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0268B1 -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268B1
KR100430268B1 KR10-2001-0013378A KR20010013378A KR100430268B1 KR 100430268 B1 KR100430268 B1 KR 100430268B1 KR 20010013378 A KR20010013378 A KR 20010013378A KR 100430268 B1 KR100430268 B1 KR 10043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is recognition
user
light
camera
iri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3655A (ko
Inventor
이원희
양애경
채장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268B1/ko
Priority to US10/096,967 priority patent/US7271839B2/en
Priority to JP2002072668A priority patent/JP2002342750A/ja
Priority to EP02005945A priority patent/EP1241634A3/en
Publication of KR20020073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26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7Details of sensors, e.g. sensor lenses

Landscapes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 홍채 영상을 정확하게 구하기 위하여 카메라의 촛점을 맞출 때, 사용자에게 촛점 각도가 맞았는지의 여부를 가시적으로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촛점 각도를 맞출 수 있도록 유도 및 안내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홍채 인식을 위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홍채 인식용 카메라와, 상기 홍채인식용 카메라의 렌즈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촛점 각도를 표시해 주기 위한 촛점 각도 표시광을 발생시키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에 의한 촛점 각도 표시광을 홍채 인식을 위한 광로와 분리해서 처리해 주기 위해 IR광을 반사시키고 가시광을 투과하여 상기 발광수단의 표시광이 홍채인식용 카메라 렌즈를 투과하여 사용자를 향해 투사될 수 있도록 한 광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이다.

Description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FOCUSING ANGLE DISPLAY OF IRIS RECOGNITION SYSTEM}
본 발명은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 홍채 영상을 정확하게 구하기 위하여 카메라의 촛점을 맞출 때, 사용자에게 촛점 각도가 맞았는지의 여부를 가시적으로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촛점 각도를 맞출 수 있도록 유도 및 안내해 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 카메라에 대한 사용자의 촛점 각도를 제시함에 있어서, 홍채인식용 카메라의 렌즈 내부로부터 출사되는 소정 색상의 가시광의 선명도 여부로부터 사용자가 현재 자신이 올바른 촛점 각도로 카메라를 주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를 주시하면서 렌즈 내부로부터 출사되는 불빛이 선명하게 보이는 방향(촛점 각도)으로 움직여서 촛점을 맞춰줄 수 있도록 한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같이 보안이나 방범, 신분 인증을 위한 시스템으로 기존의 접촉식 혹은 비접촉식 카드 시스템에서 더 나아가 사람의 지문을 인식하거나, 또는 홍채인식을 통해서 신분을 인증하고 특정 장소의 출입이나 특정 정보에의 접근 등을 허용하거나 거부하는 시스템이 보급되어 왔다.
이 중에서 홍채인식 시스템은 지문인식에 비해서 인식률이 높고, 보다 정확한 인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홍채 인식 시스템은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한 홍채 영상에서 홍채의 특징적인 패턴을 이미지 처리 기술을 이용해서 데이터화한 후,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홍채 데이터와 대조하여 개인을 인증하는 시스템이다.
도1은 일반적인 홍채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1을 참조하여 홍채 인식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홍채 인식 시스템에 접근하면, 거리 측정 센서(109)가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렇게 구한 거리 측정값을 드라이버(107)를 통해 제어장치(105)가 받아들여서 상기 거리 측정값이 동작 범위 안에 있는가를 판단한다.
