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27551B1 -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551B1
KR100427551B1 KR10-2002-0026571A KR20020026571A KR100427551B1 KR 100427551 B1 KR100427551 B1 KR 100427551B1 KR 20020026571 A KR20020026571 A KR 20020026571A KR 100427551 B1 KR100427551 B1 KR 100427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mobile terminal
length
cellular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727A (ko
Inventor
신용식
류시훈
이동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2-0026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551B1/ko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4504464A priority patent/JP4178475B2/ja
Priority to CNB028289536A priority patent/CN100440823C/zh
Priority to CA 2483044 priority patent/CA2483044C/en
Priority to AU2002356464A priority patent/AU2002356464A1/en
Priority to PCT/KR2002/002250 priority patent/WO2003096628A1/en
Priority to EP20020807406 priority patent/EP1504566B1/en
Priority to US10/512,791 priority patent/US7519363B2/en
Publication of KR20030088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55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05Data network PoA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아이피(Mobile IP) 방식을 기반으로 공중 무선랜(Public Wireless LAN)과 셀룰러망이 상호 연동토록하여 로밍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셀룰러 망 및/또는 무선랜에서의 모바일 IP 방식을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함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망의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420)에서, 특정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IP 어드레스의 할당이 인지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현재 서비스 영역에 속한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 관리 장치(520)에게로,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현재 접속 상태에 대한 관련 정보를 통지하는 단계(S301-S312);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 장치(520)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이동하여 자신(520)에게 접속되면(S313,S314), 자신의 주소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420)의 주소에 대체되도록 주소 갱신을 요청하고(S312), 그 갱신된 결과에 따른 IP 주소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할당한 후(S316), 이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게 통지하는 단계(S317); 및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420)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 장치(520)로부터의 상기 통지 메시지 수신시, 상기 이동으로 인한 로밍 동안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 장치(520)로 전달하는 단계(S3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셀룰러 망으로부터 상기 무선랜으로의 로밍이 수행되고, 이와 같은 방법을 응용하면 무선랜으로부터 셀룰러 망으로의 로밍도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A roaming method between WLAN and cellular networks}
본 발명은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아이피((Mobile IP) 방식을 기반으로 공중 무선랜(Public Wireless LAN)과 셀룰러망이 상호 연동토록하여 로밍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및 국외에서 무선랜은 현재 2.4GHz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최대 11Mbps의 전송률을 갖는 IEEE 802.11b 표준을 위주로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사용자 인증을 위해 802.1x가 사용되고 있으며 보안을 위한 802.11i와 서비스 품질(QoS)를 위한 802.11e등의 표준화도 진행중이다.
그런데,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 AP)가 갖는 커버리지의 제약을 극복하여 보다 융통성 있는 서비스가 되기 위해서는 셀룰러 망과의 연동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재 국내를 필두로 하여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무선랜 서비스의 활성화와 더불어 셀룰러 망과의 연동방법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까지 제안되고 있는 무선랜과 셀룰러 망간의 연동을 위한 가장 유력한 방법은 모바일 IP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현재 제안된 모바일 IP에 의한 방법은 세션이 연결된 상태에서 물리적 계층만 단절되었다가 다시 연결되는 방법인데, 현재의 프로토콜에 의하면 수초의 시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화상전화나 음성통화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절단 및 재접속 시간이 가능하면 단축되어야 한다. 즉, 서로 다른 망간을 단말이 이동할 때 단말에 대한 재 인증 및 재 접속과정이 가능하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기존 방법보다 이동성 지원을 위해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창작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무선랜과 셀룰러망에 모두 접속 가능한 듀얼 모드 단말기가 무선랜 서비스 영역에서 셀룰러 서비스 영역으로 또는 이와 반대로 이동할 때 보다 신속하게 로밍이 지원되도록 하여, 기존의 방법보다 로밍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서비스에 보다 적합한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와 달리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서비스보다는 데이터에 대한 손실이 없도록 제공되어야 하므로, 로밍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가능한 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 할 뿐만 아니라 로밍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된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을 구현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모바일 