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3789B1 -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789B1
KR100433789B1 KR10-2001-0041117A KR20010041117A KR100433789B1 KR 100433789 B1 KR100433789 B1 KR 100433789B1 KR 20010041117 A KR20010041117 A KR 20010041117A KR 100433789 B1 KR100433789 B1 KR 100433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anagement
management system
domain
intran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6999A (ko
Inventor
서승호
김영탁
Original Assignee
김영탁
서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탁, 서승호 filed Critical 김영탁
Priority to KR10-2001-004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789B1/ko
Publication of KR20020076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6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78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33Object-oriented techniques, for representation of network management data, e.g.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CORB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의 통합된 관리 솔루션의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은 코바를 이용하여 망 구성 장치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초고속 전송 기술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가 대다수인 인트라넷에서 프로토콜 계층을 형성하여 상기 망이 대규모화할 때 확장성을 고려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인트라넷 등과 같이 이질적인 네트워크의 설계에 의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자바 GUI 및 외부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보고서 생성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도메인과;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도메인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통하여 망 관리 기능 수행하는 관리도메인과; 상기 관리도메인을 망 정보 수집하는 개더링도메인 및, MIT 및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포팅도메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next generation intranet}
본 발명은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트라넷을 구축하는 다양한 업체로 인하여 상이한 관리 체계를 갖는 초고속의 데이터 전송 망 관리운용을 기존의 망 관리 체계의 장점들을 수용하는 동시에 OMG(object management group)의 코바(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이질적인 통신망 장비를 통합 관리하는 인트라넷을 위한 분산 통합 망관리 체계를 설계 및 구현하도록 하는 망 운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트라넷(intranet)은 웹기반의 사내 네트워크로, 웹 기술을 사용해 어떤 한 조직의 정보를 공유에 이용하는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이며, 기업활동에 관한 업무 정보나 기술 정보, 고객 정보 등을 부문간에 공유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기업 정보 시스템의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상기 인트라넷은 라우터, 스위치를 백본(backbone) 장비로 허브, 브리지, 서버, PC 등의 다양한 장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내외 인트라넷 망들은 망의 확장과 기능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새로운 망 구성 장치를 추가하거나 교체하게 되므로, 그 결과 인트라넷 망들은 다양한 업체들의 이질적망 운용관리 시스템 인망 구성 장치로 구성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인트라넷을 구성하는 망 구성 장치들은 서로 다른 업체에서 제조되어 ITU-TDML TMN(Telecommunication management network), IETE의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혹은 업체 고유의 관리 체계 등 서로 상이한 관리 표준을 따르고 있다. 게다가 현재의 인트라넷들은 초고속화로 진행되고 있으므로 전송 기술로 IP-over-ATM/SONET, MPOA(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등 차세대 초고속 전송 기술이 채택되어 사용되거나 고려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장비와 전송 기술로 표준화되고 있지만, 그에 비해 망의 구성과 유지, 관리를 지원해 주는 기술은 미흡한 상태에 있다.
이는 통신망 사용자의 연결요구를 처리는 것은 물론이고, 장애관리가 장애복구를 위하여 대체경로를 설정하거나 성능관리가 망의 부하 분산을 위하여 연결을 재 설정할 때 반드시 필요한 기반 관리기능이다.
또한, 차세대 인터라넷 관리 시스템의 연결관리 기능은 물리, 데이터링크 및 IP의 계층별 분할 원칙에서 데이터링크와 IP 계층에 연관된다. 물리계층에서의 연결은 물리계층의 링크들로 이는 구성정보에 해당하므로, 구성관리 모듈인 TC(Topology Configurator)에서 처리된다.
