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3651B1 -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651B1
KR100433651B1 KR10-2001-0029806A KR20010029806A KR100433651B1 KR 100433651 B1 KR100433651 B1 KR 100433651B1 KR 20010029806 A KR20010029806 A KR 20010029806A KR 100433651 B1 KR100433651 B1 KR 100433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fingerprint
storage
storage box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7149A (ko
Inventor
임병구
Original Assignee
임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777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336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임병구 filed Critical 임병구
Publication of KR20020007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65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목적 : 본 발명은 지문 인증 방식이 가지는 보안상의 완벽성을 도입하여 열쇠의 사용을 생략하면서도 암기하거나 보존하고 있어야 하는 비밀번호 등을 채용하지 않아 사용이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이용자의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와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구성 : 본 발명의 장치는 외부 소정 개소에 설치된 보관버튼(110), 회수버튼(120), 취소버튼(130) 및 지문센서(140)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데이터와 통상의 주화 계수기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160), 상기 지문센서(140)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램(170)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160)의 연산처리에 요구되는 프로그램이 입력된 롬(180)이 내부에 구비된 콘솔박스(100)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60)의 출력신호로 작동되는 액츄에이터(311~31N)에 의해 각각 대응하는 제1 ~ 제N 도어록(32N)이 연동하게 되어 있는 제1 보관함 ~ 제N 보관함(301 ~ 30N)으로 이루어진 보관부(300)를 보유한 구성으로 되고, 이를 위한 제어 방법은 외부 입력 신호가 상기 보관버튼(110) 또는 회수버튼(120)에 관련되는 신호인지를 판별하는 대기 모드(S1)와; 보관버튼의 고유 신호로 판정되면 지문센서(140)를 통해 입력되는 이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식이 가능하고 소정 요금이 지불되면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 보관함의 해당 번지로 상기 지문 데이터를 저장시키고 해당 보관함이 개방되게 제어하고, 그러하지 않으면 오류 처리하는 물품 보관 모드(S100)와; 회수버튼의 고유 신호로판정되면 소정 시간 내에 사용 보관함의 번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지문센서(140)를 통해 새롭게 입력되는 지문 데이터를 램(170)에 저장된 지문 데이터에서 색인하고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정하거나, 또는 사용 보관함의 번호가 입력된 때는 그 입력된 번호의 보관함에 해당하는 지문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지문센서(140)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 데이터와 비교해서 불일치 시는 오류 처리하고 일치 시는 사용 보관함의 사용 시간을 체크하여 시간 경과 여부에 따른 요금 정산을 요구하고, 시간 초과분이 없거나 상기 요금 정산이 완료되면 해당 보관함을 개방시키고 종료하는 물품 회수 모드(S200)로 제어된다.
효과 : 본 발명은 이용자의 지문이 인증 키이로 활용되어 열쇠를 생략할 수 있으면서도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없으며, 보안 유지가 완벽하고 보관함의 유지 관리가 간편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관리 인력이 대폭 줄어들게 된다.

