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8823B1 - 통신 효율을 높이는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에 따라 통신을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효율을 높이는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에 따라 통신을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823B1
KR100438823B1 KR10-2001-0049034A KR20010049034A KR100438823B1 KR 100438823 B1 KR100438823 B1 KR 100438823B1 KR 20010049034 A KR20010049034 A KR 20010049034A KR 100438823 B1 KR100438823 B1 KR 100438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section
network access
data
sub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998A (ko
Inventor
장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823B1/ko
Priority to JP2002232879A priority patent/JP2003087163A/ja
Priority to US10/218,031 priority patent/US20030048765A1/en
Priority to EP02255671A priority patent/EP1284554A3/en
Priority to CN02131529A priority patent/CN1402462A/zh
Publication of KR20030014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823B1/ko
Priority to US11/099,445 priority patent/US20050192018A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42Formats specially adapted for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8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cknowledgement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23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e.g. multi-use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효율을 높이는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효율을 높이는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는 망접속 집중국과 다수의 스테이션간의 무선 데이터 통신의 위해 방송구간, 하향링크구간, 상향링크구간 및 경쟁구간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송 프레임은 상향링크구간과 경쟁구간사이에 스테이션이 망접속 집중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수신확인신호를 망접속 집중국으로 전송하는 수신확인통보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망접속 집중국은 수신확인통보구간을 통해 동일프레임내에서 데이터 전송 및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에서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테이션에 다수의 부반송 채널들을 할당함으로써 부반송 채널이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유실됨으로 인한 데이터 재전송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효율을 높이는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performing communication by a wireless transmission frame structure for elevating communicating efficiency}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방식의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효율을 높이는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 및 그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데이터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종래의 전송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송 프레임은 방송구간(Broadcast Period), 하향링크구간(Downlink Period), 상향링크구간(Uplink Period) 및 경쟁구간(Contention Period)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여, 망접속 집중국은 접속된 각 스테이션들에게 상향링크 자원을 분배 및 할당해 주고, 각 스테이션들은 할당받은 상향링크자원을 통해 망접속 집중국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또한, 망접속 집중국은 하향링크구간을 통해 각 스테이션들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채널의 특성상 전송의 신뢰성이 유선 채널에 비해 상당히 열악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유선망과는 달리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전송 매카니즘이 강조된다. 이러한 재전송 매카니즘은 수신확인통보 메시지(이하, 수신확인신호(ACK)라 약함) 또는 ACK 타임아웃(timeout)을 기반으로 한다.
도 2는 종래에 각 스테이션에서 망접속 집중국으로 전송되는 수신확인 신호의 발생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망접속 집중국은 특정 스테이션으로 데이터를 보낼 경우 하향링크구간을 사용하게 된다. 하향링크구간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해당 스테이션이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해당 스테이션은 이를 통보하는 수신확인신호(ACK)를 망접속 집중국으로 전송한다. 이 때, 방송구간을 통해 이미 할당받은 상향링크자원이 있는 경우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확인신호(ACK)를 데이터와 함께 전송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데이터 스트림이 비대칭이므로 수신확인신호(ACK)를 보내야할 시점에 상향링크자원을 할당받지 못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도 3은 상향링크자원을 할당받지 못한 경우의 수신확인 신호 전송절차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테이션이 상향링크자원을 할당받지 못했을 경우, 프레임 N의 경쟁구간을 통해, 수신확인신호(ACK)를 전송하기 위해 프레임 N+1의 상향링크자원할당을 망접속 집중국으로 요청하게 된다(Bandwidth Request). 망접속 집중국으로부터 프레임 N+1의 방송구간을 통해 상향링크자원을 할당받으면(Bandwidth Allocate) 프레임 N+1의 업링크구간에서 수신확인신호(ACK)를 망접속 집중국으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자원할당요청(Bandwidth Request) 또는 수신확인신호(ACK)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손실되거나 또는 망접속 집중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손실되어 스테이션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망접속 집중국은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도 4는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가 손실된 경우 데이터 재전송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 N에서 망접속 집중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손실된 경우, 스테이션은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였으므로 수신확인 신호(ACK)를 전송하지 못하게 된다. 망접속 집중국은 스테이션으로부터 제한시간(ACK 타임아웃)동안 수신확인 신호(ACK)를 전송받지 못하면 스테이션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했다고 판단하고 프레임 N+m에서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이 때, ACK 타임아웃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즉각적인 재전송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서는 재전송 매카니즘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이해 ACK 타임아웃을 비교적 짧게 설정하는 방안도 논의된 바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FEC(Forward Error Correction) 방식과 ARQ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ARQ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계층 2(datalink control layer)에서의 FEC를 채용하는 것은 상당한 오버헤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망접속 집중국이 스테이션에서의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에 따라 무선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망접속집중국이 전송한 데이터가 스테이션에서 정상적으로 수신되었는가의 여부를 동일 프레임 내에서 확인 가능함으로써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무선 데이터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종래의 전송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다.
