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7553B1 - 안전 주사기 - Google Patents

안전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553B1
KR100437553B1 KR10-2002-0016651A KR20020016651A KR100437553B1 KR 100437553 B1 KR100437553 B1 KR 100437553B1 KR 20020016651 A KR20020016651 A KR 20020016651A KR 100437553 B1 KR100437553 B1 KR 100437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barrel
neck portion
plunger
wall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773A (ko
Inventor
우 순 황
Original Assignee
우 순 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 순 황 filed Critical 우 순 황
Priority to KR10-2002-0016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553B1/ko
Publication of KR20030077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55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5/31513Piston constructions to improve sealing or sl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안전주사기는 배럴의 네크부의 내부 단턱면에 기밀하게 맞닿는 견부를 갖고 네크부에 삽입되어 네크부 앞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허브를 포함한다. 네크부의 내벽면은 허브의 외벽면에 상응하여, 이들 접촉면이 상호간에 기밀하게 접촉한다. 안전주사기의 플런저 전단부에는 허브와 맞닿는 홈파인 콘이 제공되어, 사용된 허브를 플런저를 통해 뒤로 당길 수 있다. 콘에 형성된 홈으로 인해 배럴 전단부에 잔류한 액체약품이 플런저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도 허브 안으로 유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주사기{Safety syringe}
옛날에는 의료분야에서 한번 사용된 주사기라도 재사용을 위해 철저히 살균처리하곤 했다. 그러나, 살균이 불완전하면 환자 및/또는 일반 제3자의 2차 감염의 위험이 있다. 이런 2차 감염을 피하기 위해, 한번만 사용하는 일회용 주사기가 개발되었다. 일회용 주사기는 종래의 주사기의 불완전 살균으로 인한 2차 감염 문제는 피할 수 있지만, 간호원이나 청소부를 불시에 찔러 다른 형태의 감염이나 상처를 입힐 수도 있는 폐기된 주사바늘을 보호하는 수단은 전혀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형태의 안전주사기가 개발되었다. 미국특허 5,899,887, 6,033,385, 5,569,203에는 한번 사용된 주사기를 폐기하기 전에 사용된 주사바늘과 허브를 배럴 안으로 잡아당겨 사용된 주사기가 불시에 다른 사람을 찔러 불필요한 감염이나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하는 특별한 방식으로 배럴과 허브가 연결되어 있는 안전주사기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주사기들을 개량한 종래의 어떤 안전주사기도 구조적으로 한번 사용한 주사바늘과 허브를 뒤로 당기는데 문제가 있다. 안전주사기는 기본적이면서도 매우 중요한 다음 3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a) 허브가 배럴에 견고히 연결되어야 한다. (b) 한번 사용한 주사기의 허브를 배럴 안으로 당길 수 있어야 한다. 또, 가장 중요한 것이지만, (c) 허브와 배럴 사이에 아주 빈틈없는 기밀 조인트가 이루어져야 한다. 안전주사기를 설계하는데 있어 부딪치는 공통적인 문제는, 허브와 배럴이 견고히 연결됨은 물론 허브와 배럴 사이에 기밀 조인트를 형성하는 조건들을 특히 강조할 경우, 사용된 주사기의 허브를 쉽게 뒤로 당기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사용된 주사기의 허브를 뒤로 쉽게 당기는 조건을 강조하면,허브와 배럴 사이의 견고하고도 기밀한 연결을 희생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허브를 뒤로 당길 수 있는 종래의 안전주사기의 3가지 경우를 도 1a 내지 1c에 도시한다. 이들 주사기에는 허브와 맞물리는 전방돌출 콘이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런저와 배럴이 있기 때문에, 플런저가 허브와 맞물리면 플런저를 뒤로 당겨 허브를 주사기 배럴 안으로 당길 수 있다. 이런 종래의 안전주사기의 실제 사용시, 플런저가 밀려 배럴의 전단부에 닿고 돌출된 콘이 허브의 후단부와 접촉하기 시작하면, 배럴내의 액체약품을 허브로 보내는 통로를 돌출 콘의 전단부가 폐쇄하고, 폐쇄된 공간이 플런저와 배럴 전단부 사이에 형성된다. 이 때, 폐쇄공간에 남아 있는 액체약품의 일부는 허브로 들어가지 않고 콘과 허브의 더이상의 결합을 방해한다. 따라서, 이런 결합을 이루려면 더 밀어야 하고, 불가피하게 주사기로 주사하는 도중에 흔들림이 생겨 환자를 불편하게 한다. 더 나쁜 상태는, 콘이 허브와 전혀 결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c는 미국특허 5,569,203의 안전주사기를 보여주는데, 배럴내의 잔류 액체약품에 의해 콘과 허브의 결합이 방해된다. 