Description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와 그 제어 방법{A custody box device and method controlling user's fingerprint}
본 발명은 이용자가 자신의 휴대 물품을 저장하여 둔 보관함의 개방을 자신의 지문 인증으로 행할 수 있는 물품 보관함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이용자의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인 로커라고도 칭해지고 있는 물품 보관함은 길을 가는 도중에 휴대하고 있는 물품을 잠시 맡겨 둘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설비로서, 도심의 철도역 구내, 지하철 역 구내, 혹은 백화점이나 대형 슈퍼마켓의 출입구 부근 등에 설비되고 있다. 이러한 물품 보관함의 사용 방식은 대개 이용자가 비어있는 보관함에 휴대 물품을 저장하고 문을 닫은 다음, 소정 액수의 주화를 투입하면 열쇠로 문을 잠글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용자는 단지 열쇠만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다가 이 열쇠를 이용하여 다시 문을 열고 보관한 물품을 찾아가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문의 개폐를 열쇠에 의존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필히 보관함 관리인이 상주하고 있어야 한다. 즉, 관리인은 보관함이 설치된 장소에 상주하고 있다가 열쇠를 잃어버린 이용자가 자신의 물품을 찾고자 할 때 그 사람의 신원과 진정한 주인인가의 여부를 확인하고 닫혀 있는 문을 마스터키로 열어 주는 관리를 담당해야 하므로 열쇠를 잃어버린 이용자가 없는 날에도 계속 상주해야 하는 인력 낭비적 요인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문이 개폐되게 하는 방식의 물품 보관함이 제안된 바 있다. 종래에 알려진 비밀번호 입력 방식의 물품 보관함은 이용자가 콘솔박스에 마련된 입력수단을 조작하여 사용 의사를 밝히면, 중앙처리장치는 현재 비어있는 보관함의 번호를 나열하여 표시한 다음, 이용자가 나열된 번호 중의 하나를 고르게 하고 비밀번호를 설정하게 한다. 비밀번호 설정이 종료되면 사용 요금을 징수하고 선택된 물품 보관함을 열어서 이용자가 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해준다. 이용자는 물품을 보관하고 문을 닫으면 자동으로 잠겨져서 물품의 보관이 종료되고, 회수 시에는 콘솔박스에서 회수 의사를 밝히고 자신이 사용한 보관함 번호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문이 열려서 물품을 찾아가게 되어 있다. 이 때 설정된 비밀번호는 메모 형태로 프린트되어서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이 방식의 물품 보관함은 열쇠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므로 관리비용을 어느 정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은 가지고 있으나 여전히 보관함 설치 장소에 관리인이 상주하고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중앙처리장치가 비밀번호 프린트 물을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비밀번호의 암기를 등한시하고 있다가 메모를 잃어버리고 물품을 찾으러 오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방식의 더 큰 문제점은 비밀번호 프린트물의 제공에 의해 역으로 보관함의 도난 발생이 더 높게 나타나는 점에 있다. 그 원인은 비밀번호 프린트물의 제공을 이용자가 알지 못하고 그냥 보관하고 감에 따라 자신이 사용한 보관함 번호와 비밀번호가 메모 형태로 콘솔박스 주변에 남아 있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가는 예가 종종 발생하여 현재는 비밀번호 입력 방식이 기피되고 다시 원래의 열쇠 이용 방식으로 복귀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의 물품 보관함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지문 인증을 통한 개폐 방식을 착안하게 되었다.
지문 인증을 통해 문을 개폐하는 방식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83-3479호, 제92-1143호, 제93-27825호, 제97-48591호 등에서와 같이 현재는 건물이나 주택의 출입구를 통제하기 위한 보안 설비로 활용되고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성 11-229687호의 지문 조회식 로커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성 01-256674호의 로커 시스템에서와 같이 보관함의 개폐를 위한 인증 수단으로도 채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공지된 지문 인증 도어 개폐 방식은 물품 보관함에 그대로 적용하기가 불가능한 결점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그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지문 조회식 로커 또는 로커 시스템의 경우는 지문을 활용한 보관함 장치로 개시되어 있으나, 지문의 오인식 문제에 대한 해결이나 사용 조작 중에 취소할 수 없는 등,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지 않고 있어서 불편하고, 특히 상기 로커 시스템은 사우나 설비에 적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1회 사용 시마다 요금을 징수해야 하는 물품 보관함의 특성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며, 어느 자치에서도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관리, 혹은 휴대용 간이 데이터 저장수단 등을 활용한 수입금 관리 등이 불가능하여 불편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문 인증 방식이 가지는 보안상의 