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757B1 - memory managemnet method, which is for vocoder - Google Patents
memory managemnet method, which is for voco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37757B1 KR100437757B1 KR10-1998-0055622A KR19980055622A KR100437757B1 KR 100437757 B1 KR100437757 B1 KR 100437757B1 KR 19980055622 A KR19980055622 A KR 19980055622A KR 100437757 B1 KR100437757 B1 KR 1004377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coder
- memory
- signal processing
- channels
- chan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285—Memory allocation or algorithm optimisation to reduce hardware requi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에 있어서, 특히 하나의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Digital Signaling Processor)로 여러 개의 보코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보코더용 메모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코더용 메모리 관리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보코더 채널 중 요구되는 해당 보코더 채널에 대한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프로세서에 상기 다수의 보코더 채널의 각 신호처리를 위한 메모리 영역을 미리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보코더 채널이 필요로 하는 해당 메모리를 사용하고자 할 때 특정 보코더 채널의 신호처리를 위해 지정되지 않은 공용 메모리 영역에 그 해당 메모리의 내용을 복제하여 사용하는 단계와; 변경된 공용 메모리의 내용을 해당 메모리에 복제하여 해당 메모리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용 메모리의 내용을 공용 메모리 영역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mobile commun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coder memory management method adapted to execute several vocoder programs with on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DSP), and the vocoder mem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for encoding and decoding a corresponding vocoder channel among a plurality of vocoder channe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a memory for processing each signal of the plurality of vocoder channels to a processor in charge of the signal processing; Specifying an area in advance; Copying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memory into a common memory area which is not designated for signal processing of a specific vocoder channel when using the corresponding memory required by each vocoder channel; Updating the memory by duplicating the changed contents of the common memory in the memory; And deleting the contents of the common memory from the common memory area.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로 여러 개의 보코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보코더용 메모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obile communicatio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ocoder memory management method adapted to execute several vocoder programs with on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DSP).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에서는 셀렉터/보코더 카드(Selector/Vocoder Card)를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에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호 설정 및 호 해제를 위한 망 조정 역할을 담당한다.In general, in mobile communication, a selector / vocoder card is provided in a base station controller, which plays a role of network coordination for call setup and call release.
특히 보코더(Vocoder)는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를 필요로 하며,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는 각 보코더 프로그램(Vocoder Program)을 실행시켜 발생된 호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In particular, a vocoder requires a plurality of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s (DSPs) to perform encoding and decoding, an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DSP) executes each vocoder program for a call generated. Perform signal processing.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는 주로 음성 코덱(Voice CODEC) 및 채널 코덱(Channel CODEC)에 대한 신호처리를 실행하며,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는 이를 위해 해당 보코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다.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DSP) mainly performs signal processing for a voice codec and a channel codec,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DSP) has a memory for executing a corresponding vocoder program for this purpose. Doing.
하나의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는 하나의 호에 대해서만 신호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즉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는 하나의 호에 대해서만 신호처리를 수행하므로, 하나의 보코더 채널이 필요로 하는 메모리만으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On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DSP) performs signal processing for only one call. That is, since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DSP) performs signal processing for only one call,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only with memory required by one vocoder channel.
이와 같이 종래에는 한 개의 DSP가 한 개의 보코더 프로그램만을 실행하게 되므로, 한 개의 호에 대해서만 신호처리가 가능하였다.As described above, since one DSP executes only one vocoder program, signal processing is possible for only one call.
그러나, DSP의 성능이 강화되어 하나의 DSP로 다수의 보코더 프로그램의 수행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따라서 멀티 채널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해 다수의 보코더 프로그램을 실행토록 하는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의 메모리 관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However, the performance of the DSP has been enhanced to enable the execution of multiple vocoder programs with a single DSP. Therefore, the memory management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to execute a plurality of vocoder programs for a multi-channe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need is growing.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멀티 채널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해 다수의 보코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의 메모리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memory management method of a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used to execute a plurality of vocoder programs for a multi-channe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t is for.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코더용 메모리 관리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보코더 채널 중 요구되는 해당 보코더 채널에 대한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프로세서에 상기 다수의 보코더 채널의 각 신호처리를 위한 메모리 영역을 미리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각 보코더 채널이 필요로 하는 해당 메모리를 사용하고자 할 때 특정 보코더 채널의 신호처리를 위해 지정되지 않은 공용 메모리 영역에 그 해당 메모리의 내용을 복제하여 사용하는 단계와; 변경된 공용 메모리의 내용을 해당 메모리에 복제하여 해당 메모리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용 메모리의 내용을 공용 메모리 영역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emory management method for a voco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for encoding and decoding the corresponding vocoder channel required of a plurality of vocoder channel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 A method of performing a method comprising: specifying a memory area for each signal processing of the plurality of vocoder channels to a processor in charge of the signal processing; Copying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memory into a common memory area which is not designated for signal processing of a specific vocoder channel when using the corresponding memory required by each vocoder channel; Updating the memory by duplicating the changed contents of the common memory in the memory; And deleting the contents of the common memory from the common memory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보코더 채널이 상기 공용 메모리 영역에 공통으로 포인터를 지정하게 된다.Advantageously, said plurality of vocoder channels assign a pointer to said common memory area in common.
