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1232B1 - Microphone Device - Google Patents

Microphon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232B1
KR100431232B1 KR1019960705649A KR19960705649A KR100431232B1 KR 100431232 B1 KR100431232 B1 KR 100431232B1 KR 1019960705649 A KR1019960705649 A KR 1019960705649A KR 19960705649 A KR19960705649 A KR 19960705649A KR 100431232 B1 KR100431232 B1 KR 100431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ound
elements
microphone elements
directio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56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702680A (en
Inventor
마사시 오꾸보
도루 사사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70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6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232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마이크로폰 장치는, 각 마이크로폰 소자가 지향성 주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지는 적어도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 및, 각 마이크로폰 소자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마이크로폰 소자는, 각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 소자로 구성됨과 동시에, 음원에 대해서 집음면(集音面)이 동일 방향을 향하는 한편, 거의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 마이크로폰 장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입력 수단에 요구되는 중음역에서 예리한 지향성을 실현하고, 정면으로부터의 음성 입력에 대해서 고감도로, 측면으로부터 입력되는 노이즈 성분이 매우 작은 집음을 실현한다.The microphone device comprises at least three microphone elements in which each microphone element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al main axis, and an adder for adding an output signal from each microphone element. Here, the microphone elements are each constituted by a single directional microphone element, and the sound collecting surfaces face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ound source, and are arranged at substantially equal intervals. This microphone apparatus realizes sharp directivity in the midrange required for the input means of the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and realizes sound collection with a very small noise component input from the side with high sensitivity to the voice input from the front side.

Description

마이크로폰 장치{Microphone Device}Microphone device

일반적으로, 음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음성의 집음을 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마이크로폰 장치는, 사용 목적에 따라 각종 지향성이 요구되고 있다.Generally, the microphone device used for collecting sound emitted from a sound source requires various directivit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그래서, 종래의 마이크로폰 장치에는, 어느 방향에 위치하는 음원에 대해서도 일정한 감도를 갖는 무지향성의 것이나, 일정한 방향에 위치하는 음원에 대해서 일정한 감도를 갖는 지향성을 갖는 것이 있다. 지향성을 갖는 마이크로폰 장치에는,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지향성 주축 방향의 감도를 1로 하고, 주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감도를 0.5로 하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 장치나,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주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감도를 0.5 이하로 하는 초지향성 마이크로폰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microphone device, there is a nondirectional one having a constant sensitivity with respect to a sound source located in any direction, or one having a directivity having a constant sensitivity with respect to a sound source located in a certain direction. The directional microphone device has a unidirectional microphone device having a sensitivity of 1 in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al main axis of the microphone unit and a sensitivity of 0.5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axis, or a sensitivit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axis of the microphone unit. There is provided a superdirectional microphone device of 0.5 or less.

그리고, 초지향성을 갖는 마이크로폰 장치로서, 주위면에 집음용 투공(透孔)이나 슬릿(slit)을 뚫은 원통 모양을 하는 음향관의 일단에, 음향관의 축방향으로지향 방향의 주축을 향해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설치한 단일 지향형 마이크로폰 장치인 소위 슛건(shot gun)형의 마이크로폰 장치나, 2개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주축 방향으로 직교 배열한 2차 음압 경사형 마이크로폰 장치가 알려져있다.Then, as a microphone device having a super directivity, at one end of the cylindrical sound tube through which a perforation or slit for sound collection is made on the peripheral surface, the microphone is directed toward the main axi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ound tube. A so-called shot gun type microphone device, which is a unidirectional microphone device provided with a unit, or a secondary sound pressure gradient microphone device in which two unidirectional microphone units are orthogonally arranged in the main axis direction is known.

상술한 소위 슛건형 마이크로폰 장치는 주로 고음역에서 초지향성을 나타내는데 반해, 2차 음압 경사형 마이크로폰 장치는 주로 저음역에서 초지향성을 나타낸다.The so-called shotgun type microphone device described above mainly shows superdirectionality in the high range, whereas the secondary sound pressure gradient microphone device mainly exhibits superdirectionality in the low range.

그런데, 음성을 이용하여 각종 지령 신호의 입력이 행해지는 자동차 항법 시스템이나 컴퓨터 등에 이용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입력 수단에 이용되는 마이크로폰 장치는, 오로지 음성 인식의 대상이 되는 사람의 음성만을 집음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중음역에서 예리한 지향성이 요구된다.By the way, the microphone device used for the voice input means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used for a car navigation system, a computer, etc. which inputs various command signals using a voice collects only the voice of the person which is the object of voice recognition. Because it is used for the purpose, sharp directivity is required in the mid range.

그런데, 종래 이용되고 있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 장치는,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지향 방향의 주축이 향하는 방향 이외의 측면 방향으로부터의 노이즈가 들어 오기 쉬워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입력 수단에 이용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즉, 본래 집음되어야하는 소리 이외의 소리가 집음되기 때문에, 정확한 지령 신호를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By the way, the unidirectional microphone device used conventionally is easy to enter noise from the side surface direction other than the direction which the main axis of the directional direction of a microphone unit faces, and is not suitable for the voice input means of a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That is, since sound other than the sound which should be originally collected is collected, it becomes impossible to obtain an accurate command signal.

또한, 슛건형 마이크로폰 장치나 2차원 음압 경사형 마이크로폰 장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입력 수단에 요구되는 중음역에서의 예리한 지향성을 만족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높다는 문제점을 갖는다.In addition, the shotgun type microphone device and the two-dimensional sound pressure gradient microphone device have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satisfy the sharp directivity in the midrange required for the voice input means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are expensive.

