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5432B1 - 자분의 백색도향상에 의해 시인성이 우수한 빌레트 흠 탐상방법 - Google Patents

자분의 백색도향상에 의해 시인성이 우수한 빌레트 흠 탐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432B1
KR100435432B1 KR10-1999-0039776A KR19990039776A KR100435432B1 KR 100435432 B1 KR100435432 B1 KR 100435432B1 KR 19990039776 A KR19990039776 A KR 19990039776A KR 100435432 B1 KR100435432 B1 KR 100435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et
powder
magnetic
magnetic powder
whiten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830A (ko
Inventor
이시훈
최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39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432B1/ko
Publication of KR20010027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43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분을 사용하여 빌레트 흠을 탐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백색 가시광선하에서 빌레트 흠 탐상에 사용되는 자분에 소정량의 유리섬유 미분말을 첨가함으로서 자분의 백색도를 향상시켜 시인성이 우수한 빌레트 흠 탐상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백색광하에서 자분을 사용하여 빌레트의 흠을 탐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분에 유리섬유 미분말을 혼합·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레트 흠 탐상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사상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자분의 백색도향상에 의해 시인성이 우수한 빌레트 흠 탐상방법{A METHOD FOR INSPECTING BILLET SURFACE DEFECT BY WHITENESS IMPROVEMENT}
본 발명은 자분을 사용하여 빌레트 흠을 탐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빌레트 흠 탐상에 사용되는 자분에 소정량의 유리섬유 미분말을 혼합·첨가함으로써 자분의 백색도 향상에 의해 시인성이 우수한 빌레트 흠 탐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레트의 흠의 탐상에는 강자성체인 빌레트에 교류전류를 흘려서 자장을 형성시켜 그 강자성체에 결함이 있을때 그 결함근처에 형성되는 누설자장에 의하여 자분이 결함주위에 끌려오는 자분을 이용한 자본탐상법을 이용한다. 알려진 바와같이, 강자성체는 자장의 세기(H)에 따라 자화도(M)의 값이 변하므로 투자율(u)이 비선형적인 값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을 자기이력곡선(B-H 곡선)이라 하며 이는 그 자성체의 자기적 특성을 잘 나타내 준다.
따라서, 상기 자분을 이용한 자분탐상방법은 강자성체를 포화 자화시켜 결함에서 발생되는 누설자속을 이용하는 것으로 빌레트에 흠이 없을 경우 포화자장을 가하여도 자속은 빌레트의 표면으로 거의 누설되지 않으며 빌레트의 내면으로 흐른다. 또한 누설자속이 있다손 치더라도 전반적으로 거의 균일하므로 자분은 빌레트표면에 균일하게 붙게 된다. 그러나, 만일 빌레트의 표면에 흠이 존재한다면 자속은 그 흠에 의해 분포가 변화되며 결함주위에서 자성체내부에 자속량이 많지만 일부는 밖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이렇게 밖으로 밀려난 자속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장의 세기는 흠이 없는 부분에 비하여 월등히 크므로 자분은 결함주위에 결집되어 빌레트의 흠 탐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분을 이용한 빌레트 흠을 탐지함에 있어서 자분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자분은 일반적으로 강자성체인 미립철분을 코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여기에 색을 나타내는 안료를 자분에 고착시키기 위한 고분자물질이 복합적으로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자분의 제조 및 그 적용방법에 대한 공지기술로서 미국 특허(특허번호 5,350,558)가 있으며, 이밖에도 일본특허(특허번호 9,368,792)등에는 자분탐상에서 최적자화방법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공지기술에서는 자분의 제조 및 그 자화방법에 주안점을 두었으나, 실제로 자분을 이용하여 빌레트의 흠탐상을 함에는 자분의 자기적 특성, 자분의 입도, 자분의 백색도, 고분자 함량 및 무기물 함량등이 중요한 인자가 된다. 그러나, 자분의 자기적인 특성은 중요한 요소지만원재료인 철분말에 의해 결정되므로 별도로 정량화가 필요없는 항목이다.
상기 자분의 백색도는 빌레트의 효과적인 흠 탐지를 위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왜냐하면, 자분의 백색도를 향상시키면 시인성이 개선되어 빌레트의 미세흠도 쉽게 탐지되므로 생산성 및 제품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색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효과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큰 것이다.
