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8759B1 - 아동이용 방지 라이터 - Google Patents

아동이용 방지 라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759B1
KR100438759B1 KR10-2000-7002191A KR20007002191A KR100438759B1 KR 100438759 B1 KR100438759 B1 KR 100438759B1 KR 20007002191 A KR20007002191 A KR 20007002191A KR 100438759 B1 KR100438759 B1 KR 100438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lighter
actuation
movement
actu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2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3543A (ko
Inventor
두쎄미셸
프리기에르르네
바이리오니스토마스쥐
놀라앙리게아모로
아담스폴에이취
Original Assignee
빅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922,040 external-priority patent/US5833448A/en
Application filed by 빅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023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3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75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06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 F23Q7/1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for gaseous fuel, e.g. in welding appliances
    • F23Q7/12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for gaseous fuel, e.g. in welding appliances actuated by gas-controll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16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 F23Q2/164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i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Liquid Develope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ld Cathode And The Manufacture (AREA)

Abstract

부적합한 사용자들의 조작에 대해 방해되는 작동기의 가압작용이 점화시 필요한 일회용 라이터(10)가 제공된다. 작동시 어려움이 가중되는 기구를 구성하며, 정상적으로 작동기의 가압작용이 방지되는 위치내에 라이터가 유지된다. 작동기(14)의 충분한 가압작용 및 점화 기구(20,20a,20b)의 작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작동 방해기구(22,26,42,44)가 하향변위발생 및 경가 변위발생을 요구한다. 사용자에 의해 가압력 작용을 통해 작동기가 이동될 때, 가압력이 제거된 초기 방해위치로 작동기가 귀환하도록, 적어도 한 개의 편향요소(28,38,80)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Description

아동이용 방지 라이터{CHILD RESISTANT LIGHTER}
일회용 가스라이터들이 여러가지 형태로 이용가능하다. 일회용 라이터에 공통적으로 구성된 한가지 요소는 연료유동을 개시하는데 이용되는 액츄에이터 패드(actuator pad)또는 레버(lever)이다. 연료유동이 개시된 후에, 연료유동에 점화되도록, 스파크 발생기구와 함께 액츄에이터 패드가 이용된다. 예를들어 종래 기술의 스파크 휠(spark wheel)이 구성된 라이터들에 의하면,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부싯돌에 대하여 스파크기어 휠을 회전시켜야 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액츄에이터 패드를 눌러주고, 동시에 가스를 방출시키고 화염을 발생시킨다.
일회용 라이터를 위한 또다른 점화수단은 피에조전기 기구를 이용한다. 상기 형태의 점화 기구에 있어서, 전기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해 수정과 같은 피에조전기요소가 해머(hammer)또는 앤빌(anvil)에 의해 타격된다. 가스상의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해 밸브의 개구부와 인접한 위치로 스파크가 전도된다. 사용자에 의해 하중으로 눌러지면, 액츄에이터 패드는 연료유동 및 점화과정을 개시한다.상기 피에조전기점화 기구의 한가지 예가 미국특허 제 5,262,697 호의 "가스 라이타용 피에조전기기구"에 공개된다.
스파크 휠 점화 기구에서와 같이, (예를들어 5세이하 어린이들과 같은) 부적합한 사용자에 의한 작동 또는 피에조전기기구의 부적합한 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상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방법이 소개된다. 한가지 전형적인 방법은 액츄에이터 패드 아래에 분리된 래치 부재(latch member)를 구성하고, 상기 래치 부재가 액츄에이터 패드의 누름작용을 방해하는 것이다. 미국특허 제 5,435,719 호, 제 5,584,682 호 및 제 5,636,979 호에 상기 기구들의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그러나 부적합하게 또는 부적합한 사용자들에 의해 작동상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동시에 적합한 그리고 의도된 사용자들을 위해 사용자에게 친숙한 개선된 기구들을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부적합한 사용자에 의해 작동시 어려움이 증가되는 점화 시스템으로 구성된 라이터(lighter) 특히 상기 시스템을 가진 피에조전기(piezoelectric) 라이터에 관련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작동 방해기구를 가진 라이터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라이터에 관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구속위치에 있는 도 1의 라이터에 관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점화 시스템을 작동하기 전에 작동기가 이동된 도 1의 라이터에 관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점화위치에 있는 도 1의 라이터에 관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초기위치의 작동기를 보여주고 도 1의 라이터를 Ⅱ-Ⅱ를 따라 본 부분 단면도 및 작동 방해기구의 중앙단면도.
도 7은 도 1의 Ⅲ-Ⅲ를 따라본 본 발명의 라이터에 관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초기위치의 작동기를 나타내고 작동 방해기구의 또다른 단면을 도시하며 도 1의 라이터를 Ⅳ-Ⅳ를 따라 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을 따르는 작동 방해기구의 상호구속기구에 구성된 작동부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작동기에 관한 작동기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작동기에 관한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작동기에 관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을 따르는 작동 방해기구의 상호구속기구에 구성된 정지부를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상호구속기구의 정지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중간위치의 작동기를 도시하고 도 1의 라이터를 도 8과 유사하게 도1의 Ⅳ-Ⅳ을 따라 본 단면도.
도 15는 도 14와 유사하지만 작동 방해기구의 방해기구로 부터 분리되는 작동기를 가진 단면도.
도 16은 도 14와 유사하지만 초기작동위치에 있는 작동기를 가진 단면도.