IP 방식의 개념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과 같이 모바일 IP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셀룰러 망과 연동하기 위한 무선랜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때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에서, 도 1과 같은 셀룰러망으로부터 도 2와 같은 무선랜으로 로밍할 경우의 망간 상호 연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에서, 도 2와 같은 무선랜으로부터 도 1과 같은 셀룰러망으로 로밍할 경우의 망간 상호 연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3 및 도 4에서 생성 전송되는 접속 인폼(Con-Inform) 메시지의 포맷(Format)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 및 도 4에서 생성 전송되는 접속 노티파이(Con-Notify) 메시지의 포맷(Format)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410 : 기지국 포함 기지국제어기
420 :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430 : 홈 에이전트
440 : 인증/과금 서버 510 : 액세스 포인트
520 : 액세스 포인트 관리 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에서, 셀룰러 망으로부터 무선랜으로의 로밍 방법은, 셀룰러 망 및/또는 무선랜에서의 모바일 IP 방식을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함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망의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서, 특정 이동 단말기에 대한 IP 어드레스의 할당이 인지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영역에 속한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 관리 수단에게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접속 상태에 대한 관련 정보를 통지하는 제 1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 수단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여 자신에게 접속되면, 자신의 주소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의 주소에 대체되도록 주소 갱신을 요청하고, 그 갱신된 결과에 따른 IP 주소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할당한 후, 이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게 통지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통지 메시지 수신시, 상기 이동으로 인한 로밍 동안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노드로 전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셀룰러 망으로부터 상기 무선랜으로의 로밍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에서, 무선랜으로부터 셀룰러 망으로의 로밍 방법은, 셀룰러 망 및/또는 무선랜에서의 모바일 IP 방식을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함에 있어서, 상기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 관리수단에서, 특정 이동 단말기에 대한 IP 어드레스의 할당이 인지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영역에 속한 셀룰러 망의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게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접속 상태에 대한 관련 정보를 통지하는 제 1 단계;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여 자신에게 접속되면, 자신의 주소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수단의 주소에 대체되도록 주소 갱신을 요청하고, 그 갱신된 결과에 따른 IP 주소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할당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수단에게 통지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 수단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로부터의 상기 통지 메시지 수신시, 상기 이동으로 인한 로밍 동안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로 전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무선랜으로부터 상기 셀룰러 망으로의 로밍이 수행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반이 되는 모바일 IP 방식의 개념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동 도면에서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1,PDSN2)(110 : 111,112)는 CDMA 2000 1x 망으로서의 셀룰러 통신망내에 구비되어 패킷 데이터의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노드를 나타내고; 홈에이전트(Home Agent : HA)(120)는 상기 통신망 내에 구비되어 상기 PDSN(110)을 통한 이동 단말기(11)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청 시 위치 등록을 수행하되, 복수개의 IP 주소 자원을 가지고서, 그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PDSN(110) 및 해당 이동 단말기(11)의 인식 정보에 연계하여 그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함과 아울러 그 할당된 IP 주소의 갱신을 위한 주소 갱신 메시지로서의 주소 등록 요청 메시지, 주소 갱신 요청 메시지 및 주소 삭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위치 등록 수단을 나타내며; 도메인 네임 서버(DNS)(130)는 상기 HA(120)로부터의 상기 주소 갱신 메시지(즉, 주소 등록 요청 메시지, 주소 갱신 요청 메시지 또는 주소 삭제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해당 이동 단말기(11)에 대해 상기 할당된 주소를 등록, 갱신 또는 삭제하는 주소 관리 수단을 나타낸다.
이어, 도 1의 흐름도를 참조로 모바일 IP의 개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특정 호스트 네임(이하 'han' 이라 지칭함)을 가진 가입자 이동 단말기(11)가 제 1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1)(111)를 통해 상기 홈 에이전트(HA)(120)에 위치 등록을 요청하면(S201,S202), 상기 홈 에이전트(120)는 상기 PDSN 1(111)로부터 전달된 상기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자신이 구비하고 있는 IP 주소 자원 중 하나(이하 ip1)를 상기 해당 단말기(11)에게 할당하고(S203), 그 할당된 IP 주소 자원 ip1을 상기 단말기(11)의 호스트 네임인 'han' 및 상기 현재 접속된 PDSN 1(111)의 인식 정보와 함께 상호 연계하여 위치 등록하며(S204), 아울러 상기 위치 등록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han:ip1에 대한 IP 주소의 등록을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DNS)(130)측에 요청하고(S205), 상기 DNS 서버(130)는 그 요청에 근거하여 'han:ip1'을 등록한다(S206).