대다수의 인트라넷들이 IP 네트워크이므로, 상기 IP 계층의 연결관리가 중요하다. 기존의 TMN, TINA와 같은 관리체계에서는 대부분 연결지향 네크워크인 ATM 망관리에 집중하여 IP와 같은 비연결형 네트워크 관리에 대한 규정은 미비한 상태이마. 특히,IP 계층에서는 직접적인 연결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연결의 가부에대한 정보가 나타나므로 기존 망관리 체계의 SNC(Sub Network Connection)과 같은 연결 개념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망의 통합된 관리 솔루션의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은 코바를 이용하여 망 구성 장치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초고속 전송 기술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가 대다수인 인트라넷에서 프로토콜 계층을 형성하여 상기 망이 대규모화할 때 확장성을 고려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인트라넷을 구축하는 다양한 업체로 인하여 상이한 관리 체계를 갖는 초고속의 데이터 전송 망 관리운용을 기존의 망 관리 체계의 장점들을 수용하는 동시에 코바(CORBA)를 기반으로 이질적인 통신망 장비의 통합적인 관리하기 위한 망 관리 체계를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넷 망 관리 시스템의 컴포넌트 구조를 보인 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넷 망 관리 시스템의 분산 컴포넌트 연동 구조를 보인 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넷 망 관리 시스템의 분산 MIT의 구조를 보인 분산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의 망 분할 및 계층화 관리체계 정보 모델링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넷 망 관리 시스템의 성능 측정을 위한 시험 망의 일실시 예를 보인 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용자인터페이스도메인(user interface domain)
200 : 관리도메인(managing domain)
300 : 개더링도메인(gathering domain)
400 : MIT 500 :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인트라넷 등과 같이 이질적인 네트워크의 설계에 의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자바 GUI 및 외부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보고서 생성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도메인과;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도메인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통하여 망 관리 기능 수행하는 관리도메인과; 상기 관리도메인을 망 정보 수집하는 개더링도메인 및, MIT 및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포팅도메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기존 통신망 관리 체계의 수용은 코바 기반의 통신망 관리 구조로서, 분산 객체의 관리 및 객체간 메시지 전송방법 등의 정의하고 있는 산업 표준이며, 코바의 핵심인 ORB(object request broker)는 이기종 시스템과 네트워크간의 투명한 메시지 전송을 담당한다. 상기 산업 표준이라는 장점에 따라 코바는 분산 객체 기술이 필요한 광범위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통신망 관리 영역에서도 코바를 이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인트라넷 관리 시스템은 코바기반의 분산 컴포넌트와 분산 객체로 구성된 분산 관리 체계로서, 이는 DPE(Distributed processing environment) 기반의 분산 망관리 체계인 TINA(Telecommunication information networking architecture)의 기본 개념들을 수용한다.
ITU-T에서 표준화하고 있는 TMN 체계는 대다수 타 관리 체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요한 관리체계이다. 본 발명에서도 FCAPS로 나뉘는 TMN의 망관리 기능영역 분할, 매니저-에이전트 관계와 같은 기본 개념들을 받아들였으며, 정보 모델링 단계에서도 TMN의 관리 객체들을 다수 수용하였으며, 특히 망 관리 영역 분할에서는 기반 관리 기능인 구성, 연결, 장애, 성능 관리 기능 영역을 우선적으로 수용하였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조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P 계층의 연결성 정보를 타나내기 위하여 컨넥티비티(connectivity)라는 관리 객체를 정의하고 이를 통하여 IP 계층에서의 연결성 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IP 계층에서의 연결성 정보는 SNC(sub network connectivity)로 나타내며, 상기 SNC는 크게 IP 도메인에서 end-to-end 연결성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와 SNW(subnetwork)간의 연결성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컴포넌트들의 명칭 및 기능은 [표 1]에 정리하였고, 각 컴포넌트들은 [표 2]에 정리된 분산 MIB를 유지하고 있으며, 또한 [표 3]에 정리된 IDL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동한다.
상기 분산 MIT를 통해 객체 참조가를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히스토리컬 로그(Historical log)정보를 저장한다. 실제 망 구성장치 혹은 망에 대한 접근은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와 같은 기존의 관리 체계의 에이전트 혹은 ICMP 및 팩켓 캡쳐 기술을 이용한다.
상기 전체 관리 시스템은 자바(java) GUI 및 외부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보고서 생성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도메인(user interface domain:100)과, 망 관리 기능 수행하는 관리도메인(managing domain:200)과, 상기 관리도메인을 망 정보 수집하는 개더링도메인(gathering domain:300) 및 MIT(400) 및 데이터베이스(500)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포팅도메인(supporting domain)으로 구분되며, 상기 관리도메인(200)에는 물리적 계층(210), 데이터링크 계층(220) 및 IP 계층(230)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 구현시스템 및 성능 측정 환경은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리도메인(200)의 컴포넌트들은 IONA Orbix 와 MS Visual 및 C++을 통하여 구현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도메인(100)에 속한 컴포넌트인 자바 GUI는 JDK 1.2.2를 이용하여 자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고, 웹 리포터는 자바 Servlet을 통해 구현된다. 이때, 자바 2 ORB와 Orbix 2000 ORB간의 연동은 Orbix 2000의 Interoperable 네임서비스를 이용하였다.