도 1a, 1b에는 각각 미국특허 5,569,203을 개량한 미국특허 5,899,887 및 6,033,385의 안전주사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안전주사기에는 후방 원주벽에 콘 삽입공이 형성되고 내벽면에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경사진 탭들이 형성된 허브가 있다. 그러나, 이런 구성의 주사기는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한 사출성형 측면에서 제작이 곤란하다. 설사 이런 주사기를 성형할 수 있다 해도, 콘과 허브의 오결합을 방지할 수단이 콘과 탭 사이에 전혀 없다. 따라서, 배럴내의 액체약품을 주사하기 전에 플런저를 앞으로 밀어 배럴에서 공기를 배출할 때 플런저가 허브와 잘못 결합될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기존의 안전주사기의 이런 단점들을 해결하는 개량된 안전주사기를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일단 허브를 후방에서 배럴에 삽입한 뒤에는 허브가 배럴 전단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허브와 배럴 사이의 기밀 조인트를 확보하도록 허브와 배럴을 서로 연결한 안전주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럴에 대해 견고하고 기밀하게 허브를 연결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를 형성하는 캡을 허브에 씌우는 안전주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배럴에 전방 네크부가 형성되고, 허브의 형상과 크기는 배럴의 네크부에 억지 끼워맞춤되어 네크부의 내벽면과 허브의 외벽면 사이에 기밀 접촉을 보장하는 안전주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런저 전단부에 홈이 파인 콘을 제공하고, 플런저의 콘을 결합하기 위한 삽입공을 허브에 형성하여, 플런저를 앞으로 밀어 콘이 허브의 후단부를 닫기 시작할 때 플런저와 허브 사이의 배럴의 전단부에 남아 있는 액체약품을 콘에 형성된 홈을 통해 허브 안으로 밀어넣도록 함으로써, 플런저가 부드럽게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콘이 허브의 삽입공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안전주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허브 후단부에서 앞으로 소정 위치에 삽입공을 형성하고, 플런저 전단부에 이 삽입공에 맞물리는 콘을 제공하여, 플런저를 앞으로 밀어 배럴내의 액체약품을 주사하기 전에 배럴에서 공기를 배출할 때, 콘이 허브의 후단부에 먼저 접촉하여 조작자에게 플런저를 더 밀지 않도록 경고할 수 있는 안전주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렇게 하면 허브와 콘의 오결합을 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종래의 안전주사기의 전개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다른 안전주사기의 조립단면도;
도 1c는 종래의 또다른 안전주사기의 전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주사기의 부분 전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주사기의 캡과 배럴과 허브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주사기의 캡을 씌운 허브와 배럴이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조립된 허브와 배럴로부터 캡이 제거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안전주사기의 플런저를 완전히 앞으로 밀어 허브의 콘에 걸리도록 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안전주사기의 플런저에 의해 사용된 주사바늘을 배럴 안으로 잡아당긴 상태의 허브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부분 전개사시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주사기는 배럴(1), 배럴(1) 내에 움직일 수 있게 삽입된 플런저(2), 배럴(1)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허브(3), 및 허브(3)에 씌워지는 캡(4)을 포함한다.
도 3에 따르면, 배럴(1)의 전단부(1)의 직경은 축소되어 네크부(12)를 이루고, 네크부의 림은 안쪽으로 경사지면서 환형 베벨면(11)을 형성한다. 또, 환형 베벨면(11)의 후단부는 네크부(12)의 내벽면(121)에서 방사상으로 돌출하여 단턱면(13)을 제공한다. 네크부(12)의 내벽면은 직경이 가변적으로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줄어든다.
플런저(2)는 배럴(1)의 후단부에서 배럴 안으로 삽입되는 기다란 부재이다. 플런저(2)의 전단부에는 피스톤(21)이 배치되고, 피스톤의 전단면에는 콘(22)이 돌출해 있다. 콘(22)의 윗면에는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허브(3)의 전단부에 주사바늘(31)을 고정하도록 고안된다. 허브(3)의 소정위치에 환형 견부(32)가 형성된다. 허브(3)의 환형 견부(32)와 후단부 사이의 소정 위치에 허브(3)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삽입공(33)이 형성된다. 환형 견부(32)와 후단부 사이의 허브(3)의 후방부(36) 외벽면(361)의 직경은 가변적이다. 직경이 가변적인 허브(3) 외벽면(361)의 형상 역시 배럴(1)의 네크부(12)의 직경 가변 내벽면(121)의 형상과 동일하되, 직경 가변 내벽면(121) 보다 약간 크다.
