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40340B1 -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 - Google Patents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340B1
KR100440340B1 KR10-2002-0048176A KR20020048176A KR100440340B1 KR 100440340 B1 KR100440340 B1 KR 100440340B1 KR 20020048176 A KR20020048176 A KR 20020048176A KR 100440340 B1 KR100440340 B1 KR 100440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journal
shoe
wrapping
lapp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5992A (ko
Inventor
이정옥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3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5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5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34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2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rotationally symmetric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에 관한 것으로, 바디(11) 상부의 원통형 장착좌면(13)에 가압부재(14)들이 장착되되, 중앙에는 연삭스톤이나 세라믹과 같은 비압축성 재질의 가압부재(14a)가 장착되고, 양측부에는 러버나 우레탄과 같은 압축성 재질의 가압부재(14b)들이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비압축성 재질의 가압부재(14a)에 의해 정도관리가 유리하고, 파손이 적으며, 비용이 저가인 장점을 갖게 되고, 상기 압축성 재질의 가압부재(14b)에 의해 저어널의 진원도을 수정할 수 있게 되는 능력을 갖게 된다.

Description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crank shaft journal lapping shoe}
본 발명은 엔진 크랭크샤프트의 저어널을 마무리 가공하는 래핑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정성과 면조도 가공성이 우수하면서도 진원도의 수정능력이 있는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크랭크샤프트는 피스톤에 가해지는 연료의 폭발력을 커넥팅로드를 통해 받아들여 회전된다.
따라서, 크랭크샤프트에는 상기 커넥팅로드들이 연결되는 부위와 실린더블럭의 메인베어링에 지지되는 부분에 저어널이 형성되며, 이 저어널은 메탈베어링에 접촉되어 고속 회전되므로 매우 정밀한 진원도 및 면조도를 갖도록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저어널을 목표 정도로 정밀 가공하기 위해서, 먼저 연삭 가공된 저어널에 래핑(lapping)이라 불리우는 초정밀 다듬질 가공(super finishing)을 실시하여 진원도 5μ, 면조도 0.6Rz 이하의 정도를 갖도록 하고 있다.
도 1에는 상기 래핑을 실시하기 위한 래핑머신(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핑머신(100)은 바디(110)에 한 쌍의 래핑아암(120,121)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래핑아암(120,121)에는 상호 마주보도록 래핑슈(1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는 연삭용 페이퍼(P)가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140)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은, 상기 래핑아암(120,121) 중 하부 래핑아암(121)을 회동시켜 두 래핑슈(130)의 사이에 크랭크샤프트(C)의 저어널을 위치시킨뒤, 다시 하부 래핑아암(121)을 원위치시키되, 이때 상기 권취롤(140)로부터 풀려진 페이퍼(P)가 상기 저어널을 감싸는 상태로 준비된다.
이 상태에서 크랭크샤프트(C)를 고속회전시키고, 래핑아암(120,121)을 오므려 래핑슈우(130)로 하여금 페이퍼(P)에 압력을 가하도록 하면, 저어널이 연마되는 것이다.
작업중 상기 페이퍼(P)는 저속으로 계속 이동되며, 사용된 부분은 바디(110)의 한쪽에 마련된 버킷(150)으로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래핑슈(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31)의 상부에 중간부는 원통면이고 그 양단부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진 장착좌면(133)이 형성되고, 이 장착좌면(133)에 동일한 형상의 가압부재(134)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양측에 형성된 132는 래핑슈를 래핑아암에 고정하기 위한 보울트공이다.)
그런데, 상기 가압부재(134)는 압축성 재질인 러버(rubber)나 우레탄(uretane)으로 되어 있어서, 정도관리가 쉽고 파손이 적으며 가격이 저가라는 장점이 있으나, 피가공물(저어널)의 형상에 영향을 받는 상태에서 표면을 연마하게 됨으로써 진원도 수정능력이 미비하므로 고출력, 고성능화 되는 엔진의 크랭크샤프트의 저어널을 정밀 가공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이러한 래핑슈를 소프트슈(soft shoe)라 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드슈(hard shoe) 타입의 래핑슈(130')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 래핑슈(130')는 바디(131')의 상부에 형성된 원통면 장착좌면(133')에 3조각으로 분할된 가압부재(134')가 장착(개별홈에 압입되어 있음)되어 있으며, 이 가압부재(134')의 재질은 연삭 스톤(stone)이나 세라믹(seramic)으로 되어 있다.(미설명 부호 132'는 래핑아암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돌기이다.)
