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8209B1 -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209B1
KR100438209B1 KR1020030092009A KR20030092009A KR100438209B1 KR 100438209 B1 KR100438209 B1 KR 100438209B1 KR 1020030092009 A KR1020030092009 A KR 1020030092009A KR 20030092009 A KR20030092009 A KR 20030092009A KR 100438209 B1 KR100438209 B1 KR 100438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tral
thymol
weight
composition
antimicrobi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신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30092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20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1Aldehy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추출물인 카바크롤(Carvacrol), 티몰(Thymol) 및 시트랄(Citral)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구성된 동물용 천연항균제 조성물로 동물의 세균성설사, 기관지 폐렴 또는 유방염의 치료와 예방에 유용한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 항균제 조성물{Complex antimicrobial composition based on carvacrol, thymol, and citral}
본 발명은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추출물인 카바크롤(Carvacrol), 티몰(Thymol) 및 시트랄(Citral)을 일정비율 혼합하여 구성된 천연복합항균제조성물로 동물의 세균성설사, 기관지 폐렴 또는 유방염의 치료와 예방에 유용한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성장 촉진용 항생제 사용을 제한하는 움직임과 함께 유기농 식품이나 항생제가 들어있지 않은 축산물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 화학합성 항균제를 대체할 소재를 찾고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여러 식물에서 얻어지는 카바크롤과 티몰은 주로 세균의 세포벽에 작용하여 세포벽 구조내 단백질을 변성 및 응고시키고, 세포질막에도 작용하여 양이온의 침투성에 변화를 주어 세포의 생식과정에 손상을 주어 결국 죽게 만든다[US6,322,825 B1]. 특히, 세포내 기생하는 병원성미생물에 대해서는 감염된 세포 자체를 탈락시켜 세포와 병원성미생물을 동시에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US 6,322,825 B1]. 또한, 카바크롤과 티몰은 항염증효과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US 6,322,825 B1].
한편, 시트랄은 강한 향기를 갖고 있으며 항균, 항곰팡이 작용이 강하며 일상적으로 많은 음식에 포함되어있는 성분이고 식품첨가물로 허가받은 인체에 무해한 성분이다[경인식약청 제101호].
현재 동물약품 시장에서 판매되어 사용 중인 천연 항균제제로는 씨트러스(citrus)를 이용한 유방염제제가 시판이 되고 있고 경구용 제제로 장내 병원성세균을 죽이는 카바크롤제제가 국내에 시판이 되고 있다. 이들 제품은 모두 단일성분으로 이루어진 제제로 항균효과 및 항염증 작용이 완벽하지 않으며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적절한 향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시트랄을 이용한 동물용 항균제품은 개발이 되지 않았다. 최근에는 카바크롤이 기관지 확장작용이 있어 호흡기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oskabady, 2003].
한편, 동물의 세균감염증에 문제가 되는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동물에 감염되어 설사 및 폐렴을 일으키는 균주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의 획득이 빨라 현재 사용 중인 항생제로는 치료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항생제 저항균주인 포도상구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천연 항균제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동물에서 호흡기병원균인 보데텔라 브론키셉티카(Bodetellabronchiseptica),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옵뉴모니애(Mycoplasma hyopneumoniae) 그리고 동물에서 설사를 유발하는 살로넬라 타이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대장균(Escherichia coli) 등을 시험균주로 하여 새로운 동물용 천연복합 항균제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동물의 장내감염증, 유방염, 소독제로 사용하고자 천연복합 항균제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트랄, 카바크롤 및 티몰을 일정한 비율로 포함하는 동물용 천연복합 항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시트랄(Citral) : 카바크롤(Carvacrol) : 티몰(Thymol)이 1.0 : 0.2 ∼ 0.8 : 0.1 ∼ 0.2(중량비)의 함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항균제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인 카바크롤(Carvacrol), 티몰(Thymol) 및 시트랄(Citral)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새롭게 구성된 동물용 천연복합 항균제 조성물은 동물의 세균성설사, 기관지 폐렴 또는 유방염의 치료와 예방에 유용한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동물이란 닭, 돼지, 소, 말, 개, 오리, 산양 및 면양을 포함한 가축; 송어, 잉어 및 뱀장어를 포함한 담수어류; 또한 광어, 우럭, 도미 및 새우를 포함한 해수어류 등이 포함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제 조성물의 유효성분 중에 하나인 시트랄(Citral)은 자몽 및 여러 식물에서 추출되는 천연물질로 분자량이 152.24로 무색 혹은 엷은 황색의 액체로서 레몬과 같은 향기를 가지고 있어 향료로 사용한다. 또한, 구강청정제로도 이용이 되는 안전한 물질로 그람음성 및 그람양성균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항곰팡이 작용도 나타내는 광범위한 물질이다. 수용액에는 불용성으로 활용에 장애를 갖지만, 알코올에는 용해성이 있어 구강청정제 및 신규 천연항균 조성물로 이용을 하고 있다. 그러나 동물용으로는 개발된 제품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규 동물용 천연복합 항균제 조성물의 유효성분 중 카바크롤과 티몰은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들 성분은 아로마요법으로 사용되는 성분으로 면역증강작용도 있어 질병의 치유 및 예방을 돕게 된다. 특히 카바크롤은 기관지 확장작용이 보고되어 있어 호흡기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Boskaboddy et al, 2003].