이와 같이 상기 단말기(11)가 상기 PDSN 1(111)에 접속되어 위치 등록 및 IP 주소 자원이 등록되어 있다가, 이동하여 제 2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2)(112)를 통해 상기 홈 에이전트(120)에 자신의 호스트 네임인 'han'과 상기 할당된 IP 주소인 'ip1'의 정보와 함께 위치 등록을 요청하면(S207,S208), 상기 홈 에이전트(120)는 상기 PDSN 2(112)로부터 전달된 상기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연계 등록된 'han:ip1'의 소속 PDSN이 PDSN 1(111)에서 PDSN 2(112)로 바뀌었음을 인식하고 그 'han:ip1'을 상기 PDSN 2(112)의 인식 정보와 함께 연계하여 위치 등록한다(S209).
상기 홈 에이전트(12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IP 주소 자원을 할당하고 그 할당된 IP 주소를 등록하고서, 그 등록된 'han:ip1'에 대한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가를 확인하여 미수신 지속 시간을 기산하고(S210), 그 기산된 미수신 지속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할 경우(S211), 상기 DNS 서버(130)에게 상기 등록된 'han:ip1'에 대한 삭제를 요청하고(S212), 상기 DNS 서버(130)는 그 삭제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등록된 'han:ip1' 등록 정보를 삭제하고(S213), 삭제 완료되었음을 상기 홈 에이전트(120)에게 알려 이후 상기 할당된 주소 자원 ip1이 동적으로 다른 단말기에게 할당될 수 있도록 한다(S214).
도 2는 도 1과 같이 모바일 IP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셀룰러 망과 본 발명에 따라 연동하기 위한 무선랜이 독립적으로 동작할 때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동 도면에서, 참조 번호 12는 무선 랜 통신 기능을 가진 노트북 피씨(Notebook PC)와 같은 이동 단말을 나타내고, 참조 번호 20은 상기 이동 단말(12)과 무선 접속하여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30은 상기 이동 단말(12)의 데이터 통신시 인증 및 과금을 위한 인증/과금 서버를 나타낸다.
먼저, 상기 이동 단말(12)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20)에 접속(association)된 후(S251), 801.1x의 인증 절차를 따라 상기 인증/과금 서버(30)를 통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252). 여기서, 802.1x는 기존의 방법으로 MD-5, TLS, SRP, OTP 등 임의의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인증 완료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20)는 상기 인증/과금 서버(30)에게 과금 시작을 알리는 메시지(Acc-Request(start))를 전송하여 그 인증/과금 서버(30)에서 과금을 시작토록 함과 아울러(S253), 상기 이동 단말(12)에게 상기 단계 S251에서의 접속을 종료하기전까지 데이터 서비스(Data Service)를 제공한다(S254).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에서, 도 1과 같은 셀룰러망으로부터 도 2와 같은 무선랜으로 로밍할 경우의 망간 상호 연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에서, 도 2와 같은 무선랜으로부터 도 1과 같은 셀룰러망으로 로밍할 경우의 망간 상호 연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셀룰러 망은 CDMA 2000 1x 망을 예로 설명하고, 도 3에서 기지국제어기(BSC)(410),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420) 및 홈 에이전트(HA)(430)는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셀룰러 망의 노드들을 나타내고, 액세스 포인트(AP)(510)와 액세스 포인트 관리장치(APM)(520)는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랜의 노드를 나타내되,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장치(520)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510)를 관리하고 이동성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노드로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420)에 대응되는 기능을 가지도록 상기 무선랜에 새롭게 구비되며, 인증/과금 서버(440)는 상기 셀룰러 망과 상기 무선랜의 사용자에 대하여 인증 및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10)는 도 1의 셀룰러 망과 도 2의 무선랜에 모두 접속될 수 있는 듀얼 모드(Dual Mode) 단말기 이어야 하며 모바일 IP 스텍(stack)이 구현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420)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장치(52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이동성 지원을 위해 각 소속 망에서 모바일 IP 기반의 교환기능을 수행하는 노드로 동작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셀룰러망으로부터 무선랜으로의 로밍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셀룰러 망내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10)는 기지국제어기(이하 BSC라 표기함)(410)와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이하 PDSN이라 표기함)(420)를 통하여 채널 및 알-피(R-P) 셋업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상기 BSC(이하,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냄)(410)에 접속하여 상호 채널 셋업을 수행하고(CH setup)(S301), 상기 채널 셋업된 BSC(410)는 상기 PDSN(420)과 상호 R-P 셋업을 수행하는데(S302), 이와 같은 과정은 주지된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다.