도 2는 종래에 각 스테이션에서 망접속 집중국으로 전송되는 수신확인 신호의 발생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향링크자원을 할당받지 못한 경우의 수신확인 신호 전송절차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가 손실된 경우 데이터 재전송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무선 전송 프레임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수행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각 스테이션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망접속 집중국과 다수의 스테이션간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방송구간, 하향링크구간, 상향링크구간, 수신확인통보구간 및 경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에 따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수신확인통보구간은 스테이션이 망접속 집중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수신확인신호를 망접속 집중국으로 전송하는 구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방송구간, 하향링크구간, 상향링크구간, 수신확인통보구간 및 경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전송 프레임에 따라 무선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망접속이 요청되면 부반송 채널을 할당하고, 하향링크구간에서 무선 데이터를 전송하는 망접속 집중국 및 망접속 집중국과 접속시 망접속 집중국으로부터 상기 부반송 채널을 각각 할당받고, 하향링크구간동안 망접속 집중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할당받은 부반송 채널을 활성화시켜 수신확인통보구간 동안 망접속 집중국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스테이션들을 포함하고, 망접속 집중국은 수신확인통보구간에서 다수의 스테이션 각각에 할당된 부반송 채널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다음 프레임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이전 프레임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방송구간, 하향링크구간, 상향링크구간, 수신확인통보구간 및 경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전송 프레임에 따라 망접속 집중국과 다수의 스테이션간에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은 망접속 집중국은 망접속을 요청한 스테이션으로 수신확인통보 구간에서 사용될 부반송 채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할당한 후, 하향링크 구간에서 망접속된 스테이션들로 무선 데이터를 전송하는 (a)단계, 망접속 집중국과 망접속된 스테이션들 각각은 망접속 집중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수신확인통보 구간동안 (a)단계에서 할당받은 부반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b)단계 및 망접속 집중국은 수신확인통보구간에서, 다수의 스테이션들 각각으로 할당된 부반송 채널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c)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효율을 높이는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 및 그에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송 프레임은 방송구간, 하향링크구간, 상향링크구간, 수신확인통보구간 및 경쟁구간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수신확인통보구간은 무선 전송 프레임은 상향링크구간과 경쟁구간사이에 존재하며, 이는 스테이션이 망접속 집중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수신확인신호(ACK)를 망접속 집중국으로 전송하는 구간이다. 수신확인통보구간을 통해, 망접속 집중국은 스테이션으로 데이터를 전송한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에서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확인통보구간은 한 개의 슬롯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무선 전송 프레임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망접속 집중국(10)과 다수의 스테이션들(12~16)로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망접속 집중국(10)은 임의의 스테이션으로부터 망접속이 요청되면 수신확인통보구간에서 수신확인신호(ACK)로 이용될 부반송 채널을 할당한다. 