따라서, 시트랄, 카바크롤과 티몰의 합제는 서로 상호 보완작용으로 항균작용 이외에 면역촉진작용, 기관지확장작용 및 항염증작용을 갖는 신기능성 신규 천연복합항균제로 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시트랄, 카바크롤과 티몰이 1.0 : 0.2 ∼ 0.8 : 0.1 ∼ 0.2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트랄, 카바크롤과 티몰이 1.0 : 0.2 : 0.1 중량비 미만이면 기관지 확장작용과 항염증작용의 효과가 없어지며, 시트랄, 카바크롤과 티몰이 1.0 : 0.8 : 0.2 중량비를 초과하면 기관지 확장작용과 항염증작용은 증가하나 냄새에 의한 스트레스로 동물의 사료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에 보조성분으로 첨가할 수 있는 안식향산 나트륨(Sodium benzonate)은 방부효과가 있어 의약품 보존제로 사용되는 약물로 본 조성물의 항균작용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안식향산나트륨의 바람직한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1 ∼ 1.0 중량%이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보조성분으로 첨가할 수 있는 알란토인(allantoin : 5-우레이드히단토인)은 우리카아제에 의한 요산의 분해로 생성되는 물질이며, 상처조직의 세포를 부활시키는 상처치유 촉진작용이 있어 시트랄과 상승작용하여 염증의 수복을 더욱 촉진하게 된다. 알란토인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 ∼ 1.0 중량%이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알란토인의 독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보조성분으로 첨가할 수 있는 프로피온산나트륨(Sodium Propionate)은 항진균성 물질로 유방염의 원인이 되는 진균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이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1 ∼ 1.0 중량%이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프로핀온산에 의한 독성의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항염증작용을 하는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덱사메타손인산나트륨 0.005 ∼ 0.5 중량%을 가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잔류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염증부위의 혈관수축, 분비억제 및 진정작용을 위해 항히스타민제가 적당량 첨가될 수 있다. 본 조성물에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로는 인체 및 동물에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보된 항히스타민제가 모두 사용될 수가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염산 트리펠렌아민(Tripelenamine hydrochloride)이 0.01 ∼ 0.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비유기에 사용시 잔류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기제로 유성 연고기제를 비롯한, 유두구를 통한 주입투여에 적당한 다양한 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유성 연고기제로는 바셀린, 식물유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사용 목적에 따라 수용성기제도 사용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소금물 1 ∼ 10 중량%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1 ∼ 10 중량%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항균력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복합제제는 기존의 항생제 및 화학요법제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한 내성균주의 감염증 치료 및 소독제 치료로 사용하고, 감염증 치료는 장내감염증, 호흡기 감염증, 동물의 유방염 예방 혹은 소독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동물에 안전하여 제제에 따라 별도의 휴약기를 요하지 않고 비유기나 건유기의 구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천연 항균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성, 만성 및 준임상형 유방염은 물론 잠재성 유방염에도 효과를 나타내는 유방염의 예방, 치료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합제제는 실제 임상 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캅셀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리그난과 락톤 화합물 및 그의 유도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제제 내 함유량은 체내에서의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배설속도, 연령 및 상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제제의 투여량은 10 ∼ 100 mg/kg, 바람직하게는 20 ∼ 50 ㎎/㎏이며, 하루 1 ∼ 3회 경구투여 혹은 유방내 주입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그람양성균주로 항균제 내성을 가진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KCCM40510, KCCM11593, KCCM41294, KCCM40881 및 KCCM41291의 5 종류를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TC)에서 분양을 받아 항균제 감수성 시험배지인 뮐러힌톤(Muller-Hinton) 배지에 접종하여 37 ℃에서 전 배양을 하였다. 전 배양된 균주를 뮬러힌톤배지에 접종하여 시험배지를 만들고 다음 표 1에 나타낸 성분에 대한 1차 항균작용을 종이디스크를 이용하여 확산법에 의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때 종이디스크에는 다음 표 1에 나타낸 성분 60 ㎕를 흡착시키고 시험배지 위에 올린 다음 37 ℃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18시간 배양 후 저지환을 mm로 측정하여 다음 표 1에 요약하였다.
