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42096B1 -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항종양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및 그 유도체의 적용 - Google Patents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항종양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및 그 유도체의 적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096B1
KR100442096B1 KR10-2001-7015663A KR20017015663A KR100442096B1 KR 100442096 B1 KR100442096 B1 KR 100442096B1 KR 20017015663 A KR20017015663 A KR 20017015663A KR 100442096 B1 KR100442096 B1 KR 10044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carboxylic acid
double
formula
derivative
comple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022A (ko
Inventor
쉬칭 양
쩐윈 양
잉우 인
웨이촨 췌이
진리 양
천샤 주
Original Assignee
쉬칭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쉬칭 양 filed Critical 쉬칭 양
Publication of KR20020095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09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8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282Platin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 C07F15/0006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compounds of the platinum group
    • C07F15/0086Platinum compounds
    • C07F15/0093Platinum compounds without a metal-carbon link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의 화학식 (I)의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제의 항종양 유도체에 관한 것이고,
화학식 (I)
(여기서, R1및 R2는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를 갖음), 또한, 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항종양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또한 항종양 약물들을 제조에 유도체를 적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은 신규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종양 약제의 새로운 세대이고, 낮은 독성, 광범위한 항종양 스펙트럼, 높은 항종양 활성, 물에서의 양호한 용해도 및 수용액에서의 양호한 안정성과 같은 장점들을 가지며, 정상세포들 등의 손상없이 암세포들만 선택적으로 죽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항종양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및 그 유도체의 적용{Antitumor derivative of double dicarboxylic acid diaminoplatin complex, process for the preparing there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application of the derivative}
B.로젠버(B.Rosenber)가 1969년에 시스-디클로로디아미노플라틴의 항종양효과를 발견한 이후, 시스플라틴은 플라틴 유사체의 항종양 약제로서 임상의학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 종류의 약제는 비뇨생식기암, 비인두암, 세팔로서큘라캔서(cephalocircular cancer) 및 폐암과 같은 다수 암들에 명백한 치료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높은 독성 및 심각한 부작용들도 가지고 있다. 신독성, 신경독성, 내이독성, 오심, 구토와 같은 일부 바람직하지 못한 효과들로 그것의 복용량 및 장기 사용이 제한된다. 플라틴 유사체들의 제2세대 항종양 약제들 중 하나인, 카르보플라틴(carboplatin)은 시스플라틴과 유사한 항종양 스펙트럼을 가지며 교차 약제-저항성을 갖는다. 카르보플라틴의 치료효과는 시스플라틴에 비해 다소 낮다. 카르보플라틴의 독성 및 부작용들은 시스플라틴에 비해 현저하게 적지만, 아직도 골수억제가 존재하고 또한 수용액에서 안정하지 않다. 따라서, 높은 효능, 낮은 독성 및 넓은 스펙트럼을 가진 플라틴 유사체들의 항종양 약물들을 찾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본 발명과 가장 관련된 종래 기술은 WO95/20956 및 EP642792A1에 설명되어 있다. 이들 두 문서들은,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구조와 크게 다른 구조의 시스-디아미노-1,1-디시클로부탄-디포름산 착체 백금 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척적 발명에 속한다.
플라틴 유사체들의 새로운 항종양 약제들의 많은 종류들, 예를 들어 이소플라틴(isoplatin),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오르마즈플라틴(ormajplatin), 로바플라틴(lobaplatin), 엔로플라틴(enloplatin), 제닌플라틴(zeninplatin), L-NDOP, DWA-2114A 및 CI-973 등이 근년에 임상실험에 들어갔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들 새로운 플라틴 유사체들의 대부분이 시스플라틴과 교차 약제-저항성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그것들의 항종양 계통들은 시스플라틴의 것과 거의 동일하고, 그러나 항종양 스펙트럼은 더 넓지 않고 물에서의 안정성은 비교적 낮다. 독성에 관해서는, 그것들의 대부분이 시스플라틴의 것에 비해 낮고, 일부는 아직도 명백한 신독성, 신경독성 및 골수억제를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들로, 그것들 중 어느 것도 임상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플라틴 유사체들의 경구적으로 효과있는 항종양 약제들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보고되어 있는 것이 없다. 높은 효능, 낮은 독성 및 물에서의 높은 안정성을 갖는 다른 종류의 플라틴 유사체들의 항종양 약제들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항종양 플라틴유도체의 신규한 종류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항종양 약물제조에 있어 유도체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바이시클로플라틴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도 2A는 바이시클로플라틴의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도 2B 및 2C는 바이시클로플라틴의 음이온 ESI-MS을 나타내고,
도 3은 바이시클로플라틴의 X-선 회절 유닛셀 적층(stacking)을 나타내고,
도 4는 바이시클로플라틴으로 처리된 인간 간암 BEL-7402 세포들의 성장곡선이고,
도 5는 암세포들을 선택적으로 죽이는 바이시클로플라틴의 곡선이고,
도 6은 BEL-7402 세포들(EM X 10000)의 블랭크대조군이고,
도 7은 BEL-7402 세포들(EM X 6000)의 블랭크대조군이고,
도 8은 BEL-7402 세포들(EM X 12000)의 액포변성이고,
도 9는 BEL-7402 세포들(EM X 12000)의 지방변성이고,
도 10은 BEL-7402 세포들(EM X 6000)의 핵붕괴를 나타내고,
도 11은 BEL-7402 세포들(EM X 8000)의 핵붕괴를 나타낸다.
도 1에서의 메인피크의 설명 및 특성은 다음과 같이 기재된다:
3291cm-1의 피크는 Pt←NH3의 신축진동피크(stretching vibration peak)이고;
2539-2992cm-1의 천천히 상승하는 피크는, 비스시클로플라틴에서 카르복실레이트의 -COO-기가 존재하지 않지만 -COOH기는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1716cm-1및 1704cm-1의 강한 피크들은 바이시클로플라틴에서의 카르복실산그룹의 -C=O의 신축진동피크들이다.
1608cm-1및 1566cm-1의 강한 피크들은 분자에서의 -COO-Pt의 -C=O의 신축진동피크들이다.
1400cm-1의 강한 흡수피크는 -C=O의 다양한 각의 진동흡수피크이다.
지문영역에서의 697-1317cm-1의 피크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적외선분광광도법 데이터는 이중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II) 에 대한 지문표시이다.
도 2A에서의1H-NMR 분광광도법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기 데이터는 화학식 (II)에 의해 표시된 바이시클로플라틴의 구조에 완전히 부합된다.
바이시클로플라틴의 분자량은 515.36이다.
M-1 준분자(quasimolecule) 이온피크 m/2514는 도 2B에 명확하게 나타나 있다.
도 2C에서, 모든 피크들에 의해 나타내어진 단편들(fragments)은 유기화합물들의 구조에 따라 합리적이다.
도 4에서, "" 은 대조군을 나타내고, ""은 10㎍/㎖ 그룹을 나타내고, "X"는 20㎍/㎖ 그룹을 나타낸다.
도 5에서, ""은 정상 인간섬유세포들을 나타내고, ""는 인간 표피세포들을 나타내고, ""는 인간 흑종세포들을 나타내고, ""는 인간 간암세포들을 나타낸다.