이 때, 망접속 집중국(10)은 스테이션으로부터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한 스테이션으로 부반송 채널을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OFDM 전송 방식의 경우, 하나의 반송파에 여러개의 부반송 채널들을 갖게 된다. 예컨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경우 52개, BWA(Broadband Wireless Access)의 경우 512개 또는 1024개의 부반송 채널을 갖는다. 망접속 집중국(10)은 다수개의 부반송 채널들을 각 스테이션에 할당하고, 할당된 부반송 채널를 수신확인신호(ACK)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접속을 요청하는 스테이션으로 부반송 채널을 할당한 후, 망접속 집중국(10)은 다운링크구간에서 무선 데이터를 망접속된 스테이션들(12~16)로 전송한다. 그리고, 망접속 집중국(10)은 수신확인통보구간에서 다수의 스테이션 각각에 할당된 부반송 채널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다음 프레임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이전 프레임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다수의 스테이션들(12~16) 각각은 망접속 집중국(10)과 접속시 망접속 집중국(10)으로부터 부반송 채널을 각각 할당받는다. 그리고, 다수의 스테이션들(12~16) 각각은 하향링크구간동안 망접속 집중국(10)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면, 수신확인통보구간에서, 망접속 집중국(10)으로부터 할당받은 부반송 채널을 활성화시켜 망접속 집중국(10)으로 전송한다. 만약, 다수의 스테이션들(12~116) 각각이 망접속 집중국(10)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면, 할당받은 부반송 채널을 활성화하지 않음으로써, 다음 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재전송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신확인통보구간에서 각 스테이션으로부터 활성화된 부반송 채널이 전송될 때, 다중 경로 페이딩으로 인해 활성화된 부반송 채널이 무선 통신망에서 유실될 수 있다. 따라서, 망접속 집중국(10)은 각 스테이션에 하나가 아닌 다수개의 부반송 채널들을 할당함으로써 수신확인신호(ACK)로 이용되는 부반송 채널이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각 스테이션에 3개의 부반송 채널들을 할당할 경우, 망접속 집중국(10)은 3개의 부반송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만 활성화되어도 해당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도 7은 도 6에서 수행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각 스테이션으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에서의 통신이며, 망접속 집중국에 망접속가능한 스테이션의 수는 7개라 하고, 현재 망접속 집중국에 접속된 스테이션은 스테이션1, 스테이션3 및 스테이션7이라고 가정한다. 그리고, 도 8의 맵핑 테이블(Mapping Table)을 참조하면 스테이션1에는 제5,제13 및 제17부반송 채널이, 스테이션3에는 제3,제7 및 제15부반송 채널이, 스테이션7에는 제2,제27 및 제51채널이 각각 할당된다.
이제,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망접속 집중국은 망접속을 요청한 스테이션으로 수신확인통보구간에서 사용될 부반송 채널을 할당한다(제20단계). 여기서, 망접속 집중국은 수신확인통보구간에서 부반송 채널의 유실을 대비하여 다수개의 부반송 채널들을 각 스테이션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망접속 집중국은 각 스테이션으로 3개의 부반송 채널들을 할당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20단계 후에, 망접속 집중국은 하향링크구간을 통해 망접속된 스테이션1,스테이션3 및 스테이션7로 데이터를 전송한다(제25단계). 즉, 망접속 집중국은 프레임N의 하향링크구간에서 DATA1-1,DATA3-1,DATA7-1을 전송하며, 각 스테이션은 망접속 집중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중 자신의 스테이션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수신한다.