도 17은 방해기구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를 참고할 때, 중간위치(IP)로 부터 횡방향으로 작동기(14)가 운동하면, 이동가능부분(62)은 정지부분(60)과 정렬상태로 부터 벗어나 운동하고, 작동기(14)의 하부면(56)이 방해요소(50)의 상부면(58)과 정렬상태로 부터 벗어나 운동한다. 도 16을 참고할 때, 점화 기구(20)의 상부 및 하부(20a,20b)들을 추가로 가압하고, 점화 기구(2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방해기구(42)가 분리되고, 작동축(25)을 따라 라이터 몸체(12)의 공동(54)내에서 추가로 이동될 수 있다. 점화 기구(20)의 작동시, 도 16에서 X자로 도시된 점화 기구(20)의 상부 및 하부(20a,20b) 사이의 간격은 최소값을 이룬다. 또한 작동기(14)의 상부면(15)이 작동상승높이(P2)에 도달한다.
사용자에 의한 가압력이 제거될 때,(제공된다면) 편향요소(38,80)는 작동기(14)를 초기위치(P1)로 귀환시킨다. 상기 설명과 같이, 돌출부(72)에 구성된 언더컷(undercut)(76)들 및 작동기(14)의 벽(64)내부에 위치한 요홈(82)들의 형상에 의해 작동기(14)는 초기위치(P1)로 용이하게 귀환된다.
도 17을 참고할 때, 방해기구(42)내부로 구성될 수 있는 또다른 특징이 도시된다. 하부표면(62)으로 부터 구성된 연장부(96)가 하부면(62)에 구성가능하고, 방해요소(50)의 상부표면(58)위에 형성된 오목부(98)가 상기 상부표면(58)에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96)가 오목부(98)내부에 수용되기 전에 작동기(14)가 중간위치(IP) 및 작동기(14)의 횡방향운동이 허용되는 위치에 도달하도록, 연장부(96) 및 오목부(98)가 구성되고 치수 결정된다. 상호구속기구의 이동가능 부분(62)으로부터 정지부분(60)을 분리시키기 위해 필요한 변위보다 사용자의 가압변위가 더 클 때, 작동기의 횡방향운동을 방해하여, 연장부(96) 및 오목부(98)가 라이터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작동 방해기구에 의하여 또한 밸브(18)를 통해 연료가스를 선택적으로 방출시키는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기(14)가 위치(IP)에 있을 때, 가스를 선택적으로 방출시키기 위해 경사부재(27)가 레버(29)위에 작동하지 않도록, 경사부재(27) 및 레버(29)가 구성되고 치수 결정될 수 있다.
* 부호설명
10... 라이터 11... 종축
12... 몸체부 14... 누름밸브작동기
16... 차폐부 20... 점화 기구
22... 리지 24... 점화 전도체
26... 돌출부 32... 노즐
38... 코일 스프링 44... 연동기구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요 작동시 성인에 의해 작동 가능하지만 부적합한 사용자에 의한 작동에 대해 저항작용을 가지는 라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두개의 방향으로 또는 2개이상의 방향으로 작동가능한 것이 선호되는 작동기를 가진 라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연료탱크를 형성하고 길이가 긴 몸체 및 상기 연료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를 가진 라이터를 제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화염을 발생시키기 위해 대략 연료가 탱크로부터 선택적으로 방출될 때, 상기 피에조전기기구와 같은 스파크 발생기구를 포함한 점화 시스템이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눌러질 때 점화 시스템을 작동시키고, 상기 작동은 탱크로부터 연료방출 및 스파크를 형성하는 피에조전기기구의 작동을 필요로 하는 작동기가 상기 라이터에 포함된다. 그러나 방해기구에 의해 작동기의 누름작용이 정상적으로 억제된다. 방해기구가 정해진 방법으로 변위를 발생하면, 작동기는 눌려질 수 있다. 작동기와 일체로 구성되는 방해기구가 사용자의 가압작용에 의해 변위를 발생한다. 변위발생하중을 제거시, 방해기구는 초기 방해위치로 귀환하고, 다시한번 점화 시스템을 작동시킬 정도로 충분히 가압되는 것이 작동기에 의해 억제된다. 점화작동을 위하여 방해기구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경사운동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의하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운동시, 점화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작동기가 라이터에 포함된다. 점화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기가 이동되는 정해진 경로를 형성하도록, 작동 방해기구가 제공된다.
정해진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라이터 몸체에 대해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상호구속기구 및 방해기구가 작동 방해기구에 포함된다. 점화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적어도(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해 스파크 발생기구가 운동하는 방향의) 작동방향 및 (일반적으로 경사방향 주로 횡방향)의 작동방향으로 작동기가 운동하도록, 작동 방해기구가 배열되는 것이 선호된다. 작동기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거할 때, 작동 방해기구의 초기위치로 귀환하도록, 작동 방해기구가 편향되고, 점화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해 정해진 경로를 따르는 작동기의 운동이 필요하다.
동일부품에 대해 동일부호가 이용되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상기 특징들, 목적 및 장점들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된다.
도 1 에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작동 억제 기구를 가지는 라이터(10)가 도시된다. 라이터(10)는 종축(11), 몸체부(12), 누름 밸브 작동기(14) 및 바람막이 또는 차폐부(16)를 가진다. 또한, 도 2, 도 3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8) 및 점화 기구(20)(20a,20b)가 라이터(10)내에 구비된다.
도 2 에서, 점화 시스템이 상세하게 도시되고, 라이터(10)의 안전 특징이 도시된다. 압전 점화 기구(20)의 상부는 차단 리지(ridge)(22)와 같은 작동기(14)에 연결된다. 점화 전도체(24)는 공지된 방법으로 점화 기구(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점화 기구(20)의 하부는 몸체(12)의 요홈에 수용된다. 돌출부(26)는 선호적으로 하우징의 상부 중앙부에서 몸체부(12)의 적합한 부분에 연결된다. 코일 스프링(38)은 점화 기구의 상부 및 하부 사이에 구성된다.