발명의 개시Disclosur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마이크로폰 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입력 수단에 이용하기 유용한 마이크로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 problem of a conventional microphone device and to provide a microphone device useful for use as a voice input means of a voice recognition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 인식 장치의 입력 수단에 요구되는 중음역에서 예리한 지향성을 실현하고, 정면으로부터의 음성 입력에 대해서 고감도로, 측면으로부터 입력되는 노이즈 성분이 매우 작은 집음을 실현하는 마이크로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phone device which realizes sharp directivity in the midrange required for the input means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and collects sound with very low noise components input from the side with high sensitivity to the voice input from the front face. To provid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는, 거의 단일 수평면내에 배치되고, 음원으로부터 서로 거의 같은 거리이며, 음원을 향해 거의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 적어도 3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 소자 및, 각 마이크로폰 소자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The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po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comprises at least three directional microphone elements disposed in a substantially single horizontal plane, at substantially the same distance from each other from a sound source, and disposed at substantially the same interval toward the sound source, and each And an adder for adding the output signal from the microphone element.

여기서, 각 마이크로폰 소자는, 각 마이크로폰 소자의 진동판과 평행한 단일 평면내에 배치된다. 또한, 각 마이크로폰 소자에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 소자가 이용된다.Here, each microphone element is arranged in a single plane parallel to the diaphragm of each microphone element. In addition, a single directional microphone element is used for each microphone ele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는, 각 마이크로폰 소자가 지향성 주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적어도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 및, 각 마이크로폰 소자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각 마이크로폰 소자는, 각각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 소자로 구성됨과 동시에, 음원에 대해서 집음면이 동일 방향을 향하는 한편 거의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다.The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rovided with at least three microphone elements in which each microphone element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al main axis, and an adder for adding output signals from the microphone elements. do. Here, each microphone element is each constituted by a single directional microphone element, and the sound collecting surfaces face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ound source, and are arranged at substantially the same interv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는, 단일한 마이크로폰 소자 및, 모두 길이가 같게 외부에서 도래한 소리를 상기 마이크로폰 소자로 인도하는 적어도 3개의 음도로(音導路)를 구비한다. 그리고, 3개의 음도로 각각의 일단의 개구부는, 음원으로부터의 거리를 모두 같게 되는 한편 단일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각 다른 단측의 개구부는 마이크로폰 소자와 대치되어 진다. 여기서, 3개의 음도로 각각의 일단의 개구부는, 상기 단일한 수평면에 대해 거의 수직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Further, the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ngle microphone element and at least three sound paths that guide externally sound to the microphone element, all of the same length. The openings at one end of each of the three sound levels are arranged to form the same horizontal plane while all the distances from the sound source are equal, and the openings at the other ends are replaced with the microphone elements. Here, the openings at one end of each of the three sound levels are arranged to form a pla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ingle horizontal plane.

이 마이크로폰 장치에 있어서는, 마이크로폰 소자로서 무지향성 마이크로폰 소자가 이용된다.In this microphone device, an omnidirectional microphone element is used as the microphone element.

또한, 마이크로폰 소자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 소자를 이용해도 된다.In addition, a microphone element may use a unidirectional microphone element.

또, 마이크로폰 소자의 집음면 방향 전면에, 3개의 음도로가 설치된 도음부(導音部)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a sound guide portion provided with three sound paths may be provid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microphone element in the sound collecting surface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이익은, 이하에 있어서 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확하게 된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본 발명은, 음원에 대한 지향성 향상을 도모한 마이크로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성을 이용하여 각종 지령 신호의 입력이 행해지는 자동차 항법 시스템이나 컴퓨터 등에 이용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입력 수단에 이용되기 유용한 마이크로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phone device aimed at improving the directivity of a sound sour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input device of a voice recognition device used in an automobile navigation system, a computer, or the like, in which various command signals are input using voice. A microphone device useful for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에서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위치 관계와 각 지향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and the directivity of each microphone unit in the microphone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를 자동차 항법 시스템에 이용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입력 수단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oice input means of a voice recognition device used in an automobile navigation system.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마이크로폰 장치의 지향성 지수 주파수 특성을 총형 마이크 및 2차 음압 경사형 마이크로폰 장치의 각 지향성 지수 주파수 특성으로 동시에 도시하는 특성도이다.FIG. 4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imultaneously showing the directivity exponential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microphone apparatus shown in FIG. 1 as the directivity exponential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microphone and the secondary sound pressure gradient microphone apparatus.

도 5는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에서의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간격을 3cm로 했을 경우의 지향성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Fig. 5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directional frequency characteristics when the distance between each microphone unit in the microphone device is 3 cm.

도 6은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에서의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간격을 6cm로 했을 경우의 지향성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Fig. 6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directional frequency characteristic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units in the microphone device is 6 cm.

도 7은 상기 마이크로폰 장치에서의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간격을 12cm로 했을 경우의 지향성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Fig. 7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directional frequency characteristic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units in the microphone device is 12 cm.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8에 도시한 마이크로폰 장치에서의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간격을 6cm로 했을 경우의 지향성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FIG. 9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the directional frequency characteristic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units in the microphone device shown in FIG. 8 is 6 cm.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요부횡단면도이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still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 및, 이들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로부터의 출력을 가산 합성하는 합성기(4)를 구비한다.In the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ree microphone units 1, 2 and 3, and a synthesizer 4 which adds and synthesizes the outputs from these microphone units 1, 2 and 3; It is provided.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에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일 지향성을 나타내는 것이 이용된다. 여기서,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는, 지향 방향의 주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같은 간격(D)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의 간격(D)은, 예를 들어 3cm∼12cm 정도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간의 간격(D)은, 이용하는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크기나 집음하는 음원에 맞춰 적당하게 선택되는 것으로, 상술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는, 주축이 단일의 수평면내에 위치하도록 병렬해 배치된다. 또,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구성하는 각 마이크로폰 소자의 진동판이 이들 진동판의 평면과 평행한 단일의 평면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배치된다.As the microphone units 1, 2, and 3, as shown in Fig. 2, those showing a single directivity are used. Here, each microphone unit 1, 2, 3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ame space | interval 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axis of a directing direction. And the space | interval D of each microphone unit 1, 2, 3 is set in the range of about 3 cm-about 12 cm, for example. The distance D between the microphone units 1, 2, and 3 is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icrophone unit to be used and the sound source to be collected,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range. In addition, each microphone unit 1, 2, 3 is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a main axis may be located in a single horizontal plane. Moreover, the diaphragm of each microphone element which comprises each microphone unit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 located in the single plane parallel to the plane of these diaphragm.