캡(4)은 주사바늘(31) 전체를 덮을 정도로 허브(3)에 씌워지되 빠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캡(4)의 후단부는 벽 두께가 얇아, 후단부 부근의 소정 위치에서 캡의 내벽면에 단턱(41)이 형성되고 캡(4)의 후단부의 내경은 환형 견부(32) 전방의 허브(3)의 전방부 둘레에 억지 끼워맞춤될 정도이다.
본 발명의 안전주사기를 조립함에 있어서, 먼저 캡(4)의 단턱(41)이 허브(3)의 전단부에 걸릴 때까지 허브(3)와 주사바늘(31) 위로 캡(4)을 끼운다. 이 때, 캡(4)의 후단부는 허브(3)의 전방부에 억지 끼워맞춤되고 캡의 후단부가 환형 견부(32)에서 약간 떨어져 위치한다(도 3 참조).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4)의 후단부가 림에 맞닿을 때까지, 즉 배럴(1)의 네크부(12)의 전단부에 걸릴 때까지 네크부(12) 안으로 허브(3)의 후방부(36)를 삽입하여 캡(4)으로 씌워진 허브(3)를 배럴(1)에 연결한다. 이 때, 환형 견부(32)가 환형 베벨면(11)을 지나 단턱면(13)에 걸린 상태로 허브(3)의 후방부(36)가 네크부(12)에 위치하므로, 캡(4)과 허브(3)가 배럴(1)에 최적 상태로 연결됨은 물론 단턱면(13)과 환형 견부(32) 사이에 제1 기밀 조인트(34)가 형성된다. 단턱면(13)에 환형 견부(32)가 걸려 있는 허브(3)는 견부(12)에서 앞으로 빠지지 않는다. 한편, 허브(3)후방부(36)의 가변직경 외벽면(361)의 형상이 배럴(1)의 네크부(12)의 가변직경 내벽면(121)의 형상과 일치하되 그보다 직경이 약간 크기 때문에, 그리고 두 면(361,121)이 적당한 길이와 구배내에서 전단부에서 후단부를 향해 테이퍼지도록 설계되어 있어서, 허브(3) 후방부(36)의 외벽면(361)과 네크부(12)의 내벽면(121) 사이의 소정 지점에 억지끼워맞춤 방식의 허브 후방부의 네크부로의 삽입에 의해 제2 기밀 조인트(35)가 형성된다. 제1, 제2 기밀 조인트(34,35) 때문에, 본 발명의 안전주사기는 가장 중요한 안전주사기 조건을 완벽히 충족한다.
본 발명의 안전주사기를 사용하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4)을 배럴(1) 반대방향인 앞으로 당겨 주사를 할 수 있도록 주사바늘(31)을 노출시킨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1)의 콘(22)이 허브(3)의 삽입공(33)에 걸릴 때까지 플런저(2)를 앞으로 민다. 콘(22)이 허브(3)의 후단부에 닿기 시작하여 이 후단부를 거의 닫으면, 콘(22)의 윗면에 형성된 홈(23)을 통해 피스톤(21)과 허브(3) 사이의 배럴(1)내의 액체약품이 허브(3) 안으로 들어가므로, 플런저(2)에 대한 저항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플런저(2)는 주사중에 주사바늘(3)에 분사되는 액체약품으로 인한 흔들림이 전혀 없이 아주 원활하게 전진할 수 있다. 주사가 끝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된 주사바늘(31)과 함께 플런저(2)와 허브(3)를 뒤로 당기기만 해도 배럴(1) 내부에서 네크부(12)로부터 후퇴한다.