이 하드 타입의 래핑슈(130')는 가압부재(134')의 재질이 비압축성이므로 저어널의 돌출부를 갈아내는 연마작용을 하게 되며, 따라서 저어널의 진원도를 수정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대신, 저어널과의 밀착성이 부족하여 면조도 가공성이 떨어지며, 절삭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되고, 경한 성질 때문에 파손이 자주 일어나며, 저어널의 오일홀부에 버어(burr)가 발생되고, 이에 의해 저어널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ed)홈이 발생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슈의 정도관리가 비교적 용이하고 파손도 적게 발생되며, 오일홀부에 버어가 발생되지 않고, 또한 진원도 수정능력과 충분한 면조도 가공능력을 동시에 갖춘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머신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래핑슈중 소프트슈의 정면도,
도 3은 종래 래핑슈중 하드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래핑슈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래핑슈, 11 : 바디,
12 : 장착돌기, 13 : 장착좌면,
14 : 가압부재, 14a : 비압축성 가압부재,
14b : 압축성 가압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디에 형성된 원통형 장착좌면에 3개의 분할된 가압부재가 장착되되, 중앙에는 비압축성 재질의 가압부재가 장착되고, 양측부에는 압축성재질의 가압부재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10)로서, 바디(11)의 상부에 양측부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진 원통면 형상의 장착좌면(13)이 형성되고, 이 장착좌면(13)에 3개로 분할된 가압부재(14)들이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 가압부재(14)들 중 중앙에 장착되는 가압부재(14a)는 비압축성 재질인 연삭 스톤이나 세라믹으로 이루어져 있고, 양측부에 장착되는 가압부재(14b)들은 압축성 재질인 러버나 우레탄으로 이루어져 있다.(바디(11)의 양측부에 형성된 돌기(12)는 래핑아암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돌기이다.)
즉, 상기 래핑슈(10)는 종래 소프트 타입의 래핑슈와 하드 타입의 래핑슈가 절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 두 종류의 래핑슈가 가지는 장점을 모두 보유하게 된다.
즉, 가압부재(14)의 전체 면적의 2/3 이상을 압축성 재질인 양측 가압부재(14b)가 차지하게 되므로, 하드 타입의 래핑슈에 비하여 정도관리가 용이하고, 파손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 저가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앙에 위치된 비압축성 재질의 가압부재(14a)에 의하여 크랭크샤프트(C)의 저어널 표면형상에 영향받지 않고, 이를 갈아내는 연마작용이 가능하게 되어 저어널의 진원도를 수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압축성 가압부재(14a)의 모서리부가 종래 하드 타입 래핑슈에 비하여 6개소에서 2개소로 줄어듦으로써 저어널의 오일홀 모서리에 버어(burr)를 발생시킬 확률이 줄어들며, 이에 따라 버어에 의한 스크래치현상도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기 중앙의 비압축성 가압부재(14a)에 비하여 양측부의 압축성 가압부재(14b)들의 표면은 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형성되는데, 이에 의하여 저어널을 가압할 때 상기 비압축성 가압부재(14b)가 먼저 저어널에 접촉되고, 이후 이들의 압축이 진행된 뒤 상기 비압축성 가압부재(14a)가 저어널에 접촉하게 되므로 경한 재질인 비압축성 가압부재(14a)에 전해지는 충격이 감소하여 이의 파손현상이 감소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부의 비압축성 가압부재에 의하여 크랭크샤프트의 진원도를 수정할 수 있게 되고, 양측부의 압축성 가압부재에 의하여 페이퍼와 저어널면과의 충분한 밀착이 이루어짐으로써 충분한 면조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슈의 파손이 감소되고, 오일홀부의 버어와 이에 의한 저어널면의 스크래치홈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작에 있어 비용 부담도 과도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바디(11)의 상부에 양측부는 수평면으로 이루어진 원통면 형상의 장착좌면(13)이 형성되고, 이 장착좌면(13)에 3개로 분할된 가압부재(14)들이 장착되며, 이중 중앙의 가압부재(14a)는 비압축성 재질로 제작되고, 양측부의 가압부재(14b)들은 압축성 재질로 제작된 구조로 이루어진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의 가압부재(14a)는 연삭 스톤이나 세라믹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가압부재(14b)들은 러버나 우레탄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의 가압부재(14a)에 비하여 양측부의 가압부재(14b)들의 표면높이가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