신호 합성기(4)는,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의 출력이 공급되는 각 신호선을 직접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소위 와이어드(wired) 가산 합성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 신호 합성기(4)는, 증폭기를 통해 신호 합성을 행하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신호 합성기(4)로부터는,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의 출력이 합성되어 출력된다.As the signal synthesizer 4, a so-called wired add synthesizer formed by directly connecting each signal line to which the outputs of the microphone units 1, 2, and 3 are supplied is used. The signal synthesizer 4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signal synthesis through an amplifier. From the signal synthesizer 4, the outputs of the microphone units 1, 2, 3 are synthesized and output.

그런데,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장치는, 위성으로부터의 기준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 화면상에 표시되는 지도상에 현재 위치를 지시함과 동시에, 주행 방향을 안내하도록 한 자동차에 탑재되어 이용되는 자동차 항법 시스템에 이용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입력 수단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 마이크로폰 장치는, 구체적으로,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을 거의 구형상으로 하는 긴 하우징(51)을 구비하고,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는 이 하우징(51)의 전면측에 각 마이크로폰 소자를 구성하는 각 진동판이 위치하는 집음면측을 향하게 하며, 각 마이크로 유니트(1, 2, 3)의 지향성 주축이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의 간격(D1, D2)은 55mm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는, 지향성 주축이 단일 수평면내에 위치하도록 병렬해 배치된다.By the way, the microphone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a reference signal from a satellite, instructs a current position on a map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and also mounts and uses a vehicle navigation system used to guide a driving direction. It is applied to the voice input means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used for.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microphone device includes an elongated housing 51 having a substantially spherical cross-sectional shape, and each microphone unit 1, 2, 3 is provided with the housing 51. As shown in Figs. On the front side, the diaphragm constituting each microphone element is directed toward the sound collecting surface side, and the directing major axes of the micro units 1, 2, 3 are arranged in parallel. At this time, the intervals D 1 , D 2 of the microphone units 1, 2, 3 are set to 55 mm. In addition, each microphone unit 1, 2, 3 is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the directional main axis is located in a single horizontal plane.

또,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는, 하우징(51)내에 설치된 프린트 배선 기판을 통해 설치되어 있다. 이 프린트 배선 기판에는 합성기(4)가 설치되고,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는 프린트 배선 기판의 배선 패턴을 통해 합성기(4)에 선으로 연결되어 각 출력이 합성기(4)에 의해 가산 합성된다.Moreover, each microphone unit 1, 2, 3 is provided through the printed wiring board provided in the housing 51. As shown in FIG. A synthesizer 4 is provided on this printed wiring board, and each of the microphone units 1, 2, and 3 is connected to the synthesizer 4 in a line through a wiring pattern of the printed wiring board, and each output is connected by the combiner 4. Addition is synthesized.

또한,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는, 각 마이크로폰 소자의 진동판이 이들 진동판의 평면과 평행한 단일의 평면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하우징(51)에 배치된다. 즉,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는, 주축 방향의 전후 방향의 위치를 일치시켜 하우징(51)내에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each microphone unit 1, 2, 3 is arranged in the housing 51 so that the diaphragm of each microphone element is located in a single plane parallel to the plane of these diaphragms. That is, each microphone unit 1, 2, 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using 51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ront-back direction of a main-axis direction may be matched.

그리고,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의 집음면측이 향하는 하우징(51)의 전면측에는, 다수의 작은 구멍을 뚫은 얇은 금속판 혹은 포제(布製)의 전면판(5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전면판(52)은, 하우징(51)의 전면측에 입사되는 음향이 반사하여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에 입사하지 않도록 소리를 흡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면판(52)을 설치함으로써,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는, 이들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에만 입사되는 음향을 확실하게 집음할 수 있다.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51 to which the sound collecting surface side of each of the microphone units 1, 2, and 3 faces, a thin metal plate or a cloth front plate 52 having a plurality of small holes is provided. The front plate 52 absorbs the sound so that sound incident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51 is not reflected and enters the microphone units 1, 2, 3. By providing such a front plate 52, each microphone unit 1, 2, 3 can reliably pick up the sound which injects only into these microphone units 1, 2, 3.

또한, 하우징(51)의 한 측면에는, 합성기(4)로부터의 출력을 외부로 추출하는 인출선(53)이 인출되어 있다.Moreover, the lead line 53 which extracts the output from the synthesizer 4 to the outside is drawn out on one side of the housing 51.

이 마이크로폰 장치는, 자동차에 내장되어 이용되는 자동차 항법 시스템에 이용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입력 수단에 적용하도록 구성된 것인 바, 자동차 내에 배치했을 때, 운전수의 발생음을 확실하게 집음하는 한편 운전에 장해가 되지 않을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위치에 구성된다. 도3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동차내의 운전석 윗쪽에 배치되는 차광용 썬바이저 표면이나 계기판 등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우징(51)의 배면측에 썬바이저를 꼭 쥐는 크림프나 면 파스너 등의 부착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The microphone device is configured to be applied to a voice input means of a voice recognition device used in an automobile navigation system used in a car. It is configured in the position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position which is not obstac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lthough not shown, attachment of a crimp, a surface fastener or the like holding the sun visor on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51 so as to b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a sun-shielding sun visor or an instrument panel disposed above the driver's seat in an automobile. Means are installed.