몸체(12)의 후방 벽(30)을 향하는 작동기의 외향 운동에 저항하기 위해 작동기(14)에 내향 편향력을 가하도록, 리프 스프링(leaf spring)(28)이 후방 벽(30) 및 작동기(14) 사이에 구성된다. 코일 스프링(38)은 점화 기구(20)의 압축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코일 스프링(38)은 작동기(14)에 대해 상부 편항을 가하여, 작동기(14)의 누름에 저항한다.
점화 기구(20)의 상부 및 하부는 압축 가능하게 결합된다. 정지시, 점화 기구(20)의 상부 및 하부는 도 2 에서 X로 표시된 갭(gap)에 의해 분리된다. 본 발명과 같은 압전 라이터에서, 작동기(14)의 누름은 점화 기구(20)를 압축시키고, 점화 기구(20)내의 해머(hammer)(도시되지 않음)와 압전 요소(도시되지 않음)가 충돌하도록 한다. 또한 작동기(14)의 누름은 연료 밸브를 개방시켜, 연료가 노즐(32)을 통하여 저장기(34)로부터 방출되도록 한다. 압전 요소 또는 크리스탈(crystal)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점화 전도체(24)를 거쳐 점화 캐비티(cavity)(36)로 전도되는 전기 충격을 발생시킨다. 전기 아크(arc)가 갭을 거쳐 점화 전도체(24)로부터 금속 노즐(32)로 발생되어, 방출 연료를 점화한다. 일회용 압전 라이터의 기본 작동은 공지되어 있다.
도 2 에서, 정상 위치 또는 정지 위치에 있는 작동기(14)가 도시된다. 정상 위치로부터 작동기(14)의 누름은 차단 리지(22)와 돌출부(26)가 연결되도록 하여, 점화 기구(20)의 최소 압축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3 에서, 작동기(14)는 차단 리지(22) 및 돌출부(26)가 허용하는 위치까지 눌려진다. 점화 기구(20)의 상부 및 하부는 거리 X'에 의해 분리되고, 점화 기구를 작동시키기에 충분히 압축될 수 없어, 화염의 발생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라이터(10)를 작동시키기 위해, 우선 작동기(14)가 노즐(32)로부터 외측 또는 후방으로 변위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작동기는 노즐로부터 옆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상기 "준비" 위치로 이동될 때, 리프 스프링(28)의 편향력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외향력에 의해 극복된다. 작동기(14)의 외향 변위는 점화 기구(20), 점화 전도체(24) 및 차단 리지(22)가 비례적으로 변위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작동기(14)를 정상 위치로부터 준비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작동기(14)의 배면이 작동기(14) 및 사용자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도록 성형될 수 있다. 상기는 작동기(14)가 하나 이상의 리지(40)를 포함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준비 위치에서, 차단 리지(22)는 돌출부(26)의 저지를 받지 않는다. 따라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 기구(20)의 상부 및 하부 사이에 구성된 갭(X'')이 최소일 때, 점화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작동기(14)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하향 압력이 제거될 때, 코일 스프링(38)에 의한 상향 편향은 작동기(14)에 상향으로 힘을 가한다. 리프 스프링(28) 및 코일 스프링(38)에 의한 내향 및 상향 편향은 라이터가 사용 후 정상(잠금)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도 6 에서, 점화 시스템 및 라이터(10)의 작동 억제 기구가 도시된다. 점화 기구(20)의 상부(20a)는 작동기(14)내의 캐비티(21)에 연결되거나 수용된다. 비록 상부(20a) 및 작동기(14) 사이의 억지끼워맞춤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억지끼워맞춤은 사용 중점화 기구를 다소 굽어지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굽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점화 기구(20)가 라이터(10)의 작동 중 과도한 굽힘력을 받지 않도록 작동기(14)의 캐비티(21) 및 점화 기구(20)의 상부(20a)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부재는 충분한 접촉 및 상부(20a)와 작동기(14) 사이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캐비티(21) 및 상부(20a) 사이의 간격에 구성될 수 있다.
점화 기구(20)의 하부(20b)는 몸체(12)의 요홈(23)에 수용된다. 용어 "상부" 및 "하부"는 단지 부분(20a,20b)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부분을 상기위치로 제한하지 않는다. 코일 스프링과 같은 편향 요소(38)는 점화 기구(20)의 상부(20a) 및 하부(20b) 사이에 구성된다. 코일 스프링(38)은 부분(20a,20b)의 서로에 대한 운동에 저항하고, 따라서 점화 기구(20)의 작동에 저항한다. 또한 편향 요소(38)는 작동기(14)에 대해 편향되고, 작동기(14)의 이동을 저지한다. 따라서, 점화 기구(20)의 상부 및 하부(20a,20b)는 압축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기(14)는 초기 위치에 구성되며, 상기 위치에서 상부(20a) 및 하부(20b)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된다.
일회용 라이터, 특히 압전 라이터의 기본 작동은 공지되어 있고, 따라서 간단히 설명된다.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점화 기구(20)의 상부(20a) 및 하부(20b)는 도 6 에 X로 표시된 갭에 의해 분리되고, 작동기(14)의 상부면(15)은 위치 "P1"에 구성된다. 초기 위치(P1)로부터 작동 위치 "P2"까지 작동기(14) 상부면(15)의 이동은 상부 (20a) 및 하부(20b)가 작동축(25)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점화 기구(20)를 압축시킨다. 본 발명과 같은 압전 라이터에서, 점화 기구(20)의 압축은, 점화 기구(20)내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배열된 앤빌(anvil)(도시되지 않음)과 점화 기구(20)내에 고정 구성된 압전 요소와 충돌하도록 한다. 상기 압전 점화 시스템의 작동은 '697 특허에 상세히 기술된다.