플라틴 유사체 화합물들에 대한 깊고 철저한 연구를 한 후, 발명자는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들이 전술한 단점들을 극복하고 높은효능, 낮은 독성 및 물에서의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놀랍게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의 착체의 신규한 항종양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활성성분으로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종양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항종약 약물제조에 있어서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의 적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항종양 유도체에 관한 것인데, 다음 화학식 (I)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R1및 R2은 동일하거나 다르고, 독자적으로 수소, C1-C12-알킬기, 할로겐, 아미노기, 시안화기, 히드록실기, 아실기, 포스포릴기 또는 포스포아미도기를 나타내고;
또는 R1및 R2가 부착된 탄소원자들과 R1및 R2이 상호결합되어 형성되는 포화 또는 불포화 3-12-원소 탄소고리를 나타냄)
바람직하게는, 포화 3-6-원소 탄소고리가 R1및 R2과 그것들에 부착된 탄소원자들과의 상호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가 이중 1,1-시클로프로판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 또는 이중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유도체는 다음 화학식 (II)의 이중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유도체가 다음 화학식 (I)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학식 (I)
(여기서 R1및 R2은 동일하거나 다르고, 독자적으로 수소, C1-C12-알킬기, 할로겐, 아미노기, 시안화기, 히드록실기, 아실기, 포스포릴기 또는 포스포아미도기를 나타내고;
또는 R1및 R2가 부착된 탄소원자들과 R1및 R2이 상호결합되어 형성되는 포화 또는 불포화 3-12-원소 탄소고리를 나타냄)
상기 방법은,
1) 화학식 (III)의 디카르복실산 리간드 유도체와 카르보플라틴 또는 카르보플라틴 속의 물질들을 반응시켜, 화학식 (I)의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를 생성시키는 단계
(여기서 R1및 R2은 화학식 (I)에서 정의된 의미를 가짐); 또는,
2) 화학식 (NH3)2PtX2(X는 Cl 또는 I임)을 갖는 디할로겐 디아미노플라틴을 물에서 질산은 또는 황산은과 반응시켜, 화학식 (NH3)2Pt(H2O)2(NO3)2의 수화된 디아미노플라틴 질산염 또는 화학식 (NH3)2Pt(H2O)2SO4의 수화된 디아미노플라틴 황산염을 생성시키는 단계; 그런 다음
이렇게 생성된 (NH3)2Pt(H2O)2(NO3)2또는 (NH3)2Pt(H2O)2SO4와 다음 화학식 (III)의 디카르복실산 리간드 유도체들 또는 그것들의 나트륨염들 또는 바륨염들을 반응시켜, 화학식 (I)의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III)
(여기서 R1및 R2은 전술한 화학식 (I)에서 정의된 의미를 가짐)
화학식 (I)의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을 제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상기 방법에 따라, 각 제조 단계는 통상 0℃ 내지 100℃, 바람직하게 10℃ 내지 50℃의 비교적 넓은 범위내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을 제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전술한 방법에 따라, 반응들은 통상 표준압력하에서 실시된다. 그러나, 반응들은 또한 증가된 압력 또는 감소된 압력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즉, 반응들은 통상 0.1 내지 10 bars 압력하에서 진행된다.
화학식 (I)의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을 제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상기 방법에 따라, 대등몰(isomolar)의 출발 원재료들이 종종 사용된다. 그러나, 원재료들 중 하나는 다른 원재료에 대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이 허용된다.
원재료들 즉, 디할로겐 디아미노플라틴 및 디카르복실산 리간드 유도체들은 모든 공지의 물질들이고 공지의 방법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항종양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 조성물은 활성성분으로서 0.1-0.5wt% 농도의 화학식 (I)의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 중 적어도 한 종류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들의 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 따르면, 활성성분으로서 화학식 (I)의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들은, R1, R2및 그들에 부착된 탄소원자들의 상호결합에 의해 화학식 (I)에서 형성된 포화 3-6-원소 탄소고리를 가지는 유도체들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중 1,1-시클로프로판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 또는 이중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중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이다.
본 발명의 항종양 약학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매우 간단하여, 단지 화학식 (I)의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들을 혼합하는 것만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들은 순수한 물, 의학용 녹말 및 비타민 C에서 선택될 수 있다. 약학조성물은 순수한 물과 함께 주사제(injection)로 만들어질 수 있어, 피하로, 복부로 또는 정맥내로 투여될 수 있다. 게다가, 약학조성물은 또한 의학용 녹말 및 비타민 C와 함께 경구용 캡슐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의 LD50은 다음과 같이 시험된다.
예를 들어,
바이시클로플라틴(bicycloplatin)이 복부로 투여될 때 283mg/kg;
바이시클로플라틴이 정맥내로 투여될 때 50.46±0.93mg/kg;
바이시클로플라틴이 경구로 복용될 때 500mg/kg;
이중 1,1-시클로프로판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이 주사될 때 180mg/kg.
대개,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의 복용량은 그것의 LD50의 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종약 약제들의 제조에서 상기 화학식 (I)의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의 적용에 관한 것이다.이중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는, 초분자 클라드레이트 화합물의 완전히 새로운 종류이고, 초분자에서 모든 원자들은 공유결합들, 배위결합들 및 수소결합들로 상호 결합되어 있다. 백금 외에, 이 유도체는 모든 전이금속원소들(Rh, Ru, Pd, Cu, Zn, Cr 등)을 함유한다. 유도체는 고체상 및 수용액상에서 균일하고 안정된 구조를 나타낸다. 화합물의 수소결합들은 분자스위치로서 정의된다. 생물에서 DNA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은 주지되어 있다. 이중의 DNA는 4종류의 유기염기들 즉, 구아닌(G), 시토신(C), 아데닌(A) 및 티민(T)을 함유한다. 수소결합들은 A-T 및 G-C의 형태로 규칙적으로 배열한다. 수소결합들이 파괴될 때, 병리적 변화들이 진행된다. 초분자 클라드레이트 화합물의 수소결합들은 정상 DNA의 수소결합과 상보성이 없기 때문에, 고안된 표제화합물은 스위치를 열지 않을 것이고 인체에서 활성이 없다. 초분자 클라드레이트 화합물의 수소결합들은 비정상 DNA(oncogene)의 수소결합과 상보성이 있기 때문에, 비정상 DNA와 만났을 때 표제화합물은 즉시 스위치를 열 것이고 푸린 및 피리미딘과 Pt(다른 전이금속원소들, M을 포함하여)착체를 떠나간다. 상기는, 고안된 표제화합물이 정상 인간세포에는 손상이 없는 반면에 비정상 DNA(온코진 포함)을 선택적으로 즉 일정한 방향으로 차단할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도록 과학적으로 고안된 것이다.
다수의 급성독성 실험들, 약제효능 실험들 및 몇년간의 임상시험들이, 화학식 (II)의 이중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와 같은 화학식 (I)에서 기술된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로 행해졌다. 그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정맥, 복부 및 경구 투여를 통한 누드마우스들(nude mice)에서의 급성독성량 한계실험들은, LD50이 정맥내로 투여될 때 50.46±0.93mg/kg, 복부로 투여될 때 283mg/kg 그리고 경구로 복용될 때 500mg/kg으로 약제독성이 낮은 것을 나타냈다.
