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377B1 - 이동 통신 환경에서의 사람 영역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환경에서의 사람 영역 추출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39377B1 KR100439377B1 KR10-2002-0002842A KR20020002842A KR100439377B1 KR 100439377 B1 KR100439377 B1 KR 100439377B1 KR 20020002842 A KR20020002842 A KR 20020002842A KR 100439377 B1 KR100439377 B1 KR 1004393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color
- area
- face
- he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10000000746 body regio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37308 hair colo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8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339 di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139 quan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384 Alopec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87 fa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6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9)
- 입력된 영상을 설정된 크기로 축소하는 단계, 상기 축소된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얼굴 영역을 기반으로 머리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얼굴 영역을 기반으로 몸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 머리 영역, 몸 영역을 합하여 사람 영역으로 지정하는 단계,상기 사람 영역이 추출된 영상을 상기 축소 전 크기로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영역 추출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입력된 영상을 설정된 크기로 축소함에 있어, 영상의 크기를 44*36 픽셀 크기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영역 추출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영역 추출은, 영상에서 살색 범위에 해당하는 픽셀을 구하는 단계, 상기 살색 픽셀들의 칼라 공간상에서의 분포를 분석하여 살색 칼라를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각 살색 칼라 그룹별로 구성된 영상이 얼굴 영역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얼굴 영역을 사전 정의된 얼굴 모델로 표현하는 단계; 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영역 추출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모폴로지 처리와 홀(hall) 지움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영역 추출방법.
-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얼굴 영역을 기반으로 머리 참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머리 참조 영역에서 머리 참조 색을 구하는 단계, 상기 구해진 머리 참조 색과 유사한 색을 갖는 영역을 구하는 단계, 상기 구해진 머리 참조 색과 유사한 색을 갖는 영역 중에서 에지가 발생한 영역을 제외시키는 단계, 상기 에지 발생 영역이 제외된 나머지 영역들 중에서 얼굴과 인접한 영역을 머리 영역으로 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영역 추출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참조 영역에 포함된 픽셀들 중에서 사전에 정의된 머리 색 범위에 해당하는 픽셀들 만을 대상으로 칼라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머리 참조 색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영역 추출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참조 영역은, 상기 추출된 얼굴 영역을 기준으로 얼굴 영역의 상단 좌우 일부 영역이나, 얼굴 영역 좌우 끝에서부터 상단 일부 영역으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영역 추출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는, 남은 픽셀을 대상으로 연결요소(connected component)를 구한 후 얼굴과 인접한 요소만을 머리 영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영역 추출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과 인접한 요소만을 머리 영역으로 지정하기 전에, 잡음으로 인해 머리 이외의 영역이 머리와 연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폴로지 처리를 우선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영역 추출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얼굴 영역을 기준으로 머리 틀을 지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모든 처리는 머리 틀에 포함된 픽셀에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영역 추출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영역의 추출은, 얼굴을 포함하는 MBR을 구하는 단계와, MBR에 맞는 크기와 비율을 갖는 얼굴 모델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영역 추출방법.
-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얼굴 영역을 기반으로 몸 틀을 지정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얼굴 영역을 기반으로 몸 참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몸 참조 영역에서 몸 참조 색을 구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몸 틀 내부를 대상으로, 상기 몸 참조 색과 유사한 색을 갖는 영역을 구하는 단계, 상기 몸 틀 내부 중에서 살색을 갖는 영역을 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 영역 추출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몸 틀은 얼굴 영역이 주어졌을 때 일반적인 경우보다 크게 몸의 영역을 정의한 몸에 대한 모양 모델이고, 얼굴 영역이 추출되면 그 크기와 위치에 비례하여 상기 몸 틀을 확장 또는 축소한 후 적절한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 영역 추출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몸 참조 영역의 설정은, 가로 축 좌표를 기준으로 얼굴 영역의 좌우 끝 좌표에서 각각 바깥쪽으로 얼굴 영역 크기에 비례하는 만큼의 일정 영역과, 세로 축 좌표를 기준으로 얼굴 영역 하단 좌표보다 일정 부분 아래 좌표에서부터 화면 맨 아래까지의 일정 영역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 영역 추출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몸 참조 영역 내에 칼라 분포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상기 몸 틀을 이용하여 강제로 몸 영역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 영역 추출방법.