공지된 방법으로 점화 기구(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점화 전도체(24)는 작동기(14)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기(14)에 장착된다. 점화 기구가 작동축을 따라 이동될 때, 램핑 부재(27)가 작동축을 따라 이동되도록 램핑 부재(ramping member)(27)가 점화 기구(20)에 부착된다. 밸브(18)를 들어올리기 위해 레버(29)를 회전시키기 위하여(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램핑 부재가 레버(29)에 작동한다. 점화 기구920)를 점화하기에 충분한 작동기(14)의 이동은 밸브(18)를 개방시키고, 따라서 연료를 노즐(32)을 통하여 저장기(34)로부터 선택적으로 방출하며, 노즐(32) 위에 구성된 전기 전도성 디퓨저(diffuser)(29)로 더 근접하게 점화 전도체(24)를 이동시킨다. 작동기(14)의 이동에 가해지는 압전 요소(또는 본 발명의 라이터에 사용 가능한 다른 형태의 점화 기구)의 작동은, 점화 캐비티(36)를 통하여 점화 전도체(24) 및 디퓨저(29)에 걸쳐 전기 충격을 발생시킨다. 전기 아크가 점화 전도체(24)로부터 전기 전도성 디퓨저(29)로 갭에 걸쳐 발생되어, 밸브(18)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방출된 연료를 점화시킨다.
작동기(14)의 누름을 억제하기 위하여 그리고 점화 기구(20)의 작동 및 라이터(10)의 점화를 더 어렵게 하기 위하여, 작동 억제 기구가 구비된다. 작동 억제 기구는 차단 기구(42) 및 연동 기구(44)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기구(42) 및 연동 기구(44)는 각각 작동축(25)을 따라 그리고 작동축(25)에 대해 횡으로 지향된다.
차단 기구(42)는 라이터 몸체(12)의 내벽(52)에 부착된 또는 위치된 또는 근접한 차단 요소(50)를 포함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호적으로 두 개의 차단 요소(50)가 라이터 몸체(12)내에 구비되고, 라이터 몸체(12)에 구성된 캐비티(54)의 각 측면에 구성된다. 작동기(14)의 상부면(15)이 초기 높이(P1)에 있을 때, 작동기(14)의 누름 전에 작동기(14)의 하부면(56)은 차단 요소(50)의 차단면(58)을 따라 정렬되고 상기 차단 요소(50)의 차단면(58)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작동기(14)의 하부면(56)이 차단 요소(50)의 차단면(58)과 연결되기 전에,작동기(14)는 작동축(25)을 따라 거리(B)(도 6)로 눌려질 수 있다. 따라서, 작동축(25)을 따른 다른 누름은 저지된다.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 기구(20)의 상부(20a) 및 하부(20b)는 거리(X')로 이격된다. 선호적으로, 화염을 발생시키기 위해, 거리 X'에 대한 점화 기구의 압축이 앤빌과 압전 요소가 충돌하기에 불충분하도록, 점화 기구(20)가 구성되고 치수가 결정된다. 유사하게, 작동기(14)의 상부면(15)은 작동 위치(P2)에 도달하지 못하고 초기 위치(P1)로부터 중간 위치 "IP"로 이동될 수 있다. 라이터 몸체(12)에 고정되고 작동기(14)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결합된 요소 또는 작동기(14)를 연결하도록 배열된, 차단 요소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작동기(14)가 차단 요소(50)와 비정렬되도록, 즉 차단 요소(50)의 차단면(58)과 정렬되지 않은 작동기(14)의 하부면(56)을 중간 위치(IP)로부터 이동시키기 위하여, 작동기(14)는 작동축(25)에 횡으로 그리고 차단 요소(50)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된다. 그러나, 작동 억제 기구의 연동 기구(44)는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기(14)의 상기 횡이동을 억제한다. 따라서, 연동 기구(44)가 분리될 때까지, 작동기(14)는 차단 기구(42)와 정렬되지 않은 위치로 이동될 수 없다.
연동 요소(44)는 라이터 몸체(12)에 고정 장착된 정지 연동부(60) 및 작동기(14)에 장착된 가동 연동부(62)를 포함한다. 정지 연동부(60) 및 가동 연동부(62) 사이의 상호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도 6 및 도 8 에 단면도가 도시된다. 가동 연동부(62)는 정지 연동부(60)와 공동작동하기 위해 작동기(14)의 내벽으로부터 연장 구성된다. 따라서 가동 연동부(62)는 라이터 몸체(12) 및 정지 연동부(60)에대해 작동기(14)를 따라 이동한다. 선호적으로, 작동기(14)는 가동 연동부(62)와 일체 구조로 형성된다.
연동 기구(44)의 부분(60,62)에 대한 특징이 도 9-13 에 도시된다. 도 9-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연동부(62)는 기초 돌출부(66)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 돌출부(66)로부터 하나 이상의 날개(68)가 연장 구성된다. 선호적으로, 가동 연동부(62)가 T형 플랜지(flange) 형상을 가지도록 날개(68a,68b)는 기초 돌출부(66)의 각 측면으로부터 연장 구성된다. 점화 전도체(24)는 기초 돌출부(66)의 장착부(70)에 장착되고, 날개(68a,68b) 위로 연장 구성된다.
도 12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연동부(60)는 돌출부(72)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72)는 가동 연동부(62)를 향해 연장구성되며, 가동 연동부(62)의 날개(68)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된 슬롯(slot)(74)을 가진다. 정지 연동부(60)에 구성된 돌출부(72)의 수는 가동 연동부(62)에 구비된 날개의 수에 상응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기(14)가 초기 위치(P1)에 있을 때, 날개(68)는 슬롯(74)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초기 위치(P1)에서 정지 연동부(60)에 대한 가동 연동부(62)의 상기 연동 구성은 작동기(14)의 횡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한다. 따라서, 작동기(14)의 하부면(56)은 초기 위치(P1)에서 차단 요소(50)의 차단면(58)과 정렬되지 않도록 이동될 수 없다.