바이시클로플라틴의 치료적 기능과 관련된 약제효능 실험들은 중국의학과학원 암병원, 암연구소(Cancer Hospital, Cancer Institute of Chinese Academy of Medical Sciences)에서 이루어졌다. 인간 간암세포들 BEL-7402에 대한 IC50은 1.3㎍/㎖였는데, 이것은 암세포들의 절반을 죽이기 위해 바이시클로플라틴 1.3㎍/㎖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 유방암에서 IC50은 2.8㎍/㎖였다. 바이시클로플라틴은 인간 유방암, 폐암, 간암, 결장직장암 및 난소암을 가지고 있는 누드마우스들의 복부로 주사되어, 누드마우스들 접종 제암비(carcinostatic rate) 실험들이 수행되었다. 쥐들은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고, 다량(LD50X 1/5), 중간 양(LD50X 1/10) 및 소량(LD50X 1/5)이 공급되었다. 반응 제암비는 각각 90%, 95% 및 70%였다. 위세척에 의해 제공된 동일 양들(doses)은 약간 낮은 제암비를 나타냈다. 약제조절 베이징 연구소는 인간 간암 H22누드마우스 접종 제암비 실험들을 실시했다. 바이시클로플라틴은, 시클로포스파미드와 대조하여 다량(LD50X 1/5), 중간 양(LD50X 1/10) 및 소량(LD50X 1/5)의 그룹으로 나누어진 쥐들의 정맥내로 주사되었다. 모든 그룹은 7일 연속하여 매일 매회 0.2ml가 제공되었다. 쥐들은 접종 후 30일 후 도살되었다. 반응 제암비들은 다량 그룹, 중간 양 그룹 및 소량 그룹에 대해 각각 50.85%, 57.40% 및 35.20%였다. 누드마우스들은 정상생활(normal life)을 하고 정상식이(normal diet)를 하였다. 10마리의 쥐들로 구성된 모든 그룹에서 죽은 누드마우스들은 관찰되지 않았다. LD50에 기초한 시클로포스파미드의 최소량의 2회 투여후 억제비는 73.15%에 이르렀으나, 쥐들의 대부분은 거의 죽었다.
토끼들이 정맥내로 투여된 바이시클로플라틴의 약력학 실험들에서 이용된 반면, 쥐들은 경구로 제공된 바이시클로플라틴의 약력학 실험들에서 이용되었다. 일정 간격의 동물혈청에서의 백금(platinum) 함량분석은, 혈액에서 약제의 농도가 45 내지 60분 내에 피크에 도달하고 24시간 내에 0으로 떨어진다는 것을 나타냈다.
바이시클로플라틴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쥐들에게 3개월 동안 연속해서 약제가 제공되는 장기 독성실험들이 실시되었다. 따라서, 투여 3개월 후 주요 신체반응 및 손상정도들을 관찰하여, 독성반응들의 표적기관들 및 상해의 가역성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독성양을 결정할 수 있어 치료적 안전량에 대한 참고를 제공할 수 있다.
내장에 대한 약제에 의한 손상은 양에 좌우된다. 치료양의 사정(circumstances)에 따라 손상들은 투약중지 한 달 후 완화된다. 소량은 그룹에 약간의 상해만 입히고 그룹은 완전히 회복할 수 있다.
시험관에서의 제암실험들:
1. 시험관에서 배양된 인간 간암 BEL-7402 세포들의 성장에 대한 바이시클로플라틴의 억제효과는 처리된 세포들의 동적 성장을 관찰하여 발견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일째, 아직 처리된 그룹들(각각 10㎍/㎖ 및 20㎍/㎖로)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일째, 처리된 그룹에서의 생존 세포들은 대조군에서의 세포보다 적어, 대조군에서의 세포들은 대수적으로 증가하는 반면에 처리그룹의 세포들은 점점 감소하였다. 그룹들간의 차이는 시간이 감에 따라 더 커졌고, 더욱이 20㎍/㎖ 그룹의 생존세포들은 10㎍/㎖ 그룹의 생존세포들 보다 적었다. 그 결과들은 바이시클로플라틴이 시험관에서 배양된 인간 간암 BEL-7402 세포들의 성장을 시간과 양에 따라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표 4).
2. 양의 일정 범위내에서, 바이시클로플라틴은 정상세포들을 손상시키지 않고 선택적으로 암세포들을 죽일 수 있다. 난징대학의 생명과학아카데미(Academy of life sciences in Nanjing University)는 인간의 정상섬유세포들, 표피세포들 및 폐암세포들, 흑종세포들이 바이시클로플라틴으로 동일하게 처리되는 실험을 하였는데, 폐암세포들의 50% 및 흑색소세포의 80%가 죽는 반면에 인간의 정상섬유세포들 및 표피세포들은 전혀 손상이 없었다(표 5).
3. 인간 간암 BEL-7402 세포들의 초-미세구조(ultra-microstructure)에 대한 바이시클로플라틴의 영향이 관찰되었다. 상이한 양의 바이시클로플라틴으로 BEL-7402 세포들이 처리된 후, 세포들은 고여지고(pooled), 고정되고, 봉매되고 박편으로 만들어졌다. 그런 다음 초-미세구조의 변화가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되었다. 그 결과, 미처리 세포들은 그 표면에 풍부한 미소융모들, 풍부한 소기관들 및 원형질에서의 상이한 양의 글리코겐 과립들을 가진 불규칙한 다각형의 형상으로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처리된 세포들에서 약제농도의 증가에 따라 상이한 정도의 퇴행성 변화가 있었다. 원형질에서의 액포들 및 지방방울은 괴사적 변화들, 핵농축, 핵붕괴, 핵용해 및 완전한 붕괴가 발생할 때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도 6 - 도 11).
이중 1,1-시클로프로판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는 화학식 (II)에서의 바이시클로플라틴 보다 물에서 덜 용해되고 물에서 더 독성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그것의 항종양 효능은 더 우수했다.
다음, 우리는 일련의 열거된 실험들을 통해 활성성분이 화학식 (I)의 이중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인 약제들의 특징들 및 장점들을 설명한다.