사용자가 동작 범위 안에 있는 경우에 드라이버(107)로 제어신호를 보내서 홍채 이미지를 추출할 준비를 하도록 한다. 드라이버(107)는 외부 지시기(108)에 액티브 신호를 보내서 사용자에게 시스템이 동작함을 알리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광학 윈도우(101)를 통하여 카메라(103)의 광축에 눈을 위치시키면, 콜드 미러(102)가 가시광선은 차단하고 적외선을 통과시킨다. 그리고 홍채가 위치해야 할 부분을 표시해 주어 사용자가 카메라(103)의 광축에 눈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제어장치(105)가 거리 측정 센서(109)로부터 사용자 까지의 거리 측정값을 받아들이고, 이 거리 측정값을 이용해서 카메라(103)의 줌 및 포커스 값을 산출하여 줌인/줌아웃 및 포커싱 제어를 수행한다. 이후에 제어장치(105)는 거리 측정값에 따라 드라이버(107)를 통해 조명장치(106)의 세기를 조절한 후, 카메라(103)를 통해 홍채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하며, 촬영된 홍채 이미지는 프레임 그레버(104)에서 홍채 이미지 분석에 맞게 신호처리되고, 처리된 홍채 이미지 정보를 가지고 제어장치(105)에서 홍채 인식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인증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는 얼마나 빠른 시간안에, 얼마나 정확하게 홍채 인식을 해내는가의 여부가 그 성능을 좌우하게 된다.
종래의 홍채 이미지 추출 기술로는 사용자가 직접 화면을 보고 일정한 거리로 움직여서 촛점을 맞춰주는 기술, 또는 여러 대의 카메라를 이용해서 얼굴 및 눈의 위치를 파악하고 홍채 영상을 촬영하는 기술, 또는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해서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자동적으로 카메라 촛점을 맞추고 홍채 영상을 얻는 기술 등이 제안되고 있다.
먼저, 사용자가 직접 화면을 보고 일정한 거리로 움직여서 촛점을 맞춰주는 경우는 사용상 불편함이 따르고, 또한 이 기술에서는 단일 광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였을 경우에는 안경에 의한 반사 이미지가 홍채 영상의 정확한 촬영에 방해를 주게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화면을 직접 보면서 반사가 생기지 않도록 움직여 주어야 하므로 불편함은 더욱 가중될 뿐이다.
한편, 여러 대의 카메라를 이용해서 촛점을 맞추고 홍채 이미지를 구하는 기술은 상기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는 있지만, 기구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제어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즉, 2대의 카메라를 사용해서 사용자의 얼굴 및 눈의 위치를 파악하고, 다른 1대의 카메라로 홍채 영상을 취득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홍채 인식을 위해 눈을 맞출 필요없이 시스템 스스로가 자동으로 촛점을 맞추고 홍채 영상을 취득하기 때문에 편리하지만, 여러 대의 카메라를 구비해야 하고 각각의 카메라를 기구적, 전기적으로 구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성이복잡해 진다.
그리고,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해서 자동적으로 카메라의 촛점을 맞추고 홍채를 촬영하는 기술의 경우에는, 거리 측정 센서를 사용해서 사람의 근접 여부를 파악하고, 이 때 취득하고 있는 입력 영상 및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촛점값들을 이용해서 촛점을 맞추는 방법을 사용했다.
또한 이 기술에서는, 단일 광원만을 사용하는 경우 안경에 의한 반사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좌측,우측,상측의 3개의 LED 조명을 이용해서 안경에 의한 2차 반사를 회피할 수 있도록 조명의 위치를 바꿔가면서 영상을 취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2는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한 자동 촛점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거리 측정 센서(201)를 사용해서 거리 측정부(202)가 설정된 일정한 시간 마다 카메라(205)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연속적인 거리 정보를 출력하고, 거리 처리부(203)는 상기 거리 정보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동작 특성을 판단한다. 즉, 연속적인 거리 정보를 근거로 해서 사용자의 동작 속도를 측정하여, 속도가 양수(+)이면 접근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음수(-)이면 멀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절대속도가 주어진 허용값 이내인 경우에는 정지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카메라 동작 제어부(204)는 거리 처리부(203)로부터 제공되는 거리와 속도, 가속도 등의 정보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정지해 있을 때 카메라(205)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때 사용자의 동작이 안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미리 사용자가 멈출 위치를 추정하여 그 위치로 카메라(205)의 렌즈를 구동시켜 줌으로써 촛점을 맞추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여준다.