상기 인트라넷 망 관리 시스템의 분산 컴포넌트 구조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넷 망 관리 시스템의 컴포넌트 구조를 보인 망 구성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넷 망 관리 시스템의 분산 컴포넌트 연동 구조를 보인 망 구성도 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트라넷 망 관리 시스템의 IP SMC는 망 관리 컴포넌트 IPTC(IP topological configurator:230) 분산 컴포넌트 구조로서, IPCP는 SNC(sub network connectivity)에 대한 팩토리(factory)객체이며, 상기 망 관리 시스템은 코바 분산 처리 환경의 전송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코바의 ORB(object request broker) 상에서 망 관리 컴포넌트 IPOA(IP over ATM), MPOA(multi -protocol over ATM),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등과 같은 기술을 통하여 코바의 IIOP(internet inter-ORB protocol)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IPTC에서 컨피그레이터에 의해 동적으로 MIT(400)의 호스트에서 객체를 생성, 삭제 및 관리하게 된다.
상기 컴포넌트 기동과 같이 생성되는 정상적인 팩토리 객체는 하나의 컴포넌트 인스탄스(instance)당 하나씩 만 존재하며, 서비스 객체는 실제 망 관리 기능을 수행하거나 관리 정보를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필요에 따라 팩토리 객체에 의해 동적으로 생성 및 삭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TC(232) 및 IPCP(231)는 분산 컴포넌트를 연동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 컴포넌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우선 GUA(240)와 연결되고, 망 구성장치 혹은 망 정보를 획득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GIA(250)와 연결된다.
상기 IPCP(231)는 SNC를 검사하기 위하여 검사 대상의 마지막 포인트정보를 필요하며, 상기 마지막 포인트정보는 IPTC(232)에 위치한다. 따라서, IPCP(231), IPTC(232), GIA(250) 및 GUA(240)와의 연동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각 컴포넌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우선 GUA(240)와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망 구성장치 혹은 망 정보를 획득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GIA(250)와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IPTC(232)는 작동과 동시에 스스로를 코바상에서 분산 MIT(400)를 구현한 코바 네임서비스에 자신의 팩토리 객체인 컨피그레이터를 등록한다. IPCP(231)는 MIT(400)에 접근하여 IPTC의 컨피그레이터 IOR(Interoperable Object Reference)를 획득하고, 이를 통하여 IPTC(232)에서 관리하고 있는 NWCTP(network connection object reference)와 NWTTP(network trail termination point)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획득된 마지막 포인트정보를 이용하여 GIA(250)로 컨넥티비티 검사를 의뢰하고, GIA(250)는 다시 ITMA로 컨넥티비티 검사를 의뢰한다.
TIMA는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을 통하여 지정된 마지막 포인트간의 연결성 검사를 수행하고 딜레이를 검사한다. 상기 연결성 정보와 딜레이는 요청의 역방향으로 다시 IPCP(231)로 리턴된다.
여기에서, IPTC(232)의 컨피그레이터는 팩토리 객체로서 나머지 전체 서비스객체에 대한 제어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IPTC(232)에 속한 모든 객체에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IPCP(231)에서 IPTC(232)의 관리 객체에 접근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IPTC(232)는 작동시에 구성관리의 준비(provisioning) 인스톨레이션 서포트(installation support) 기능에 따라 GIA(250)를 통해 자신의 관리하는 SNC, NWCTP, NWTTP 정보를 획득하고, 정적 객체인 컨피그레이터를 MIT(400)에 등록한다. 상기 IPCP(232)는 MIT(400)에 접근하여 IPTC(231)의 컨피그레이터 객체에 대한 IOR을 획득하며, 획득된 컨피그레이터 IOR을 통하여 IPTC에 접근한다. 여기에서, IPTC(231)의 컨피그레이터는 팩토리객체로서, 나머지 전체 서비스객체에 대한 제어권을 가지고 있으므로, IPTC에 속한 모든 객체에 접근이 가능하다.