작동기(14)를 작동 위치(P2)로 이동시키기 위해, 가동 연동부(62) 및 작동기(14)는 정지 연동부(60)로부터 분리된다. 연동 기구(44)의 상기 분리는, 작동 위치(P2)에 도달하기 위하여 작동축(25)을 따른(초기 위치(P1) 및 중간위치(IP) 사이의 작동기(14) 이동에 평행한) 작동기(14)의 다른 이동이 가능하도록, 작동축(25)에 횡으로 작동기(14)의 이동을 포함한다. 따라서, 돌출부(72)는 각도를 이룬 언더컷(undercut)(76)을 가지고, 상기 언더컷(76)은 정지 연동부(60)로부터 이격된 가동 연동부(62)의 이동에 의해 슬롯(74)으로부터 날개(68)의 제거를 안내한다. 작동기(14)가 작동축(25)을 따라 이동시, 날개(68)의 상부(78)가 언더컷(76)에 도달할 때까지 날개(68)가 슬롯(74)을 통하여 언더컷(76)을 향해 미끄러지고, 날개(68)는 미끄러지고 슬롯(74)으로부터 제거된다. 작동기(14)가 중간 위치(IP)에 도달하는 동시에 또는 전에, 작동기(14)의 하부면(56)이 차단 요소(50)의 차단면(58)에 도달하기 때문에, 날개(68)의 상부(78)는 언더컷(76)에 도달한다. 중간 위치(IP)는 또한 임의 위치일 수 있고, 상기 위치에서 작동기(14)의 횡 이동이 가능하다.
날개(68)의 제거 및 연동부(60,62)의 분리는,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이동에 의해 이루어진 작동축(25)에 횡으로 작동기(14)의 이동을 포함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과 같은 편향 요소(80)는 작동기(14)의 횡방향 이동에 저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호적으로, 작동기(14)의 상기 경사 이동에 의해 슬롯(74)으로부터 날개(68a,68b)의 제거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점화 기구의 작동 후 날개(68a,68b)가 슬롯(74)으로 용이하게 재인입할 수 있도록, 언더컷(76)은 각도를 이룬다. 선호적으로, 슬롯(74)으로부터 날개(68a,68b)의 제거 중 날개(68a,68b)의 상부(78)는 언더컷(76)과 접촉을 유지한다.
연동부(60,62)의 연결을 강화하도록 여러 특징이 구비되고, 따라서라이터(10)에 대해 작동기(14)의 기능 및 외관을 개선한다. 연동부(60,62)를 서로에 대해 가능한 한 근접하게 위치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작동기(14)가 초기 위치(P1)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도 8, 도 10, 도 11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연동부(60)의 돌출부(72)를 수용하기 위하여 그루브(groove)(82)가 작동기(14)의 내벽(64)을 따라(가동 연동부(62)의 영역에) 구비된다. 또한, 점화 컷아웃(cutout)(84)은 벽(86)에 형성되고, 상기 벽(86)은 정지 연동부(60)의 돌출부(72)에 연결된다. 점화 컷아웃(84)은 가동 연동부(62)의 기초 돌출부(66)와 정렬되고, 점화 전도체(24)가 장착되는 장착부(70)와 정렬된다. 따라서, 작동기(14)의 누름시, 점화 전도체(24)는 눌려지고, 전기 아크를 발생시키는 전도성 노즐(32)에 도달하도록 점화 컷아웃(84)을 통과한다.
화염을 발생시키기 위한 일련의 단계가 도 6 및 도 14-16 에 도시된다. 사용자가 라이터(10)를 작동하기 위하여,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작동기(14)가 초기 위치(P1)로부터 중간 위치(IP)로 눌려진다. 사용자가 작동기(14)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한 상부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15)사용자 손가락과의 마찰을 증가시키도록 상부면(15)은 성형되고 구성된다. 도 1,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는 상부면(15)에 하나 이상의 리지(94)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단 요소(50)는 작동기(14)가 작동 위치(P2)에 도달하기 위해 중간 위치(IP) 아래로 눌려지는 것을 막는다. 또한, 연동 기구(44)는 초기 위치(P1)의 차단 요소(50)와 정렬되지 않은 작동기(14)의 횡이동을 방지한다. 작동기(14)가 중간 위치(IP)에 도달하면, 날개(68)의 상부(78)는 언더컷(76)에 인접한다. 따라서,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 기구(44)를 분리하고 작동기(14)를 차단 요소(50)와 정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작동축(25)에 대해 횡으로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슬롯(74)으로부터 날개(68)를 구속해제하기에 필요한 이동을 이루기 위해, 그리고 정지 연동부(60)로부터 가동 연동부(62)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작동기(14)는 차단 요소(50)에 대해 회전되고 경사를 이룬다(작동축(25)에 대해 횡방향인 성분을 포함하는 운동).