완벽성을 도입하여 열쇠나 비밀번호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고, 장치의 관리를 네트워크 혹은 간이 데이터 저장수단을 통해 관리 가능한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에서 지문 인증의 정확성이 향상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두고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물품 보관함 장치는 지문센서가 포함된 외부 입력 키이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중앙처리장치에서 연산처리하여 각 보관함의 문을 액츄에이터의 작동으로 개폐 제어하게 되어 있는 지문 인증식 보관함에 있어서, 콘솔박스의 외부 소정 개소에 설치된 보관버튼, 회수버튼, 취소버튼 및 지문센서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데이터와 통상의 주화 계수기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와, 그리고 상기 지문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램과,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연산처리에 요구되는 프로그램이 입력된 롬과, 상기 보관함의 시간 체크용 신호를 발생하는 리얼타임클럭과,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통로가 되는 입출력포트와, 외부로 데이터를 송 수신하기 위한 통신포트를 갖춘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물품 보관함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콘솔박스에 구비된 보관버튼과 회수버튼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버튼의 고유 신호인지 무입력인지를 비교 판별하고, 버튼의 고유신호가 보관버튼에 해당하면 물품 보관 모드로 이행시키고, 버튼의 고유신호가 회수 버튼에 해당하면 물품 회수 모드로 이행시키며, 또한 무입력에 해당하면 관리 모드로 이행시키는 대기 모드와; 이용자에 의해 보관함이 선택되고 상기 지문센서를 통해 지문 데이터가 2회 입력되면, 양 지문 데이터의 차이를 미리 샘플링 설정한 오차 범위와 비교하여 이를 벗어나면 오류 처리하고, 오차 범위 이내이면 소정 시간 동안 요금 지불 신호의 입력을 기다린 다음, 요금 지불 신호가 입력되면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 보관함의 해당 번지로 상기 지문 데이터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사용 보관함이 개방되게 제어하고,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요금 지불 신호가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지문 데이터의 인식이 불가한 때는 오류 처리하는 상기 물품 보관 모드와; 이용자에 의해 사용 보관함의 번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소정 시간 내에 번호 입력이 없으면 지문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 데이터를 램에 저장된 지문 데이터에서 색인하고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정하거나, 또는 사용 보관함의 번호가 입력된 때는 그 입력된 번호의 보관함에 해당하는 지문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이용자가 지문센서로 입력하는 지문 데이터와 비교해서 일치 여부를 판정하여, 불일치 시는 오류 처리하고 일치 시는 사용 보관함의 사용 시간을 체크하여 시간 경과 여부를 판정한 다음, 초과분이 있을 시는 추가 요금의 정산을 요구하고, 시간 초과가 없거나 상기 요금 정산이 완료되면 해당 보관함을 개방시키고 종료하는 상기 물품 회수 모드와;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모든 보관함에 관련된 저장 데이터를 점검하여 비어있는 보관함의 목록을 화면 표시함과 아울러 데이터 관리 파일에 등록시키고, 사용 중인 보관함의 데이터는 독출하여 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기간을 경과한 것이면 유기 물품 보관으로 판정하고, 해당 보관함의 관련 데이터를 백업한 다음, 문을 개방하여 유기 물품을 회수하게 하는 관리모드로 제어된다.
또, 상기 물품 보관 모드, 물품 회수 모드 또는 관리 모드 중의 하나를 거쳐 종료 단계로 이행하였을 때에, 외부로부터 종료 지시 신호가 없으면 초기 단계로 리턴하여 재 순환 제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 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콘솔박스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보관함의 상태 체크가 행해지는 대기 모드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3b는 이용자에 의한 물품 보관 모드에서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3c는 이용자에 의한 물품 회수 모드에서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3d는 보관함 관리 모드에서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솔박스 110 : 보관버튼
120 : 회수버튼 130 : 취소버튼
140 : 지문센서 150 : 표시 화면
160 : 중앙처리장치 170 : 램
180 : 롬 190 : 리얼타임클럭
200 : 입출력포트 210 : 통신포트
300 : 보관부 301~30N : 제1 ~ 제N 도어록
311 ~ 31N : 제1 ~ 제N 액츄에이터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 예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도면에서 콘솔박스(100)와, 이것에 의해 제어 조작되는 보관부(300)가 포함된 구성을 보여 주고 있다. 콘솔박스(100)는 이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조작버튼으로서 예를 들면 보관버튼(110), 회수버튼(120), 취소버튼(130), 그리고 지문센서(140) 등이 마련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표시 화면(150)까지 구비하고 있는 것이 좋다.