- 영상에서 살색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들 만을 대상으로 칼라 히스토그램(hist)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칼라 히스토그램 구성시 일부 부분 영역을 대상으로만 살색 칼라 영역에 해당하는 픽섹들을 대상으로 중앙 칼라 히스토그램(center_hist)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칼라 히스토그램(hist, center_hist)을 사용하여 살색 칼라 그룹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살색 그룹별로 영상의 영역을 분리하여 얼굴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영역 추출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영역은 영상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원래의 영상 크기 보다 작은 사각형으로 정의하고, 원래의 영상의 가로/세로 길이를 각각 width, height라고 했을 때, 부분 영역을 위해 정의된 사각형의 가로/세로 길이는 각각 width * a, height * b (a < b < 1)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영역 추출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영역은 이전 프레임에서의 얼굴 영역으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영역 추출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살색 칼라 그룹화는, 칼라 히스토그램의 빈(bin) 값 들 중에서 최대 값을 갖는 빈 binmax을 정하는 단계, 상기 binmax의 대표 칼라 값과 다른 각 빈의 대표 칼라 값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유사도가 일정 임계치 이하인 빈들과 binmax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 단계와, 상기 그룹에 포함된 모든 빈 값의 합이 일정 임계치 이상이면 해당 빈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최종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칼라 그룹을 구성한 이후, 해당 칼라 그룹에 포함된 빈들을 제외한 나머지 빈들을 대상으로 상기 그룹화를 반복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영역 추출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살색 칼라 그룹화는, 첫번째 칼라 그룹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중앙 칼라 히스토그램(center_hist)의 빈 값들 중에서 최대값을 갖는 빈 binmax를 정하고, 두번째 이후 칼라 그룹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칼라 히스토그램(hist)의 빈 값들 중에서 최대값을 갖는 빈 binmax를 정한 후, 이후에는 칼라 히스토그램(hist)에서 binmax의 대표 칼라값과 다른 각 빈의 대표 칼라값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유사도가 일정 임계치 이하인 빈들과 binmax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 하는 단계와, 그룹에 포함된 모든 빈값의 합이 일정 임계치 이상이면 해당 빈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최종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칼라 그룹을 구성한 이후, 해당 칼라 그룹에 포함된 빈들을 제외한 나머지 빈들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두번째 이후 칼라 그룹을 구성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영역 추출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된 살색 그룹 중에서 첫번째 살색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들로 이루어진 영역에 얼굴 영역이 포함되는지를 확인하여 얼굴 영역이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음 살색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들로 이루어진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얼굴 영역 추출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영역 추출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살색 그룹별로 영상의 영역을 분리하는 단계는, 각 살색 그룹이 명시된 영상을 N*M 크기의 블록(그리드)으로 블록화하는 단계와, 각 블록 내에 속한 해당 살색 그룹에 해당하는 픽셀의 빈도가 일정 임계치 이상인 블록을 살색 블록으로 세팅하는 단계와, 이웃한 살색 블록을 연결하는 연결 요소(connected component)를 구하여 이 중에서 가장 큰 연결 요소를 얼굴 영역으로 지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영역 추출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영역 추출과정 이전에 원 영상을 축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축소된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영역 추출을 수행한 이후에 원 영상 크기로 복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영역 추출방법.
- 영상을 44*36으로 축소하는 단계, 상기 축소된 영상에서 살색 범위에 해당하는 픽셀의 색 공간상에서의 분포를 분석하여 살색 칼라 그룹화를 통한 얼굴 영역 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얼굴 영역을 기반으로 머리 참조 영역을 지정하고 그 머리 참조 영역 안에서 머리 참조 색을 확인하여 머리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얼굴 영역을 기반으로 몸 참조 영역을 지정하고 그 몸 참조 영역 안에서 몸 참조 색을 확인하여 몸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얼굴영역, 머리 영역, 몸 영역을 합하여 사람 영역을 지정한 후 이를 원 영상 크기로 복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영역 추출방법.
- 제 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살색 범위는 RGB 색공간에서 다음의 조건;if(r>b&&r>g){if(b>g)if(r+g>100&&r+g<480&&g-g>5&&r-g<100)살색;else살색 아님;elseif(r+b>100&&r+b<480&&r-b>5&r-b<100)살색;else살색 아님;}else살색 아님;; 에 따라 살색 범위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영역 추출방법.
- 제 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살색 범위는 HMMD 색공간에서 다음의 조건;if(((h>300&&h<360)∥(h<60&&h>0))&&s>100&&s<480&&d>5&&d<100)살색;else살색 아님;; 에 따라 살색 범위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영역 추출방법.