망접속 집중국에 접속된 스테이션들 각각은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가를 판단하여(제30단계) 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프레임N의 수신확인통보구간을 통해 제20단계에서 할당받은 부반송 채널들을 활성화하여 망접속 집중국으로 전송한다(제40단계). 반면, 데이터 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제20단계에서 할당받은 부반송 채널들을 활성화하지 않는다(제35단계). 도 8을 참조하면, 스테이션1은 망접속 집중국(10)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중 DATA1-1을 수신하고, 스테이션3은 DATA3-1을 수신한다. 그러나, DATA7-1은 전송도중 유실되어 스테이션7은 DATA7-1을 수신하지 못함을 보인다. 따라서, 스테이션1 및 스테이션3 각각은 제20단계에서 할당받은 제5,제13 및 제17부반송 채널들과 제3,제7 및 제15부반송 채널들을 활성화하여 프레임N의 수신확인통보구간을 통해 망접속 집중국으로 전송한다. 그러나, 스테이션7은 데이터 수신을 하지 못하였으므로, 제20단계에서 할당받은 제2,제16 및 제51부반송 채널들을 활성화시키지 못한다.
제40단계 후에, 망접속 집중국은 프레임N의 수신확인통보구간에서 부반송 채널들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여(제45단계), 부반송 채널이 활성화된 스테이션으로는 프레임N+1의 하향링크구간에서 다음 데이터를 전송한다(제50단계). 그러나, 부반송 채널이 활성화되지 않은 스테이션으로는 프레임N+1의 하향링크구간에서, 프레임N의 하향링크구간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재전송한다(제55단계). 도 8을 참조하여, 망접속 집중국은 프레임N의 수신확인통보구간에서 활성화된 부반송 채널들을 확인한다. 확인 결과, 제3,제5,제13,제15 및 제17부반송 채널들이 활성화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5,제13 및 제17부반송 채널은 스테이션1에 할당한 부반송 채널들이며, 제3 및 제15는 스테이션3에 할당한 부반송 채널들이다. 여기서, 스테이션1에 할당된 부반송 채널들은 모두 활성화되었으며, 스테이션3에 할당한 부반송 채널 중 제7부반송 채널은 유실되었으나 제3 및 제15부반송 채널은 활성화되었다. 또한, 스테이션7에 할당한 부반송 채널들은 모두 비활성화되었다. 따라서, 망접속 집중국은 할당한 부반송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활성화된 스테이션1 및 스테이션3에서는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확인하고, 할당한 부반송 채널 모두 비활성화된 스테이션7에서는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프레임인 프레임N+1의 하향링크구간에서, 망접속 집중국은 스테이션1 및 스테이션3을 위해 새로운 데이터 DATA1-2 및 DATA3-2를 전송하고, 스테이션7을 위해 프레임N에서 전송했던 DATA7-1을 재전송함을 보인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망접속 집중국은 동일프레임내에서 데이터 전송 및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에서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테이션에 다수의 부반송 채널들을 할당함으로써 부반송 채널이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유실됨으로 인한 데이터 재전송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효율을 높이는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 및 그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망접속 집중국은 수신확인통보구간을 통해 동일프레임내에서 데이터 전송 및 스테이션의 데이터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에서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테이션에 다수의 부반송 채널들을 할당함으로써 부반송 채널이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유실됨으로 인한 데이터 재전송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방송구간, 하향링크구간, 상향링크구간, 수신확인통보구간 및 경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전송 프레임에 따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망접속이 요청되면 망접속을 요청한 해당 프레임에게 부반송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하향링크구간에서 무선 데이터를 전송하는 망접속 집중국; 및
    상기 망접속 집중국과 접속시 상기 부반송 채널을 각각 할당받고, 상기 하향링크구간동안 상기 망접속 집중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부반송 채널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상기 부반송 채널을 상기 수신확인통보구간 동안 상기 망접속 집중국으로 전송하는 다수의 스테이션들을 포함하고,
    상기 망접속 집중국은 상기 수신확인통보구간 상기 다수의 스테이션들로부터 전송된 상기 부반송 채널들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다음 프레임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이전 프레임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망접속 집중국은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한 스테이션으로 상기 부반송 채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망접속 집중국은 망접속을 요청한 스테이션으로 둘 이상의 부반송 채널 집합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7. 방송구간, 하향링크구간, 상향링크구간, 수신확인통보구간 및 경쟁구간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전송 프레임에 따라 망접속 집중국과 다수의 스테이션간에 이루어지는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a)상기 망접속 집중국은 망접속을 요청한 스테이션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반송 채널을 할당한 후, 상기 하향링크 구간동안 망접속된 스테이션들에게 무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b)상기 망접속된 스테이션들 각각은 상기 망접속 집중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수신확인통보 구간동안 상기 (a)단계에서 할당받은 부반송 채널을 활성화하여 상기 망접속 집중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c)상기 망접속 집중국은 상기 수신확인통보구간동안 상기 각각의 스테이션들로부터 전송된 상기 부반송 채널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의 상기 망접속 집중국은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한 스테이션으로 상기 부반송 채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망접속 집중국은 상기 수신확인통보구간동안 상기 할당된 부반송 채널이 적어도 하나 이상 활성화된 스테이션으로는 다음 프레임의 하향링크구간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할당된 부반송 채널이 하나도 활성화되지 않은 스테이션으로는 다음 프레임의 하향링크구간에서 상기 (a)단계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방법.