그리고,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장치는,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가 주축 방향의 전후 방향의 위치를 일치시켜 하우징(51)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를 돌출시키는 일 없이 썬바이저 등의 설치 부재의 면을 따라 배치할 수 있다.따라서, 이 마이크로폰 장치는, 자동차내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도, 운전자의 운전에 장해를 주는 일 없이 충분히 위험을 회피해 설치할 수 있다.In the microphone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each of the microphone units 1, 2, and 3 is provided in the housing 51 with the position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e main axis direction, installation of a sun visor or the like without protruding a part thereof. The microphone device can thus be installed in a manner that avoids danger sufficiently without disturbing the driver's driving even when placed in an automobile.

여기서,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를, 뒷면측을 폐색한 하우징(51)에 수납하여 마이크로폰 장치를 구성할 경우에는, 뒷면측으로부터의 소리의 입사가 규제되어지기 때문에, 단지향성 마이크로폰 유니트 뿐만 아니라 쌍지향성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이용해도 된다.Here, when each microphone unit 1, 2, 3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51 which closed the back side, and a microphone apparatus is comprised, since the incidence of the sound from a back side is regulated, only a directional microphone In addition to the unit, a bidirectional microphone unit may be used.

그런데, 상술한 도1 및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를 배치한 마이크로폰 장치에 대해서, 마이크로폰 장치의 지향성을 수치적으로 파악하는 평가량의 하나인 지향성 지수를 계산함으로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지향성 지수 주파수 특성(A)이 얻어졌다. 또, 도4에는, 무지향성 마이크로폰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기준으로서 산출한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장치의 지향성 지수 주파수 특성(A)과 함께, 상술한 슛건형의 마이크로폰 장치의 지향성 지수 주파수 특성(B)과 2차 음압 경사형 마이크로폰 장치의 지향성 지수 주파수 특성(C)을 도시하고 있다.By the way, as shown in FIG. 1 and FIG. 2 mentioned above, with respect to the microphone device which arrange | positioned each microphone unit 1, 2, 3, the directivity index which is one of the evaluation amount which numerically grasps the directivity of a microphone device is calculated. Thus, the directivity exponential frequency characteristic A as shown in Fig. 4 was obtained. 4, together with the directional exponential frequency characteristic (A) of the microphone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omnidirectional microphone apparatus, the directional exponential frequency characteristic (B) of the above-described shotgun type microphone apparatus and The directivity exponential frequency characteristic (C) of the secondary sound pressure gradient microphone device is shown.

여기서, 모든 방향으로부터 같은 확률로 입사하고, 그 위치가 모두 불규칙인 것과 같은 음에 대한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에너지 응답과, 그 정면 감도가 같은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에너지 응답의 비를 지향 효율이라 부르며, 지향 효율은 다음의 식1로 정의된다.Here, the ratio of the energy response of the directional microphone to the sound having the same probability from all directions and whose positions are all irregular is called the directivity efficiency. Is defined by Equation 1 below.

또, D(θ)는 각도(Ω)에서의 입사파에 대한 출력 전압과 Ω=0인 것에 대한 비를 표시하고, 또한 dΩ는 각도(Ω)의 방향의 미소(微小)한 입체각을 표시한다.D (θ) denotes the ratio of the output voltage to incident wave at an angle Ω and Ω = 0, and dΩ denotes a minute solid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angle Ω. .

만약, 지향성이 기준면에 대해 대칭된다면, 지향 효율은 다음의 식2로 주어진다.If the directivity is symmetric about the reference plane, the directivity efficiency is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그리고, 지향성 지수는 다음의 식3And the directivity index is

또는, 다음의 식4Or, the following equation 4

로 정의된다. 또, M0은 자유 음장(평면파)에서의 정면 감도이고, 또 Mdiff는 확산 음장 감도를 표시한다.Is defined as M 0 is the frontal sensitivity in the free sound field (plane wave), and M diff represents the diffusion sound field sensitivity.

여기서,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지향성 지수는 -4.78dB이므로, 도4로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장치와 슛건형 마이크로폰 장치는, 저역의 지향성 지수 즉 지향성의 예리함이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과 같은 정도이지만, 중역에서 예리한 지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2차 음압 경사형 마이크로폰 장치에서는 중저역에서 예리한 지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장치는, 고역에 있어서 슛건형의 마이크로폰 장치 및 2차 음압 경사형 마이크로폰 장치에 비해 예리한 지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다.Since the directional index of the single directional microphone is -4.78 dB, as is clear from Fig. 4, the microphone device and the shotgun type microphone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e a low directivity index, that is, the sharpness of the directivity is about the same as that of the single directional microphone. In other words, it is intended to show sharp directivity in the executive.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ary sound pressure gradient microphone device, sharp directivity is shown in the mid-low range. The microphone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harper directivity than the shotgun type microphone device and the secondary sound pressure gradient microphone device in the high rang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장치에서는,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의 출력을 합성기(4)로 가산 합성함으로써,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에 입력된 음파에 대응하는 출력은 동상(同相) 성분이 가산되고 역상(逆相) 성분이 상살(相殺)되어,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의 간격(D)에 의존하는 주파수로서 초지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icrophone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put of each microphone unit 1, 2, 3 is added and synthesized by the synthesizer 4, so that the output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s input to the microphone units 1, 2, 3 is combined. The in-phase component is added, the inverse phase component is phased, and it shows super-directionality as a frequency depending on the space | interval D of each microphone unit (1, 2, 3).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 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도2에 도시하는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 2, 3)의 간격(D)을 바꾸는 것으로, D=3cm로 했을 경우에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고, 또 D=6cm로 했을 경우에는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며, 또한 D=12cm로 했을 경우에는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고, D=4∼8cm로 함으로써 정면으로부터의 음성 입력에 대해서 고감도로, 측면으로부터의 노이즈가 매우 작은 수집을 행할 수 있다.In the microphone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ance D between the microphone units 1, 2, and 3 shown in Fig. 2 is changed, and when D = 3 cm,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as shown in Fig. 5 are shown. In the case of D = 6 cm,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as shown in Fig. 6 are shown. In the case of D = 12 cm,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as shown in Fig. 7 are shown, and D = 4 to 8 cm. With respect to the audio input from the front side, a very small noise from the side surface can be collected with high sensitivity.

