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2596B1 - 차량구동토크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구동토크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596B1
KR100432596B1 KR1019960039942A KR19960039942A KR100432596B1 KR 100432596 B1 KR100432596 B1 KR 100432596B1 KR 1019960039942 A KR1019960039942 A KR 1019960039942A KR 19960039942 A KR19960039942 A KR 19960039942A KR 100432596 B1 KR100432596 B1 KR 100432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peed
drive
drive torque
target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237A (ko
Inventor
다케토시 가와베
오사무 이소베
마사오 나카자와
이쿠로우 노추
사다히로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닛산 디젤 모터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디젤 모터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닛산 디젤 모터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7001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59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or preventing, spinning or skidding of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 e.g. preventing forward-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or preventing, spinning or skidding of wheels
    • B60K28/165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or preventing, spinning or skidding of wheels acting on elements of the vehicle drive train other than the propulsion unit and brakes, e.g. transmission, clutch, different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의 구동차륜의 구동토크를 제어하여 구동차륜과 노면 사이의 미끄럼율을 목표치와 동일하게 한다. 미끄럼율이 목표치와 동일하게 될 때 부호를 변경하는 판정함수와, 이 판정함수의 시간적분인 적분항을 포함하는 전환함수가 설정되고, 전환함수와 정비례하도록 구동토크 목표치가 설정된다. 또, 구동토크 목표치는 판정함수와 구동차륜의 각가속도에 따라 설정된다.

Description

차륜구동토크 제어장치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차량의 기동 또는 가속시의 차륜구동토크의 최적화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차량의 기동 또는 가속시 구동차륜이 지나치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차륜 속도와 섀시 속도 사이의 차이에 따른 구동차륜 구동토크의 피드백 제어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다음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1] 문헌(Tan and Chin : Vehicle Traction Control: Variable Structure Control Approach, Trans. of ASME Dynamic Systems, Measurement and Control, 113 223/230 (1991).
[2] 문헌(Chin, William, Sidlosky, Rule and Sparschu: Sliding-Mode ABS Wheel-Slip Control Proc. of Am. Control Conf. 1/5 (1992).
이들 문헌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독립변수로서 차량속도와 차륜속도를 가진 함수가 설정되고, 함수값이 정(positive) 또는 부(negative) 인가의 여부에 따라 구동토크를 변경함으로써 노면과 타이어 사이의 미끄럼율이 목표치로 제어된다.
그러나, 구동토크를 발생시키는 엔진의 스로틀 동작에 대한 응답지연으로 인해 이 장치에 구동토크의 헌팅(hunting)이 있으면, 원하는 값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또한 디지탈 계산기를 포함한다. 섀시속도와 차륜속도가 제한된 샘플링구간에서 샘플링될 때, 함수 계산에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동 토크의 제어에 응답지연이 발생하고, 구동토크 또는 미끄럼율의 헌팅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헌팅을 억제하기 위해, 함수의 특성은 구동토크의 급격한 전환이 없고, 구동토크를 최대치로부터 최소치로 완만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설정될수 있다. 그러나 구동토크가 이러한 방식으로 간헐적으로 변하게 되면, 제어오류가 증가하고, 목표치가 미끄럼율의 실제치와 정확히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면과 타이어 사이의 미끄럼율을 목표치로 신속하게 수렴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끄럼율의 제어정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동차륜의 속도를 검출하는 장치와,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장치로서, 이 차량에는 상기 구동차륜이 장착된, 차량 속도 검출 장치와, 상기 구동차륜의 상기 속도와 상기 차량의 상기 속도로부터 구동차륜 미끄럼율을 계산하는 장치와, 상기 미끄럼율이 상기 목표치와 일치할 때 부호를 변경하는 판정함수를 설정하는 장치와, 상기 판정함수의 시간적분인 적분항을 포함하는 전환함수를 설정하는 장치와, 상기 전환함수의 값에 따라 구동토크 목표치를 판정하는 장치와, 상기 구동차륜의 구동토크를 상기 구동 토크 목표치로 제어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차륜구동토크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판정함수는 다음 식[A]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전환 함수는 다음 식[B]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σ(t) = 판정함수
