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1834B1 - 열간압연강판의 냉각방법 - Google Patents

열간압연강판의 냉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834B1
KR100431834B1 KR10-1999-0040868A KR19990040868A KR100431834B1 KR 100431834 B1 KR100431834 B1 KR 100431834B1 KR 19990040868 A KR19990040868 A KR 19990040868A KR 100431834 B1 KR100431834 B1 KR 100431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rolled steel
cooling
correction coefficient
h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564A (ko
Inventor
이필종
최호
최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40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8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83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2001/225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by hot-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의 열연강판을 수냉각설비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열연강판의 냉각시 주위 공기조건변화를 주수량 결정에 반영하여 온도제어를 보다 정확히 할 수 있는 열연강판의 냉각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열연강판의 냉각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연강판의 냉각시 주위공기중의 수분잔량과 보정계수와의 상관관계식을 구하고, 다음 열연강판의 냉각시 주위 공기중의 수분잔량을 구하고, 이것을 상기 보정계수와의 상관관계식에 대입하여 수정 보정계수를 구하고, 이 수정 보정계수와 가장 최근에 동일 소재의 제조에 대하여 학습함으로써 구해진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가중평균법에 의해 최종 보정계수를 구하고, 이 최종보정계수를 다음에 제조할 동일한 소재조건을 갖는 열연강판 냉각과정에 적용하여 보정 주수량을 구하여 열연강판을 냉각하는 방법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열간압연강판의 냉각방법{A Method for Cooling Hot-Rolled Steel Sheet}
본 발명은 제철소의 열연강판 생산과정중 열간압연을 마친 고온강판을 수냉각설비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위 공기조건변화를 주수량 결정에 반영하여 온도제어를 보다 정확히 할 수 있는 열연강판의 냉각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열간압연기에서 열간압연된 열연강판은 목적하는 기계적 성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냉각설비에 의해 수냉된다.
상기 수냉각설비에 의한 수냉시 목적하는 열연강판의 기계적성질을 얻기위해서는 적절한 주수량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에는 다음과 같이 적절한 주수량을 결정하여 열간압연강판을 냉각하였다.
즉, 종래에는 목표냉각종료온도를 설정하고, 현재 제조하고자 하는 열연강판의 소재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목표냉각종료온도를 얻을 수 있는 주수량을 결정하고, 상기와 같이 결정된 주수량을 주수하여 열연강판을 냉각시키고, 상기 열연강판의 냉각시 열연강판의 냉각종료온도를 측정하고, 상기와 같이 측정된 열연강판의 냉각종료온도와 목표냉각종료온도와의 차이를 구하고, 상기 측정 냉각종료온도와 목표냉각종료온도와의 차이가 목표 오차 범위내에 오도록 하는 보정계수를 학습을 통해 구하고, 상기와 같이 구한 보정계수를 다음에 생산할 동일한 소재조건을 갖는 열연강판 냉각과정에 적용하여, 냉각종료온도와 목표냉각온도와의 차이가 목표오차범위내에 오도록 하는 보정 주수량을 구하여 열연강판을 냉각하였다.
상기한 종래방법에 있어서 냉각능력 보정계수는 현재 생산하고자 하는 소재와 동일한 강종, 두께, 그리고 생산속도를 갖는 가장 최근의 소재 및 운전조건 정보를 이용하여, 주위 공기조건 변화가 무시된 상태에서, 학습한 결과로부터 얻어진다.
여기서 학습이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종, 두께정보와 함께 냉각개시온도,생산속도, 그리고 실적 주수량의 분포등을 이용하여 공냉 및 수냉에 의한 냉각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단순온도강하량 예측식 또는 차분식 등을 적용하여 실적 냉각종료온도와 일치되는 값이 얻어지도록 정확한 수냉의 냉각효과를 예측해 줄 수 있는 보정값을 구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구해진 값, 즉 보정계수는 다음의 같은 강종, 두께, 생산속도의 소재가 생산될 때 적용되어 목표냉각종료온도가 정확하게 얻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어떤 소재에 대해 적용된 보정계수와 생산후 학습해서 얻어진 보정계수가 크게 다르면 실제 얻어진 냉각종료온도가 목표냉각종료온도와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며, 이를 소재 전체 길이(통상 수백 m이상 때로 수 km에 달함)에 대해 통상 제어 오차가 ±20℃내에 길이의 비율로 적중율을 관리하여 왔다.