또, 보관부(300)는 제1 보관함 ~ 제N 보관함(301 ~ 30N)이 다수가 병렬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실제에 있어서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는 수량은 100 ~ 200개 범위가 적당하다. 상술한 구성에서 콘솔박스(100)와 보관부(300) 사이는 도 2에 상세히 묘사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추고 있다.
도 2에서 콘솔박스(100)는 내부에 중앙처리장치(CPU; 160)를 갖추고 있고, 이 중앙처리장치(160)는 상기 보관버튼(110), 회수버튼(120), 취소버튼(130), 그리고 지문센서(14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고 그 결과를 표시 화면(150)으로 나타내 준다. 또 중앙처리장치(160)에 입력된 지문센서(140)의 데이터를 번지 별로 지정하여 저장해 두는 램(Random Access Memory; 170)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60)에 필요한 지문 인식 프로그램, 작동 프로그램 등을 저장시켜 두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180)이 콘솔박스(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 한편으로 보관함의 사용시간을 체크하는데 요구되는 기준 클럭신호를 송출하는 리얼타임클럭(Real Time Clock; 190)과, 휴대용 간이 데이터 저장장치와 접속 연결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60)에 의한 제어 결과를 카피할 수 있게 하는 입출력포트(I/O Port; 200), 그리고 네트워크 라인에 접속되어 원격 제어를 가능케 하는 통신포트(210)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덧붙여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60)에는 통상의 주화 계수기로부터 사용 요금에 해당하는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는 터미널(220)을 갖추고 있다.
한편, 보관부(300)의 각 보관함(301~30N)은 각각 액츄에이터(311~31N)에 의해 작동되는 제1 ~ 제N 도어록(32N)을 갖추고 있고, 상기 각 액츄에이터(311~31N)는 실제로는 솔레노이드 또는 정역 회전모터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것은 중앙처리장치(160)의 출력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해당 보관함의 문을 개방하여 주게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에 설명하는 제어 방법에 따라 작동하게 되어 있다.
초기에 본 발명의 장치는 대기 모드/물품 보관 모드/물품 회수 모드/관리모드 중의 어느 한 모드로 동작한다.
대기 모드(S1)가 시작되면, 중앙처리장치(160)는 도 3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의 입력 여부를 계속 검색하는 체크 단계(S10)로 접어든다.
체크 단계(S10)에서 콘솔박스(100)의 보관버튼(110)과 회수버튼(120) 중의어느 하나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다음의 버튼 확인 단계(S20)로 이행한다.
버튼 확인 단계(S20)에서 입력된 신호가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보관버튼의 고유 신호인지를 비교 판별하고 일치하면 물품 보관 모드(S100)로, 반대로 비일치하면 물품 회수 모드(S200)로 이행하고 이들에 맞게 프로그램된 플로우에 따른 제어를 행한 뒤에 종료 단계(S400)로 이행하게 된다.
또, 상기 체크 단계(S10)에서 무입력일 때는 관리모드(S300)를 거쳐 종료 단계(S400)로 이행하게 된다.
이렇게 물품 보관 모드(S100), 물품 회수 모드(S200), 관리 모드(S300) 중의 하나를 거쳐 종료 단계(S400)로 이행하였을 때에 외부로부터 종료 지시가 없으면 초기 단계로 리턴하여 재 순환하는 제어를 계속하게 된다.
상술한 플로우에 따라 이용자가 보관함을 사용하고자 콘솔박스(100)에서 보관버튼(110)을 1회 눌러 주면, 그 신호는 체크 단계(S10)에서 중앙처리장치(160)가 인식하고 다음의 버튼 확인 단계(S20)에서 이용자가 보관/회수 중의 어느 것을 원하는 것인지를 연산하고, 그 결과에 따라 물품 보관 모드(S100) 또는 물품 회수 모드(S200) 중에서 해당 모드로 이행하게 된다.
물품 보관 모드(S100)일 때에 중앙처리장치(160)는 도 3b로 나타낸 플로우에 따라 동작한다.
즉, 중앙처리장치(160)는 예를 들면, 표시 화면(150)을 통한 배너 또는 음성 신호에 따라 이용자가 빈 보관함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자신의 검지를 지문센서(140)에 접촉시키게 되는 보관함 선택 단계(S110)로 이행하게 된다.
다음에 이용자에 의해 지문센서(140)로 입력되는 신호는 중앙처리장치(160)에서 롬(180)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지문 인식 프로그램이 가동되면서 판독된다.
즉, 지문 데이터가 모두 상기 중앙처리장치(160)로 입력되었을 때는 1차 지문 입력 단계(S120)로 이행하여 상기 지문 인식 프로그램에 따라 지문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결과가 일정 수준, 예를 들어 70% 이상 판독 가능하면 1차 지문 입력 단계(S120)에서 1차 지문 데이터로 저장하여 두고 2차 지문 입력 단계(S130)로 이행하여 재 독출한 데이터를 2차 지문 데이터로 저장한 다음, 지문 저장 단계(S140)로 이행하여 상기 1차 지문 데이터와 2차 지문 데이터의 차이가 정해진 오차 범위 이내인가를 판독하여 오차 범위 이내 일 때는 해당 고유 지문 데이터로서 램(170)의 빈 번지로 저장하여 둔다.