1. IC50의 측정
15% 태아송아지혈청(fetal calf serum)을 함유하는 RPMJ-1640 영양액(nutritional fluid)에서 위암 BGC-823 세포들을 배양하고; 그런 다음 96-웰 배양판 위로 웰당 1 X 104세포들을 접종하고; 37℃의 온도 및 5% CO2를 가진 배양기에 두었다. 15% 태아송아지혈청을 함유하는 RPMJ-1640 영양액으로 1% 바이시클로플라틴 수용액을 희석하고, 배양판의 각 웰, 농도마다 3개의 웰들 위로 그것들을 첨가하고, 6개의 웰들은 블랭크대조군(blank control)으로 남겼다. 72시간 배양 후, MTT액을 첨가하였다. 1시간 후, DMSO가 착색을 위해 첨가되었다. OD값은 효소표시장치로 측정되었다. 최종적으로, 각 농도에서의 약제의 반응비(response rate)를 계산하고 좌표법(coordinate process)에 기초해서 IC50을 측정하였다.
b) 상기 실험들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인간 구강암 KB 세포들을 죽이기 위한 바이시클로플라틴의 IC50의 측정
2. 강력한 항종양 효능들
a) 반은 수컷 반은 암컷인 21 내지 22g 체중의 쿤밍마우스들(Kunming mice) 40마리를 무작위로 4 그룹으로 나누었다. 모든 그룹은 10마리 쥐들로 구성되었다. 모든 쥐들은 오른쪽 복부에서 피하로 0.2ml 간암 H22세포들이 접종되었다. 다음 날, 쥐들의 3그룹은 7일 동안 연속해서 매일 1회 각각 30mg/kg, 20mg/kg 및 10mg/kg의 바이시클로플라틴이 복부로 주사되었다. 대조군은 생리식염수 IP가 제공되었다. 쥐들은 투약중지 다음 날 도살되었다. 체중과 종양의 무게를 재고, 제암비를 계산하였다.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처리된 그룹들의 중량증가는 대조군 보다 적었고, 사망은 없었다. 반응비는 투여된 바이시클로플라틴 10mg/kg, 20mg/kg 및 30mg/kg에 따라 각각 40.4%, 67.0% 및 78.6%였다.
b) 표 5는 상기 실험들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카누클(carnuncle) S180에 대한 바이시클로플라틴의 제암비를 나타냈다. 그것은 바이시클로플라틴이 양에 따라 S180에 대한 강력한 항종양 효능들을 가진다는 것을 나타냈다.
c) 인간 간암 BEL-7402 세포들을 각각 바이시클로플라틴 10㎍/㎖ 및 20㎍/㎖으로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8일 동안 세포들의 동적성장을 관찰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처음 2일에는 처리된 그룹들과 대조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일 째 이후에, 대조군의 세포들은 대수적으로 증가한 반면 처리된 그룹의세포들은 점차 감소되었다. 그룹 간의 차이는 시간이 감에 따라 더 커졌다. 이것은 바이시클로플라틴이 양에 따라 인간 간암 BEL-7402 세포들에 대한 강력한 항종양 효능들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3. 경미한 독성 및 부작용만 나타내고, 정상세포들의 손상 없이 암세포들의 선택적 살해(억제)
a) 체중이 18 내지 22g이고 반은 수컷이고 반은 암컷인 쿤밍마우스(Kunming mice) 50마리를 각 10마리로 이루어진 5 그룹으로 나누었다. 4 그룹은 10일 동안 연속해서 매일 1회 각각 400mg/kg, 280mg/kg, 196mg/kg, 137mg/kg 및 96mg/kg의 바이시클로플라틴 IP가 제공되었다. 비정상적 증후는 고농도의 국부적 자극을 제외하고 일어나지 않았다. 치사는 종종 3일 째 내지 7일 째에 일어났다. 우리는 블리스법(Bliss method)에 기초해서 LD50±SE=210.5±1.14mg/kg를 알았고, 이것은 동일한 조건하에서 측정된 시스플라틴 및 카르보플라틴의 LD50보다 현저하게 높은 것이었다. 바이시클로플라틴의 낮은 독성은 이렇게 입증되었다.
b) 비슷한 나이 및 체중(3.25kg, 3.5kg)의 2마리의 토끼들을 선택하여 각각 바이시클로플라틴 100mg을 정맥내로 주사하였다. 일정 간격으로 혈액을 채취하고 원자흡수스펙트럼(AAS법)을 이용하여 혈청샘플에서 백금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표 6에 나타나 있다. 혈액에서의 약제의 농도는 주사 후 피크에 달했고, 그런 다음 12 시간 후 시간에 따라 감소되었고, 그 농도는 매우 낮아졌고 24 시간 후 0으로 떨어졌다. 바이시클로플라틴은 체내에서 즉시 대사되어, 독성 및 부작용들은 매우 경미했다.
c) 참고로서 경구 급성독성실험들의 LD50500mg/kg으로, 장기독성을 관찰하기 위해 쥐들은 90일 동안 연속하여 매일 1회 5% 글루코오스 및 0.9% 염화나트륨에 용해된 바이시클로플라틴 LD50/10를 경구로 투여되었다. 일주일에 1회 쥐들의 체중을 재고 체중변화에 따라 양을 조정하였다. 12주 후 투여를 중지하고 2주동안 계속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1) 치사는 발생하지 않음. 쥐들의 식이, 활동 및 상태에서 명백한 비정상은 없었다. 따라서, 바이시클로플라틴은 쥐들에 대한 반작용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냈다.
(2) 투여 12째 주 및 투여중지 후 2째 주, WBC 및 RBC의 수들, 헤모글로빈의 함량 및 유형(classification) 및 혈소판의 수가 눈으로 혈액샘플을 통해 측정되었다. 그것들은 모두 정상범위내에 있었고 그룹들 사이의 유의한 차이(p〉0.05)는 없었다. 또한 처리된 그룹들과 대조군 사이에 혈중요소질소(BUN), 글루탐-피루빈산 트랜스아미나제(GPT), 및 글루탐-옥살아세트산 트랜스아미나제(GOT)에 관한 유의한 차이(p〉0.05)도 없었다.
(3) 쥐들은 관찰 후 도살되었다. 내장계수들(visceral coefficients)이 측정되었다. 처리된 그룹들의 간의 무게가 대조군의 것 보다 약간 무거웠으나, 여전히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다른 내장계수들은 모두 정상이었다.
(4) 쥐들의 심장, 간, 비장, 폐, 신장, 위, 십이지장, 난소선(ovary gland), 정소, 전립선, 부신, 갑상선은 조직학적으로 검사되었다. 처리된 그룹들의 간 및 비장에서 상이한 정도의 충혈 및 부종이 있었다. 약제에 의해 유발된 기관변화는 다른 내장들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d) 인간 정상섬유세포들, 표피세포들 및 폐암세포들, 흑종세포들을 바이시클로플라틴으로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그 결과들은 표 5에 나타나 있다. 일정한 범위 내의 양에서, 폐암세포들의 50% 및 흑색소세포의 80%가 억제되는 반면, 인간의 정상섬유세포들 및 표피세포들에서는 손상이 없었다. 이것은 바이시클로플라틴이 정상세포들의 손상없이 선택적으로 암세포들을 죽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e) 상이한 양의 바이시클로플라틴으로 처리된 후, 인간의 간암 BEL-7402 세포들은 투과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되었다. 미처리된 세포들은 그 표면 상의 풍부한 미소융모들, 풍부한 소기관들 및 원형질에서의 상이한 양의 글리코겐 과립들을 가진 불규칙한 다각형의 형상으로 나타났다. 이들 처리된 세포들에서 바이시클로플라틴의 농도증가에 따라 상이한 정도의 퇴행성 변화가 있었다. 원형질에서의 액포들 및 지방방울은 괴사적 변화들, 핵농축, 핵붕괴, 핵용해 및 완전한 붕괴가 발생할 때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5일 후 세포가 죽었다.