따라서, 통상 90% 근처인 적중율을 1%높일 수 있다는 것은 소재길이중 수 m 또는 수십 m가 목표하는 재질을 갖을 수 있어 제품으로서 가치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데, 현장 조업결과를 분석하여 보면 계절별로 또는 주위온도 조건의 변화가 심한 밤과 낮의 조건에서, 또는 공장이 계속해서 운전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고 정비등의 사유로 장시간 서있다가 조업이 개시되는 조건사이에서 볼 때 적용된 보정계수와 학습에서 구해진 보정계수는 크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계절적인 차이가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도 2는 약 1년간 동일강종에 대한 학습된 냉각능 보정계수의 변화를 조사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동절기와 하절기 사이에 약 20%의 냉각능력 변화가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일반적 예상과는 달리 동절기에 비해 하절기 근처에서 냉각능력이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주위공기 조건이 냉각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있음을 알 게 되었는 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확하게 어떤 영향이 있는 가를 알 수 없어 온도제어에 반영할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열연강판의 냉각시 주위공기 조건이 냉각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 및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열연강판의 냉각시 주위 공기조건변화를 주수량 결정에 반영하여 온도제어를 보다 정확히 할 수 있는 열연강판의 냉각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열간압연강판의 냉각방법에 있어서 냉각능 보정계수를 구 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는 계절에 따른 냉각능 보정계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주위 공기조건에 따른 냉각능변화 실험결과도
도 4는 계절에 따른 포화가능 수증기량과 냉각능 보정계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
도 5는 실제 측정된 포화가능 수증기량과 보정계수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는 그래프
도 6은 학습후 얻어진 종래 보정계수와 본 발명에 따라 보정된 보정계수를 비교한 비교도
도 7은 종래의 보정계수 및 본 발명에 의한 적중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목표냉각종료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현재 제조하고자 하는 열연강판의 소재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목표냉각종료온도를 얻을 수 있는 주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결정된 주수량을 주수하여 열연강판을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의 냉각시 열연강판의 냉각종료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측정된 열연강판의 냉각종료온도와 목표냉각종료온도와의 차이를 구하는 단계;
상기 측정 냉각종료온도와 목표냉각종료온도와의 차이가 목표 오차 범위내에 오도록 하는 보정계수를 학습을 통해 구하는 단계; 및
상기와 같이 구한 보정계수를 다음에 생산할 동일한 소재조건을 갖는 열연강판 냉각과정에 적용하여, 냉각종료온도와 목표냉각온도와의 차이가 목표오차범위내에 오도록 하는 보정 주수량을 구하여 열연강판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열연강판의 냉각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연강판의 냉각시 주위공기중의 수분잔량(단위 질량당의 공기가 갖을 수 있는 최대 수분량(무게)에서 현재 단위 질량당의 공기가 갖고 있는 수분량(무게)을 뺀 값)과 상기 보정계수와의 상관관계식을 구하는 단계;
다음 열연강판의 냉각시 주위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이 주위온도에서 포화될 수 있는 수증기량을 구하여 주위공기중의 수분잔량을 구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구한 수분잔량을 상기 수분잔량과 상기 보정계수와의 상관관계식에 대입하여 수정 보정계수를 구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구한 수정 보정계수와 가장 최근에 동일 소재의 제조에 대하여 학습함으로써 구해진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가중평균법에 의해 최종 보정계수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와 같이 구한 최종보정계수를 다음에 제조할 동일한 소재조건을 갖는 열연강판 냉각과정에 적용하여, 냉각종료온도와 목표냉각온도와의 차이가 오차범위내에 오도록 하는 보정 주수량을 구하여 열연강판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연강판의 냉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목표냉각종료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현재 제조하고자 하는 열연강판의 소재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목표냉각종료온도를 얻을 수 있는 주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결정된 주수량을 주수하여 열연강판을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의 냉각시 열연강판의 냉각종료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측정된 열연강판의 냉각종료온도와 목표냉각종료온도와의 차이를 구하는 단계; 상기 측정 냉각종료온도와 목표냉각종료온도와의 차이가 목표 오차 범위내에 오도록 하는 보정계수를 시행오차법등에 의한 학습을 통해 구하는 단계; 및 상기와 같이 구한 보정계수를 다음에 생산할 동일한 소재조건을 갖는 열연강판 냉각과정에 적용하여, 냉각종료온도와 목표냉각온도와의 차이가 목표오차범위내에 오도록 하는 보정 주수량을 구하여 열연강판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연강판의 냉각방법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열연강판을 냉각하기 위해서는 상기 열연강판의 냉각시 주위공기중의 수분잔량(단위 질량당의 공기가 갖을 수 있는 최대 수분량(무게)에서 현재 단위질량당의 공기가 갖고 있는 수분량(무게)을 뺀 값)과 상기 보정계수와의 상관관계식을 구해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수분잔량과 상기 보정계수와의 상관관계식을 구하기 위하여 많은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실험실에서 동일유량, 냉각개시조건을 갖는 동일 강종, 두께의 강판을 냉각할 때 주변공기온도만 10℃와 40`℃로 다른 두 조건에서 얻어진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냉각능력의 변화가 주위 공기조건에 따라 달라짐을 알수 있다.