여기서, 상술한 도5 내지 도7에는 주축 방향을 0。로 하고, 주축에 대해 40。방향 및 90。 방향에 대한 주파수 특성 즉 지향성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5 to 7, the main axis direction is set to 0 degrees,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that is, the directional frequency characteristics in the 40 degrees direction and the 90 degree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axis, are show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는, 예를 들어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마이크로폰 유니트(11, 12, 13, 14) 및,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1, 12, 13, 14)의 출력을 가산 합성하는 합성기(15)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the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four microphone units 11, 12, 13, 14 and respective microphone units 11, 12, 13, 1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You may comprise with the synthesizer 15 which adds and synthesizes.

본 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1, 12, 13, 14)에는, 단일지향성을 나타내는 것이 이용된다. 여기서,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1, 12, 13, 14)는, 지향 방향의 주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예를 들어 6cm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들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1, 12, 13)간의 간격은, 이용되는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크기나, 집음하는 음원에 맞춰 적당하게 선택되는 것이다. 또한,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11, 12, 13)는, 주축이 단일의 수평면내에 위치하도록 병렬로 배치된다.Also in the case of this example, what shows unidirectionality is used for each microphone unit 11, 12, 13, 14, for example. Here, the microphone units 11, 12, 13, 14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for example, at 6 cm interval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axis in the directing direction. The intervals between these microphone units 11, 12, 13 are appropriatel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microphone unit used and the sound source to be collected. In addition, each microphone unit 11, 12, 13 is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so that a main axis may be located in a single horizontal plane.

이와 같은 구성의 마이크로폰 장치는,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지향성 주파수 특성이 얻어지고, 병렬 배치하는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증가시킴으로써, 고역에서의 지향성이 예리한 것으로 된다.In the microphone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directivity frequency characteristic as shown in Fig. 9 is obtained, and the directivity in the high range is sharp by increasing the microphone units arranged in parallel.

따라서, 지향성의 주축과 직각 방향으로 모두 소정의 거리를 두어 복수개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병렬로 설치하여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출력을 합성기로 가산 합성하여 출력 신호를 얻음으로써, 사람의 말하는 소리를 주로한 성분인 중음역에서의 지향성이 예리한 마이크로폰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Therefore, by arranging a plurality of single directional microphone units in paralle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axis of directionality, the output of each microphone unit is synthesized by a synthesizer to obtain an output signal. A microphone device having a sharp directivity in the midrange as a component can be realized.

그런데,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는, 이들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구성하는 각 마이크로폰 소자의 진동판이 이들 진동판의 평면과 평행한 단일의 평면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지만, 도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원(S)에 대해 3개 또는 4개의 마이크로폰 유니트(41, 42, 43)가 같은 거리(R1)에 위치하도록 원주상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41, 42, 43)의 각 간격(D3, D4)은 같게 된다.Incidentally,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are arranged such that the diaphragms of the microphone elements constituting these microphone units are located in a single plane parallel to the plane of these diaphragms, but are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three or four microphone units 41, 42, 43 may be arrang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sound source S at the same distance R 1 . Even in this case, the intervals D 3 and D 4 of the microphone units 41, 42, 43 are the same.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는,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간격은, 1∼1.2 정도 범위로 간격을 유지해도 된다. 즉, 사람의 음성 파장에 대해 1∼1.2 정도 범위로 간격이 벗어나게 되면, 지향성에 대해 오차의 범위에 있어, 실현상의 문제는 없어 본 발명의 목적을 장해하는 것은 아니다.Incidentally,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are arranged at the same interval, but the intervals of the microphone units may be maintained in the range of about 1 to 1.2. In other words, if the interval is deviated in the range of about 1 to 1.2 with respect to the human voice wavelength, there is no realization problem in the range of the error in the directivity and does not imped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복수의, 예를 들어 3개의 마이크로폰 유니트(61, 62, 63)는, 도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열 방향의 정면에서 보아 수평한 면(P)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마이크로폰 유니트(61, 62, 63)의 지름 정도 만큼의 오차가 있어도, 지향성에 대해 오차의 범위에 있어서, 실현상 문제점은 없어 본 발명의 목적을 장해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or example, three microphone units 61, 62, 63 are arranged as shown in Fig. 11, and the microphone unit 6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P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62, 63), even if there is an error as much as the diameter, there is no problem in realization in the range of the error with respect to the directivity, and does not obstruc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를 퍼스널 컴퓨터의 음성 입력 수단에 이용되도록 한 경우에는,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간격을 자동차 항법 시스템에 이용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입력 수단에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크게 지향성에 범위를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머리 이동이 크게 되기 때문이다. 이 마이크로폰 장치를 자동차 항법 시스템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이동이 제약되기 때문에, 각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간격을 작게 하는 것이, 지향성 향상을 도모하면서 집음 특성을 향상하기 위해 유리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voice input means of a personal computer, the range of each microphone unit is large in directivity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the voice input means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used in an automobile navigation system. It is desirable to widen. This is because, when using a personal computer, the movement of the user's head becomes large. When the microphone device is used in an automobile navigation system, since the movement of the driver is restricted, it is advantageous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microphone units in order to improve the sound collection characteristics while improving the directivity.