또한, 다수의 보코더 채널의 각 신호처리를 위한 메모리 영역에는 상기 각 보코더 채널이 해당 메모리를 필요로 할 때 상기 지정된 해당 메모리 영역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각 보코더 채널은 해당 메모리 영역에 각각 포인터를 지정하게 된다.In addition, each vocoder channel assigns a pointer to a corresponding memory area so that each of the vocoder channels can use the designated memory area when the vocoder channel needs the memory. .
상기 다수의 보코더 채널이 일정한 각각의 시작 옵셋을 가지며, 이로 인해각각 자신의 해당 메모리 영역으로 액세스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vocoder channels have their respective constant start offsets, thereby allowing access to their respective memory region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관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em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관리 방법에 대한 또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m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130 : 보코더 채널(Vocoder channel)100 to 130: Vocoder channel
200 : 공용 메모리 영역200: common memory area
300∼330 : 보코더 채널 메모리300 to 330: Vocoder channel memory
400 : 메모리 관리자400: memory manag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멀티 채널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전제로 한 것이며, 보코더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가 다수의 보코더 채널에 대한 각 보코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 multi-channel, and focuses on the fact that a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in charge of signal processing for encoding and decoding a vocoder can execute each vocoder program for a plurality of vocoder channels. have.
따라서, 이러한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가 다수의 보코더 채널에 대한 각 보코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구비한 메모리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본 발명의 핵심이다.Therefore,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w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manages a memory provided for executing each vocoder program for a plurality of vocoder channel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관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em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는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의 내부에 구비된 롬(ROM)에 할당되어 있는 여러 보코더 채널(10,11,12,13)이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의 내부에 구비된 램(RAM)(이하, 메모리라 명칭함)에 액세스 되도록 구현된다.Referring to FIG. 1, this indicates that several vocoder channels 10, 11, 12, and 13 allocated to a ROM included in a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DSP) are located inside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DSP). It is implemented to access the provided 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memory).
메모리는 여러 보코더 채널(10,11,12,13)에 대한 부호화 및 복호화를 실현하기 위한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여러 보코더 채널에 대한 해당 메모리 영역(20,21,22,23)이 각각 지정되어 있다. 여기서 여러 보코더 채널에 대한 해당메모리 영역(20, 21, 22, 23)이 각각 지정되어 있다고 하는 것은 초기 시각(initial time)에 각각의 보코더 채널을 위한 변수 영역을 할당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memory is designated by the corresponding memory regions 20, 21, 22, and 23 for the various vocoder channels so that signal processing for encoding and decoding of the various vocoder channels 10, 11, 12, and 13 can be performed. It is. Herein, the corresponding memory regions 20, 21, 22, and 23 for each of several vocoder channels are designated, respectively, which means that a variable region for each vocoder channel is allocated at an initial time.
만약 여러 보코더 채널(10,11,12,13) 중 어느 하나가 보코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자 할 때는 자신의 해당 메모리 영역에 포인터를 지정하여 사용하며, 이들 여러 보코더 채널(10,11,12,13)들은 일정한 시작 옵셋(offset)을 가지고 해당 메모리 영역에 액세스 한다.If any one of the vocoder channels 10, 11, 12, and 13 wants to execute a vocoder program, it designates a pointer in its memory area and uses these vocoder channels (10, 11, 12, 13). They access the memory area with a constant starting offset.
포인터(pointer)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정보 처리에 있어서 어떤 데이터 자체가 아니라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기억 장소의 위치 또는 주소를 나타내는 변수(variable)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포인터는 그 데이터에 대한 기억 장소를 동적으로 할당하고 해제(deallocate)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 pointer is a variable that represents the location or address of a storage location where data is stored, rather than any data itself in a computer program or information processing. A pointer is a dynamic representation of the storage location for that data. It is responsible for allocating and deallocating.
그러나,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를 사용하면, 여러 보코더 채널(10,11,12,13)이 각각 자신의 메모리 영역에 액세스하기 위한 일정 시작 옵셋을 가져야 하므로, 기존에 사용하던 보코더 프로그램의 메모리 액세스 관련 부분을 모두 수정해야 한다.However, when the memory is used as shown in FIG. 1, since several vocoder channels 10, 11, 12, and 13 must each have a predetermined start offset for accessing their memory area, the vocoder program used in the existing You need to modify all aspects of memory access.