그런데, 이 두 조건에서 보면 공기온도에 따라 포화가능수증기량에 차이가 생겨 10℃인 경우에서 보다 빠르게 수증기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주위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이 주위온도에서 포화될 수 있는 수증기량을 구하여 여분의 공간, 즉 단위 질량의 공기당 포화수증기량에서 현재 수분함량을 뺀 값(수분잔량)을 구한 다음, 수분 잔량과 도 2와 같이 구한 보정계수의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분잔량이 냉각능 보정계수의 변화를 표현할 수 있는 잣대(기준)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열연강판의 냉각설비 근처에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하여 이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수분잔량)와 냉각능력 보정계수와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상기한 상관관계는 강종, 두께, 생산속도에 따라 바뀔 수 있으나, 어느 경우나 수분잔량(포화가능 수증기량)과 냉각능 보정계수 사이에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형에 가까운 관계식이 얻어진다.
다음에는, 다음 열연강판의 냉각시 주위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이 주위온도에서 포화될 수 있는 수증기량을 구하여 주위 공기중의 수분잔량을 구한다.
상기 주위 공기중위 수분잔량은 열연강판의 냉각설비 근처에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부착하여 이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한 수분잔량을 상기 수분잔량과 상기 보정계수와의 상관관계식에 대입하여 수정 보정계수를 구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한 수정 보정계수와 가장 최근에 동일 소재의 제조에 대하여 학습함으로써 구해진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가중평균법에 의해 최종 보정계수를 구한다.
바람직한 최종보정계수는 다음과 같다.
최종보정계수 = 수정보정계수 × (0.2 ∼0.4) + 보정계수×(0.6 ∼0.8)
상기 수정보정계수와 보정계수에 곱해지는 값들의 합은 항상 1.0이다.
상기와 같이 가중평균하는 이유는 보정계수는 여러 가지 이론적으로 규명되지 않은 오차를 반영하는 것이므로 주위공기가 갖는 수분에 의한 효과는 이 오차중의 일부로 약 20-40%정도로 여겨진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한 최종보정계수를 다음에 제조할 동일한 소재조건을 갖는 열연강판 냉각과정에 적용하여, 냉각종료온도와 목표냉각온도와의 차이가 오차범위내에 오도록 하는 보정 주수량을 구하여 열연강판을 냉각하므로써, 온도 제어를 보다 정확히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종래의 열연강판의 냉각방법에 적용되기 위한 냉각능 보정계수(f1)과 본 발명에 따라 수정된 냉각능 보정계수(f(modified))를 생산후에 학습된 냉각능 보정계수(f2)와 비교한 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냉각능 보정계수(f1)에 비해 수정된 냉각능 보정계수가 분산이 줄고 기울기가 1에 가깝고, 절편값이 크게 작아져서 학습된 냉각능 보정계수와 잘 일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온도제어가 더 정확하게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몇가지 강종에 대해 본 발명의 적용전과 후의 온도제어 적중율을 변화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 적중율이 모든 소재 강종, 두께에 대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열연강판을 냉각하는 경우 온도제어를 보다 정확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목표냉각종료온도를 설정하는 단계; 현재 제조하고자 하는 열연강판의 소재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목표냉각종료온도를 얻을 수 있는 주수량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결정된 주수량을 주수하여 열연강판을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의 냉각시 열연강판의 냉각종료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측정된 열연강판의 냉각종료온도와 목표냉각종료온도와의 차이를 구하는 단계; 상기 측정 냉각종료온도와 목표냉각종료온도와의 차이가 목표 오차 범위내에 오도록 하는 보정계수를 학습을 통해 구하는 단계; 및 상기와 같이 구한 보정계수를 다음에 생산할 동일한 소재조건을 갖는 열연강판 냉각과정에 적용하여, 냉각종료온도와 목표냉각온도와의 차이가 목표오차범위내에 오도록 하는 보정 주수량을 구하여 열연강판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열간압연강판의 냉각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연강판의 냉각시 주위공기중의 수분잔량(단위 질량당의 공기가 갖을 수 있는 최대 수분량(무게)에서 현재 단위 질량당의 공기가 갖고 있는 수분량(무게)을 뺀 값)과 상기 보정계수와의 상관관계식을 구하는 단계;
    다음 열연강판의 냉각시 주위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이 주위온도에서 포화될 수 있는 수증기량을 구하여 주위공기중의 수분잔량을 구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구한 수분잔량을 상기 수분잔량과 상기 보정계수와의 상관관계식에 대입하여 수정 보정계수를 구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구한 수정 보정계수와 가장 최근에 동일 소재의 제조에 대하여 학습함으로써 구해진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가중평균법에 의해 최종 보정계수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와 같이 구한 최종보정계수를 다음에 제조할 동일한 소재조건을 갖는 열연강판 냉각과정에 적용하여, 냉각종료온도와 목표냉각온도와의 차이가 오차범위내에 오도록 하는 보정 주수량을 구하여 열연강판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열간압연강판의 냉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최종보정계수가