여기서, 지향성 주축과 직각 방향으로 모두 소정의 거리를 두어 병렬로 설치한 복수개의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출력을 합성기로 가산 합성하여 출력 신호를 얻는 대신에, 지향성 주축과 직각 방향으로 모두 소정의 거리를 둔 위치에서 음파를 도파기로 취입해 혼합하여 마이크로폰 유니트로 입력하도록 하여, 한개의 마이크로폰 유니트로부터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Here, instead of adding and synthesizing the outputs of a plurality of microphone units installed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al main axis with a synthesizer to obtain an output signal, a posi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al main axis By mixing the sound wave with the waveguide at the input to the microphone uni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output signal from one microphone unit.

이 마이크로폰 장치로서, 도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 마이크로폰 장치는, 일단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를 음파 도입구(21A, 22A, 23A)로 한 3개의 음향관(21, 22, 23)을 다른 단측의 개구부측인 출사구 부분에서 연결되어지는 도파기(20) 및, 이 도파기(20)의 출사구(20A)에 설치된 마이크로폰 유니트(25)로 구성된다.As this microphone apparatus, it can comprise as shown in FIG. This microphone device forms an opening at one end and uses three sound tubes 21, 22, and 23 having the opening as sound wave inlets 21A, 22A, and 23A at an exit port portion on the other end side. The waveguide 20 to be connected and the microphone unit 25 provided in the output port 20A of this waveguide 20 are comprised.

각 음향관(21, 22, 23)은, 지향성 주축과 직각 방향으로 모두 소정의 거리를 둔 위치에 각 음파 도입구(21A, 22A, 23A)가 위치하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파기(20)는, 각 음파 도입구(21A, 22A, 23A)로부터 입사된 각 음파를 각 음향관(21, 22, 23)의 연결부(24)에서 혼합하여 마이크로폰 유니트(25)로 입사하도록 되어 있다. 즉, 각 음향관(21, 22, 23)은, 지향성 주축과 직각 방향으로 모두 소정의 거리를 둔 위치에 각 음파 도입구(21A, 22A, 23A)를 갖고, 각 음파 도입구(21A, 22A, 23A)로부터 도입되는 각 음파를 연결부(24)로 안내하는 음향 통로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24)가 각 음파를 혼합하는 혼합부로서 기능한다.Each sound tube 21, 22, 23 is bent so that each sound wave inlet 21A, 22A, 23A may be located in the position which the predetermined direction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a directional main axis. The waveguide 20 then mixes each sound wave incident from each sound wave inlet 21A, 22A, 23A at the connection portion 24 of each sound tube 21, 22, 23 to the microphone unit 25. It is supposed to enter. That is, each sound pipe 21, 22, 23 has each sound wave inlet 21A, 22A, 23A in the position which set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ortho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al main axis, and each sound wave inlet 21A, 22A. And a sound passage section for guiding each sound wave introduced from 23A to the connecting section 24, and the connecting section 24 functions as a mixing section for mixing the respective sound waves.

여기서, 도파기(20)의 각 음파 도입구(21A, 22A, 23A)는, 음원으로부터의 거리를 모두 같게 하고 있는 한편, 단일의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즉, 각 음파 도입구(21A, 22A, 23A)는, 거의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혹은 단일하게 음원을 중심으로 한 원주상에 위치하도록 배열된다.Here, each of the sound wave inlets 21A, 22A, and 23A of the waveguide 20 are arranged to form a single horizontal plane while keeping the distance from the sound source the same. That is, each sound wave inlet 21A, 22A, 23A is arranged to be located substantially on the same line, or to be located on a circumference around a sound source.

이와 같이 구성된 마이크로폰 장치에서는, 도파기(20)에 있어서 각 음파 도입구(21A, 22A, 23A)로부터 입사된 각 음파를 혼합함으로써 동상 성분이 가산되고, 또한 역상 성분이 상살됨으로써, 각 음파 도입구(21A, 22A, 23A)의 간격(D)에 의존하는 주파수로 초지향성을 나타내게 되고, 이로써 중음역에서 예리한 지향성을 실현하며, 정면으로부터의 음성 입력에 대해 고감도로 측면으로부터의 노이즈가 매우 작은 수집을 1개의 마이크로폰 유니트(25)로 행할 수 있다.In the microphone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phase component is added by mixing the respective sound waves incident from the sound wave inlets 21A, 22A, and 23A in the waveguide 20, and the reverse phase component is eliminated, whereby each sound wave inlet Super-directional with frequencies dependent on the spacing (D) of (21A, 22A, 23A), resulting in sharp directivity in the midrange, and very low noise from the side with high sensitivity to voice input from the front. This can be done by one microphone unit 25.

상술한 마이크로폰 장치에 이용하는 마이크로폰 유니트(25)는, 도파관(20)의 단부에 설치되어 분기된 음향관(21, 22, 23)으로부터 입사되는 소리를 집음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 음파 도입구(21A, 22A, 23A)가 향하는 방향 이외의, 예를 들어 측방으로부터의 소리의 입사가 규제되어지기 때문에, 무지향성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무지향성의 마이크로폰 유니트를 이용한 경우에는, 뒷면측으로부터의 파에도 감도를 나타내는 지향 특성이 8자형으로 되지만, 이 마이크로폰 장치가 자동차에 탑재되어 이용되는 자동차 항법 시스템에 이용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입력 수단에 이용되는 바와 같은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뒷면측이 폐색되어 뒷면측으로부터의 소리의 입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충분히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Since the microphone unit 25 used for the microphone device described above collects sound incident from the sound pipes 21, 22, and 23 provided at the end of the waveguide 20 and branched, the sound wave inlets 21A, Since the incidence of sound from the side, for example, other than the direction in which 22A and 23A are directed is regulated, an omnidirectional one can be used. In the case of using the omnidirectional microphone unit, the directivity characteristic of the sensitivity even in the wave from the rear side is 8-character, but the voice input means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used in the automobile navigation system used in the vehicle is used. In this case, since the back side is substantially blocked and there is almost no incidence of sound from the back side, the object can be sufficiently achieved.