이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안전주사기는 3가지 기본적이고도 가장 중요한 조건인, 허브와 배럴의 견고한 연결, 허브와 사용된 주사바늘의 후진, 및 허브와배럴 사이에 완벽한 기밀 조인트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2)

  1. 안쪽으로 경사져 환형 베벨면을 형성한 림을 갖는 직경이 축소된 네크부가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형 베벨면의 후단부는 상기 네크부의 내벽면에서 안쪽으로 돌출하여 단턱면을 형성하며, 상기 네크부의 내벽면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가변직경형 보어를 이루는 배럴;
    상기 네크부의 뒷쪽에서 상기 배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런저;
    전단부에 주사바늘이 고정되어 있고, 소정 위치에 환형 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 견부 뒷쪽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후방 부위에는 이 후방부위의 직경을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부위는 환형 견부와 후단부 사이로 뻗어 있으며 그 외벽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테이퍼진 가변 직경형 허브; 및
    상기 허브와 상기 주사바늘 전체를 분리 가능하게 덮을 수 있으며, 그 후방부의 벽 두께가 얇아 후단부로부터 소정 위치에서 내벽면에 단턱면이 형성되어 있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견부가 네크부의 단턱면에 걸려 상기 배럴로부터 허브를 전방향으로 분리하지 못하고 배럴과 허브 사이에 제1 기밀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상기 배럴의 네크부에 허브를 삽입하며, 상기 허브 후방부의 상기 후방 테이퍼형 가변직경 외벽면은 억지끼워맞춤 관계로 상기 네크부의 상기 후방 테이퍼형 내벽면에 삽입되어 소정 접촉지점에서 허브와 배럴 사이에 제2 기밀 조인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주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배럴의 후단부를 통해 배럴 안으로 배치되는 기다란 부재이고, 플런저 전단부에 피스톤이 제공되며, 피스톤 전단부에는 윗면을 가로질러 홈이 형성된 전방돌출 콘이 형성되어 상기 허브의 삽입공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주사기.
KR10-2002-0016651A 2002-03-27 2002-03-27 안전 주사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437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651A KR100437553B1 (ko) 2002-03-27 2002-03-27 안전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651A KR100437553B1 (ko) 2002-03-27 2002-03-27 안전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773A KR20030077773A (ko) 2003-10-04
KR100437553B1 true KR100437553B1 (ko) 2004-06-30

Family

ID=4932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65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37553B1 (ko) 2002-03-27 2002-03-27 안전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55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8019A (en) * 1998-07-14 1999-10-19 Tun Huang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Investment Co., Ltd. Safety syringe
KR20000000667A (ko) * 1998-06-02 2000-01-15 웬 넹 리우 수납 가능한 표준 바늘이 있는 안전 주사기
US6033385A (en) * 1998-03-12 2000-03-07 Liu; Wen-Neng Safety vein syringe with retractable special needle
KR20000014343U (ko) * 1998-12-30 2000-07-25 방영철 안전주사기
KR20010092865A (ko) * 2000-03-27 2001-10-27 라이 유-하우 창 안전 주사기
KR20030029744A (ko) * 2001-10-10 2003-04-16 주식회사 세즈메디컬 안전주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3385A (en) * 1998-03-12 2000-03-07 Liu; Wen-Neng Safety vein syringe with retractable special needle
KR20000000667A (ko) * 1998-06-02 2000-01-15 웬 넹 리우 수납 가능한 표준 바늘이 있는 안전 주사기
US5968019A (en) * 1998-07-14 1999-10-19 Tun Huang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Investment Co., Ltd. Safety syringe
KR20000014343U (ko) * 1998-12-30 2000-07-25 방영철 안전주사기
KR20010092865A (ko) * 2000-03-27 2001-10-27 라이 유-하우 창 안전 주사기
KR20030029744A (ko) * 2001-10-10 2003-04-16 주식회사 세즈메디컬 안전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773A (ko) 200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3212B2 (ja) 注射器キャップ
KR960005816B1 (ko) 바늘 찔림 방지 및 의약 남용 방지 주사기
US4568346A (en) Hypodermic syringe having a telescopic assembly between cartridge and medicament holder
CN100400120C (zh) 与注射器筒一起使用的流体传递接合器
AU730418B1 (en) Safety syringe with a needle sleeve
KR20070084214A (ko) 인입식 주사바늘을 구비한 안전 의료용 주사기
EP2079502B1 (en) Retractable syringe
CA2990502C (en) Prefillable auto-retractable safety syringe
KR100618076B1 (ko) 일회용 자동 안전주사기
KR100437553B1 (ko) 안전 주사기
EP0523091A1 (en) APPLICATOR WITH TWO CANNULAS.
US8936570B2 (en) Safety syringe
KR102024308B1 (ko) 의료 수액백용 포트
US20020173750A1 (en) Syringe device
KR100361377B1 (ko) 니들 슬리브를 가진 안전 주사기
US7189216B2 (en) Coupling structure for self-destruction and safety syringe
CN221731876U (zh) 注射器
US20240226435A9 (en) Low Dead Volume Adaptor for a Syringe
JP3113450U (ja) 使い捨て安全注射器
WO2025064979A1 (en) Syringe needle shield with tamper evidence feature and consistent needle pull-out force
RU2403070C2 (ru) Безопасный самоуничтожающийся одноразовый шприц
JP2024509370A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36735Y1 (ko) 일회용 안전주사기
CA2314647C (en) Safety syringe with a needle sleeve
GB2387116A (en) Safety syr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3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