상기 표 1에서 보여주듯이, 시트랄, 카바크롤, 티몰, 시트랄-카바크롤-티몰복합제 2 보다 복합제 1의 조성물에서 항균활성이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로부터 시트랄, 카바크롤, 티몰 사이에서는 길항작용은 없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시트랄, 카바크롤 및 티몰로 이루어진 천연항균복합제로 항균제 내성균주에 대한 시간별 살균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처리를 하였다. 즉, 배양된 균주의 균수를 측정하고 1 ㎖을 미리 준비된 8 ㎖의 뮐러힌톤 액체배지에 접종하고 동시에 천연항균복합제를 1 ㎖을 첨가하여 접종전, 30분, 60분, 120분 그리고 24 시간에 균의 사멸속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현재 유방염제제에 사용 중인 항생제인 암피실린과 노플록사신을 사용하였다. 균수는NCCLS(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방법에 준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2부터 표 6에 요약하였다.
상기 표 2 내지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항생제인 노플록사신과 암피실린은 내성균주인 포도상구균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카바크롤, 티몰과 시트랄의 복합제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보다 탁월한 항균효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복합제 2 보다 복합제 1의 항균활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들 성분에 대한 적정혼합비율에 따라 항균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동물에서 호흡기병원균인 보데텔라 브론키셉티카(Bodetellabronchiseptica),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옵뉴모니애(Mycoplasma hyopneumoniae) 그리고 동물에서 설사를 유발하는 살모넬라 타이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대장균(Escherichia coli) 등을 항균제 감수성 시험배지인 뮐러힌톤(Muller-Hinton) 배지에 접종하여 37 ℃에서 전 배양을 하였다. 전 배양된 균주를 뮐러힌톤 배지에 접종하여 시험배지를 만들고 다음 표 7에 나타낸 성분에 대한 항균작용을 비교하였다. 뮐러힌톤배지 4 ml에 전배양된 균주액 0.5 ml(1.0 ×109)을 넣고 표 7에 나타난 성분을 각각 0.5 ml을 첨가한 후 하룻밤 배양 후에 균주의 수를 확인하였다. 단, 마이코플라즈마 하이옵뉴모니애는 균 배양의 어려움과 느린 성장으로 인하여 액체배양법으로 측정하여 14일 후에 균의 성장유무는 배지 색의 변화로 로 측정하였다.
상기 표 7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복합제는 호흡기 및 소화기 감염증 원인균에 대하여 탁월한 항균 효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시트랄, 카바크롤, 티몰의 복합제제는 시트랄, 카바크롤, 티몰 단독제제보다 호흡기 질병 원인균인 마이코플라즈마균에 대한 항균효과는 매우 탁월하였다. 또한, 복합제 2 보다 복합제 1의 항균효과가 매우 탁월하였다. 따라서 시트랄, 카바크롤, 티몰의 배합비율에 따라 상당한 항균력의 차이점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4: 천연복합 항균제와 보조성분 첨가시 항균작용
다음 표 8에 기술한 5가지 보조성분을 추가하여 항균활성을 4가지 균주에서측정하였다.
그 결과, 보조성분으로 소금이 3% 추가된 복합제 3번에서 가장 탁월한 항균활성을 보여주었다. 시험한 5가지의 모든 복합제에서 보조성분에 의한 항균활성의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5: 체세포 감소시험
복합제(시트랄 : 카바크롤 : 티몰 = 1:0.7:1.8)를 유방염에 걸린 젖소 2마리에 20 ml을 12시간 간격으로 3 차례에 걸쳐 투입하였다. 약제 투입 전 50 ml시료를 채취하여 체세포수(Cells/ml)측정하였으며, 다음 표 9에 나타난 시간에 따라 체세포의 감소여부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체세포의 측정은 포스마틱-90 (FOSSMATIC-90, 덴마크)의 체세포 기기로 수행하였다.
상기 표 9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천연복합 항균제제는 유방염이 걸린 2마리 소에서 체세포의 감소가 36시간 이후에는 90% 이상을 보여주는 탁월한 체세포 감소효과를 보여주었다.