바이시클로플라틴의 신규한 항종양 약제를 경구용캡슐 및 주사제로 처리한 전형적 케이스들
1. 경구용캡슐들은 바이시클로플라틴 및 보조약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자들은 바이시클로플라틴 20-30mg을 함유하는 경구용캡슐들을 복용하였다.
치료케이스들:
환자 츄, 남자, 64세, 담낭암: 그의 주요 불만 중 하나는 혈뇨였다. 처음에 레이저치료가 사용되었다. 3회의 재발 후, 그는 바이시클로플라틴을 복용하기 시작했다. 2 X 2㎠ 크기의 3개 덩어리가 완전히 사라졌다. 2개의 신장 및 담낭에서 비정상은 없었다.
환자 왕, 여자, 65세, 말기 간암, 위독한 질병: 그 때 그녀는 바이시클로플라틴을 복용하기 시작했고 AT 30mg이 정맥내로 주사되었다. 투여 45일 후, 종양은 4.7 X 3.1cm에서 2.3 X 1.7cm로 감소하였다. 마침내, 종양은 사라졌다. 그녀는 치료되었고 정상적인 생활로 복귀하였다.
2. 앰플당 5ml에서의 1% 농도의 바이시클로플라틴 수용액의 주사. 바이시클로플라틴 수용액은 5% 글루코오스 및 0.9%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100ml 주사제에 용해되었고 2일 마다 1회, 매회 2개의 앰플이 정맥내로 주사되었다. 바이시클로플라틴의 적주(dipping) 후 100ml 염화나트륨 주사제가 수주(transfusation) 되어야한다. 처치과정은 6회(12앰플) 행해졌다. 2주 간격 후 처치의 제2과정이 시작되었다. 3연속의 처치과정 후, 종합검사(general examination)가 행해졌다.
환자 마, 남자, 83세, 말기 재발성 간암, 2 X 2cm의 폐전이성 암종 : 그 때 그는 매일 4회, 매회 4-6 캡슐의 바이시클로플라틴을 복용하기 시작했다. 2개월 후, 폐전이성 암종은 사라졌고 골전이성 암종은 18 X 14cm에서 14 X 11cm로 감소하였다. 간암의 제1의 초점은 보다 부드러운 가장자리(margin)를 가지고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처치기간 동안 그는 2일에 1회, 매회 2개의 앰플의 바이시클로플라틴의 점적주사도 처치되었다. 총 5회의 처치과정 후, 그 환자는 양호한 정신상태 및 식욕을 가지게 되었다. 그의 체중은 59kg에서 61kg로 증가하였다. 헤모그램에서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환자 주, 남자, 59세, 비강인두의 덜 분화된 편평세포암종, 방사능치료 10년 후 재발, 말기, 림프조직으로의 전이: 재발했을 때, 식도 및 기관지 상의 8 X 8cm 덩어리의 압착 때문에, 그는 호흡하고 삼키는 것에 곤란을 겪었다. 기관지 절개를 통해 호흡기계를 필요로 했다. 그는 3회의 심정지, 30/50mmHg까지 감소된 혈압을 경험했다. 그때 그는 2일 마다 1회, 매회 2 앰플의 바이시클로플라틴의 주사를 맞았다. 50일 동안, 50 앰플들이 주사되었다. 1주일 쉰 후, 주사가 계속되었다. 총 복용량은 74 앰플들이었다. 그 환자는 나날이 호전되었다. 퇴원시 헤모글로빈은 8.0g이었고, WBC의 수는 3,000이었고 모두 정상범위내에 있었다. B-초음파의 결과는 15 X 10㎟, 9 X 8㎟ 및 6 X 5㎟의 덩어리를 나타냈다. 오심 및 구토와 같은 항종양 약제들의 통상의 반응들은 주사 전 또는 후에 발생하지 않았다.
환자 양, 남자, 45세, 흑종, 간 및 폐로의 전이: 방사능치료 및 화학요법이 상하이 암병원에서 효과가 없다고 판명된 후, 그는 바이시클로플라틴 주사제 36 앰플을 맞았다. 전이 암종들은 치료되었고 흑종은 괴사되었다.
환자 리, 남자, 49세, 3.3 X 3.3cm 제1간암, 좌측 및 우측 담관으로의 전이, 문맥에서의 암색전으로 인한 황달을 가짐: 그는 3회 처치과정 동안 바이시클로플라틴의 주사제 36 앰플을 맞았다. 제1처리과정 말기에, 좌측 간엽에서의 종양은 3.3 X 3.3cm로 감소되었다. 2회의 처치과정 말기에, 종양은 근본적으로 소멸되었고, 문맥에서의 암색전도 소멸하였고, 우측담관만이 0.8cm까지 팽창되었다. 3회의 처치과정 중, 환자상태는 안정되었다. 그는 양호한 정신상태 및 식욕을 가지게 되었다. 헤모그램에서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그는 한번 약 10시간을 지속하는 주기적 열을 가진 적이 있었다. 때때로 그는 병소에서 주기적 고통을 느꼈다.
환자 멩, 남자, 48세, 301 병원에 의해 말기로 진단된 폐의 선암종. 정맥내로의 바이시클로플라틴 주사제 및 경구용캡슐들 투여 후, 기침, 천식 및 객담과 같은 증상들은 모두 사라졌다. 지금 그는 전반적으로 치료되었다.
모외국인 환자, 남자, 60세, 러시아, 중국의학과학원의 암병원 및 공군병원에 의해 진단되고 황달을 수반한 간으로 전이된 장암. 그는 러시아에서 수술을 받은 후 의사의 추천에 따라 치료를 위해 중국에 왔다. 정맥으로 바이시클로플라틴의 주사제 36 앰플 및 36 경구용캡슐의 투여 후, 간으로의 전이는 소멸되었다. 지금 그는 전반적으로 치료되었다.
시험관 실험, 임상시험, 급성독성실험들 및 장기독성실험에서와 같은 모든과학적 실험들은, 화학식 (I)의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들(특히 바이시클로플라틴 및 1,1-시클로프로판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종양 약제의 새로운 세대이고, 인간 암치료에 새로운 희망을 가져왔다는 것을 나타낸다.
화학식 (I)의 유도체들 및 그들의 약학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다음 예들을 포함하여, 본 발명이 상세하게 더 설명된다.