이에 따라 프로그램의 크기가 증가되어 실행 속도의 추가와 디버깅(Debugging)이 따르게 된다.This increases the size of the program, resulting in additional execution speed and debugging.
이를 보완한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의 메모리 관리 방법을 이하 설명한다.The memory management method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DSP) complementing this is described below.
이하 설명될 메모리 관리 방법의 핵심은 디지털 프로세서(DSP)의 메모리에는도 1 과 같이 여러 보코더 채널에 대한 해당 메모리 영역이 각각 있으며, 메모리에 공용 메모리 영역을 따로 두고 여러 보코더 채널들이 이 공유 메모리 영역에 공통으로 포인터를 지정하여 액세스 된다는 것이다.The core of the memory management method to be described below is that the memory of the digital processor (DSP) has a corresponding memory area for each of several vocoder channels, as shown in FIG. It is commonly accessed by specifying a pointer.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관리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m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도 1 과 같이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의 내부에 구비된 롬(ROM)에 할당되어 있는 여러 보코더 채널(100,110,120,130)이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SP)의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RAM)(200,300,310,320,330)에 액세스 되도록 구현된다.Referring to FIG. 2,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vocoder channels 100, 110, 120, and 130 allocated to a ROM included in a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DSP) are provid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DSP). (RAM) 200, 300, 310, 320, 330 is implemented to access.
여기서 메모리(200,300,310,320,330)는 여러 보코더 채널(100,110,120,130)에 대한 부호화 및 복호화를 실현하기 위한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공유 메모리 영역(200)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여러 보코더 채널(100,110,120,130)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The memory 200, 300, 310, 320, 330 has a shared memory area 200 to perform signal processing for realizing encoding and decoding of various vocoder channels 100, 110, 120, and 130. Perform the process.
만약 여러 보코더 채널(100,110,120,130) 중 어느 하나가 보코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자 할 때는 여러 보코더 채널(100,110,120,130)이 모두 공유 메모리 영역(200)에 포인터를 지정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보코더 채널이 필요로 하는 해당 메모리 영역을 공용 메모리 영역(200)에 복제한 후 해당 보코더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If any one of the vocoder channels 100, 110, 120, and 130 wants to execute a vocoder program, since all of the vocoder channels 100, 110, 120, and 130 all specify pointers to the shared memory area 200,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that the vocoder channel requires Is copied to the common memory area 200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vocoder program.
이 보코더 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되면, 변경된 공용 메모리 영역(200)의 내용을 해당 메모리에 복제하여 해당 메모리를 갱신한 후 공용 메모리 영역(200)에복제된 메모리를 삭제하고, 다음 보코더 채널을 위한 해당 메모리 영역을 공용 메모리 영역(200)에 복제하여 사용한다.When the execution of the vocoder program is finished, the contents of the changed common memory area 200 are copied to the corresponding memory to update the corresponding memory, and then the memory copied to the common memory area 200 is deleted, and the corresponding vocoder channel for The memory area is duplicated and used in the common memory area 200.
즉, 각각의 보코더 프로그램의 실행 시작시 자기의 변수 영역의 변수들을 공용 메모리 영역(200)에 복사하고 보코더 프로그램의 실행이 끝나면 다시 공용 메모리 영역(200)에서 사용한 변수들을 자기의 메모리 영역(300, 310, 320, 330)에 복사하는 작업을 수행한 후 공용 메모리 영역(200)에 복제된 메모리를 삭제한다.That is, at the start of execution of each vocoder program, variables of its own variable area are copied to the common memory area 200, and when the execution of the vocoder program is finished, the variables used in the common memory area 200 are again stored in the memory area 300. After copying to 310, 320, and 330, the memory duplicated in the common memory area 200 is deleted.
지금까지 설명한 메모리 관리 방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들 보코더 채널 메모리(300∼330)를 공용 메모리 영역(200)에 복제 및 삭제하는 작업을 메모리 관리자(400)가 수행하며, 일반적으로 메모리 관리자(400)는 스케쥴러(Scheduler)이다.In order to realize the memory management method described above, the memory manager 400 performs a task of duplicating and deleting these vocoder channel memories 300 to 330 in the common memory area 200, and in general, the memory manager 400. Is a scheduler.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의 보코더 채널마다 신호처리를 위한 자신의 메모리 영역을 지정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멀티 채널을 사용할 경우에도 다수의 보코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효과적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esignates and uses its own memory area for signal processing for each of a plurality of vocoder channels, and thus is effective in executing a plurality of vocoder programs even when using multiple channels.