상기 설명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비제한적인 것이다. 따라서 하기 청구범위로 부터 벗어나지 않고 당해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수정 예들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향요소(38)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설명되지만, 판스프링 또는 일체 몰딩형 플라스틱 스프링과 같은 다른 적합한 편향요소가 추가로 대신하여 이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판스프링과 같은 편향요소(28,80)들이 설명될지라도, 코일 스프링 또는 일체 몰딩형 플라스틱 스프링과 같은 다른 적합한 편향요소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점화 기구 및 작동 방해기구는 라이터 내부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가스 그릴(gas grill)용 피에조전기 점화기구와 같이 고도의 아동이용 방지기구를 요구하는 다른 장치내에 상기 기구들이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9)

  1. 연료구분영역을 가진 라이터 몸체,
    상기 연료 구분영역으로 부터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밸브,
    상기 라이터 몸체에 대한 운동을 위해 장착된 작동기,
    작동축을 가진 점화 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축을 따라 위치한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종방향축을 따라 위치한 상기 작동위치까지 상기 작동기의 운동에 의하여, 상기 점화 기구가 상기 연료를 점화시키며,
    상기 작동기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배열된 작동 방해기구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 방해기구가 연결될 때, 상기 작동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작동 방해기구의 분리작용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위치까지 상기 작동기의 운동이 연료를 점화하는 상기 점화 기구를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방해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 및 중간위치사이의 상기 작동축을 따라 상기 작동기의 부분 작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작동 위치사이에 상기 중간위치가 위치하며,
    연결시, 상기 작동 방해기구에 의해 상기 중간위치로 부터 상기 작동위치까지 상기 작동기의 운동이 저항받고,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중간위치를 향해 상기 작동기가 이동될 때, 상기작동 방해기구에 의해 상기 작동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작동기의 운동이 저항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가 횡방향으로 다음에 상기 작동위치를 향해 상기 작동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작동기가 상기 중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작동 방해기구에 의해 상기 작동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작동기의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작동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작동기의 운동을 저항하도록 배열된 상호구속기구가 상기 작동 방해기구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구속기구가 작동기와 함께 이동 가능한 제 1 돌출부,
    상기 라이터 몸체에 대해 고정된 제 2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작동기의 운동이 상기 상호구속기구에 의해 방해되는 연결구성 및 상기 제 1 돌출부가 상기 제 2 돌출부로부터 떨어져 이동가능하고 상기 작동기가 상기 작동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분리구성사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가 기저돌출부로 구성되고, 적어도 한 개의 윙이 기저돌출부로 부터 연장 구성되며,
    상기 제 2 돌출부가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윙을 수용하기 위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기가 상기 중간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언더컷에 의해 상기 슬롯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윙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중간위치까지 상기 작동기의 운동을 허용하고, 상기 방해기구가 연결될 때, 상기 작동위치에 대해 상기 작동기의 추가동작을 방해하도록 배열된 방해기구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작동기가 상기 방해기구로 부터 떨어져 이동되고 다음에 추가로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중간위치까지 상기 작동기의 운동에 의해 상기 상호구속기구의 분리작용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구속기구 및 상기 방해기구를 분리하고 그 결과 상기 작동위치로 상기 작동기가 추가로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중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작동기가 상기 라이터 몸체에 대해 경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작동위치사이의 중간위치까지 상기 작동기의 운동을 허용하고, 상기 방해기구가 연결될 때, 상기 작동위치를 향해 상기 작동기가 추가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도록 위하여, 방해기구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기구를 분리하고 상기 작동위치에 대해 상기 작동기가 추가로 운동가능한 중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작동기가 경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기구가 연결되는 위치를 향해 상기 작동기를 편향시키는 편향요소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방해기구에 의해,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작동위치사이의 중간위치까지 상기 작동기의 부분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중간위치로 부터 상기 작동위치까지 상기 작동기의 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작동기가 상기 중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작동기가 상기 작동축에 대해 경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방해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중간위치사이에서 상기 작동기가 상기 작동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이 방해되고,
    상기 작동 방해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중간위치 사이에서 상기 작동기가 상기 작동축을 따라 부분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위치로 부터 상기 작동위치까지 상기 작동기가 추가로 상기 작동축을 따라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위치까지 상기 작동기가 운동할 때, 상기 점화 기구가 부분적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방해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중간위치 사이에서 상기 작동기가 상기 작동축을 따라 부분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작동기의 경사운동시 상기 점화 기구의 굽힘작용 및 상기 작동 방해기구의 분리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작동 방해기구에 의해 중간위치에서 상기 작동기가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작동 방해기구의 분리작용에 의해, 상기 중간위치로 부터 상기 작동위치까지 상기 작동기가 추가로 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위치로 부터 상기 작동위치까지 상기 작동기가 상기 작동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내부의 공동내부에 장착된 제 1 부분 및 상기 라이터 몸체 내부에 장착된 제 2 부분이 상기 점화 기구에 구성되고,
    상기 작동기의 경사운동에 의해 상기 점화 기구의 굽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작동기내부의 상기 공동내에서 상기 제 1 부분이 억지끼워맞춤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내부의 공동내부에 장착된 제 1 부분 및 상기 라이터 몸체 내부에 장착된 제 2 부분이 상기 점화 기구에 구성되고,