실시예 1
이중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제조
카르보플라틴 3.54g(10.0mmol) 및 순수한 물 200ml가 반응플라스크에 넣어지고, 카르보플라틴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광을 차단하면서 교반되었다. 교반하면서, 일괄로(in batches) 반응플라스크에 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16.2g(10.0mmol)이 첨가되었다. 완전히 용해되어 혼합물을 형성할 때까지 계속 교반되었다. 다음 건조된 생성물을 얻기 위해 회전증발(rotating evaporation)에 의해 혼합물이 건조되었다. 그런 다음 에탄올 50ml가 건조된 생성물에 첨가되고, 2시간 동안 휘저어 침전물이 발생되고 여과되었다. 그 침전물은 10ml X 3 에탄올로 세척되고, 그런 다음 증류수로부터 재결정되고, 진공되고 자연 건조되어 표제화합물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2
이중 1,1-시클로프로판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제조
Ag2SO46.5g(20.8mmol) 및 순수한 물 100ml가 반응플라스크에 넣어지고, 그런 다음 Ag2SO4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광을 차단하면서 교반되었다. 교반하면서, 일괄로 반응플라스크에 시스-(NH3)2PtCl26.2g(20.7mmol)이 첨가되었다. 시스-(NH3)2PtCl2의 첨가가 완료된 후, 반응은 40℃, 물중탕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플라스크에서 일어났고, 그런 다음 아직 따뜻할 때, 반응혼합물을 여과하고 온수 10ml X 3으로 세척되었다. 그런 다음 여액(filtrate)은 다른 반응플라스크로 옮겨지고, 35% H20220ml가 일괄로 첨가되었다. 혼합물은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되었고, 그런 다음 60℃까지 가열되었고 2시간 동안 이 온도가 유지되었다. 바륨 시클로말로네이트 12.0g(25.0mmol)이 반응생성물에 첨가되었고 8시간 동안 60℃에서 교반되고, 그런 다음 아직 따뜻할 때 여과되었고 10ml X 3 온수로 세척되었다. 그런 다음 여액은 다른 반응플라스크에 옮겨졌고 회전증발에 의해 건조되었다. 그런 다음 건조된 생성물에 에탄올 50ml가 첨가되고 침전물을 얻기 위해 2시간 동안 휘저은 후 여과되었다. 그 침전물은 10ml X 3 에탄올으로 세척되고, 그런 다음 증류수로부터 재결정되고, 진공되고 자연 건조되어 표제화합물이 수득되었다. 그 결과화합물은 220℃에서 분해되었다.
실시예 3
이중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제조
Ag2NO310.5g(61.8mmol) 및 순수한 물 100ml가 반응플라스크에 넣어지고, 그런 다음 Ag2NO3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되었다. 교반하면서, 일괄로 반응플라스크에 디클로로디아미노플라틴 9.3g(31.1mmol)이 첨가되었다. 디클로로디아미노플라틴의 첨가가 완료된 후, 반응은 40℃이하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플라스크에서 일어났고, 그런 다음 아직 따뜻할 때, 반응혼합물이 여과되고 온수 10ml X 3으로 세척되었다. 그런 다음 여액은 다른 반응플라스크로 옮겨지고, 35% H20230ml(349.0mmol)가 일괄로(15ml + 15ml X 3) 첨가되었다. 혼합물은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되었고, 그런 다음 60℃에서 가열되었고 2시간 동안 이 온도가 유지되었다. 시클로숙신산 12.0g(69.0mmol)이 반응생성물로 첨가되었고 8시간 동안 60℃에서 교반되고, 그런 다음 아직 따뜻할 때 여과되고 10ml X 3 온수로 세척되었다. 그런 다음 여액은 다른 반응플라스크에 옮겨지고 회전증발에 의해 건조되었다. 그런 다음 건조된 생성물로 에탄올 50ml가 첨가되고 침전물을 얻기 위해 2시간 동안휘저은 후 여과되었다. 그 침전물은 10ml X 3 에탄올으로 세척되고, 그런 다음 증류수로부터 재결정되고, 진공되고 자연 건조되어 표제화합물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4
이중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제조
표제화합물은 실시예 3에서 설명된 동일한 단계들에 의해 제조되는데, 디아이오도디아미노플라틴 15.0g이 실시예 3에서의 디클로로디아미노플라틴 9.3g 대신에 사용되었다.
실시예 5
이중 1,1-시클로펜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제조
Ag2NO310.5g(61.8mmol) 및 순수한 물 100ml가 반응플라스크에 넣어지고, 그런 다음 Ag2NO3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되었다. 교반하면서, 일괄로 반응플라스크에 디클로로디아미노플라틴 9.3g(31.1mmol)이 첨가되었다. 디클로로디아미노플라틴의 첨가가 완료된 후, 반응은 40℃이하에서 5시간 동안 교반되면서 반응플라스크에서 일어났고, 그런 다음 아직 따뜻할 때, 반응혼합물이 여과되고 온수 10ml X 3으로 세척되었다. 그런 다음 여액은 다른 반응플라스크로 옮겨지고, 35% H20230ml(349.0mmol)가 일괄로(15ml + 15ml X 3) 첨가되었다. 혼합물은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되었고, 그런 다음 60℃까지 가열되었고 2시간 동안 이 온도가 유지되었다. 시클로펜탄이산(cyclopentanedioic acid)의 바륨염 15.6g(53.0mmol)이 반응생성물에 첨가되었고 8시간 동안 60℃에서 교반되고, 그런 다음 아직 따뜻할 때 여과되고 10ml X 3 온수로 세척되었다. 그런 다음 여액은 반응플라스크에 옮겨지고 회전증발에 의해 건조되었다. 그런 다음 건조된 생성물로 에탄올 50ml가 첨가되고 침전물을 얻기 위해 2시간 동안 휘저은 후 여과되었다. 그 침전물은 10ml X 3 에탄올로 세척되고, 그런 다음 증류수로부터 재결정되고, 진공되고 자연 건조되어 표제화합물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6
이중 1,1-시클로헥사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제조
Ag2NO36.7g(39.4mmol) 및 순수한 물 100ml가 반응플라스크에 넣어지고, 그런 다음 Ag2NO3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되었다. 교반하면서, 일괄로 반응플라스크에 디클로로디아미노플라틴 6.2g(19.6mmol)이 첨가되었다. 디클로로디아미노플라틴의 첨가가 완료된 후, 반응은 40℃이하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플라스크에서 일어났고, 그런 다음 아직 따뜻할 때, 반응혼합물을 여과하고 온수 10ml X 3으로 세척되었다. 그런 다음 여액은 다른 반응플라스크로 옮겨지고, 35% H20220ml(232.6mmol)가 일괄로 첨가되었다. 혼합물은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되었고, 그런 다음 60℃까지 가열되었고 2시간 동안 이 온도가 유지되었다. 시클로헥산이산(cyclohexanedioic acid) 3.7g(21.5mmol)이 반응생성물로 첨가되었고, 그런 다음 히드라진수화물 1ml(10.3mmol)이 45℃에서 교반되면서 2시간 동안 천천히 적하되었다. 혼합물은 6시간 동안 반응되었다. 반응생성물은 5시간 동안의 회전증발 및 진공에 의해 건조되었다. 그런 다음 메탄올 50ml가 건조생성물로 첨가되었고 2시간 동안 교반되고, 여과되어 침전물을 얻었다. 그 침전물은 10ml X 3 메탄올로 세척되고 그런 다음 증류수로 재결정되고, 진공되고 자연 건조되어 표제화합물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7
이중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제조 및 정제
디클로로디아미노플라틴 12.4g이 순수한 물 800ml에 현탁되었고, 그런 다음 화학적으로 측정된 1N AgNO3수용액이 광이 차단된 상태에서 교반되면서 첨가되었다. 그 혼합물은 40℃에서 4시간 동안 반응되었다. 그런 다음, 반응생성물은 냉장고에 놓여지고 침전물(회수를 위해 사용된)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되었다. 화학정량적 양의 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이 여액에 첨가되고 6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되었다. 반응생성물은 미소결정이 나타날 때까지 감압회전증발되고 그런 다음 냉장고에 48시간 동안 놓아 둔 후 여과되었다. 결정은 원생성물로서 수집되었고 증류수로부터 재결정에 의해 정제되었다. 정제생성물의 수율비는 90%이었다. 녹는점 : 182 ∼ 184℃.
