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30002B1 -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002B1
KR100430002B1 KR10-2002-0000598A KR20020000598A KR100430002B1 KR 100430002 B1 KR100430002 B1 KR 100430002B1 KR 20020000598 A KR20020000598 A KR 20020000598A KR 100430002 B1 KR100430002 B1 KR 100430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umidity
detected
bathroom
compari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0005A (ko
Inventor
박종한
최성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0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002B1/ko
Publication of KR2003006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형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욕실의 현재 온도 및 습도를 체크하여 적응적으로 운전 제어함으써 욕실을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재 욕실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감지 온도 및 감지 습도를 기설정된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와 비교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크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 보다 크면 냉방 제습 운전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비교결과,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크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 보다 작으면 송풍 운전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작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보다 크면 정온제습 운전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작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보다 작으면 대기모드로 운전 정지하는 제6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DRIVING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BATHROOM}
본 발명은, 욕실용 공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욕실을 적응적으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한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기는 방, 거실 또는 사무실, 영업점포 등의 공간내에 배치되어 공기의 온도, 습도, 청정도 및 기류를 조절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이다.
통상 공조기는 하절기에 실내의 냉방을 목적으로 하는 냉방기를 일컬으며, 이러한 공조기중 일부는 냉동사이클의 냉매의 흐름을 역전시켜 냉방기능 및 난방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소위 히트펌프(Heat Pump) 또는 사계절용 공조기 등으로 불리고 있는 냉난방 겸용 공조기이 있다.
한편,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대부분의 주거공간의 내부에는 욕실 및 화장실(이하 욕실로 표기함)을 구비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욕실은 항상 물이 고여있고 사용한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구를 구비하고 있어 각종 곰팡이, 세균 등이 번식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각종 악취를 유발하여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고 하는 폐해가 있다. 특히, 습기가 많은 장마철, 또는 눈이 오는 날에는 햇볕이 들지 아니하고 바람도 잘 통하지 않기 때문에 곰팡이 등이 쉽게 끼게 되고, 악취가 쉽게 제거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욕실에서 곰팡이, 악취 뿐만 아니라, 목욕시 발생된 다량의 습기로벽, 유리 등에 수분이 응결되어 불편하여 사용자에게 불괘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욕실의 현재 온도 및 습도를 체크하여 적응적으로 운전 제어함으써 욕실을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을 ㄹ보인 개략도.
도2는 본 발명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한 일실시예의 동작흐름도.
도3은 도2에 있어서, 정온제습운전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
도4는 본 발명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한 일실시예의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 제1흡입구 24 : 제1토출구
25 : 필터 26 : 탈취필터
30 : 습도감지센서 32 : 제2흡입구
34 : 제2토출구 36 : 배기구
37 : 배기댐퍼 39 : 배기덕트
41 : 제1열교환기 43 : 순환팬
45 : 제2열교환기 47 : 배기팬
49 : 압축기 51 : 사방밸브
53 : 팽창장치 57 : 삼방밸브
60 : 온도검출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재 욕실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감지 온도 및 감지 습도를 기설정된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와 비교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크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 보다 크면 냉방 제습 운전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비교결과,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크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 보다 작으면 송풍 운전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작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보다 크면 정온제습 운전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작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보다 작으면 대기모드로 운전 정지하는 제6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습기제거모드가 선택되면, 현재 욕실의 습도를 감지하여 이를 제1,제2 기준습도와 비교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습도가 제1 기준습도보다 작으면 대기모드로전환하여 운전을 정지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습도가 제1 기준습도보다 크고, 제2 기준습도보다 작으면 환기운전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습도가 제2 기준습도 크면 정온제습운전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제4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욕실(3)의 공기가 순환시키는 순환유로와, 욕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유로를 구비하여 욕실의 천장에 설치되는 케이싱(11)과, 순환유로에 배치되는 제1열교환기(41)와, 제1열교환기(41)의 일측에 배치되는 순환팬(21)과, 배출유로에 배치되는 제2열교환기(45)와, 제2열교환기(45)의 일측에 배치되는 배기팬 (47)과, 제1열교환기 (41)와 제2열교환기(45)사이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9)와, 제1열교환기(41) 및 제2열교환기(45)사이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가 통과하면서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53)와, 압축기(49)의 토출측에 배치되어 토출된 냉매를 제1열교환기(41) 및 제2열교환기(45)중 어느 하나로 제공되도록 냉매의 유로를 절환하는 사방밸브(51)와, 냉방모드 및 난방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운전모드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선택하는 모드선택부(미도시)와, 순환유로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욕실(3)의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60)와, 온도검출센서(60) 및 모드선택부(미도시)에 의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압축기(49),순환팬 (21),배기팬(47),사방밸브(51),삼방밸브(57),배기댐퍼(37)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욕실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60) 및 습도검출센서(30)와,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미도시)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2는 본 발명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한 실시예의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욕실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감지 온도 및 감지 습도를 기설정된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와 비교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크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 보다 크면 냉방 제습 운전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비교결과,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크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 보다 작으면 송풍 운전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작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보다 크면 정온제습 운전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작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보다 작으면 대기모드로 운전 정지하는 제6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5 과정은,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정온제습 온도보다 크면 환기부의 댐퍼 오픈각을 감소시켜 환기되는 온풍양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정온제습 온도보다 작으면 환기부의 댐퍼 오픈각을 증가시켜 환기되는 온풍양을 감소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4는 본 발명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자에 의해, 습기제거모드가 선택되면, 현재 욕실의 습도를 감지하여 이를 제1,제2 기준습도와 비교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습도가 제1 기준습도보다 작으면 대기모드로전환하여 운전을 정지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습도가 제1 기준습도보다 크고, 제2 기준습도보다 작으면 환기운전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습도가 제2 기준습도 크면 정온제습 운전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제4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모드선택부(미도시)를 통해 쾌적 운전모드를 선택하면, 온도검출센서(60)와 습도검출센서(30)를 통해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한다.