실시예 5: 독성실험
ICR 마우스(body weight : 25 ∼ 30 g, 단위 용량 당 수컷 각각 5마리에 대해 복합제(시트랄 : 카바크롤 : 티몰 = 1 : 0.7 : 0.18)를 2,000 mg/Kg, 680 mg/Kg, 230 mg/Kg 및 75 mg/Kg 단위로 1회 경구독성투여를 실시하고 2주일간 간격으로 육안 관찰하였다. 또한, 약물 투여 종료 후 2주간의 사망률 관찰, 일반증상 관찰, 체중측정을 하였고 부검하여 각 장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기 복합제의 LD50은 2,000 mg/kg 이상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용량에서 특이한 증상은 보이지 않았고 부검 결과 역시 대조군과 변화가 없었다.
제조예 1: 동물용 경구투여 분말제의 제조
동물용 소화기 감염증 예방 및 치료제를 위한 천연복합항균제(시트랄 : 카바크롤 : 티몰 = 1 : 0.7 : 0.18) 50 g을 락토오스 50 g, 결정성 셀룰로오스 20 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0 g과 함께 섞었다. 이 혼합물을 사료 부형제와 혼합하여 직경 0.01 ∼ 0.1 cm 적당한 크기로 펠렛 사료로 만들어 제제화하였다. 사용은 복합제제 500 g을 사료 1 톤에 혼합하여 보조 사료로 투여하였다.
상기 분말제의 구성성분은 다음과 같다.
유효성분 ············ 50 g
락토오스 ·············50 g
결정성 셀룰로오스·········20 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10 g
보조성분 ······· 적량
부형제 (말분) ······· 잔부
제조예 2 : 유방염 주사액제의 제조
젖소의 유방염 예방 및 치료제를 위한 천연복합 항균제(시트랄 : 카바크롤 : 티몰 = 1.0 : 0.7 : 0.18)는 다음에 표시된 처방으로 7.5 g을 1개의 주사기에 넣어서 한 개의 유방 안으로 건유기 혹은 비유기에 1회 주입한다.
상기 유방염제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천연복합 항균제 ·············· 1 ∼ 5 g
안식향산 나트륨 ·············· 0.01 ∼ 0.1 g
알란토인 ················· 0.1 ∼ 1 g
프로피온산나트륨 ··············0.1 ∼ 0.3 g
염산 트리페렌아민 ············· 0 ∼ 0.02 g
소금 ················· 3 g
수용성기제 혹은 식물성기름 ·········적량
증류수 잔부
(전체 100 g)
제조예 3: 동물용 호흡기 질병치료 분사제의 제조
동물용 호흡기 감염증 예방 및 치료제를 위한 천연복합 항균제(시트랄 : 카바크롤 : 티몰 = 1.0 : 0.7 : 0.18)를 코를 통하여 분사시키거나 실내에서 자동조절장치에 장착을 하여 시간에 따라 분사하는 장치에 장착을 하였다. 이는 축사 전문 소독용으로 제작된 장치로서 약제의 미세분사를 통하여 축사의 구석구석의 소독을 쉽게 할 수 있어 가축의 피부질환, 각종 전염병(구제역, 콜레라, 오제스크병)등을 조기에 방제할 수 있으며, 동물의 호흡기 질환 등을 방지함으로써 질병의 예방과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분사제의 구성비는 다음과 같다.
복합제(시트랄:카바크롤:티몰 = 1.0:0.7:1,8) 1 ∼ 5 g
안식향산 나트륨 0.01 ∼ 0.1 g
에틸알콜 적당량
증류수 잔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조성물은 동물의 소화기감염증, 호흡기감염증, 유방염의 원인이 되는 세균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사멸시키는 항균작용과 체세포수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항균제에 내성을 갖고 있는 포도상구균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어 항균제 치료제에 대한 2차적인 선택 균제제로 치유효과 및 예방효과를 높힐 수 있다.

Claims (5)

  1. 시트랄(Citral) : 카바크롤(Carvacrol) : 티몰(Thymol)이 1.0 : 0.2 ∼ 0.8 : 0.1 ∼ 0.2(중량비)의 함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천연복합 항균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보조성분으로 안식향산나트륨(Sodium benzonate) 0.01 ∼ 1 중량%, 알란토인 0.1 ∼ 1.0 중량%, 프로피온산나트륨 (Sodium Propionate) 0.1 ∼ 1 중량%, 덱사메타손 인산나트륨 0.005 ∼ 0.5 중량%, 염산 트리펠렌아민(Tripelenamine hydrochloride) 0.01 ∼ 0.1 중량%, 소금물 1 ∼ 10 중량% 및 프로필렌글리콜 1 ∼ 10 중량%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천연복합 항균제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2의 천연복합 항균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투여용 약제.