이와같이 하여 사용자의 동작이 안정화 되었을 때, 측정된 거리값을 근거로 해서 카메라 동작 제어부(204)를 통해 카메라(205)의 줌 및 포커스를 조정한다. 이 때 사용자가 어느 정도 계속 움직이고 있는 상태이고, 측정된 거리 값도 실제 눈 까지의 거리가 아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측정 오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미세 조정을 수행하는데, 카메라 동작 제어부(204)는 이미지 처리부(206)로부터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홍채 이미지를 분석하여 포커스 정도를 구해내고, 포커스 정도가 확인을 수행하기에 알맞을 때 까지 줌 및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면서 최대값이 나오는 방향으로 추적을 계속하여 촛점을 맞춘다.
그런데,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한 경우에는 안경과 조명부(208)에 구비되어 있는 LED(조명부에는 3개의 LED가 있다고 하자)와의 각도에 따라서 홍채 이미지에 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미지 처리부(206)는 포커스 정도를 계산하기 전에 미리 반사 정도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안경 반사 정보를 조명 제어부(207)측으로 출력한다.
조명 제어부(207)는 안경의 반사를 피할 수 있도록 안경 반사 정보를 근거로 해서 조명용 LED(3개의 LED)의 점등 여부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서 안경에서 반사되는 위치도 바뀌게 된다. 이렇게 해서 안경에 의한 반사를 회피하고, 카메라(205)에서 얻은 홍채 이미지를 분석하여 인식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시스템의 경우에는 카메라 촛점을 맞추기 위해서 렌즈를 움직일때 렌즈의 움직임 방향 및 거리를 대부분 거리 측정 센서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거리 측정 센서가 사용자 눈 까지의 정확한 거리 정보를 주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렌즈의 움직임 방향이 잘못 지정되어 촛점을 맞추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될 수 있고, 사용자가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 허용하는 범위 내로 접근해야 하므로 불편하다.
한편, 화상 회의용 카메라와 홍채 인식 카메라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PC시스템 등에서 홍채 인식이 가능하도록 한 화상회의 겸용 홍채 인식 카메라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도3은 이 장치와 사용자와의 위치 및 거리 관계를 보여준다. 이 장치에서는 화상회의 겸용 홍채인식 카메라를 사용자가 주시하면서 촛점 거리(D)와 그 촛점 각도를 정확하게 맞춰 주어야만 소망하는 홍채영상을 구할 수 있다.
이 장치에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기 위해서 단촛점 렌즈를 사용하는 홍채 인식 인식 카메라 렌즈 속의 거리 및 촛점 조절용 이미지(두개의 서로 다른 색상의 원을 이용한다)가 서로 일치되어 보이는 위치로 눈을 맞추게 되어 있어서, 카메라 속의 두개의 점이 일치하는 위치에 사용자의 시선이 놓이게 되면 홍채 인식을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촛점 거리를 맞추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카메라로부터 소정 거리(44cm - 48cm)를 둘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동시에 카메라 렌즈 안에 보이는 파란 색의 원과 하얀 색의 원을 이용하여 촛점을 맞추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카메라를 주시하면서 두개의 원이 일치할 때 까지 촛점 각도를 맞추는 방향으로 적당하게 이동할 것을 유도하는 것이다.
도4에서 (a)는 촛점 각도를 맞춘 경우이고, (b)는 촛점 각도가 어긋난 경우를 보여준다.