Xv(t) = 차량속도
Xw(t) = 구동차륜속도
λ0= 목표미끄럼율
λ = 미끄럼율
상기 구동토크 목표치는 다음 식[C]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Jw, q+, q-,δ = 상수들
ucmd(t) = 구동토크 목표치
f(s) = 단조 감소함수, f(0) = q-, f(δ) = q+
또한, 본 발명은 구동차륜의 속도를 검출하는 장치와,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장치로서, 이 차량에는 상기 구동차륜이 장착된, 속도 검출 장치와, 상기 구동차륜의 상기 속도와 상기 차량의 상기 속도로부터 구동차륜미끄럼율을 계산하는 장치와, 상기 미끄럼율이 상기 목표치와 일치할 때 부호를 변경하는 판정함수를 설정하는 장치와, 상기 구동차륜의 각가속도를 검출하는 장치와, 상기 판정함수의 값과 상기 각가속도에 따라 상기 구동토크의 목표치를 계산하는 장치와, 상기 구동차륜의 구동토크를 상기 구동토크 목표치와 일치하도록 제어하도록 제어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차륜구동토크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판정 함수는 다음 식[D]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σ(t) = 판정함수
Xv(t) = 차량속도
Xw(t) =구동차륜속도
λ0= 목표미끄럼율
λ = 미끄럼율
상기 구동토크 목표치는 다음 식[E]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JW, v+, v-, kw = 상수들
Xw= 구동차륜 각가속도
ucmd(t) = 구동토크 목표치
본 발명의 상세 및 다른 특징, 이점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 기재되어 있고, 첨부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구동토크 제어장치의 개략도.
도 2는 구동토크 제어조건이 설정되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제어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3은 제어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구동토크 제어 루틴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4는 제어장치에 의해 부여된 제어함수 qi(t)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제어장치 제어하의 미끄럼율 λ의 그래프.
도 6은 제어장치 제어하의 구동차륜속도 xwi와 섀시 속도 xv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제 1 도와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 1 도와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 3 실시예에 의한 구동 토크제어루틴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의한 제어함수 vi(t)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토크 분배기
3 : 제어장치
4 : 차륜속도센서
5 : 차량속도센서
9 : 스로틀보정장치
11 : 스로틀
도면중 도 1을 참조하면, 엔진(1)은 흡기스로틀(11)의 개구율(aperture)에 따라 출력토크가 변한다. 제어장치(3)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토크를 분배하여 구동차륜(10)을 회전시키는 토크분배기(2)를 통해 좌 및 우 차륜(10)에 출력토크가 전달된다. 흡기스로틀의 개폐는 가속페달(8)에 의해 행해진다.
신호들은 차량(10)의 회전속도 Xw(t)를 검출하는 차륜속도센서(4), 자동차의 차량속도 Xv(t)를 검출하는 차량속도센서(5), 및 가속페달(8)의 눌림각 θ(t)을 검출하는 가속 페달 눌림각센서(6)로부터 제어장치(3)에 입력된다.
차륜속도센서(4)는 각 구동차륜들(10)에 설치된다.
차량속도센서(5)는 예를 들면 차량에 전/후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속도 α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센서(5)의 출력을 적분하는 적분기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속도 Xv(t)는 제어장치(3)에서 다음 식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식중, Xv(t0)는 초기치이고, Rw는 차륜반경이다.
차륜속도센서가 또한 비구동차륜(20)에 설치되어 비구동차륜(20)의 회전속도를 차량속도 Xv(t)로서 검출할 수도 있다.
제어장치(3)는, 예를 들면 다음 식들로부터 입력구동차륜속도 Xw(t), 차량속도 Xv(t) 및 가속페달눌림각 θ(t) 신호들에 대한 목표구동토크 ucmd(t)를 계산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1]
식중, i는 차륜의 수를 나타내는 첨자이다.
예를 들면, 구동차륜이 2개의 후차륜일 때, 우측 후차륜의 차륜 속도를 Xw1(t)이라고 하고 좌측 후차륜의 차륜속도를 Xw2(t)이라고 한다. 판정함수 σi는 각 구동차륜의 속도에 대해 계산된다.