그러나, 현재 사용중인 자분은 가시광선하에서 흠을 판별하는 백색 비형광 자분으로 백색안료로서 이산화티타늄(TiO2)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이산화티타늄도 또한 여러 등급이 있으므로 사용하는 원료에 따라 백색도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되는 원료마다 일일이 백색도를 측정해야 하는 불편이 있을뿐만아니라 만족할만한 수준의 백색도를 확보하기가 쉽지않아 빌레트의 미세흠 판별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는 자분의 백색도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이산화티타늄은 고가이므로 그 사용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도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색 가시광선하에서 빌레트 흠 탐상에 사용되는 자분에 소정량의 유리섬유 미분말을 첨가함으로서 자분의 백색도를 향상시켜 시인성이 우수한 빌레트 흠 탐상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유리섬유 미분말의 입도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백색광하에서 자분을 사용하여 빌레트의 흠을 탐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분에 유리섬유 미분말을 혼합·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레트 흠 탐상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빌레트 흠 탐상용 자분에 유리섬유 미분말을 혼합·첨가시켜 자분의 백색도를 향상시켜 시인성을 개선시킴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유리가루는 그 특성상 빛을 난반사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도로 차선을 도색함에 있어서 유리가루를 도색제에 첨가하는데, 이는 야간에 지향성의 인조광원이 조사될때 빛을 난반사함으로써 차선이 눈에 잘 보이게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고급 스크린의 경우 유리가루를 도포하면 빛의 반사도를 높여 선명한 화면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고급 스크린제조에 이용된다.
한편, 현재의 빌레트 흠 탐상용 자분을 이용한 빌레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흠탐상장치 (DDU:Defect Detction Unit)거친 빌레트의 표면흠은 인공조명하에서 연마제거함으로써 표면결함이 없는 빌레트를 제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자분에 유리섬유 분말를 첨가할 경우 유리섬유 분말의 난반사성에 비추어 볼때 빌레트의 미세흠 탐상에 보다 유익함을 발견하고, 자분의 백색도를 향상을 위한 유리섬유 분말의 제반조건을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유리섬유 분말은 수십 ㎛의 직경을 갖는 유리섬유를 볼밀(Ball Mill)에서 수시간동안 분쇄하여 얻어지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첨가되는 유리섬유 미분말의 입도를 10~30㎛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만일 그 입도의 크기가 10㎛보다 작으면, 이러한 입도의 유리섬유분말이 혼합된 자분을 흠탐상을 위하여 빌레트 표면위로 분무도포할 경우 인체에 흡수되어 배출되기 않기때문에 인체에 극히 유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입도가 30㎛를 초과하면 그 입도의 크기가 너무커서 역효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리섬유 미분말이 5~20wt%로 혼합·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그 중량비가 5%미만일 경우 백색도 향상을 위한 유리섬유 미분말 첨가효과가 없으며, 20%를 초과할 경우 백색도가 더이상 향상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직경 20㎛의 유리섬유를 볼밀에서 4시간동안 분쇄하여 유리섬유 미분말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유리섬유 분말의 입도를 분석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난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유리섬유 분말의 평균입도는 14.44㎛로 정상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의 입도분포를 가진 유리섬유 미분말을 빌레트 흠탐상에 사용되는 자분에 첨가혼합하였다. 이때 그 첨가량을 5~20wt%로 달리하여 자분을 제조하고 그 백색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유리섬유 첨가량(wt%) 백색도 수치(Hunter) 백색도 증가(%)
비교예 1 0 66.14 0
발명예 2 5 66.25 1.6
3 10 68.40 3.4
4 15 71.18 7.6
5 20 72.67 9.9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리섬유 분말의 첨가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자분의 백색도 수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유리섬유 분말을 20wt% 첨가한 발명예 4의 경우 유리섬유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백색도의 증가가 10%에 이르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백색도를 객관적인 수치로 표현하기 위하여 MILOLTA사의 COLOR READER CR-14 백색도계를 사용하여 백색도를 측정하였다. 이 계측기에는 백색도를 측정하는 Mode가 CIE, Hunter, ASTME313 세가지 방법이 있으나, 백색도의 변화에 따라 수치구분이 뚜렷한 HUNTER MODE를 사용하였다. 이 MODE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수용성 자분의 경우 신 제품의 경우 대략 그 평균값이 63~67범위에 있었다.