또, 무지향성의 마이크로폰 유니트(25)를 이용한 경우에는, 음향관(21, 22, 23)의 임피던스가 마이크로폰 유니트(25)의 임피던스에 비해 높기 때문에, 음향관(21, 22, 23)의 임피던스와의 매칭을 도모하기 위해, 마이크로폰 유니트(25)의 뒷면측을 폐색하여 임피던스의 조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omnidirectional microphone unit 25 is used, the impedance of the sound tubes 21, 22, 23 is higher than that of the microphone unit 25, and therefore the impedances of the sound tubes 21, 22, 23 are different. In order to achieve the matching, it is preferable to close the back side of the microphone unit 25 to adjust the impedance.

또한, 마이크로폰 유니트(25)에 단일 지향성의 것을 이용한 경우에는, 뒷면측으로부터 도래하는 소리의 집음이 없게 되기 때문에, 상술한 도1에 도시하는 마이크로폰 장치와 마찬가지의 특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unidirectional one is used for the microphone unit 25, since the sound coming from the back side is no longer collected,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ose of the microphone device shown in Fig. 1 can be obtain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음향관(21, 22, 23)으로 구성한 도파기(20) 대신에, 예를 들어 도13에 도시하는 마이크로폰 장치와 같이, 지향성 주축과 직각 방향으로 모두 소정의 거리(D)를 둔 위치에 각각 음파 도입구(31A, 32A, 33A)로부터 도입된 각 음파를 안내하는 음향 통로부(31, 32, 33) 및, 각 음향 통로부(31, 32, 33)를 통해 안내된 각 음파를 혼합하는 혼합부(34)를 형성한 도파기(30)를 이용하고, 이 도파기(30)의 혼합부(34)에 마이크로폰 유니트(35)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waveguide 20 comprised of the acoustic tubes 21, 22, and 23 as mentioned above, like the microphone apparatus shown in FIG. 13, for example, predetermined distance (D) in all directions perpendicular to a directional main axis (D). Is guided through the sound passage portions 31, 32, 33 and the respective sound passage portions 31, 32, 33 for guiding the sound waves introduced from the sound wave inlets 31A, 32A, 33A, respectively. The microphone unit 35 may be provided in the mixing section 34 of the waveguide 30 using the waveguide 30 in which the mixing section 34 for mixing the respective sound waves is formed.

또, 음파 도입구(31A, 32A, 33A)로부터 혼합부(34)까지의 각 음향 통로부(31, 32, 33)의 거리를 같게 함으로써, 음파 도입구(31A, 32A, 33A)로부터 도입된 각 음파는, 서로 상관 관계가 유지되고, 상기 혼합부(34)에 의해 동상 성분이 가산되고 또한 역상 성분이 상살된다.Moreover, by making the distance of each sound path part 31, 32, 33 from the sound wave inlet 31A, 32A, 33A to the mixing part 34 the same, it was introduce | transduced from the sound wave inlet 31A, 32A, 33A. Each sound wave maintains a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in-phase component is added by the mixing section 34 and the inverse phase component kills.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폰 장치에서는, 지향성 주축과 직각 방향으로 모두 소정의 거리를 두어 배치된 적어도 3개의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 유니트의 출력을 합성기로 가산 합성하여 출력 신호를 얻도록 함으로써, 중음역에서 예리한 지향성을 실현하고, 정면으로부터의 음성 입력에 대해 고감도로 측면으로부터의 노이즈가 매우 적은 수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탑재되어 이용되는 자동차 항법 시스템에 이용되는 음성 인식 장치의 음성 입력 수단이나 컴퓨터의 음성 입력 수단에 이용함으로써, 운전수나 조작자의 말하는 소리를 정확하고 확실하게 집음하는것을 실현할 수 있다.In the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arp directivity is realized in the mid range by adding and synthesizing the output of at least three single directional microphone unit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rectional main axi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a synthesizer. In addition, since the noise from the side can be collected very sensitively with respect to the voice input from the front side, the voice input means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used in the vehicle navigation system used in the vehicle and the voice input means of the computer. By using the above, the sound of the driver and the operator can be accurately and reliably collected.

Claims (7)