도5는 상기한 종래의 화상회의 겸용 홍채 인식장치에서 촛점각도를 사용자가 맞출 수 있도록 유도 및 안내하기 위한 광학계 내부 구조를 보여준다.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홍채 인식용 카메라 렌즈(501)와,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사용자 눈 영상을 홍채인식 카메라(503)쪽으로 보내주기 위한 반사경(502), 그리고 홍채 인식용 카메라(503)가 구비되어 있고,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개의 원을 만들어서 표시해주기 위한 발광다이오드(LED)(504)가 반사경(502)의 후사면에 설치되고 이 LED(504)의 불빛을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의 구멍(502a)이 반사경(502)에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이 구조에 의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504)의 불빛이 구멍(502a)을 통해 렌즈(501)를 투과하면서 사용자에게 소정 색상의 원형 불빛을 보여주게 되고, 렌즈 등에 형성된 다른 색상과 크기의 원과 상기 LED에 의한 원이 서로 동심원상으로 일치해 보일 때 까지 사용자가 상하좌우로 적당하게 움직여서 촛점 각도를 맞춰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어느 정도 촛점 거리에 대하여 직관적으로 익숙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줄자를 이용해서 미리 촛점 거리에 대한 감각을 선행 학습하기를 권하고 있으며, 카메라 렌즈 안에 보이는 두개의 원 중에서 하얀 색의 원이 파란 색의 원 안에 동심원상으로 들어오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촛점 거리를 맞추기가 불편하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은 크기의 렌즈, 그리고 좌우측 눈의 시차(Visual Difference) 등을 감안해 본다면, 앞서 설명한 어려움과 불편함은 더욱 가중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렌즈를 2개 사용하고 있고 LED와 렌즈간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사용자가 렌즈 정면을 벗어나도 LED불빛이 보이게 되어 촛점각도를 잘 맞췄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정하기가 어렵다. 더구나 어느 각도에서도 LED불빛이 보이고 촛점을 맞추기 위해서 렌즈 표면에 흰색 점을 표시해 두었기 때문에 이 것이 영상 획득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으며, LED불빛 투과를 위해서 반사경에 구멍을 뚫어 놓아야 하고, 정면이 아닌 다른 각도에서 홍채 인식용 카메라를 주시하게 되면 원형으로 보이지 않게 되어 촛점 각도를 맞추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홍채 인식 시스템에서 홍채 이미지를 얻기 위한 카메라와 사용자와의 거리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해서 사용자에게 어떤 방향으로 얼마만큼 이동해야 하는지를 유도 및 안내해 줄 수 있도록 한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를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홍채 인식용 카메라를 주시하면서 움직이는 것 만으로도 카메라에 대한 사용자의 촛점 각도를 정확하게, 쉽게 맞출 수 있도록 유도 및 안내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홍채인식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시야를 향해 투사되어 나오는 소정 색상의 가시광의 선명도 여부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홍채 인식용 카메라를 주시하면서 카메라에 대한 사용자의 촛점 각도를 정확하게, 쉽게 맞출 수 있도록 한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를 제안한다.
도1은 일반적인 홍채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2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자동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3은 화상회의 겸용 홍채 인식장치에서 촛점각도를 맞추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종래의 화상회의 겸용 홍채 인식장치에서 촛점 각도를 표시하고 맞추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종래의 화상회의 겸용 홍채 인식장치에서 촛점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광학계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에서 촛점 각도를 표시하고 맞추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촛점각도 표시장치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계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촛점각도 표시장치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계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홍채 인식을 위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홍채 인식용 카메라와, 상기 홍채인식용 카메라의 렌즈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촛점 각도를 표시해 주기 위한 촛점 각도 표시광을 발생시키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에 의한 촛점 각도 표시광을 홍채 인식을 위한 광로와 분리해서 처리해 주기 위해 IR광을 반사시키고 가시광을 투과하여 상기 발광수단의 표시광이 홍채인식용 카메라 렌즈를 투과하여 사용자를 향해 투사될 수 있도록 한 광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처리수단이 핫 미러(Hot Mirr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광수단이 상기 핫 미러의 후사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광수단에서 출력된 광이 상기 핫 미러의 후사면으로부터 렌즈를 투과하여 투사될 수 있도록 광을 안내하는 광도파수단을 더 포함하여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이다.