그리고 상기 1, 2차 지문 입력 단계(S120)(S130)에서 판독되는 지문 데이터의 판독 가능율이 일정 수준 미만일 때는 오류 표시 단계(S170)로 이행하여 지문 입력 오류를 이용자에게 표시하고 처음부터 다시 입력하게 한다.
또 지문 저장 단계(S140)에서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정된 때는 저장 불가 단계(S180)로 이행하고 이용자에게 지문이 불일치하고 있음을 표시하여 다시 바르게 지문을 입력하도록 주의를 환기시킨다.
한편, 지문 저장 단계(S140)에서 고유번지로 지문 데이터가 입력된 다음에 중앙처리장치(160)는 요금 징수 단계(S150)로 이행하고 이용자가 투입한 주화에 의해 터미널(220)을 통하여 주화 계수기로부터의 징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소정 시간 대기한 다음, 주화 투입 신호가 입력되면 이용자가 선택한 보관함의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개방되게 한다.
또한, 물품 회수 모드(S200)는 도 3c로 나타낸 플로우에 따라 진행된다.
물품 회수 모드(S200)에서 중앙처리장치(160)는 이용자를 통해 보관함 번호가 입력되었는지를 번호 입력 단계(S210)에서 판단하고 입력된 번호가 있을 때는 그 입력된 번호의 보관함에 해당하는 지문 데이터를 독출 단계(S220)에서 불러들이고, 다음에 지문 신속 입력단계(S230)에서 이용자의 지문을 제공받는다.
이렇게 독출된 지문 데이터와 새로 입력된 지문 데이터는 지문 비교 단계(S240)에서 그 오차를 통해 데이터 일치 여부를 판정 받게 된다. 지문 비교 단계(S240)에서 연산 비교된 오차가 허용 범위 이내일 때는 사용시간 체크단계(S250)로 이행하게 된다.
사용 시간 체크단계(S250)에서 중앙처리장치(160)는 리얼타임클럭(190)에서 입력되는 클럭 신호를 기준으로 사용시간 경과 여부를 판정하고, 초과분이 없을 때는 개방 단계(S260)로 넘어가서 해당 보관함을 개방하고 종료한다.
또 시간 초과가 발생한 때는 정산단계(S270)로 이행하여 추가 요금을 정산하고 다음의 요금 징수 단계(S280)에서 추가 요금의 징수 신호가 입력되면 보관함 개방 단계(S260)로 이행하여 보관함을 개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드에서 이용자가 소정 시간 내에 보관함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있으면, 회수 정보 입력 단계(S210a)로 이행하여 이용자의 지문 입력을 요청하고, 지문이 입력되면 그 데이터를 토대로 지문 색인 단계(S210b)로 이행하고 램(170)에 저장된 지문 데이터를 색인 하여 비교 대상을 찾는다.
비교 대상으로 된 지문 데이터는 해당 번지에서 독출되고 새로 입력된 지문 데이터와 함께 지문 비교 단계(S240)에서 오차 범위의 판정을 통해 일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용자가 보관함 번호를 입력하거나 하지 않는 것에 따라 지문 비교에 소요되는 시간은 차이가 있기 마련이며, 사용한 보관함의 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현저하게 빨리 처리되기 때문에 이를 신속 회수 절차로 설정하여 와일드키를 통해 조작되게 할 수도 있다.
또, 지문 비교 단계(S240)에서 오차가 설정 범위를 벗어난 때는 불일치 표시단계(S290)로 이행하고 해당 보관함 없음을 이용자에게 알려 준다.
상기 도 3a로 설명한 플로우에서 관리모드(S300)는 외부 입력이 없을 경우에 진행된다.
관리모드(S300)에서 중앙처리장치(160)는 검사 단계(S310)로 이행하고 모든 보관함에 관련된 저장 데이터를 점검한다. 점검 결과 사용 판정 단계(S320)에서 비어있는 보관함, 예를 들면 해당 고유번지에 지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보관함의 고유번호군은 표시 단계(S330)에서 목록으로 화면 표시하여 이용자가 볼 수 있게 하고 등록 단계(S340)에서 데이터 관리 파일에 등록시켜 둔다.
또 사용 판정 단계(S320)에서 사용 중인 보관함의 데이터는 독출되어서 규칙 위반여부 판정 단계(S350)로 이행된다.
규칙 위반여부 판정 단계(S350)에서 사용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을 경과한 것일 때, 예를 들면 보관 후 5일이 경과한 것일 때는 유기 물품 보관으로 판정하고, 백업단계(S360)로 이행하여 현재 유기 물품이 보관된 보관함의 관련 데이터(보관함 번호, 사용시간 등)를 모두 백업해 두고 있다가, 관리자의 명령 조작이 있을 때에 수정 단계(S370)로 이행하여 유기 물품 보관함의 관련 데이터를 초기화시키고 동시에 문을 개방하여 유기 물품을 관리자가 회수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관리자는 종일 상주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순회하거나 또는 통신포트(210)를 통해 원격 전송되는 보관함 설비의 데이터를 집대성하고 분석하여 유기 물품이 발생된 장소에만 출장하여 정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면 되므로, 여러 장소의 보관함 설비를 1인이 담당할 수 있다.
데이터가 수정된 보관함의 관련 데이터는 다시 등록 단계(S340)에서 등록 처리됨으로써 다음 번 검사 단계(S310)에서 색인되어 빈 보관함으로 표시된다.
이렇게 수시로 검색하여 저장되는 사용 보관함 관련 관리 데이터는 보관함 사용에 따르는 요금 수입의 결산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가 버튼 조작 도중에 취소버튼(130)을 누르면 그 때 까지 진행된 모든 제어 단계는 중단되고 원점으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와 그 제어방법은 이용자의 지문을 인증 키이로 활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열쇠를 완전하게 생략할 수 있다. 또 지문 인증을 통해 이용자는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느끼지 않게 되고 보안 유지가 완벽하여 도난 사고의 우려가 없으며 보관함 사용에 따른 수입 관련 자료가 데이터화되어 통합 결산도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여러 장소에 분산된 보관함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것이므로 관리 방식을 1인이 여러 곳을 정기적으로 순회하게 할 수 있어서 인력 절감 효과도 뛰어나다.