마이크로폰 장치에 있어서,In the microphone device, 제1 수직면을 형성하는 음 흡수(sound absorbing) 탑재 수단 상에 거의 수평한 선형 어레이로 배치되는 3개의 지향성 마이크로폰 소자 -상기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들은 단일의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인접하고 있고, 상기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 각각은 음원을 향하며, 상기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 중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집음면이 상기 음 흡수 탑재 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1 수직면에 평행한 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수직면에 평행한 상기 면은 상기 제1 수직면과 상기 음원 사이에 있음-; 및Three directional microphone element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linear array on a sound absorbing mounting means forming a first vertical plane, the three microphone elements being adjacent and spaced apart by a single predetermined distance; Each of the microphone elements faces a sound source, and three sound collecting surfac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one of the three microphone elements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plane formed by the sound absorbing mounting means, and on the first vertical plane The parallel plane is between the first vertical plane and the sound source; And 상기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 수단을 포함하며,Adding means for adding an output signal from each of the three microphone elements, 상기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 각각은 진동판을 포함하고,Each of the three microphone elements comprises a diaphragm, 상기 제1 수직면은 상기 진동판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수직면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장치.And the first vertical plane is parallel to a second vertical plane formed by the diaphrag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 각각은 단일 지향성(uni-directional) 마이크로폰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장치.2. A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three microphone elements is a uni-directional microphone element. 마이크로폰 장치에 있어서,In the microphone device, 음 흡수(sound absorbing) 탑재 수단 상에 배치되는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상기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는 단일의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인접하고 있으며, 상기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 각각은, 상기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의 지향성(directivity)의 주축에 거의 직교하는 수평 선형 어레이 형태로 탑재되고, 상기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 중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집음면이 수직면을 형성함-; 및Three microphone elements arranged on a sound absorbing mounting means, wherein the three microphone elements are adjacent and spaced apart by a single predetermined distance, and each of the three microphone elements is characterized by the directivity of the three microphone elements. mounted in the form of a horizontal linear array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major axis of directivity, wherein three sound collecting surfac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one of the three microphone elements form a vertical plane; And 상기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가산 수단을 포함하며,Adding means for adding an output signal from each of the three microphone elements, 상기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는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폰 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 중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집음면 각각이 음원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그리고 상기 3개의 마이크로폰 소자 각각이 상기 음 흡수 탑재 수단과 상기 음원 사이에 있도록 음 흡수 탑재 수단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장치.The three microphone elements consist of a single directional microphone element, each of the three sound collecting surfaces corresponding to one of the three microphone elements facing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ound source, and each of the three microphone elements absorbing the sound A microphon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n the sound absorbing mounting means so as to be between the mounting means and the sound source. 마이크로폰 장치에 있어서,In the microphone device, 단일의 마이크로폰 소자; 및Single microphone element; And 서로 길이가 거의 동일하며, 마이크로폰 소자로 외부 음(external sound)을 인도하도록 적용되는 3개의 음도로(sound guide path)를 포함하고,Approximately equal in length to each other, including three sound guide paths adapted to guide external sound into the microphone element, 상기 3개의 음도로 각각의 제1 및 제2 개방단 각각은, 단일의 음원에서부터 상기 3개의 음도로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폰 소자까지의 3개의 거리 각각이다른 2개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3개의 음도로 각각의 상기 제1 개방단들은 수평 선형 어레이를 형성하며, 상기 3개의 음도로의 상기 제2 개방단들은 상기 마이크로폰 소자와 인접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장치.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pen ends of the three sound paths is arranged such that each of the three distances from the single sound source to the microphone element through one of the three sound paths is equal to the other two distances. And each of said first open ends in said three voices forms a horizontal linear array, said second open ends in said three negative voices being adjacent to said microphone ele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소자는 무지향성(non-directional) 마이크로폰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장치.5. A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microphone element is a non-directional microphone ele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소자는 단일 지향성의 마이크로폰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장치.5. A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microphone element is a unidirectional microphone eleme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음도로의 상기 3개의 제1 개방단들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음 흡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장치.5. A microphone device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sound absorbing means provided adjacent said three first open ends to said three sound paths.
KR1019960705649A 1995-02-10 1996-02-09 Microphone Device Expired - Fee Related KR10043123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12395 1995-02-10
JP95-023123 1995-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680A KR970702680A (en) 1997-05-13
KR100431232B1 true KR100431232B1 (en) 2004-07-30

Family

ID=1210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56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431232B1 (en) 1995-02-10 1996-02-09 Microphone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31232B1 (en)
CN (1) CN1089540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7484B2 (en) * 2006-12-25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JP5081245B2 (en) * 2007-08-22 2012-1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Directional microphone device
CN103119962B (en) * 2010-10-07 2014-07-3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Microphone unit and sound pickup device
JP6265425B2 (en) * 2014-05-16 2018-01-24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Microphone device and microphone ca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6076A (en) * 1993-02-28 1993-07-06 At&T Bell Laboratories Directional microphon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4799Y2 (en) * 1979-08-20 1986-10-09
US4421957A (en) * 1981-06-15 1983-12-20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End-fire microphone and loudspeaker structures
JPH03113998A (en) * 1989-09-27 1991-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rray micro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6076A (en) * 1993-02-28 1993-07-06 At&T Bell Laboratories Directional microphon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846A (en) 1997-04-02
CN1089540C (en) 2002-08-21
KR970702680A (en) 1997-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2240A (en) Microphone device
USRE48233E1 (en) Passive directional acoustic radiating
US8472639B2 (en) Microphone arrangement having more than one pressure gradient transducer
US6148089A (en) Unidirectional microphone
Crocco et al. Design of robust superdirective arrays with a tunable tradeoff between directivity and frequency-invariance
US4965775A (en) Image derived directional microphones
US9049519B2 (en) Acoustic horn gain managing
US20060056650A1 (en) Acoustic wave guidance in a vehicle
EP0557071A2 (en) Active noise control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space
US20060204023A1 (en) Microphone array diffracting structure
US5742693A (en) Image-derived second-order directional microphones with finite baffle
EP3381200B1 (en) Loudspeaker device or system with controlled sound fields
US20120039475A1 (en) Active and Passive Directional Acoustic Radiating
US20090190775A1 (en) Microphone arrangement comprising pressure gradient transducers
US3722616A (en) Directional loudspeaker system
Huang et al. Kronecker Product Beamforming with Multiple Differential Microphone Arrays.
KR100431232B1 (en) Microphone Device
JP2713080B2 (en) Directional speaker device
US7010138B1 (en) Loudspeakers
US6305732B1 (en) Dashboard with integrated directional microphone
US7120262B2 (en) Directional-microphone and method for signal processing in same
EP0457487B1 (en) Horn speaker
EP1037501B1 (en) Public addressing system
WO1996025018A1 (en) Microphone device
NO124970B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