그 다음, 상기 감지온도 및 감지습도를 기설정된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와 비교하여 그에 따라 욕실용 공조기를 각기 달리 운전 제어한다.
만약,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크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보다 크면 냉방 제습 운전하는데, 즉 제어부(미도시)는 배기구(36)가 개방되도록 배기댐퍼 (37)를 제어하고, 순환팬(21) 및 배기팬(47)을 회전구동시킴과 아울러 온도검출센서(60)에 의해 검출된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49)를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63)는 압축기(49)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제2열교환기(45)로 유동할 수 있도록 사방밸브(51)를 제어하고, 상기 순환팬(21)이 구동되면 제1 흡입구(22)를 통해 욕실(3)의 내부의 공기가 순환유로로 흡입되어 제2 열교환기 (45)에서 제습되며, 흡입되는 공기중의 먼지 등 이물질은 필터(25)에 의해 포집되고 공기중의 냄새는 탈취필터(26)에 의해 제거된다.
상술한 냉방싸이클을 통해 제습된 공기는 배기팬(47)이 구동됨에 따라 개방되는 제2 토출구(34)를 통해 욕실 내부로 배출됨으로써 제습을 수행한다.
만약,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크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 보다 작으면 송풍 운전하는데, 즉 제2 열교환기(45)를 통해 냉방된 공기를 제2 토출구(34)를 통해 욕실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냉방감을 느끼게 한다.
만약,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작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보다 크면 정온제습 운전한다.
즉, 제어부(미도시)는 배기구(36)가 개방되도록 배기댐퍼(37)를 제어함과 아울러 순환팬(43) 및 배기팬(47)이 구동되도록 한후, 다음 압축기(49)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제1열교환기(41)로 유동할 수 있도록 사방밸브(51)를 제어하고, 온도검출센서(60)에 의해 검출된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압축기(49)를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49)에서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51)에 의해 제2열교환기(45)로 유입되는데, 이때 배기팬(47)은 작은 회전수로 회전하므로, 고온고압의 냉매는 거의 냉각되지 않은 상태로 제1 열교환기(41)로 유입된다.
이후, 제1 열교환기(41)는, 내부의 이방변(미도시)을 차단하여,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로 분리하여 사용한다.
즉, 실내 열교환기는 고압의 액과 가스가 혼합된 냉기를 흡입하여 열을 방출시켜 고압의 액체를 토출하고, 실외 열교환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액체를 상기 팽창장치를 통해 저압의 액체로 흡입하여 이를 증발시켜 액분이 없는 저온/저압의 냉매를 토출한다.
이때, 순환팬(43)에 의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차가워진 표면을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습기가 제거된후, 그 습기가 제거된 건조공기는 실내 열교환기의 뜨거워진 표면을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실내로 분출된다.
여기서, 상기 정온제습운전시, 온도검출센서(60)에서 검출된 욕실온도를 이용하여 배기댐퍼(37)를 제어하여 제2 토출구(34)로 토출되는 온풍의 양을 조절한다.
즉,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정온제습 온도보다 크면 환기부의 배기댐퍼(37) 오픈각을 감소시켜 환기되는 온풍량을 증가시키고,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정온제습 온도보다 작으면 환기부의 배기댐퍼(37) 오픈각을 증가시켜 환기되는 온풍량을 감소시킨다.
만약,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작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보다 작으면 온도와 습도가 낮은 경우로 판단하여, 현재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모드가 대기모드로 전환되어 어떠한 운전도 수행하지 않고 외부의 신호를 기다린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습기제거모드가 선택되면, 현재 욕실의 습도를 감지하여 이를 제1,제2 기준습도와 비교하는데, 제1 기준습도가 제2 기준습도보다 작다고 가정한다.