그리고 유리섬유 자체의 백색도는 대략 76.03으로 일반 자분에서보다 백색도 수치가 훨씬 컸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빌레트 흠 탐상용 자분에 유리섬유 미분말을 혼합첨가함으로써 자분의 백색도를 향상시키고, 이에따라 시인성을 개선할수 있으므로 빌레트의 생산성 및 품질향상에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백색광하에서 자분을 빌레트 표면에 도포하여 빌레트 흠을 탐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분에 입도 10~30㎛의 유리섬유 분말을 5~20wt% 혼합·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레트 흠 탐상방법
  2. 삭제
  3. 삭제
KR10-1999-0039776A 1999-09-16 1999-09-16 자분의 백색도향상에 의해 시인성이 우수한 빌레트 흠 탐상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3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776A KR100435432B1 (ko) 1999-09-16 1999-09-16 자분의 백색도향상에 의해 시인성이 우수한 빌레트 흠 탐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776A KR100435432B1 (ko) 1999-09-16 1999-09-16 자분의 백색도향상에 의해 시인성이 우수한 빌레트 흠 탐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830A KR20010027830A (ko) 2001-04-06
KR100435432B1 true KR100435432B1 (ko) 2004-06-10

Family

ID=1961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7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435432B1 (ko) 1999-09-16 1999-09-16 자분의 백색도향상에 의해 시인성이 우수한 빌레트 흠 탐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4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2380A (en) * 1975-06-03 1976-12-07 Tokushu Toryo Kk Inspection medium for dry type magnetic flaw detection
US4361806A (en) * 1980-07-07 1982-11-30 Magnaflux Corporation Method using aqueous emulsion having magnetizable particles for detecting flaws in magnetizable workpieces
JPH01184459A (ja) * 1988-01-18 1989-07-24 Mitsubishi Heavy Ind Ltd 探傷用磁粉
JPH08201345A (ja) * 1995-01-27 1996-08-09 Marktec Corp 湿式磁粉探傷試験用水分散性蛍光磁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2380A (en) * 1975-06-03 1976-12-07 Tokushu Toryo Kk Inspection medium for dry type magnetic flaw detection
US4361806A (en) * 1980-07-07 1982-11-30 Magnaflux Corporation Method using aqueous emulsion having magnetizable particles for detecting flaws in magnetizable workpieces
JPH01184459A (ja) * 1988-01-18 1989-07-24 Mitsubishi Heavy Ind Ltd 探傷用磁粉
JPH08201345A (ja) * 1995-01-27 1996-08-09 Marktec Corp 湿式磁粉探傷試験用水分散性蛍光磁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830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601B1 (ko) 반사 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09030530B (zh) 一种用于扫描电子显微镜测定的珠光颜料截面样品的制备方法及测定方法
EP1967380A1 (en) Marking composition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DE10114445A1 (de) Weicheisenpigmente
EP2614358A1 (de) Goniophotometrisches messverfahren zur charakterisierung von pigmenten und füllstoffen
UA124006C2 (uk) Виготовлення матових фарб та друкарських фарб
KR100435432B1 (ko) 자분의 백색도향상에 의해 시인성이 우수한 빌레트 흠 탐상방법
KR102244376B1 (ko) 나노입자를 이용한 화이트 아노다이징 방법
DE60036783T2 (de)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lichtstreuungseffizienz von pigmenten
Farnood Optical properties of paper: Theory and practice
KR100497668B1 (ko) 형광물질과 백색안료를 포함하는 자분
KR100435433B1 (ko) 빌레트 표면의 흠탐상용 자분
Juuti et al. Light scattering study from nanoparticle-coated pigments of paper
KR100544877B1 (ko) 빌레트 흠 탐상방법
KR100376326B1 (ko) 무기분체의 글리콜 분산체와 그 제조방법 및 그 분산체를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CA1332663C (en) Method of colouring or tinting paper
González-Leal et al. A novel method for assessing haze in the visual appearance of bright-annealed AISI 430 ferritic stainless steel
Hernandez et al. Assessing the color of red wine like a taster's eye
Blonski The effect of zircon dissolution and reprecipitation on the color development of glazes
US834739A (en) Coloring-matter for producing silk-like or pearl-luster effects.
KR20030053253A (ko) 빌레트의 흠 탐상장치 및 탐상방법
US20020108731A1 (en) Transparent and/or translucent fluorescent color paper
JP2001090058A (ja) 安定処理土の混合度合検査方法
CN106018294A (zh) 一种检测纳米二氧化钛随角异色性能的方法
CN109336173A (zh) 一种钛白粒子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7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9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