상기 IPCP(232)는 GIA(250)로 획득한 MWTTP 정보를 넘겨 주고 컨피그레이터 검사를 위임하며, GIA(250)는 다시 컨피그레이터 검사를 ITMA로 위임하고 그 결과는 수행의 역방향으로 리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인트라넷 망 관리 시스템의 분산 MIT의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넷 망 관리 시스템의 분산 MIT의 구조를 보인 분산 구조도 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 MIT(400)를 코바의 네임서비스를 통하여 설계 및 구현되어지며 상기 분산 MIT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MIT(400)는 제 1호스트, 제 2호스트 및 제 3호스트에 관리객체를 분산되어 저장 및 관리되며, 상기각 호스트간의 연동은 네임서비스의 피더레이션(federation)기능을 이용한다.
상기 관리객체들은 여러 컴포넌트들에 분산 배치되어지며 각 컴포넌트들은 분산 객체들을 각각의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로 유지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발생빈도가 높은 지역(local) 관리객체에 대한 접근 및 제어를 신속하게 수행하게 된다. 또한, 원격지에 있는 관리객체는 분산 MIT(management information tree)를 통해 접근된다.
또한, 분산 MIT는 분산 객체들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객체 참조자(object reference)를 트리(tree)형태로 유지하며, 특히 분산 MIT는 분산 객체에 대한 인덱스기능을 수행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MIT(400)자체가 분산되어 저장 및 운용될 수 있다. 상기 객체 참조자는 대량으로 생성되어 MIT(400)에 등록될 수 있으므로 MIT(400)의 분산저장 및 운용은 망 관리시스템의 확장성을 높이게 된다.
상기 망 분할 및 계층화의 관리 체계를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망 관리 시스템의 망 분할 및 계층화 관리체계 정보 모델링 구조도 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모델링은 ITU-T의 G.805의 망 분할(partitioning)과 계층화(layering)에 따른 망 관리 체계이다. 상기 관리 대상 망은 IP 인트라넷이므로 IP, 데이터링크, 물리계층(230,220,210)으로 망을 계층화하였으며, 각 계층 망은 다시 서브 네트워크로 분할하였다. 특히, IP계층(230)은 IP 도메인을 하나의 서브 네트워크로 보고 분할한다.
상기 하부의 SDH-XC로 구성된 SDH/SONET 계층 망의 트레인(Trail)은 VP-XC로 구성된 VP 계층 망의 토플로지컬 링크(topological link)로 나타나며, 상기 VP 계층 망의 트레인은 다시 VC-EX로 구성된 VC 계층 망의 토플로지컬 링크로 나타난다. 이때, SDH-SONET 계층 망은 VP계층 망에 대하여 서버 계층 망이 되며, VP계층 망은 SDH-SONET 계층 망에 대하여 클라이언트 계층 망이 된다.
상기 VP계층 망은 VC계층 망에 대해서는 서버 계층 망이 되며 VC계층 망은 VP계층 망에 대하여 클라이언트 계층 망이 된다. 따라서, 망 분할 개념은 하나의 계층 망을 서브 네트워크들과 링크들로 분할할 수 있게 하여 그 망 관리가 쉽게 된다.
상기 인트라넷 망 관리 시스템의 구현에 따른 성능 측정 환경을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넷 망 관리 시스템의 성능 측정을 위한 시험 망의 일실시 예를 보인 망 구성도 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트라넷 망 관리 시스템의 성능분석은 상기 [표 4]와 같은 시스템 환경으로 다수의 호스트컴퓨터를 구성하고, 상기 호스트컴퓨터가 허브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한 다음 라우터로 연결되도록 망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망을 연결한 다음, 상기 망 구조에서 관리객체의 생성, 참조 및 삭제 명령을 10만회 반복 수행하도록 하였다.