상기한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에 의한 촛점 각도의 유도 및 안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촛점 각도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광학계 유닛의 전면을 보여준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회의 겸용 홍채 인식장치는, 장치 몸체(600)-전면부분이다-에 화상 회의용 카메라(601)와 홍채 인식용 카메라(602), 그리고 조명장치(603)와 거리 측정용 센서(LED)(604)를 구비하고 있으며, 촛점 각도를 표시하는 불빛(602a)이 홍채인식용 카메라(602) 안에서 보이고 있다.
화상회의용 카메라(601)는 화상회의를 위한 사용자의 영상(주로 얼굴 영상)을 촬영하여 취득하기 위한 것이다. 홍채 인식용 카메라(602)는 사용자의 홍채 인식을 위하여 사용자의 눈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것이고, 조명장치(603)는 홍채 인식을 위한 촬영에 필요한 조명을 제공하며, 거리 측정용 센서(604)는 사용자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도2 및 도6의 (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메라를 주시하면서 홍채인식용 카메라(602)의 내부로부터 투사되어 나오는 각도 표시용 가시광의 선명도에 따라 얼굴을 상하좌우로 적절하게 움직여서, 상기 각도 표시용 가시광이 선명하게 보이는 위치를 찾아냄으로써 정확한 촛점 각도를 맞출 수 있게 된다.
즉, 촛점 각도가 맞지 않은 경우에는 도6의 (a)와 같이 홍채인식용 카메라(602) 내부에서 투사되어 나오는 각도 표시용 가시광이 흐리거나 보이지 않게 되고, 촛점 각도가 맞는 경우에는 도6의 (b)와 같이 홍채 인식용 카메라(602)내부에서 투사되어 나오는 각도 표시용 가시광이 선명한 불빛(602a)으로 보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촛점 각도 표시용 가시광이 홍채 인식용 카메라(602)안에 보이기 위한 광학계 구성을 도7 및 도8에 각각 실시예로써 나타내었다.
도7에서 살펴보면, 홍채 인식용 카메라(602)의 카메라 렌즈(602b), 핫 미러(701), 촛점 각도 표시용 광출력을 위한 LED(702)를 포함하며, LED(702)는 핫 미러(701)의 후사면에 위치한다. 핫 미러(701)는 LED(702)에서 출력된 가시광을 투과하여 홍채 인식용 카메라 렌즈(602b)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홍채 인식을 위해서 취득되는 IR광은 반사시켜 홍채 인식용 카메라(602)로 보내준다.
도6 및 도7에 따른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도2에서와 같이 홍채 인식용 카메라(602)를 주시하면서 촛점 각도를 맞추는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따라서 LED(702)로부터 핫 미러(701)를 통해 렌즈(602b)에서 사용자를 향해 투사되어 보이는 불빛(602a)이 보이지 않거나, 혹은 흐리게 보이거나, 혹은 선명하게 보이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카메라(602)를 주시하는 각도가 정확하게 촛점 각도에 이르는 경우에는 카메라와 렌즈 및 핫미러-LED를 잇는 일직선상에 시선이 놓이게 되어 LED(702)의 불빛이 선명하게 보이게 되므로, 이와 같이 LED 불빛의 선명도로부터 사용자는 자신이 촛점 각도를 잘 맞추고 있는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를 직관적으로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LED(702)에서 출력된 광은 가시광이므로 핫 미러(701)를 투과하여 홍채 인식용 카메라 렌즈(602b)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고, 그 것이 홍채 인식용 카메라를 주시하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7의 실시예는 LED(702)를 핫 미러(701)의 후사면에 두기 때문에 카메라 내부의 아랫쪽 공간을 여유롭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다음, 도8은 본 발명의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에 따른 광학계의 제2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홍채 인식용 카메라(602)의 카메라 렌즈(602b), 핫 미러(701), 촛점 각도 표시용 광출력을 위한 LED(702)를 포함하며, LED(702)는 핫 미러(701)의 아래쪽(렌즈 아래쪽 공간)에 위치하고, LED(702)로부터 핫 미러(701)까지 프리즘(801)을 연결하여 LED(702)의 광이 핫 미러(701)까지 유도되도록 하였다. 핫 미러(701)는 LED(702)에서 출력된 가시광을 투과하여 홍채 인식용 카메라 렌즈(602b)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홍채 인식을 위해서 취득되는 IR광은 반사시켜 홍채 인식용 카메라(602)로 보내준다.