KR10-2002-0048176A 2002-08-14 2002-08-14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 Expired - Fee Related KR100440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176A KR100440340B1 (ko) 2002-08-14 2002-08-14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176A KR100440340B1 (ko) 2002-08-14 2002-08-14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992A KR20040015992A (ko) 2004-02-21
KR100440340B1 true KR100440340B1 (ko) 2004-07-15

Family

ID=37322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1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440340B1 (ko) 2002-08-14 2002-08-14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3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2444A (en) * 1984-05-07 1987-07-28 Industrial Metal Products Corporation Microfinishing apparatus and method
US4993191A (en) * 1989-04-28 1991-02-19 Industrial Metal Products Corporation Roller cam microfinishing tooling
JP2000108005A (ja) * 1998-10-05 2000-04-18 Nachi Fujikoshi Corp フイルムラップ装置のシュー組立体
US6080051A (en) * 1997-10-29 2000-06-27 Supfina Grieshaber Gmbh & Co. Apparatus for machining cylindrical workpie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2444A (en) * 1984-05-07 1987-07-28 Industrial Metal Products Corporation Microfinishing apparatus and method
US4993191A (en) * 1989-04-28 1991-02-19 Industrial Metal Products Corporation Roller cam microfinishing tooling
US6080051A (en) * 1997-10-29 2000-06-27 Supfina Grieshaber Gmbh & Co. Apparatus for machining cylindrical workpieces
JP2000108005A (ja) * 1998-10-05 2000-04-18 Nachi Fujikoshi Corp フイルムラップ装置のシュー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5992A (ko) 200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19301B2 (en) Improved microfinishing apparatus and method
US7063465B1 (en) Thrust bearing
JPH09103958A (ja) 微細仕上げ方法および装置
JPS60238267A (ja) 加工物表面の精密仕上げ機械
US6454638B2 (en) Machine for grinding cylindrical bearing surfaces on parts using an abrasive belt
JP2006500230A (ja) 自動車用のクランク軸を仕上げ加工する方法
KR100440340B1 (ko) 크랭크샤프트 저어널 래핑슈
JP4894753B2 (ja) 超仕上砥石及びそれを用いた超仕上加工方法
JPH0752005A (ja) 円筒形軸面研磨機の研磨布押圧装置
CN218837356U (zh) 一种打磨角度浮动装置
CN209551442U (zh) 一种瓦式键槽孔珩磨头
CN2877959Y (zh) 抛光磨头浮动磨块座
KR20130143245A (ko) 크랭크 샤프트 베어링 저널부 가공 방법 및 크랭크 샤프트
CN210476536U (zh) 一种一体式抛光瓦
JPH07317899A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ピン及びその加工方法
JPH08252770A (ja) 超仕上用砥石および超仕上研削方法
CN205363591U (zh) 超精机磨损监测和补偿系统
CN104879181A (zh) 一种凸轮轴及其加工方法
CN212824683U (zh) 一种超精机的主轴组件
JPH08126954A (ja) 超仕上加工方法ならびにこれに用いる砥石ホルダユニットおよび超仕上砥石
JP3858375B2 (ja) シリンダライナ
JP2005271037A (ja) 微細凹部加工方法及び微細凹部加工装置
JP2008142853A (ja) 超仕上方法及び超仕上盤
KR20130122838A (ko) 가이드 홀더
KR200253740Y1 (ko) 그라인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