약학적 제제의 실시예 1: 주사제들
바이시클로플라틴 50g이 순수한 물 5000ml에 용해되었다. 그 혼합물은 약용탄 7.5g을 통한 흡수에 의해 여과되고, 그런 다음 2㎛-여과막을 통해 2회 재여과되었다. 여액은 5ml의 1000앰플들로 분배되고 그런 다음 앰플들은 발화(burning)를 통해 밀봉되었다.
약학적 제제의 실시예 2: 경구용약제들
바이시클로플라틴 24g, 약용녹말 1600g 및 비타민 C 120g이 교반기에서 혼합되고 분쇄되고, 그런 다음 멸균되었다. 분말은 5000 캡슐들로 분배되었다.
실시예 1, 3, 4 및 7에 따라 제조된 화학식 (II)의 전술한 바이시클로플라틴은 무색 침상결정이었다. 이 무색 침상결정은 미셀(micelle)이 첨가되어 흰색 미소결정 분말로 만들어졌다. 화학식 (II)의 바이시클로플라틴의 구조, 구성 및 순도는, 녹는점, 용해도 및 pH의 측정, C, H 및 N에 대한 미량원소분석, ICP-EAS에 의한 백금 함량분석법, 시차열분석, 열-무게법분석, 적외선 스펙트럼, UV 스펙트럼, 레이저라멘 스펙트럼(laser Lamen spectrum),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 1 H, 13 C, 195 Pt-NMR, X-레이 4원회절(X-ray four circle diffraction) 등과 같은 많은 현대의 물리 및 화학적 방법들에 의해 충분히 측정되었다. IR, 13 C-NMR, TLC 및 X-레이 단일결정구조분석의 데이터는,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이 바구니구조(cage structure)를 가진 신규한 화합물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적외선 스펙트럼, 1 H-NMR, MS 및 X-레이 4원회절의 결과는 도 1-3 및 다음의 표 1에 나타나 있다.
화학식 (I)의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의 신규한 유도체들은 암에 대한 놀라운 치료효능들을 가지고, 현재의 항종양 플라틴 유사체 약제들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바구니구조는 일정한 안정성을 갖는 화합물의 구조를 만들기 위해 백금원자가 고정된 화합물의 4개의 분자간의 H-결합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H2O의 공격은 약화되고 화합물은 물에서 상당한 안정성을 갖는다. 물에서의 안정성도 향상되고 독성은 상당히 감소된 반면 강력한 효능의 장점은 보유된다. 그것은 피하, 복부, 정맥내 및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우리는 중요한 특징들을 설명하기 위해 예로서 화학식 (II)에서의 바이시클로플라틴을 사용한다.
1. 높은 항종양 활성
비뇨생식기암, 세팔로서큘라캔서(cephalocircular cancer), 비인두암, 유방선암, 폐암, 간암, 췌장암, 위암, 장암 및 임파관암 등에 현저한 치료효능을 가진 광범위한 항종양 스펙트럼
3. 낮은 독성
임상시험에서 독성반응들은 0 등급 내지 1 등급(WHO에 의해 분류된 5-등급에 따름)의 범위내에 있고, 역반응(adverse reaction)은 발생하지 않는다.
4. 물에서의 양호한 용해도 및 안정성
시스플라틴 및 카르보플라틴은 물에서 용해된 후 1일 이내에 효능을 상실하는 반면에, 화학식 (II)의 바이시클로플라틴으로 제조된 수용성제제는 장기간 유효하게 저장될 수 있다.
5. 경구복용의 효능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의 유도체들은 주사 뿐만 아니라, 경구복용도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II)의 바이시클로플라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로 제조된 캡슐들은 장기 임상시험들에서 현저한 치료효능을 가지고 있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I);
    화학식 (I)
    에서 R1및 R2는 상호결합에 의해 형성된 포화 3,6-원소-탄소고리의 구조를 가지는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이중 1,1-시클로프로판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 또는 이중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프라틴 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는 다음 화학식 (II)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
    화학식 (II)
  5. 제1항에 따른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카르보플라틴 클래스의 물질 또는 카르보플라틴과 화학식 (III)의 디카르복실 리간드 유도체들을 반응시켜, 다음의 화학식 (I)의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 제조방법:
    화학식 (I)
    (여기서 R1및 R2는 상호결합에 의해 형성된 포화 3,6-원소-탄소고리의 구조를 나타냄).
  6. 항종양 약학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제1항에 따르는 화학식 (I)을 갖는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적어도 하나의 유도체 0.1-0.5wt%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들의 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들은 R1및 R2에 부착된 탄소원자들과 R1및 R2와의 상호결합에 의해 형성된 포화 3-6-원소 탄소고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는 이중 1,1-시클로프로판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 또는 이중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 약학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는 이중 1,1-시클로부탄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 약학조성물.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조성물은 주사제 또는 캡슐 형태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종양 약학조성물.
  11. 항종양 약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제1항에 따른 화학식 1의 이중 디카르복실산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
  12. 제1항에 따른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1) 디할로겐 디아미노플라틴을 물에서 AgNO3또는 Ag2SO4와 혼합하고, 그런 다음 (NH3)2Pt(H2O)2(NO3)2또는 (NH3)2Pt(H2O)2SO4를 생성시키기 위해 반응에 도입하는데, 여기서 상기 디할로겐 디아미노플라틴은 화학식 (NH3)2PtX2(X는 Cl 또는 I임)을 갖는 단계;
    (2) 생성된 (NH3)2Pt(H2O)2(NO3)2또는 (NH3)2Pt(H2O)2SO4를 디카르복실산 리간드 유도체들 또는 그것들의 나트륨염들 또는 바륨염들과 반응시켜, 화학식 (I)의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를 생성시키는데, 여기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리간드 유도체들은 다음 화학식 (III),
    화학식 (III)
    (여기서 R1및 R2는 상호결합에 의해 형성된 포화 3,6-원소-탄소고리의 구조를 나타냄)
    을 갖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유도체 제조방법.