도6 및 도8에 따른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도2에서와 같이 홍채 인식용 카메라(602)를 주시하면서 촛점 각도를 맞추는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따라서 LED(702)로부터 프리즘(801)을 거쳐서 핫 미러(701)를 통해 렌즈(602b)에서 사용자를 향해 투사되어 보이는 불빛(602a)이 보이지 않거나, 혹은 흐리게 보이거나, 혹은 선명하게 보이게 된다.
특히, 사용자가 카메라(602)를 주시하는 각도가 정확하게 촛점 각도에 이르는 경우에는 카메라와 렌즈 및 핫 미러-프리즘 종단을 잇는 일직선상에 시선이 놓이게 되어 프리즘 종단으로부터 출력되는 LED(702)의 불빛이 선명하게 보이게 되므로, 이와 같이 LED 불빛의 선명도로부터 사용자는 자신이 촛점 각도를 잘 맞추고 있는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LED(702)에서 출력된 광은 가시광이므로 핫 미러(701)를 투과하여 홍채 인식용 카메라 렌즈(602b)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고, 그 것이 홍채 인식용 카메라를 주시하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8의 실시예는 LED(702)를 핫 미러(701)의 아래쪽 즉, 렌즈의 아래쪽 공간에 두기 때문에 홍채 인식용 카메라 경통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에서는 렌즈를 3개 사용하고 있어서 반사 미러까지의 빛 전달거리가 길고, LED와 렌즈간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사용자의 주시 각도의 관점에서 볼 때 렌즈 정면을 벗어나면 LED불빛 자체가 보이지 않거나 흐리게 보이고, 주시 각도에 따른 LED 선명도에 의존해서 촛점 각도를 조절하도록 유도 및 안내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렌즈 표면에 점을 찍어 놓거나, 미러에 구멍을 뚫는 등의 필요성이 전혀 없게 된다.
본 발명은 단촛점 렌즈를 사용한 화상회의 겸용 홍채 인식장치에서 사용자가 카메라 촛점을 맞추기 위한 각도를 직관적으로 판정할 수 있도록 유도해 줌으로써, 홍채 인식을 위한 거리 조절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도와준다.
또한 본 발명은 단촛점 렌즈를 사용한 화상회의 겸용 홍채인식 카메라에서사용자가 카메라 촛점을 맞추기 위해 카메라를 주시할 때 기존 기술과는 달리 동심원상으로 두개의 점을 맞춰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LED의 불빛이 선명하게 보이는가 혹은 그렇지 않은가 만으로 촛점 각도를 맞춰 줄 수 있어서 편리하다.

