08-11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656A KR100442533B1 (ko) 2000-08-11 2000-08-11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182A KR20020013182A (ko) 2002-02-20
KR100442533B1 true KR100442533B1 (ko) 2004-07-30

Family

ID=1968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656A Expired - Fee Related KR100442533B1 (ko) 2000-08-11 2000-08-11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5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4115A (en) * 1993-04-08 1997-03-25 Cadcam Technology Limited Computer-controlled laser cutter with optical sensor
JPH10332431A (ja) * 1997-05-27 1998-12-18 Mitsutoyo Corp 光電式エンコー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4115A (en) * 1993-04-08 1997-03-25 Cadcam Technology Limited Computer-controlled laser cutter with optical sensor
JPH10332431A (ja) * 1997-05-27 1998-12-18 Mitsutoyo Corp 光電式エンコ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182A (ko) 200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3688B1 (ko) 전자무늬 환편기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442533B1 (ko) 자동 개복기의 광센서 구조
CN108754901B (zh) 一种缝纫机底线余量检测处的线毛清理装置
US57653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thread supply boundary on a yarn storage drum
KR101032508B1 (ko)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
ITBO980564A1 (it) Macchina tessile circolare per maglieria.
CN208748381U (zh) 一种带有钢丝绳保护功能的自动晾衣机
KR960014818B1 (ko) 관교체장치의 구동 제어방법
JPH05337275A (ja) ミシンの下糸残量検出装置
KR200158828Y1 (ko) 자동직물교정기용 위사감지구
US6513448B2 (en) Sewing machine having balance
US6886602B1 (en) Method for driving one or several pile carriers for the selection of one or several pile yarns
CN207079354U (zh) 一种大网孔破网自停机构
ITBS970009A1 (it) Perfezionamento alle macchine circolari da calzetteria a una o piu' alimentazioni
KR960005671Y1 (ko) 개량 텍스터 가이드(texture guide)
EP0452932B1 (en) Warp mending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same
US6568338B2 (en) Sewing machine having balance
US20040154686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ning a gripper clip of a mechanical-loom gripper
CN115584592B (zh) 一种自侦测的横机换色控制系统及方法
KR890004177Y1 (ko) 셔틀직기의 위사 감지 장치
CN211921869U (zh) 一种检测梭芯缝线余量的装置
SU152015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уточной нити на многозевной ткацкой машине
JPS59199841A (ja) 織機における筬打ち駆動方法
KR200462095Y1 (ko) 포목교정기
CN1240844A (zh) 纬纱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2-nap-PE0801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N-3-6-B10-B17-rex-PB060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207

Effective date: 20040430

PJ1301 Trial decis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5-crt-PJ1301

Decision date: 20040430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Ground Text : 2000 46656

Appeal request date: 20030207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03101000407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S09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S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7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