    상기 작동기의 경사운동이 상기 점화 기구에 대한 굽힘에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작동기 내부의 상기 공동내부에서 상기 제 1 부분이 충분한 간격을 가지고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점화 기구의 제 1 부분 및 상기 공동의 벽들 사이의 틈새 내부에 편향부재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22. 제 8 항에 있어서, 상호구속기구의 제 2 돌출부로부터 제 1 돌출부를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변위보다 더 큰 변위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질 때, 중간위치 및 작동위치사이에서 운동하는 것을 저항하도록 오목부와 상호 작동되게 연결되는 연장부재가 방해기구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23. 라이터 몸체, 연료구분영역, 상기 연료구분 영역과 연결된 노즐, 작동축을 가지 점화 기구, 제 1 위치로부터 작동기에 의해 점화 기구가 화염을 발생시키는작동위치까지 작동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작동기 및 작동 방해기구를 가진 라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작동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작동기의 운동을 방해하는 상기 작동 방해기구를 배열하며,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작동위치사이의 중간위치를 넘어 상기 작동축을 따라 상기 작동기의 운동을 방해하고, 상기 작동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작동기가 운동하는 것을 방해하여,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작동위치까지 상기 작동기의 운동을 방해하는 상기 작동 방해기구를 배열하고,
    상기 작동기가 상기 작동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중간위치로부터 상기 점화 기구를 작동시키는 상기 작동위치까지 상기 작동기의 운동을 허용하는 상기 작동 방해기구를 배열하는 단계들로 구성된 라이터의 부적합한 이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24. 제 23 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중간위치까지 이동한 후에만 상기 작동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작동기가 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상기 작동 방해기구의 배열단계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상기 작동기를 이동시키고 상기 중간위치로 부터 상기 작동위치까지 상기 작동기를 추가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중간위치에 있을 때 경사 가능한 상기 하우징내부에 상기 작동기를 장착하는 단계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26. 제 1 위치 및 중간위치 사이에서 상기 작동기의 운동을 제 1 위치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작동기와 상호작용하는 제 1 기구,
    상기 제 1 위치 및 상기 제 2 위치사이에서 상기 액츄에이터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횡방향을 향해 상기 작동기가 제 2 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동기와 상호작용 하는 제 2 기구로 구성되고, 몸체부분 및 상기 몸체부분 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기를 포함하는 장치를 위한 아동이용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작동기의 운동에 의해 상기 작동기가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제 3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이용 방지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아동이용 방지 라이터의 몸체가 상기 몸체부분에 구성되고, 상기 작동기가 상기 라이터의 밸브작동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터가 피에조전기점화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구가 상기 작동기상에 장착된 플랜지 부분 및 슬롯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분에 고정되는 슬롯구성부재로 구성되고, 적어도 상기 중간위치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가압하면 상기 플랜지부분이 상기 슬롯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슬롯구성부재의 상기 슬롯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분이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분이 T자형상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의 각각의 측면과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마주보는 두 개의 돌출부들이 상기 슬롯구성부재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31. 연료 구분영역을 가진 기다란 하우징,
    상기 연료구분영역으로 부터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
    상기 연료를 점화하기 위한 스파크발생기구,
    작동축을 따라 제 1 상승위치로 부터 제 2 상승위치까지 상기 작동기의 운동에 의해 상기 스파크 발생기구가 작동되도록 상기 스파크 발생기구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기.
    작동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기 작동기가 이동될 때까지, 작동축을 따라 상기 제 1 상승위치로 부터 제 2 상승위치까지 상기 작동기의 운동을 방지하도록 라이터 몸체상에 배열된 방해부재로 구성된 라이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작동축을 따르는 운동이 방해부재에 의해 방해되는 방해위치를 향해 상기 작동기가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33. 제 31 항에 있어서, 작동축을 따르는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기상의 표면과 상기 방해부재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34. 제 31 항에 있어서, 기다란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작동기가 경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35. 제 31 항에 있어서, 연료를 점화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기가 우선 작동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되고, 다음에 작동축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36. 제 32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가압력이 제거될 때, 상기 작동기가 상기 제 2상승위치로 부터 상기 제 1 상승위치로 자동 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37. 연료구분영역을 가지며 길이가 긴 하우징과,
    상기 연료구분영역으로부터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과,
    상기 연료를 점화하기 위한 스파크 발생기구와,
    작동축을 따라 제 1 상승위치로부터 제 2 상승위치까지 상기 작동기의 운동에 의해 상기 스파크 발생기구가 작동되도록, 상기 스파크 발생기구와 작동되게 연결된 작동기, 그리고
    상기 작동기가 작동축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되어질 때까지, 작동축을 따라 상기 제 1 상승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상승위치까지 작동기가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작동기 상의 방해표면(blocking surface)으로 구성된 라이터.
  38. 제 37 항에 있어서, 작동축을 따르는 운동이 방해부재에 의해 방해되는 방해위치를 향해 상기 작동기가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39. 제 31 항에 있어서, 작동축을 따르는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기다란 몸체상에 배열된 방해부재와 상기 방해표면이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적합한 사용자의 이용이 어려운 라이터.
KR10-2000-7002191A 1997-09-02 1998-08-31 아동이용 방지 라이터 Expired - Lifetime KR100438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22,040 US5833448A (en) 1997-09-02 1997-09-02 Child resistant lighter
US08/922,040 1997-09-02
US09/137,308 US5980239A (en) 1997-09-02 1998-08-21 Child resistant lighter
US09/137,308 1998-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3543A KR20010023543A (ko) 2001-03-26
KR100438759B1 true KR100438759B1 (ko) 2004-07-07

Family

ID=2683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2191A Expired - Lifetime KR100438759B1 (ko) 1997-09-02 1998-08-31 아동이용 방지 라이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980239A (ko)