η는 다음 식에 의해 노면과 타이어 사이의 미끄럼율의 목표치 λ0로부터 결정된 소정치이다:
노면과 타이어 사이의 미끄럼율 λi는 다음 식으로부터 결정된다:
[2]
정의에 의해, σi(t)=0은 미끄럼율 λi가 미끄럼율 λ0와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σi(t)>0은 미끄럼율이 목표치보다 큰 것을 의미하고, 한편 σi(t)<0는 미끄럼율이 목표치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전환함수 si(t)는 다음 식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식중, t는 현재 시간이고, k1는 소정의 양의 상수이다.
구동차륜들(10)의 구동토크치 ucmd(t)는 다음 식에 의해 결정된다:
f(si)는 f(0)= qi-, f(δ) = qi+을 만족하는 완만한 단조감소함수이다. δ는 정의 소정치이다. qi+, qi-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상수들이다.
fμi는 i번째 차륜상에 노면에 의해 작용하는 전/후방향의 힘이고, fresisti는 i번째의 구름저항(rolling resistance)이다.
fμi, fresisti, v, σi는 항상 유한 값들을 가지므로, 식 [6] 및 [7]을 만족시키는 qi+, qi- 의 값이 항상 존재한다. 도 4는 qi(t)을 그래프 형태로 나타낸다.
그러므로, 목표구동토크 ucmd(t)를 얻기 위해 요구되는 흡기스로틀(11)의 개도 보정양은 가속페달 눌림각 θ(t)으로부터 계산되고, 보정신호는 스로틀 보정장치(9)에 출력된다.
스로틀보정장치(9)는 흡기스로틀(11)에 부착되고, 보정신호에 따라 스로틀(11)의 개도를 보정한다.
다음에, 제어장치(3)에 의해 행해지는 상기 계산 및 제어를 도 2 및 도 3의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의 플로차트는 기본 루틴이다. 스텝 S1에서, 시간이 샘플링 시간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스텝은 루틴을 일정주기로 실행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특히, 현재시각의 카운터치 t가 n배(n은 정수)의 샘플링 주기 T와 동일한가의 여부가 결정되고, 스텝 S2의 루틴과 후속 스텝들은 동일할 때에만 실행된다.
스텝 S2에서, 가속페달의 눌림각 θ(t)이 리드되고 스텝 S3에서 θ(t)가 소정치 θ0와 동일한가 또는 큰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일반적으로, 가속중의 미끄럼은가속페달이 소정량이상으로 눌렸을 때 일어난다. 다른 때에, 구동력 제어는 불필요하므로, 구동력 제어를 행할 필요없이 루틴은 종결된다.
눌림각 θ(t)이 θ0와 동일하거나 또는 클때에는, 도 3에 나타낸 구동력 제어루틴이 실행된다.
이중, 스텝 S11에서, 구동차륜속도 Xwi(t)와 차량속도 Xv(t)가 리드된다. 다음에, 스텝 S12-S14에서, 계산 [1]-[7]이 행해지고, 각 차륜에 대한 구동 토크 ucmdi(t)가 계산된다.
다음에, 스텝 S15에서, 스로틀 개도가 보정되어 엔진토크 TE는 다음 식과 일치한다:
식중, kG는 [엔진토크/구동차륜의 구동토크]에 대응하는 기어비(gear ratio)이다. 이 루틴을 단순하게 실행하기 위해, 스로틀 개도는에 정비례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토크분배기(2)는 좌 및 우구동차륜 사이의 엔진토크 TE를 ucmd1: ucmd2의 비율로 나눈다.
차량의 구동차륜의 수가 ηw일때, 가속도 운동방정식은 다음 식으로 표현될수 있다:
Xv= 차량속도(회전각속도로부터 변환됨)
ui= i 번째 차륜의 가속모멘트
Bv= 기체저항 계수
Jw= 구동차륜들의 관성모멘트
μii) = i번째 차륜과 노면 사이의 마찰계수
Fvi= i번째 구동차륜의 차륜부하
θ = 노면경사
Xwi= i번째 구동차륜의 회전속도
Mv= 차량의 중량
Bri= i번째 차륜의 구름 저항계수
Rw= 구동차륜들의 반경
λi= i번째 차륜의 미끄럼율
ηw= 구동차륜들의 수
다음에, 양 Vi(t)=Si(t)2을 고려한다. 정의에 의해, Vi(t)>0이 명백하다.