[표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트라넷 망 관리 시스템은 객체의 생성시181msec, 참조시 59msec, 삭제시 2.3msec로 그 측정 결과 값이 도출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세대 인트라넷 운용관리를 위한 코바기반의 분산 망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에 따른 기존 망 관리 체계의 장점들을 수용하였으며, 인트라넷 관리에 필요한 분산 관리 객체들과 컴포넌트들을 정의하고 분산 MIB/MIT를 통한 컴포넌트 연동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이질적인 망 구성장치들을 통합 및 분산 관리하며 관리 계층에 따른 세분화된 관리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망 관리 시스템 구축기술을 ATM 망뿐만 아니라 MPOA, MPLS 기반의 인트라넷 관리에 적용이 가능하며, 차세대 인터넷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Claims (4)

  1. 인트라넷 등과 같이 이질적인 네트워크의 설계에 의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자바 GUI 및 외부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보고서 생성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도메인(100)과;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도메인(100)으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통하여 망 관리 기능 수행하는 관리도메인(200)과;
    상기 관리도메인(200)을 망 정보 수집하는 개더링도메인(300) 및,
    MIT(410) 및 데이터베이스(420)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포팅도메인(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관리도메인(200)은 물리적 계층(210), 데이터링크 계층(220) 및 IP 계층(230)으로 세분화하여 망 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MIT(410)는 제 1호스트, 제 2호스트 및 제 3호스트로 분산되어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각 호스트간은 연동은 코바의 네임서비스(naming service)의 피더레이션(federation)기능을 이용하고, MIT를 분산하여 관리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4. 제 1항 및 제 3항에 있어서, MIT(410)에 의해 각 관리객체들의 서브 네트워크 연결성은 각 계층에서 서브 네트워크간의 연결성 정보를 나타내는 관리 객체로 ITMA에서 ICMP를 통해 연결가부 정보를 확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KR10-2001-0041117A 2001-07-10 2001-07-10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433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117A KR100433789B1 (ko) 2001-07-10 2001-07-10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1117A KR100433789B1 (ko) 2001-07-10 2001-07-10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999A KR20020076999A (ko) 2002-10-11
KR100433789B1 true KR100433789B1 (ko) 2004-06-04

Family

ID=2771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1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433789B1 (ko) 2001-07-10 2001-07-10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7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979A (ja) * 1998-08-17 2000-03-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複数管理プロトコル対応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KR100279716B1 (ko) * 1998-02-18 2001-02-01 윤종용 멀티인터페이스망관리시스템
KR20020057781A (ko) * 2001-06-28 2002-07-12 김행곤 망 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KR20020076998A (ko) * 2001-07-10 2002-10-11 라연경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구현시스템
KR100366157B1 (ko) * 2000-06-21 2002-12-31 김성우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716B1 (ko) * 1998-02-18 2001-02-01 윤종용 멀티인터페이스망관리시스템
JP2000066979A (ja) * 1998-08-17 2000-03-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複数管理プロトコル対応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KR100366157B1 (ko) * 2000-06-21 2002-12-31 김성우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KR20020057781A (ko) * 2001-06-28 2002-07-12 김행곤 망 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KR20020076998A (ko) * 2001-07-10 2002-10-11 라연경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구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6999A (ko) 200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7138B1 (ko) 전기통신 시스템
US5978845A (en) Network management relay mechanism
EP0691056B1 (en) Generic managed object model for lan domain
US6336138B1 (en) Template-driven approach for generating models on network services
CA2132364A1 (en) Multi-network management
KR20010083904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경로선택 관리
KR100433789B1 (ko) 차세대 인트라넷을 위한 망 운용관리 시스템
McGuire et al. Application of control plane technology to dynamic configuration management
KR100418917B1 (ko) 인트라넷 관리를 위한 구성관리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 방법
KR20010080170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종단 관리
Cisco Overview
Cisco Overview
Cisco Cisco Network Order Manager System Configuration
Cisco Overview
KR100751089B1 (ko) 고객 서비스 기반의 다중 서비스 지원 플랫폼 기반망의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613963B1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 초고속 정보 통신망 구성 장치 및 그구성관리 방법
Kar et al. An architecture for managing application services over global networks
De Turck et al.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ierarchical, generic and scalable open architecture for the network management layer
Thaler et al. NView: A visual framework for network tool integration
Vandermeulen et al. On the Design of an Integrated Management Platform for an ADSL/ATM based Access Network using CORBA
Natarajan TINA Network Resource Information Model
KR20240092498A (ko) 고객 서비스 기반의 다중 서비스 지원 플랫폼 기반망의관리 방법 및 시스템
Vandermeulen et al. Automated design of modular SNMP-CORBA gateways and their ap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ADSL access network manager
Park et al. Customer network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ATM virtual private networks
Siegel EFFICIENT NETWORK MIANAGEMENT FOR A HIGHLY DISTRIEUTED) SYSTE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6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