이어, 상기 이동 단말기(10)와 상기 PDSN(420)은 상호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Point-to-Point Protocol : PPP) 인증을 수행하고(S303), 이에 따라 상기 PDSN(420)은 상기 홈 에이전트(이하 HA라 칭함)(430) 및 상기 인증/과금 서버(이하 AAA라 칭함)(440)에 대하여 각각 접속 요청(Access-request)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응답(response)을 받음으로서 상기 HA(430) 및 상기 AAA(440)가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304). 이 절차 또한 주지된 기존의 방법을 따른다.
이어, 상기 이동 단말기(10)에 구비된 모바일 IP 스텍은 IP 주소를 할당 받기 위한 절차를 상기 PDSN(420)과 상호 수행한다(MIP solicitation advertisement)(S305).
상기 단계 S305와 같이 모바일 IP와 관련된 프로토콜을 수행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엔에이아이(NAI : Network Access Identifier)값, 아이디(ID), 패스워드(Password)등을 이용하여 상기 PDSN(420)을 통해 상기 HA(430)측으로 자신의 위치 등록을 요청하면(Registration Request)(S306,S307), 상기 HA(430)는 상기 AAA(440)로 액세스 요청 메시지(Access Request)를 보내 과금을 사작토록 하고(S308),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Access Response)를 받는다(S309). 이어, 상기 과정의 결과로 상기 AAA(440)와 상기 HA(430)로부터 사용자 인증 및 모바일 IP 등록이 성공적이면 상기 HA(430)는 상기 단계 S306과 S307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PDSN(420)과 상기 BSC(410)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10)에게 IP 주소를 할당한다(S310,S311). 이와 같은 단계 S306 내지 S311의 과정 즉, 단말의 위치 등록 및 이에 따른 IP 주소 할당 과정은 상기 AAA(440)와 연관된 과정을 제외하고서 도 1을 참조로 설명된 상기 단계 S201 내지 S206의 과정과 같이 수행되므로 그 부분의 설명을 참조토록 한다.
이어,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현재 접속되어 속해있는 상기 PDSN(420)은, 상기 단계 S311의 과정 수행과 아울러 상기 등록 응답으로 현재의 상기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위치를 파악(즉, 어느 기지국 영역에 속해 있는가 등을 파악)하여 해당 영역에 있는 액세스 포인트(이하 AP라 칭함)(510)에 대한 해당 관리장치로서의 액세스 포인트 관리장치(이하 APM이라 칭함)(520)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현재 접속 상태를 알리도록 하는데, 그 방법은 도 5와 같이 구성된 접속 인폼(Con-Inform) 메시지를 이용한다(S312).
상기 접속 인폼 메시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Version)와 그 길이(예컨대, 1 바이트), 해당 메시지의 구별자를 나타내는 정보(Identifier)와 그 길이(예컨대, 2 바이트), 해당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Length)와 그 길이(예컨대, 2 바이트), 현재 메시지 전송자의 주소 정보(Sender IP address)와 그 주소의 길이(address length), 현재 접속(association)된 클라이언트 맥(clienr MAC) 주소에 대한 정보(Client-MAC address)와 그 주소의 길이 정보(address length), 이용자의 ID 정보(User ID)와 그 길이(ID length), 이용자의 NAI 정보(User NAI)와 그 길이(NAI length), 이용자의 패스워드 정보(User password)와 그 길이 정보(Password length), 0-2048까지의 시퀀스 넘버를 나타내는 시퀀스 넘버 정보(Sequence Number)와 그 정보의 길이(예컨대, 2 바이트), 및 기타 정보(Others)로 이루어져 있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무선랜의 영역으로 이동하여 접속되면, 상기AP(510)와 상기 APM(520)을 통해서 802.1x 인증만을 수행하도록 한다(S313,S314). 이때 상기 단계 S312에서 받은 상기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정보가 상기 APM(520)에 있으면 자신의 주소를 씨오에이(COA : Care Of Address)로 하여 상기 HA(430)에게 바인딩(Binding)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요청한다(Roam Registration)(S315).