- 제 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살색 영역 추출을 위한 색공간은 HMMD 색공간이며, Hue, Diff, Sum 축에서의 살색 범위 구간을 각각 M/N/K(M>N>K)로 등분하여 양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영역 추출방법.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참조 영역에서 머리 참조 색으로 정의되는 머리 색의 범위는 HMMD 색공간에서 Diff가 30 보다 작고 Sum이 150 보다 작거나, Diff가 15보다 작고 Sum이 230보다 작은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영역 추출방법.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몸 참조 영역에서 몸 참조 색과 유사한 색을 갖는 영역을 HMMD 색공간에서의 유사도 계산을 통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 영역 추출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02842A KR100439377B1 (ko) | 2002-01-17 | 2002-01-17 | 이동 통신 환경에서의 사람 영역 추출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02842A KR100439377B1 (ko) | 2002-01-17 | 2002-01-17 | 이동 통신 환경에서의 사람 영역 추출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62586A KR20030062586A (ko) | 2003-07-28 |
KR100439377B1 true KR100439377B1 (ko) | 2004-07-09 |
Family
ID=3221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028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439377B1 (ko) | 2002-01-17 | 2002-01-17 | 이동 통신 환경에서의 사람 영역 추출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3937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52142A (ko) * | 2002-12-13 | 2004-06-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5295B1 (ko) * | 2002-03-27 | 2004-1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 신호 검출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물체 추적방법 및 장치 |
KR100438283B1 (ko) * | 2002-08-09 | 2004-07-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얼굴 영역추출 방법 |
KR100696725B1 (ko) * | 2005-08-30 | 2007-03-20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객체의 대칭성과 거리 벡터를 사용한 그림자 제거방법 |
KR100691971B1 (ko) * | 2006-01-20 | 2007-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미지 데이터 확대 표시방법 |
KR100935482B1 (ko) * | 2008-03-27 | 2010-01-06 | 주식회사 제스틴 | 합성이미지 제공시스템 및 방법 |
KR100965129B1 (ko) * | 2008-08-11 | 2010-06-23 | (주)제이티 | 보행자 검지 및 보행밀도 계산방법 |
KR101471204B1 (ko) * | 2008-12-19 | 2014-12-10 | 주식회사 케이티 | 이미지에서의 의류 검출 장치와 그 방법 |
KR101107308B1 (ko) * | 2009-10-29 | 2012-01-20 | 한국인식산업(주) | 영상 검색 및 인식 방법 |
KR102151748B1 (ko) * | 2013-10-25 | 2020-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비디오 영상에서 사람과 배경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3341A (ko) * | 1992-07-10 | 1994-02-21 | 오오가 노리오 |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
JPH0863597A (ja) * | 1994-08-22 | 1996-03-08 | Konica Corp | 顔抽出方法 |
JPH0944670A (ja) * | 1995-07-28 | 1997-02-14 | Sharp Corp | 特定画像領域抽出方法及び特定画像領域抽出装置 |
JPH11316845A (ja) * | 1998-03-02 | 1999-11-16 | Fuji Photo Film Co Ltd | 主要被写体抽出方法および装置 |
JP2000134638A (ja) * | 1998-10-22 | 2000-05-1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画像処理装置 |
JP2000339471A (ja) * | 1999-05-31 | 2000-12-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画像抽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
US6297846B1 (en) * | 1996-05-30 | 2001-10-02 | Fujitsu Limited | Display control system for videoconference terminals |
-
2002
- 2002-01-17 KR KR10-2002-0002842A patent/KR10043937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3341A (ko) * | 1992-07-10 | 1994-02-21 | 오오가 노리오 |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 |
JPH0863597A (ja) * | 1994-08-22 | 1996-03-08 | Konica Corp | 顔抽出方法 |
JPH0944670A (ja) * | 1995-07-28 | 1997-02-14 | Sharp Corp | 特定画像領域抽出方法及び特定画像領域抽出装置 |
US6297846B1 (en) * | 1996-05-30 | 2001-10-02 | Fujitsu Limited | Display control system for videoconference terminals |
JPH11316845A (ja) * | 1998-03-02 | 1999-11-16 | Fuji Photo Film Co Ltd | 主要被写体抽出方法および装置 |
JP2000134638A (ja) * | 1998-10-22 | 2000-05-1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画像処理装置 |
JP2000339471A (ja) * | 1999-05-31 | 2000-12-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画像抽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52142A (ko) * | 2002-12-13 | 2004-06-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62586A (ko) | 2003-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393106C (zh) | 检测和/或追踪图像或图像序列中颜色区域的方法和装置 | |
Chai et al. | Face segmentation using skin-color map in videophone applications | |
CN110163810B (zh) |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以及终端 | |
US7957597B2 (en) |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in digital images | |
EP1800259B1 (en) | Image segmentation method and system | |
EP0756426B1 (en) | Specified image-area extracting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video information | |
KR101554403B1 (ko)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억 매체 | |
WO1999023600A1 (en) | Video signal face region detection | |
JP2007097178A (ja) | 顔検出による赤目の除去方法 | |
JPH0862741A (ja) | 階調補正装置 | |
KR100439377B1 (ko) | 이동 통신 환경에서의 사람 영역 추출방법 | |
CN110458012B (zh) | 多角度人脸识别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终端 | |
CN111583357A (zh) | 一种基于matlab系统的物体运动图像捕捉合成方法 | |
JP3387071B2 (ja) | 画像識別装置および方法 | |
CN104298961B (zh) | 基于口型识别的视频编排方法 | |
KR100438303B1 (ko) | 객체 추출방법 | |
CN112488933A (zh) | 一种视频的细节增强方法、装置、移动终端和存储介质 | |
CN106327500B (zh) | 深度信息获取方法及装置 | |
Nachlieli et al. | Skin-sensitive automatic color correction | |
CN113781330A (zh) | 图像处理方法、装置及电子系统 | |
Hara et al. | Preferred color reproduction based on personal histogram transformation | |
CN114565506B (zh) | 图像颜色迁移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Dumitras et al. | An automatic method for unequal and omni-directional anisotropic diffusion filtering of video sequences | |
CN120034747A (zh) | 用于数码相机的图像传输方法及系统 | |
CODING | Centre for Communication Systems Research University of Surrey, Guildford, GU2 7XH, UK E-mail: y. sheng@ surrey. ac. u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2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4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