Vi(t)의 시간미분이 항상이면, Vi(t)는 단조로 감소하고,
즉:
si(t)도 또한 상수값이다. 정의에 의해, Si(t)가 상수이면, σ(t)=0, 즉 λi0이다.
가 항상인 조건을 결정한다.= 2··Si(t)≤이므로, si(t)≥0 일때<0 이고 si(t)≤0일때≥0이다. 먼저, si(t)<0인 경우를 고려한다.를 다음과 같이 쓴다.
식[10]에 식[5]의 qi(t)를 대입하면,>0 임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si(t)>δ에 대해,<0임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영역 0≤si(t)≤δ에서, qi(t)=uio(qi -> uio> qi +)에서=0에 대해 평형점 p이 있다는 것을 식[10]으로부터 명백하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si(t)<0이고 si(t)>δ이기 때문에, Vi(t)는 단조로 감소하고, 영역 0≤si(t)≤δ에서의 점 p에서 Vi(t)는 안정하다. 이것은 λi0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끄럼율 λi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시간에 목표치 λ0로 정밀하게 제어된다. 또, 차량속도 xv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럼율 λ0에 대응하는 일정 속도차를 갖는 구동차륜속도 xwi를 추종한다.
따라서, 효과적이고, 안정한 가속은 전환 함수에 적분항을 부여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이 단순화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토크분배기(2) 대신에 차동기어(23)를 가진 차량에 응용된다. 여기서, 차륜속도센서(4)를 각각의 구동차륜들(10)에 부착하는 대신 회전속도센서(22)는 추진축(21)에 부착되고, 구동차륜속도의 평균치 xw1는 ηw=1에 대한 추진축(21)의 회전속도로부터 계산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좌 및 우차륜(10)에 대한 토크 분배는 부하에 따라 차동기어(23)에 의해 행해지고, 제어장치(3)는 스로틀 개도만을 제어한다.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각 구동차륜(10)의 각가속도를 검출하는 각가속도센서(7)가 제 1 실시예의 구성에 추가되고 각 구동차륜(10)의 각가속도 w는 각 구동차륜(10)에 대한 구동토크 목표치 ucmdi(t)의 계산에 피드백된다. 기본 구동력 제어루틴은 도 2에 나타낸 제 1실시예의 플로차트에서와 동일하지만, 구동력 목표치 ucmdi(t)의 계산에 관해서는, 제 1실시예의 스텝 S13, S14은 각각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23, S24에 의해 대체된다.
즉, 스텝 S23에 있어서, 구동차륜들의 각가속도 wi(t)는 각가속도 센서(7)의 출력으로부터 판독되고, 스텝 S24에 있어서, 구동토크 목표치 ucmdi(t)는 다음 식들로부터 계산된다:
식중, kw는 차륜 각가속도 wi를 브레이크토크에 피드백하기 위한 피드백 게인인 정의 소정치이다. vi +, vi -는 다음 조건들을 만족하는 상수들이다;
fμi, fresisti, v, si는 모든 경우에 유한값을 가지므로, 식[13] 및 [14]을 만족시키는 vi +, vi -의 값이 항상 존재한다. 도표로 식[12]을 나타내면, 도 10의 그래프가 얻어진다.
스텝 S15에 있어서, 스로틀 개도가 보정되고 발생된 토크는 상기에서와 같이계산된 구동토크치 ucmd(t)를 사용하여 제 1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토크 분배기(2)를 통해 각각의 구동차륜(10)에 분배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실시예의 식[10]은 다음과 같이 기재된다.
이것은, 식[11]으로부터 얻어진
가 식[9]에 대입되면,
가 얻어진다는 것으로부터 유도된다.
식[12]의 vi(t)를 식[15]에 대입하면, si(t)<0 일때, 식[14]으로부터>0, 마찬가지로 si(t)>0일때, 식[13]으로부터<0인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동력 전환의 형태가 가능할 때는 vi(t)가 단조로 감소하고 λi= λ0이다.
실제치에 대해 차륜속도 또는 차량속도에는 검출지연이 항상 존재한다. 또, 디지탈 프로세스가 계산장치로서 사용될 때, 제어가 일정 구간들에서 행해지므로,제어 신호는 제어시간 사이에는 출력되지 않는다. 또, 구동토크를 발생하는 액튜에이터에는 지연이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구동토크 제어에는 지연이 항상 존재한다.