Claims (7)

  1. 지문센서가 포함된 외부 입력 키이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중앙처리장치에서 연산처리하여 각 보관함의 문을 액츄에이터의 작동으로 개폐 제어하게 되어 있는 지문 인증식 보관함에 있어서,
    콘솔박스의 외부 소정 개소에 설치된 보관버튼(110), 회수버튼(120), 취소버튼(130) 및 지문센서(140)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데이터와 통상의 주화 계수기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160)와,
    상기 지문센서(140)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램(170)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60)의 연산처리에 요구되는 프로그램이 입력된 롬(180)과,
    상기 보관함의 시간 체크용 신호를 발생하는 리얼타임클럭(190)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60)의 데이터 송수신 통로가 되는 입출력포트(200)와,
    외부로 데이터를 송 수신하기 위한 통신포트(210)를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는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
  2. 삭제
  3. 삭제
  4. 보관버튼(110)과 회수버튼(120)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버튼의 고유 신호인지 무입력인지를 비교 판별하고, 버튼의 고유신호가 보관버튼(110)에 해당하면 물품 보관 모드(S100)로 이행시키고, 버튼의 고유신호가 회수 버튼(120)에 해당하면 물품 회수 모드(S200)로 이행시키며, 또한 무입력에 해당하면 관리 모드(S300)로 이행시키는 대기 모드(S1)와;
    이용자에 의해 보관함이 선택되고 상기 지문센서(140)를 통해 지문 데이터가 2회 입력되면, 양 지문 데이터의 차이를 미리 샘플링 설정한 오차 범위와 비교하여 이를 벗어나면 오류 처리하고, 오차 범위 이내이면 소정 시간 동안 요금 지불 신호의 입력을 기다린 다음, 요금 지불 신호가 입력되면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 보관함의 해당 번지로 상기 지문 데이터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사용 보관함이 개방되게 제어하고,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요금 지불 신호가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지문 데이터의 인식이 불가한 때는 오류 처리하는 상기 물품 보관 모드(S100)와;
    이용자에 의해 사용 보관함의 번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소정 시간 내에 번호 입력이 없으면 지문센서(140)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 데이터를 램(170)에 저장된 지문 데이터에서 색인하고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정하거나, 또는 사용 보관함의 번호가 입력된 때는 그 입력된 번호의 보관함에 해당하는 지문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이용자에 의해 지문센서(140)로 입력된 지문 데이터와 비교해서 일치 여부를 판정하여, 불일치 시는 오류 처리하고 일치 시는 사용 보관함의 사용 시간을 체크하여 시간 경과 여부를 판정한 다음, 초과분이 있을 시는 추가 요금의 정산을 요구하고, 시간 초과가 없거나 상기 요금 정산이 완료되면 해당 보관함을 개방시키고 종료하는 상기 물품 회수 모드(S200)와;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모든 보관함에 관련된 저장 데이터를 점검하여 비어있는 보관함의 목록을 화면 표시함과 아울러 데이터 관리 파일에 등록시키고, 사용 중인 보관함의 데이터는 독출하여 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기간을 경과한 것이면 유기 물품 보관으로 판정하고, 해당 보관함의 관련 데이터를 백업한 다음, 문을 개방하여 유기 물품을 회수하게 하는 관리모드(S300)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의 제어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1-0029806A 2000-07-13 2001-05-29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와 그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33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40115 2000-07-13
KR1020000040115 2000-07-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920U Division KR200243488Y1 (ko) 2001-05-29 2001-05-29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149A KR20020007149A (ko) 2002-01-26
KR100433651B1 true KR100433651B1 (ko) 2004-06-09