  10. 상기 제7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 기록된 기록 매체.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확인통보 구간은 하나의 슬롯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10-2001-0049034A 2001-08-14 2001-08-14 통신 효율을 높이는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에 따라 통신을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438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34A KR100438823B1 (ko) 2001-08-14 2001-08-14 통신 효율을 높이는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에 따라 통신을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2002232879A JP2003087163A (ja) 2001-08-14 2002-08-09 通信効率を高める無線伝送フレーム構造を用いた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10/218,031 US20030048765A1 (en) 2001-08-14 2002-08-14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transmission frame structure for increasing communication efficiency
EP02255671A EP1284554A3 (en) 2001-08-14 2002-08-14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transmission frame structure for increasing communication efficiency
CN02131529A CN1402462A (zh) 2001-08-14 2002-08-14 用无线传输帧结构增通信效率的无线数据通信系统和方法
US11/099,445 US20050192018A1 (en) 2001-08-14 2005-04-06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hecking receipt and st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034A KR100438823B1 (ko) 2001-08-14 2001-08-14 통신 효율을 높이는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에 따라 통신을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998A KR20030014998A (ko) 2003-02-20
KR100438823B1 true KR100438823B1 (ko) 2004-07-05

Family

ID=1971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034A KR100438823B1 (ko) 2001-08-14 2001-08-14 통신 효율을 높이는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에 따라 통신을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048765A1 (ko)
EP (1) EP1284554A3 (ko)
JP (1) JP2003087163A (ko)
KR (1) KR100438823B1 (ko)
CN (1) CN14024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9272A1 (fr) * 2000-08-22 2003-03-07 France Telecom Dispositif de commande automatisee d'un equipement electrique par une personne
KR100800795B1 (ko) 2004-05-31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응답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677137B1 (ko) 2004-10-01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상태 디스플레이 방법
US8312142B2 (en) * 2005-02-28 2012-11-13 Motorola Mobility Llc Discontinuous transmission/recep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CN100426878C (zh) * 2005-08-09 2008-10-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动态分配相关保留块周期的方法
CN101909190B (zh) * 2005-09-30 2012-09-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传送系统
KR100615139B1 (ko) * 2005-10-18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시간 구간의 할당 방법과 장치및 그 시스템
CN101288250B (zh) * 2005-10-18 2012-02-08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分配传输时间段的方法和设备及其系统
CN103152145B (zh) * 2006-04-25 2016-10-12 Lg电子株式会社 通过利用混合自动请求操作中的资源而发送数据的方法
US8634397B2 (en) * 2007-08-13 2014-01-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llocation of uplink resources
WO2009034554A2 (en) * 2007-09-14 2009-03-1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mmon acknowledgement channel
KR20090078723A (ko) * 2008-01-15 2009-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자동 재송신 요구 방식에 기반한 신호 송수신 방법
KR100930277B1 (ko) * 2008-04-29 2009-12-0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중 링크된 무선 센서네트워크 및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10236950B2 (en) * 2009-02-27 2019-03-19 Qualcomm Incorporated Video transmission over SDMA
WO2011020980A1 (en) * 2009-08-20 2011-02-24 Fujitsu Limited Introducing a delay in the transmission of a nack for a packet received employ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US8411631B2 (en) * 2010-06-11 2013-04-02 Intel Corporation Response mechanisms for wireless networks using wide bandwidt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1187A (ja) * 1995-10-24 1997-05-06 N T T Ido Tsushinmo Kk Cdma移動通信の再送制御方法