이 때문에, 미끄럼율이 목표치에 비해 너무 크거나 너무 작게되고, 구동 토크가 변동하고, 그 결과로서 목표치의 영역에는 미끄럼율의 헌팅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차륜의 각가속도 w는 구동토크에 피드백되고, 차륜회전 관성모멘트가 같은 양만큼 증가하고, fμi, fresisti및 vi(t)에 대한 차륜속도의 변동이 작다. 이것은 식[16]중 kw의 정의 소정치로 인해, kw=0 일때 v의 좌측편이 1/(1+kw)이라는 것으로부터 명백하다.
그러므로, 미끄럼율이 목표치의 근방에 있을때, 지연이 vi(t)의 출현으로 일어날 때에도 w가 너무 많이 변화하지 않고, 헌팅은 감소된다.
구동차륜들의 가속도는, 구동차륜들의 회전속도를 하이패스필터(high pass filter) 또는 밴드패스필터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슈도 차분으로 대체되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속도는 비구동차륜들(20)의 차륜속도에 의해 치환되어도 된다. 또, 차륜속도센서(4)는 상기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구동차륜(10)에 부착될 수도 있고, 회전속도 센서(22)는 차동기어(23)를 가진 차량의 추진축(21)에 부착될 수도 있고, 스로틀 개도만을 제어하도록 추진축(21)의 회전 속도로부터 구동차륜 속도의 평균치 xw1가 계산된다.
독점적인 특성 또는 특권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정의된다.

Claims (6)

  1. 구동차륜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차량에는 상기 차륜이 장착되어 있는, 차량 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구동차륜의 상기 속도와 상기 차량의 상기 속도로부터 구동차륜 미끄럼율을 계산하는 수단과,
    상기 미끄럼율이 상기 목표치와 일치하였을 때 부호(sign)를 변경하는 판정함수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판정함수의 시간 적분인 적분항을 포함하는 전환함수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전환함수의 값에 따라 구동토크 목표치를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구동차륜의 구동토크를 상기 구동토크 목표치로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차륜구동토크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함수는 다음 식 [A]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전환 함수는 다음 식 [B]에 의해 정의되는 차륜구동토크 제어장치.
    σ(t) = 판정함수
    xv(t) = 차량속도
    xw(t) = 구동차륜속도
    λo = 목표미끄럼율
    λ = 미끄럼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토크 목표치는 다음 식[C]에 의해 결정되는 차륜 구동 토크 제어장치.
    Jw, q+, q-, δ = 상수들
    ucmd(t) = 구동토크 목표치
    f(s) = 단조 감소함수, f(0) = q-, f(δ) = q+
  4. 구동차륜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차륜에는 상기 차륜이 장착된, 차량 속도 검출 수단과,
    상기 구동차륜의 상기 속도와 상기 차량의 상기 속도로부터 구동차륜 미끄럼율을 계산하는 수단과,
    상기 미끄럼율이 상기 목표치와 일치하였을 때 부호를 변경하는 판정함수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구동차륜의 각가속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판정함수의 값과 상기 각가속도에 따라 상기 구동토크의 목표치를 계산하는 수단과,
    상기 구동차륜의 구동토크를 상기 구동토크 목표치로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차륜구동토크 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함수는 다음 식[D]에 의해 정의되는 차륜구동토크 제어장치.
    σ(t) = 판정함수
    xv(t) = 차량속도
    xw(t) = 구동차륜속도
    λo = 목표미끄럼율
    λ = 미끄럼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토크 목표치는 다음 식[E]에 의해 결정되는 차륜구동토크 제어장치.