Family

ID=1967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8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433651B1 (ko) 2000-07-13 2001-05-29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와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649A (ko) * 2001-03-29 2002-10-11 표주찬 지문인식기술을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3827A (ko) * 2001-10-09 2001-11-24 송홍덕 지문인식기를 이용한 사물함 통제시스템
KR100707518B1 (ko) * 2005-05-09 2007-04-13 주식회사 더난포스 지문 인식 방식의 열쇠 보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149A (ko) 200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52970B (zh) 访问控制系统
CN101833796B (zh) 管理系统
US11492839B1 (en) Portable locker and docking station system
US2016018061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biometric secure safe deposit boxes, and similar containers and facilities
JP7400055B2 (ja) ロッカー装置
CN104809383A (zh) 便携式智能容器及其解锁方法和解锁装置
WO2011033839A1 (ja) 資産管理システム
JP2007034941A (ja) 携帯情報端末管理システム
CN110148264A (zh) 一种储物柜的管理方法及设备
KR20150120067A (ko) 스마트 무인 도서관 및 무인 도서관 운영 시스템
KR100433651B1 (ko)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083784B1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물품보관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7353038B2 (ja) ロッカー予約システム
KR200243488Y1 (ko) 지문 인증에 의해 개폐되는 물품 보관함 장치
JP2967856B2 (ja) レンタカー貸出返却システム
JP2003256583A (ja) ホテルシステム
JPH07225879A (ja) 暗証番号入力式貸しロッカーシステム及び装置
JP2002168019A (ja) 指紋照合を用いた貸金庫管理システム
JP2845254B2 (ja) 会議室の予約装置
JP2021070933A (ja) 鍵管理装置、鍵管理システムおよび鍵管理方法
JP6825742B1 (ja) 施設利用管理システム、施設利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91729A (ja) 情報記憶媒体に記憶された認証用情報書換システム
JP2006127237A (ja) 自動販売機
JP2001349111A (ja) コインロッカー・システム
JP6809623B1 (ja) 施設利用管理システム、施設利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1-apl-PJ020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40813

Effective date: 20150526

PJ1301 Trial decis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5-crt-PJ1301

Decision date: 20150526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Appeal Ground Text : 0433651

Appeal request date: 20140813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14100001991

PJ2001 Appeal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2-crt-PJ2001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1-apl-PJ020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625

Effective date: 20160203

PJ1302 Judgment (patent court)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5-crt-PJ1302

Decision date: 20160203

Decision identifier: 2015200004040

Decision authority category: National patent court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Appeal Ground Text : 20141991 (0433651 )

Appeal request date: 20150625

Appellate body name: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488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013

Effective date: 20160907

PJ1301 Trial decis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V10-V15-crt-PJ1301

Decision date: 20160907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Invalidation, Appeal Ground Text : 0433651

Appeal request date: 20151013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1510000488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5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520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5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52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