KR10-2001-7015663A 2000-03-03 2000-09-26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항종양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및 그 유도체의 적용 Expired - Fee Related KR100442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00103393.X 2000-03-03
CN00103393 2000-03-03
CN00124864.2 2000-09-20
CN00124864A CN1121380C (zh) 2000-03-03 2000-09-20 一种抗肿瘤的双二羧酸二氨络铂衍生物及其药物组合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022A KR20020095022A (ko) 2002-12-20
KR100442096B1 true KR100442096B1 (ko) 2004-07-30

Family

ID=2573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6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442096B1 (ko) 2000-03-03 2000-09-26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항종양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및 그 유도체의 적용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699901B1 (ko)
EP (1) EP1186610B1 (ko)
JP (1) JP3697210B2 (ko)
KR (1) KR100442096B1 (ko)
CN (1) CN1121380C (ko)
AU (1) AU777685B2 (ko)
CA (1) CA2370692C (ko)
DE (1) DE60006810T2 (ko)
PT (1) PT1186610E (ko)
WO (1) WO2001064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73298B1 (en) * 2001-11-30 2009-05-13 Jingzun Wang Supermolecular carboplatinum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m as active ingredient and applications of the compositions
WO2006002119A2 (en) 2004-06-18 2006-01-05 Gpc Biotech, Inc. Kinase inhibitors for treating cancers
WO2010149666A1 (en) 2009-06-22 2010-12-29 Medexis S.A. Methods for treating neoplasia
US20120238488A1 (en) 2009-09-08 2012-09-20 Konstantinos Alevizopoulos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ing neoplasia
AU2011284606A1 (en) 2010-07-30 2013-03-14 Pharmacellion Ltd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ing neoplasia
CN104122280B (zh) * 2014-08-13 2017-03-22 北京默加农生物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以双环铂为有效成分的药物的检测方法
ES2765648T3 (es) * 2015-04-10 2020-06-10 Syn Nat Products Entpr Llc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de dicicloplatino
CN116602954A (zh) * 2015-04-22 2023-08-18 新纳特产品公司 共晶组合物及其药物用途
US10751318B2 (en) 2015-05-18 2020-08-25 Syn-Nat Products Enterprise LLC Pharmaceutical co-crystal and use thereof
KR20180018800A (ko) 2015-06-19 2018-02-21 신-낫 프로덕츠 엔터프라이즈 엘엘씨 카보플라틴 계 공-결정의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U2016279096B2 (en) * 2015-06-19 2021-01-07 Syn-Nat Products Enterprise LLC Composition containing carboplatin and use
WO2016210418A1 (en) 2015-06-25 2016-12-29 Syn-Nat Products Enterprise LLC Pharmaceutical co-cryst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CN106188150A (zh) * 2016-04-13 2016-12-07 范如霖 一类碳铂复合物抗癌药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9053808B (zh) * 2017-06-21 2020-12-29 宋勤华 一种高纯度双环铂针状晶体的工业化制备方法
EP3714881A4 (en) * 2017-11-21 2021-09-01 Medoncare Pharmaceutical Co., Ltd COMBINATION PRODUCT INCLUDING DICYCLOPLATIN, ITS PREPARATION PROCESS AND ITS USE
WO2019153220A1 (zh) * 2018-02-09 2019-08-15 北京索普兴大医药研究有限公司 双环铂药物检测方法
CN108521780B (zh) * 2018-02-22 2024-08-02 昆明贵研药业有限公司 一锅法制备双二羧酸二氨络铂(ii)衍生物的方法
WO2018171371A2 (zh) * 2018-02-22 2018-09-27 昆明贵研药业有限公司 一种双二羧酸二氨络铂(ii)衍生物的制备方法
WO2020056582A1 (zh) * 2018-09-18 2020-03-26 昆明贵研药业有限公司 一种双二羧酸二氨络铂(ii)衍生物的纯化方法
CN118384287A (zh) * 2019-08-27 2024-07-26 北京先汉国科生物科技有限公司 卡铂复合物及其药物制剂
CN115894567A (zh) * 2021-09-01 2023-04-04 范如霖 一种卡铂络合物二酸络卡及其水针剂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7927A (en) 1978-05-04 1987-04-14 Research Corporation Malonato platinum compounds
DK500185A (da) * 1984-11-02 1986-05-03 Johnson Matthey Plc Oploeseliggjort platinforbindelse
CS269719B1 (en) 1986-12-29 1990-05-14 Kiss Frantisek Platinum cytostatic
JPS63203692A (ja) 1987-02-19 1988-08-23 Nippon Kayaku Co Ltd 新規白金錯体
US5455270A (en) 1993-08-11 1995-10-03 Bristol-Myers Squibb Co. Stabilized solutions of platinum(II) antitumor agents
AU5878294A (en) 1994-02-07 1995-08-21 Kiss Laboratories S.R.O. Anti-tumour medical preparation on the basis of carboplatin and the method of its production
JPH0820594A (ja) 1994-07-06 1996-01-23 Tanaka Kikinzoku Kogyo Kk 抗腫瘍性シクロアルカンアミン誘導体白金(iv)錯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022A (ko) 2002-12-20
DE60006810T2 (de) 2005-01-05
EP1186610A4 (en) 2002-07-10
EP1186610B1 (en) 2003-11-26
AU7503800A (en) 2001-09-12
US6699901B1 (en) 2004-03-02
PT1186610E (pt) 2004-04-30
CA2370692A1 (en) 2001-09-07
CA2370692C (en) 2005-09-20
CN1121380C (zh) 2003-09-17
WO2001064696A1 (fr) 2001-09-07
DE60006810D1 (de) 2004-01-08
JP2003529566A (ja) 2003-10-07
JP3697210B2 (ja) 2005-09-21
CN1311183A (zh) 2001-09-05
EP1186610A1 (en) 2002-03-13
AU777685B2 (en)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096B1 (ko) 이중 디카르복실산 디아미노플라틴 착체의 항종양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그것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및 그 유도체의 적용
PT727430E (pt) Complexos de platina
KR100864596B1 (ko) 항종양제로서의 백금 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US5036103A (en) Method of treating cancer cells in humans
KR900003513B1 (ko) 유기 백금 착물 및 이를 사용한 종양 치료방법
US20240100066A1 (en) ORAL Pt (IV) ANTICANCER PRODRUG CONTAINING 3-BROMOPYRUVATE AS AXIAL LIGAND
WO2001076569A2 (en) An improved pt(iv) antitumor agent
CN110938032A (zh) 有机硒化合物及其用途
CN110938033A (zh) 硒氰化合物及其用途
US20050209321A1 (en) Platinum carboxylate anticancer compounds
US4416878A (en) [8-(Dialkylamino alkoxy)-caffeine]-platinum complex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SE436208B (sv) Sett att framstella 5-fluoro-uracilderivat
US8703756B2 (en) Synthetic procedure and cancer treatment with cisplatin derivatives
TWI236478B (en) Antitumor derivative of bis-dicarboxylic acid diaminoplatin complex,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N112794852B (zh) 一种含硒有机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900004404B1 (ko) 유기백금착물 및 이를 사용한 종양 치료방법
US4758589A (en) Tetraphosphine-coordinated gold(I) complexes
US4675427A (en) Tetraphosphine-coordinated gold(I) complexes
JPH04295423A (ja) 制がん剤および制がん増強剤
JPH0426621A (ja) 制がん増強剤
CN114748476A (zh) 一种含哌啶的香豆素衍生物在制备抗肿瘤药物中的应用
JPH01157993A (ja) 新規白金(2)錯体および悪性腫瘍治療剤
JPH04178396A (ja) 白金錯体および抗腫瘍剤
JPH04224596A (ja) 白金錯体および抗腫瘍剤
JPH01163190A (ja) 新規白金(2)錯体および悪性腫瘍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5-X000 Change to inventor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5-oth-X000

R16-X000 Change to inventor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6-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7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