    최종보정계수 = 수정보정계수 × (0.2 ∼ 0.4) + 보정계수×(0.6 ∼ 0.8)
    [수정보정계수와 보정계수에 곱 해지는 값들의 합은 1.0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압연강판의 냉각방법
KR10-1999-0040868A 1999-09-22 1999-09-22 열간압연강판의 냉각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31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868A KR100431834B1 (ko) 1999-09-22 1999-09-22 열간압연강판의 냉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868A KR100431834B1 (ko) 1999-09-22 1999-09-22 열간압연강판의 냉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564A KR20010028564A (ko) 2001-04-06
KR100431834B1 true KR100431834B1 (ko) 2004-05-20

Family

ID=1961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8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31834B1 (ko) 1999-09-22 1999-09-22 열간압연강판의 냉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8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974B1 (ko) * 2001-12-26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 강판의 피드 포워드 냉각 제어 방법
KR100843842B1 (ko) * 2006-12-22 2008-07-03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압연에서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6215A (en) * 1980-03-29 1981-10-24 Sumitomo Metal Ind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back control of water cooling for steel material in rolling line
JPH0732024A (ja) * 1993-06-28 1995-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熱延鋼材の温度制御方法
JPH0942843A (ja) * 1995-07-27 1997-02-14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の乾燥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6215A (en) * 1980-03-29 1981-10-24 Sumitomo Metal Ind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back control of water cooling for steel material in rolling line
JPH0732024A (ja) * 1993-06-28 1995-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熱延鋼材の温度制御方法
JPH0942843A (ja) * 1995-07-27 1997-02-14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の乾燥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564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82465A (zh) 一种板带材的板形控制方法和装置
WO2008078908A1 (en) Temperature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in hot strip mill
JPH07501749A (ja) 圧延スケジュール計算方法
CN101829687A (zh) 消除换规格影响的带钢精轧机辊缝控制方法
KR100431834B1 (ko) 열간압연강판의 냉각방법
CN107008758A (zh) 冷轧带钢高精度板形表面粗糙度在线控制方法及系统
CN103736747A (zh) 基于传感接触面元占比的带钢边部板形检测值补偿方法
JP5227480B1 (ja) 結露予測方法
RU2177847C1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роцесса прокатки
CN102323397A (zh) 一种混凝土开裂风险评价指数的测定方法
KR100957707B1 (ko) 미니밀 연주 및 연속압연설비에서의 슬래브 폭제어방법
KR100325539B1 (ko) 후강판압연중최종패스압연하중예측정도개선을위한보정함수결정방법
JP3467677B2 (ja) 圧延機における圧延荷重の学習制御方法
KR20040044325A (ko) 열간압연강판 선단부의 두께 제어방법
JPS6256450B2 (ko)
Hertl et al. An autonomous approach to road temperature prediction
KR20040056704A (ko) 스테인레스 사삼영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열간변형저항 예측방법
CN113137729A (zh) 基于相对湿度和含湿量的恒温恒湿空调的模糊控制方法
KR100757193B1 (ko) 상변태를 고려한 고탄소 열연강판의 냉각제어법
KR101105900B1 (ko) 후판압연 하중예측방법
JPS6024728B2 (ja) 圧延機の板厚制御方法
CN114112152B (zh) 架空线应力变温补偿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4722335B (zh) 一种分析时变数据时延的方法
WO2008040852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drying of a coated or surface-sized fibrous web
KR100223149B1 (ko) 밀정수 보상을 통한 판재의 롤갭 설정모델 예측정도향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9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