    JW, v+, v-, kW= 상수들
    w= 구동차륜 각가속도
    ucmd(t) = 구동토크 목표치
KR1019960039942A 1995-09-14 1996-09-14 차량구동토크제어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432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337795A JP3526675B2 (ja) 1995-09-14 1995-09-14 車輪の駆動トルク制御装置
JP95-273377 1995-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237A KR970016237A (ko) 1997-04-28
KR100432596B1 true KR100432596B1 (ko) 2004-08-25

Family

ID=1752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942A Expired - Lifetime KR100432596B1 (ko) 1995-09-14 1996-09-14 차량구동토크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61565A (ko)
JP (1) JP3526675B2 (ko)
KR (1) KR100432596B1 (ko)
CN (1) CN1080655C (ko)
DE (1) DE1963746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711170D0 (en) * 1997-05-31 1997-07-23 Rover Group Vehicle steering control
JP3680216B2 (ja) * 1999-06-08 2005-08-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輌用トラクション制御装置
US6989028B2 (en) 2000-01-31 2006-01-24 Edwards Lifesciences Ag Medical system and method for remodeling an extravascular tissue structure
US7011682B2 (en) 2000-01-31 2006-03-14 Edwards Lifesciences Ag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deling an extravascular tissue structure
US6402781B1 (en) 2000-01-31 2002-06-11 Mitralife Percutaneous mitral annuloplasty and cardiac reinforcement
JP3870878B2 (ja) * 2002-08-29 2007-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原動機の制御装置および原動機の制御方法
JP3855886B2 (ja) * 2002-08-29 2006-1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路面状態変化推定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自動車
JP3832405B2 (ja) * 2002-08-29 2006-10-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原動機の制御装置および原動機の制御方法
JP4625632B2 (ja) * 2003-12-25 2011-02-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駆動装置
WO2008029524A1 (fr) * 2006-09-07 2008-03-13 Yokohama National University Dispositif d'estimation de rapport de glissement et dispositif de contrôle de rapport de glissement
US7853389B2 (en) * 2007-10-29 2010-1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tion control for performance and demonstration spin
WO2009137306A1 (en) * 2008-05-05 2009-11-12 Crown Equiment Corporation Slip control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JP5336447B2 (ja) * 2010-09-02 2013-11-06 日立建機株式会社 電気駆動車両
EP2691276B1 (en) * 2011-03-29 2015-03-18 Robert Bosch GmbH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wheel-spinning situations for all-wheel drive vehicles
WO2016158720A1 (ja) * 2015-03-27 2016-10-0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電動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CN107991110B (zh) * 2017-11-29 2019-11-12 安徽省一一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履带式机器人滑动参数检测方法
DE102019214503A1 (de) * 2019-09-23 2021-03-25 Zf Friedrichshafen Ag Schlupfregelung mit verbessertem Traktionswirkungsgra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6333A (en) * 1988-04-20 1990-05-15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Traction control apparatus
US5151861A (en) * 1989-02-22 1992-09-29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engine output control method and vehicle engine
JPH03249350A (ja) * 1990-02-27 1991-11-07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出力制御装置
US5243526A (en) * 1990-05-18 1993-09-07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Output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5255192A (en) * 1990-05-18 1993-10-19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Output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61565A (en) 1999-10-05
CN1080655C (zh) 2002-03-13
CN1156671A (zh) 1997-08-13
JPH0988655A (ja) 1997-03-31
DE19637467A1 (de) 1997-04-30
JP3526675B2 (ja) 2004-05-17
KR970016237A (ko) 1997-04-28
DE19637467B4 (de) 2007-08-02
HK1001390A1 (en) 199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596B1 (ko) 차량구동토크제어장치
US5001636A (en) Yaw motion control device
EP1627790B1 (en) Estimating method for road friction coefficient and vehicle slip angle estimating method
US5694319A (en) Process for the determining travel-situation-dependent steering angle
US6922617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3214172B2 (ja) 差動制限トルク制御装置
JPH06109599A (ja) 車両質量並びに走行抵抗の決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178600A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US5135290A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ntilocking and antiskid applications
GB2221200A (en) 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otor vehicles
US5333943A (en) Method and system for anti-lock braking in automobile by measuring brake torque
JP2704774B2 (ja) 車両の駆動輪スリップ制御装置
US5884987A (en) Antilock brake device
US5016179A (en) Drive slip regulator for motor vehicles
US588471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e slip control
JP2669653B2 (ja) 自動車のスリップ制御装置
JP3518174B2 (ja) 車両の追従走行制御装置
US6746368B2 (en) Vehicle speed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JP2001138888A (ja) 車両の駆動ユニット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3432959B2 (ja)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装置
CN116507532A (zh) 用于机动车的牵引力控制的方法
JP3432964B2 (ja)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装置
US5575350A (en) Driving force control system in vehicle
JPH10100882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669654B2 (ja) 自動車のスリップ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9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9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09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