JPH09130447A (ja) * 1995-10-31 1997-05-16 Nec Corp 無線データ伝送装置
KR19980071082A (ko) * 1997-02-06 1998-10-26 이데이노브유끼 데이터통신방법 및 데이터통신장치
KR20000056043A (ko) * 1999-02-12 2000-09-15 이계철 프레임단위로 수신확인신호를 전달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5662B1 (en) * 1999-05-14 2001-09-04 Nokia Mobile Phones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ing a size of a contention window for a packet of data system
FI20001133A (fi) * 2000-05-12 2001-11-13 Nokia Corp Menetelmä päätelaitteiden ja yhteysaseman välisen tiedonsiirron järjestämiseksi tiedonsiirtojärjestelmäss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1187A (ja) * 1995-10-24 1997-05-06 N T T Ido Tsushinmo Kk Cdma移動通信の再送制御方法
JPH09130447A (ja) * 1995-10-31 1997-05-16 Nec Corp 無線データ伝送装置
KR19980071082A (ko) * 1997-02-06 1998-10-26 이데이노브유끼 데이터통신방법 및 데이터통신장치
KR20000056043A (ko) * 1999-02-12 2000-09-15 이계철 프레임단위로 수신확인신호를 전달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87163A (ja) 2003-03-20
KR20030014998A (ko) 2003-02-20
US20030048765A1 (en) 2003-03-13
EP1284554A3 (en) 2003-09-10
CN1402462A (zh) 2003-03-12
EP1284554A2 (en) 200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1347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持続的に割当てられたパケットのための新規データ指示子
KR100438823B1 (ko) 통신 효율을 높이는 무선 전송 프레임 구조에 따라 통신을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9603174B2 (en) Error control method, medium access control (MAC) frame designing method, and terminal registr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8208420B2 (e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method of a downlink tunnel
RU2340105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хемой h-arq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с широкополосным радиодоступом
KR101012456B1 (ko) 통신 시스템의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54780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방향 방송 서비스의 제공방법
US20090217119A1 (en) Method, system and relay station for realizing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US822368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signaling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110791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식 복합 자동 재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8172754A (ja) 直交周波数分割多元接続の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局間のチャネルにおけるハイブリッド自動繰返し要求動作を可能に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1375540A (zh) 中继网络中带宽高效的harq方案
US20090077430A1 (e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packet-based fixed resources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0069547A (ja) 無線通信装置
JP200020923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資源割当方法
JP576668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再送信要請フィードバックを要請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0921004B1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자원 재할당 및 대역 요청 방법
US20050192018A1 (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hecking receipt and status
JP5692939B2 (ja) 広帯域無線通信システムで匿名で割り当てられたリソースに対してハイブリッド自動再送要求を支援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100115031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동 재전송 요청 피드백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166283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cknowledging received data
KR20120122923A (ko) 멀티캐스트 전송 방법 및 장치
CA2217059C (en) Temporary frame identification for arq in a reservation-slotted-aloha type of protocol
KR20060039840A (ko)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메시지 전송을 위한기지국 및 단말과 그 방법
JP201352772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レインジングのための自動再伝送要請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6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