  4. 청구항 1 또는 2의 천연복합 항균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주사제.
  5. 청구항 1 또는 2의 천연복합 항균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독용 분사제.
KR1020030092009A 2003-12-16 2003-12-16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균제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438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009A KR100438209B1 (ko) 2003-12-16 2003-12-16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균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009A KR100438209B1 (ko) 2003-12-16 2003-12-16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균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8209B1 true KR100438209B1 (ko) 2004-07-02

Family

ID=3734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009A Expired - Fee Related KR100438209B1 (ko) 2003-12-16 2003-12-16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2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979B1 (ko) * 2005-07-27 2007-02-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감염증 및 항염증 작용에 대한 예방 치료용 조성물 및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무좀치료제
KR100796312B1 (ko) 2007-05-23 2008-01-21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게라니얼,네랄 및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소독제 조성물
US8635873B2 (en) 2009-02-27 2014-01-28 D2Bg Llc Compressed gas-driven device with passive thermodynamic composition
US8833078B2 (en) 2009-02-27 2014-09-16 D2Bg Llc Compressed gas-driven device with passive thermodynamic composition
KR101828128B1 (ko) * 2015-10-13 2018-03-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염화나트륨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방법
WO2019233496A1 (zh) * 2018-06-08 2019-12-12 湖南晶天科技实业有限公司 肉桂醛和/或尿囊素在替代乳仔猪饲料中高锌的应用及饲料添加剂或添加剂预混料、饲料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979B1 (ko) * 2005-07-27 2007-02-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감염증 및 항염증 작용에 대한 예방 치료용 조성물 및이를 이용하여 얻어진 무좀치료제
KR100796312B1 (ko) 2007-05-23 2008-01-21 주식회사 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게라니얼,네랄 및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소독제 조성물
US8635873B2 (en) 2009-02-27 2014-01-28 D2Bg Llc Compressed gas-driven device with passive thermodynamic composition
US8833078B2 (en) 2009-02-27 2014-09-16 D2Bg Llc Compressed gas-driven device with passive thermodynamic composition
KR101828128B1 (ko) * 2015-10-13 2018-03-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염화나트륨 및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용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방법
WO2019233496A1 (zh) * 2018-06-08 2019-12-12 湖南晶天科技实业有限公司 肉桂醛和/或尿囊素在替代乳仔猪饲料中高锌的应用及饲料添加剂或添加剂预混料、饲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8625B2 (ja) 抗微生物組成物
US20130085137A1 (en) Topical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190269634A1 (en) Volatile Organic Compound Formulation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KR20190133561A (ko) 유제놀 및 갈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US9474729B2 (en) Topical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0707988B1 (ko) 젖소 유방염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복합항생제 조성물
US11285122B2 (en) Volatile organic compound formulation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CN109223736A (zh) 防治动物腐蹄病的组合物、药物及其制备方法
KR102171948B1 (ko) 허브 혼합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0438209B1 (ko) 카바크롤, 티몰 및 시트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합항균제 조성물
KR20200086988A (ko) 바이칼레인 및 워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0796312B1 (ko) 게라니얼,네랄 및 유게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물용소독제 조성물
JP2023518928A (ja) バイオフィルムの形成を妨害する為の且つバイオフィルム関連障害を処置する為の組成物
WO2020069407A1 (en) Volatile organic compound formulation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CN108815151A (zh) 月桂酰精氨酸乙酯作为饲料添加剂的用途
CN104957190A (zh) 畜牧养殖用杀菌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US7476379B1 (en) Emu-based formulations for the treatment of damaged skin by inhibiting microbial and fungal activity
KR102252009B1 (ko) 비자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또는 살균용 조성물
US6998109B1 (en) Emu-based formulations with lidocaine for wound treatment by inhibiting microbial activity
RU2753606C1 (ru)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ое гуминовое средство
KR102208837B1 (ko) 메틸 갈레이트 및 플로로퀴놀론 계열 항균제를 포함하는 박테리아의 장 부착, 침입 억제, 또는 항생제 내성 억제용 조성물
US12097173B2 (en) Volatile organic compound formulation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CN108992437A (zh) 月桂酰精氨酸乙酯作为兽用抗菌剂的用途
KR102430080B1 (ko) 메틸 갈레이트 및 틸로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70038214A (ko) 당산 및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2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