또한,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프로세서에 다수의 보코더 채널의 각 신호처리를 위한 메모리 영역을 미리 지정하고 각 보코더 채널이 필요로 하는 해당 메모리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특정 보코더 채널의 신호처리를 위해 지정되지 않은 공용 메모리 영역에 그 해당 메모리를 복제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보코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속도가 향상되며 기존에 사용되던 보코더를 수정하지 않고도 사용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a memory area for each signal processing of a plurality of vocoder channels is designated in advance to a processor in charge of a signal processing and a corresponding memory required for each vocoder channel is used, it is not designated for signal processing of a specific vocoder channel. Since the corresponding memory is copied and used in the common memory area, the speed of executing the vocoder program is improved and it can be used without modifying the existing vocoder.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55622A KR100437757B1 (en) | 1998-12-17 | 1998-12-17 | memory managemnet method, which is for voco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55622A KR100437757B1 (en) | 1998-12-17 | 1998-12-17 | memory managemnet method, which is for voco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40077A KR20000040077A (en) | 2000-07-05 |
KR100437757B1 true KR100437757B1 (en) | 2004-08-16 |
Family
ID=1956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55622A Expired - Fee Related KR100437757B1 (en) | 1998-12-17 | 1998-12-17 | memory managemnet method, which is for voco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3775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8965B1 (en) * | 2001-10-29 | 2004-0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ssage Transfering Method For Multi-channel Realtime Speech Coder/Decoder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653847A2 (en) * | 1993-11-16 | 1995-05-17 | AT&T Corp. | Digital processor and viterbi decoder having shared memory |
KR950035101A (en) * | 1994-05-26 | 1995-12-30 | 양승택 | Multichannel Audio Encoder System and Encoding Method |
KR970055611A (en) * | 1995-12-23 | 1997-07-31 | 양승택 | Audio Encoder Using Parallel Digital Signal Processor |
KR0130008B1 (en) * | 1988-04-22 | 1998-04-15 | 그레고리 한슈 | Filesystems Used in Multiple Storage Systems |
KR19980036293A (en) * | 1996-11-18 | 1998-08-05 | 양승택 | How to assign selector / vocod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KR19990005931A (en) * | 1997-06-30 | 1999-01-25 | 윤종용 | Voice processing module for E1 / T1 using DSP chip |
-
1998
- 1998-12-17 KR KR10-1998-0055622A patent/KR10043775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0008B1 (en) * | 1988-04-22 | 1998-04-15 | 그레고리 한슈 | Filesystems Used in Multiple Storage Systems |
EP0653847A2 (en) * | 1993-11-16 | 1995-05-17 | AT&T Corp. | Digital processor and viterbi decoder having shared memory |
KR950035101A (en) * | 1994-05-26 | 1995-12-30 | 양승택 | Multichannel Audio Encoder System and Encoding Method |
KR970055611A (en) * | 1995-12-23 | 1997-07-31 | 양승택 | Audio Encoder Using Parallel Digital Signal Processor |
KR19980036293A (en) * | 1996-11-18 | 1998-08-05 | 양승택 | How to assign selector / vocod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KR19990005931A (en) * | 1997-06-30 | 1999-01-25 | 윤종용 | Voice processing module for E1 / T1 using DSP chip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Int. conf. on circuits and Systems, June 1991, pp 774-777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40077A (en) | 2000-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021449B (en) | Coroutine implementation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RU2000125235A (en) | MULTIMEDIA TERMINAL FOR MANY USERS | |
US20230367637A1 (en) | Shared memory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 |
CN101834608B (en) | Multichannel decoder-coder operation method and device | |
CN113010453A (en) | Memory management method, system,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
CN109408226A (en) |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device | |
CN110489356B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WO2024021096A1 (en) | Data sharing method and device | |
CN115576716A (en) | A Method of Memory Management Based on Multi-Process | |
CN112799832A (en) | A memory allocation control method, device, device and storage medium | |
KR100437757B1 (en) | memory managemnet method, which is for vocoder | |
CN104657218A (en) | Multi-operation system op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 |
JP2002189633A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memory in virtual space | |
CN117056031B (en) | Cross-container dynamic library sharing method based on virtual process | |
HK40057549A (en) | Processor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equipment | |
US6457113B1 (en) | Memory management apparatus in a multi-channel signal processor | |
KR100446514B1 (en) | Method for executing real time task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 |
JPH06315035A (en) | Call control task hunt system | |
KR100288063B1 (en) | The method of call trace for V5.2 analog subscriber | |
JP2003248620A (en) | Dynamic memory management method and dynamic memory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KR100359212B1 (en) | Method for discriminating digital signal processor in imt-2000 | |
CN115373872A (en) | Method, device and medium for improving IROS system throughput | |
JPS60134940A (en) | Register selection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 |
CN119806790A (en) | Memory alloc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JPH0337748A (en) | External storage accessing system utilizing main stor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5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406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5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4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