EP (1) EP1009954B1 (ko)
JP (1) JP3571291B2 (ko)
KR (1) KR100438759B1 (ko)
CN (1) CN1114792C (ko)
AT (1) ATE314614T1 (ko)
AU (1) AU730662B2 (ko)
BR (1) BR9811436A (ko)
CA (1) CA2302497C (ko)
DE (2) DE1009954T1 (ko)
ES (1) ES2150893T3 (ko)
PL (1) PL193347B1 (ko)
RU (1) RU2215240C2 (ko)
TW (1) TW542332U (ko)
WO (1) WO1999011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5338B2 (en) 2001-05-29 2004-07-20 Bic Corporation Child-resistant piezoelectric lighter
US6565353B2 (en) * 2001-06-29 2003-05-20 John Jiin Chung Yang Lighter with improved ignition system
US6856074B2 (en) * 2002-03-01 2005-02-15 Bic Corporation Piezoelectric ignition mechanism
USD534681S1 (en) * 2005-01-27 2007-01-02 Big J & J, Inc. Piezoelectric lighter
USD531353S1 (en) * 2005-03-16 2006-10-31 Big J&J, Inc. Piezoelectric lighter
US8653942B2 (en) 2008-08-20 2014-02-18 John Gibson Enterprises, Inc. Portable biometric lighter
RU2477424C1 (ru) * 2011-08-17 2013-03-10 Виталий Витальевич Бояркин Зажигалка с определителем метанола в алкогольных напитках (варианты)
US10502419B2 (en) 2017-09-12 2019-12-10 John Gibson Enterprises, Inc. Portable biometric lighter
USD973264S1 (en) * 2021-03-08 2022-12-20 Vpr Brands, Lp Pocket lighter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9672A (en) * 1963-01-23 1965-02-16 Clayton Corp Of Delaware Locking actuator cap for valved dispenser
US3898031A (en) * 1974-05-17 1975-08-05 Richard Rusakowicz Gas fueled safety lighter
FR2295359A1 (fr) * 1974-12-18 1976-07-16 Colibri Lighters Briquet a generateur piezoelectrique d'allumage du combustible
EP0042039B1 (en) * 1980-06-17 1984-08-01 Canyon Corporation Push-button type sprayer
US4752020A (en) * 1986-05-07 1988-06-21 Franz Grueter Pressurized dispensing container
JPH045891Y2 (ko) * 1987-03-09 1992-02-19
JPH0335975Y2 (ko) * 1987-05-20 1991-07-30
JPH053897Y2 (ko) * 1988-06-07 1993-01-29
US5584682A (en) * 1988-09-02 1996-12-17 Bic Corporatio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with anti-defeat latch
US5456598A (en) 1988-09-02 1995-10-10 Bic Corporatio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US5445518A (en) * 1988-09-02 1995-08-29 Bic Corporatio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US5435719A (en) 1988-09-02 1995-07-25 Bic Corporation Selectively actuatable lighter
US4962869A (en) * 1989-04-11 1990-10-16 Sequist Closures Toggle-acting dispensing closure with impact resistance
US5035608A (en) * 1990-10-10 1991-07-30 Parren Joseph R Safety locking device
JPH0492142U (ko) * 1990-11-30 1992-08-11
FR2674004B1 (fr) 1991-03-13 1995-12-08 Laforest Bic Sa Mecanisme piezo-electrique pour briquets a gaz.
FR2675885B1 (fr) * 1991-04-24 1993-07-16 Cricket Sa Briquet a commande d'allumage par organe coulissant, a l'epreuve des enfants.
FR2687766A1 (fr) * 1992-02-25 1993-08-27 Cricket Sa Briquet a gaz a l'epreuve des enfants.
US5520197A (en) * 1993-07-28 1996-05-28 Bic Corporation Lighter with guard
US5704776A (en) * 1993-12-22 1998-01-06 Polycity Industrial Ltd. Safety lock lighter
US5462432A (en) * 1994-06-17 1995-10-31 Kim; Jin K. Gas lighter with ignition safety device
US5531591A (en) * 1995-03-17 1996-07-02 Tokai Corporation Safety device for use in lighter
KR0114876Y1 (ko) * 1995-03-23 1998-04-16 마고토 이찌가와 안전 잠금장치를 구비한 라이터
FR2743867B1 (fr) * 1996-01-24 1998-03-27 Cricket Sa Briquet actionne par un poussoir deplacable longitudinalement, a l'epreuve des enfants
US5662466A (en) * 1996-04-12 1997-09-02 Cheng; Mei-Jung Safety structure for electronic lighters
US5676537A (en) * 1996-04-23 1997-10-14 Era Intermarketing Co., Inc. Lockable spark generating device for a ligh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314614T1 (de) 2006-01-15
BR9811436A (pt) 2000-08-22
KR20010023543A (ko) 2001-03-26
CA2302497C (en) 2007-02-13
US5980239A (en) 1999-11-09
TW542332U (en) 2003-07-11
EP1009954A4 (en) 2003-03-26
DE69832992D1 (de) 2006-02-02
EP1009954A1 (en) 2000-06-21
CN1114792C (zh) 2003-07-16
CN1278898A (zh) 2001-01-03
AU9212598A (en) 1999-03-22
PL338980A1 (en) 2000-12-04
CA2302497A1 (en) 1999-03-11
EP1009954B1 (en) 2005-12-28
JP3571291B2 (ja) 2004-09-29
DE1009954T1 (de) 2001-03-01
ES2150893T1 (es) 2000-12-16
RU2215240C2 (ru) 2003-10-27
JP2003521660A (ja) 2003-07-15
ES2150893T3 (es) 2006-05-16
AU730662B2 (en) 2001-03-08
HK1026735A1 (en) 2000-12-22
WO1999011981A1 (en) 1999-03-11
DE69832992T2 (de) 2006-08-10
PL193347B1 (pl)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8253B1 (ko) 아동 보호용 라이터
EP1040300B1 (en) Child resistant lighter
KR100438759B1 (ko) 아동이용 방지 라이터
KR100441676B1 (ko) 아동 보호용 라이터
KR100441675B1 (ko)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압전점화기구
US6939128B2 (en) Ignition operating mechanism for slide type lighters
US5931656A (en) Gas lighter with interrupted gas valve actuator means for providing child resistancy
US6234784B1 (en) Portable lighter having igniter device equipped with safety lock mechanism
US6386861B1 (en) Lighter with safety switch
KR20230010278A (ko) 가스라이터 어린이 방지용
HK1026735B (en) Child resistant lighter
JP2004522124A (ja) 撓みラッチ付きのいたずら防止ライタ
MXPA00002148A (en) Child resistant lighter
CZ2000768A3 (cs) Zapalovač
JP2004101018A (ja) スライド式ライターの着火操作機構
HK1024337B (en) Piezoelectric lighter which has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for operation
JP2004101020A (ja) スライド式ライターの着火操作機構
JP2004101017A (ja) スライド式ライターの着火操作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0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9022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