Claims (5)

  1. 사용자의 홍채 인식을 위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홍채 인식용 카메라와, 상기 홍채인식용 카메라의 렌즈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촛점 각도를 표시해 주기 위한 촛점 각도 표시광을 발생시키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에 의한 촛점 각도 표시광을 홍채 인식을 위한 광로와 분리해서 처리해 주기 위해 IR광을 반사시키고 가시광을 투과하여 상기 발광수단의 표시광이 홍채인식용 카메라 렌즈를 투과하여 사용자를 향해 투사될 수 있도록 한 광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처리수단은 핫 미러(Hot Mirr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이 상기 핫 미러의 후사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에서 출력된 광이 상기 핫 미러의 후사면으로부터 렌즈를 투과하여 투사될 수 있도록 광을 안내하는 광도파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
KR10-2001-0013378A 2001-03-15 2001-03-15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30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378A KR100430268B1 (ko) 2001-03-15 2001-03-15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
US10/096,967 US7271839B2 (en) 2001-03-15 2002-03-14 Display device of focal angle and focal distance in iris recognition system
JP2002072668A JP2002342750A (ja) 2001-03-15 2002-03-15 虹彩認識システムの焦点角度及び距離表示装置
EP02005945A EP1241634A3 (en) 2001-03-15 2002-03-15 Display device of operation limit angle and distance in iris recogni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378A KR100430268B1 (ko) 2001-03-15 2001-03-15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655A KR20020073655A (ko) 2002-09-28
KR100430268B1 true KR100430268B1 (ko) 2004-05-04

Family

ID=2769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37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30268B1 (ko) 2001-03-15 2001-03-15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2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700B1 (ko) * 2002-10-02 200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채 인식 시스템 및 그 자동 인식방법
KR200404650Y1 (ko) * 2005-08-02 2005-12-27 주식회사 큐리텍 홍채인식 마우스
JP4704185B2 (ja) * 2005-10-27 2011-06-15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システム及び生体認証方法
KR100876821B1 (ko) * 2007-02-12 2009-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영역 내에서 정확하게 얼굴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
KR102306539B1 (ko) * 2015-03-12 2021-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홍채를 촬영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광을 조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223A (ja) * 1996-11-15 1998-05-26 Oki Electric Ind Co Ltd アイリスを用いた個人認識装置およびこの個人認識装置を用いた自動取引システム
KR20000002734A (ko) * 1998-06-23 2000-01-15 구자홍 광학 이미저
WO2000031679A1 (en) * 1998-11-25 2000-06-02 Iriscan, Inc. Iris imaging telephone security module and method
JP2000259817A (ja) * 1999-03-08 2000-09-22 Oki Electric Ind Co Ltd アイリス認識装置
KR20020039158A (ko) * 2000-11-20 2002-05-25 이등구 홍채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7223A (ja) * 1996-11-15 1998-05-26 Oki Electric Ind Co Ltd アイリスを用いた個人認識装置およびこの個人認識装置を用いた自動取引システム
KR20000002734A (ko) * 1998-06-23 2000-01-15 구자홍 광학 이미저
WO2000031679A1 (en) * 1998-11-25 2000-06-02 Iriscan, Inc. Iris imaging telephone security module and method
JP2000259817A (ja) * 1999-03-08 2000-09-22 Oki Electric Ind Co Ltd アイリス認識装置
KR20020039158A (ko) * 2000-11-20 2002-05-25 이등구 홍채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655A (ko) 200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1839B2 (en) Display device of focal angle and focal distance in iris recognition system
US70959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focus position in iris recognition system
EP1341119B1 (en) Iris recognition system
KR100869998B1 (ko) 원거리 홍채 영상 획득 시스템
KR100977499B1 (ko) 거울의 패닝과 틸팅을 이용한 원거리 홍채 영상 획득시스템
US7200248B2 (en) Eye image pickup apparatus and entry/leave management system
US20090278658A1 (en) Eye image taking device and authent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JP2002092605A (ja) アイリス認識装置
CN114945955B (zh) 用于扩大虹膜识别范围的虹膜图像获取系统
KR100447403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초점 각도 및 거리 표시장치
JP2004046451A (ja) 目画像撮像装置および個体認証装置
KR100430268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각도 표시장치
KR200340273Y1 (ko) 홍채 유도 장치
KR100410972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거리 지시 장치
KR100434370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거리 측정방법과 장치
KR100443674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거리 측정방법과 장치
JPH10268372A (ja) 撮影装置
KR100557037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KR100411344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촛점 자동 조절방법
KR200327692Y1 (ko) 홍채영상 인식장치
KR100582426B1 (ko) 홍채인식기의 광축보정장치
KR101797948B1 (ko) 사용자 유도 장치 및 방법
KR20030091173A (ko) 홍채인식용 광학입력기
KR20050103562A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맞춤 장치
KR20050000152A (ko) 홍채영상 인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10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40204

Appeal identifier: 2003101004551

Request date: 20031121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3121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1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304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402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10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4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