상기 비교결과, 감지습도가 제1 기준습도보다 작으면 습기가 거의 없다고 판단하여 대기모드로 전환한후, 운전을 정지한다.
만약, 감지습도가 제1 기준습도보다 크고, 제2 기준습도보다 작으면, 어느정도의 습기가 있음을 판단하여, 환기 운전만으로 습기를 제거하는데, 즉 제어부(미도시)가 배기댐퍼(37)를 제어하여 배기구(36)가 개방되도록 함과 아울러 배기팬 (47)이 회전구동되도록 하여, 욕실 내부의 공기는 제2 흡입구(32)를 통해 흡입되고 배출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배기구(36) 및 배기덕트(3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감지습도가 제2 기준습도 보다 크면 많은 습기가 있음을 판단하여, 정온 제습 운전함으로써 습기를 제거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욕실의 온도와 습도를 검출한후, 그 검출온도와 검출습도를 기준온도 및 기준 습도와 비교하여 운전제어함으로써,욕실의 괘적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사용자에 의해 쾌적운전모드가 선택되면, 현재 욕실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감지 온도 및 감지 습도를 기설정된 기준온도 및 기준습도와 비교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크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 보다 크면 냉방 제습 운전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비교결과,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크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 보다 작으면 송풍 운전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작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보다 크면 정온제습 운전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보다 작고, 동시에 감지습도가 기준습도보다 작으면 대기모드로 운전 정지하는 제6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제5 과정의 정온제습운전은,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정온제습 온도보다 크면 환기부의 댐퍼 오픈각을 감소시켜 환기되는 온풍양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정온제습 온도보다 작으면 환기부의 댐퍼 오픈각을 증가시켜 환기되는 온풍양을 감소시키는 단계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정온제습온도는, 사용자가 희망되는 온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4. 사용자에 의해, 습기제거모드가 선택되면, 현재 욕실의 습도를 감지하여 이를 제1,제2 기준습도와 비교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습도가 제1 기준습도보다 작으면 대기모드로전환하여 운전을 정지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습도가 제1 기준습도보다 크고, 제2 기준습도보다 작으면 환기운전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비교결과, 감지습도가 제2 기준습도 크면 정온제습운전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제4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2002-0000598A 2002-01-05 2002-01-05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0430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598A KR100430002B1 (ko) 2002-01-05 2002-01-05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598A KR100430002B1 (ko) 2002-01-05 2002-01-05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005A KR20030060005A (ko) 2003-07-12
KR100430002B1 true KR100430002B1 (ko) 2004-05-03

Family

ID=3221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598A KR100430002B1 (ko) 2002-01-05 2002-01-05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617B1 (ko) * 2005-05-20 2007-05-18 주식회사 승광 조립식 욕실
CN104566770B (zh) * 2013-10-23 2017-11-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湿机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除湿机
CN108731202A (zh) * 2018-05-31 2018-11-02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一种变频空调除湿模式控制方法及空调
KR102609095B1 (ko) * 2018-11-23 202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27786B1 (ko) * 2019-08-08 2021-03-15 주식회사 앤지티(Ngt) 욕실 및 드레스룸의 환기/제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005A (ko) 200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3509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539788B2 (en)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WO2019137377A1 (zh) 壁挂式空调及其自清洁控制方法
KR20040069613A (ko) 냉난방기의 절전 제습 운전방법
JP2001116290A (ja) 暖房乾燥機
CN113587395B (zh) 空调系统控制方法
JP2010091209A (ja) 空調装置
KR100430002B1 (ko)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JP5228344B2 (ja) 換気空調装置
JP2007218541A (ja) 空気調和機
KR101636263B1 (ko) 다기능 공조시스템
JP2005009849A (ja) 空気調和機
JP2000304326A (ja) 熱交換換気装置
JP3197596B2 (ja) 空気調和機
KR100692894B1 (ko) 쾌적한 냉방을 위한 제습운전이 가능한 에어컨과 그에사용되는 실내기 및 제습운전 방법
JPH06123469A (ja) 空調換気機能付き除湿ユニットの運転制御装置
JP3143195B2 (ja) 空気調和装置
JP5435161B2 (ja) 空調装置
KR100430005B1 (ko) 욕실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CN113587396A (zh)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0091208A (ja) 換気空調装置
KR100455202B1 (ko) 욕실형 에어컨 및 그의 제어방법
CN110736142A (zh) 一种空调器及其不降温快速除湿控制方法
KR100425735B1 (ko) 욕실용 에어컨
KR20030060008A (ko) 욕실용 공조기의 냄새 제거 운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8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