이어, 상기 APM(520)은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요구에 따라 그 이동 단말기(10)의 관리를 위해 자신에 의해 상기 단계 S315에서 갱신되어 할당된 IP 주소를 보내는데, 이는 상기 APM(520)으로 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10)까지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필요한 주소이다(DHCP request response)(S316).
이제 상기 APM(520)은 상기 단계 S312 과정에서 데이터를 보내 온 상기 PDSN(420)에게 로밍이 수행되었음을 도 6과 같이 구성된 접속 노티파이(Con-Notify) 메시지를 이용하여 알린다(S317).
상기 접속 노티파이 메시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Version)와 그 길이(예컨대, 1 바이트), 해당 메시지의 구별자를 나타내는 정보(Identifier)와 그 길이(예컨대, 2 바이트), 해당 페킷 길이 정보(Length)와 그 길이(예컨대, 2 바이트), 현재 메시지 전송자의 주소 정보(Sender IP address)와 그 주소의 길이(address length), 커넥션(connection) 등록에 대한 정보(Connection - context)와 그 길이(cntext length), 0-2048까지의 시퀀스 넘버를 나타내는 시퀀스 넘버 정보(Sequence Number)와 그 정보의 길이(예컨대, 2 바이트), 및 기타 정보(Others)로 이루어져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PDSN(420)은 상기 단계 S317에서 상기 접속 노티파이 메시지를 받으면 상술된 로밍 동안에 얻어진 데이터를 상기 APM(520)에게 전달한다(Interval data forwarding)(S318).
도 4를 참조하여 무선랜으로부터 셀룰러망으로의 로밍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무선랜내에 위치한 이동 단말기(10)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510)에 접속(association)된 후(S601), 801.1x의 인증 절차를 따라 상기 AAA(440)를 통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602).
이어, 상기 이동 단말기(10)에 구비된 모바일 IP 스텍은 IP 주소를 할당 받기 위한 절차를 상기 APM(520)과 상호 수행한다(MIP solicitation advertisement)(S603).
상기 단계 S603과 같이 모바일 IP와 관련된 프로토콜을 수행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엔에이아이(NAI)값, 아이디(ID), 패스워드(Password)등을 이용하여 상기 APM(520)을 통해 상기 HA(430)측으로 자신의 위치 등록을 요청하면(Registration Request)(S604,S605), 상기 HA(430)는 상기 AAA(440)로 액세스 요청 메시지(Access Request)를 보내 과금을 사작토록 하고(S606),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Access Response)를 받는다(S607). 이어, 상기 과정의 결과로 상기 AAA(440)와 상기 HA(430)로부터 사용자 인증 및 모바일 IP 등록이 성공적이면 상기 HA(430)는 상기 단계 S604와 S605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APM(520)과 상기 AP(510)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10)에게 IP 주소를 할당한다(S608,S609).
상술된 단계 S604 내지 S609의 과정 즉, 단말의 위치 등록 및 이에 따른 IP 주소 할당 과정은 도 1의 상기 단계 S306 내지 S311의 과정과 동일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랜의 구성 노드로서의 상기 AP(510)와 상기 APM(520)은 셀룰러망의 구성 노드로서의 상기 기지국/BSC(410)와 상기 PDSN(420)과 각각 동일/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현재 접속되어 속해있는 상기 APM(520)은, 상기 단계 S609의 과정 수행과 아울러 상기 등록 응답으로 현재의 상기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위치를 파악(즉, AP 영역에 속해 있는가 등을 파악)하여 해당 영역에 있는 기지국/BSC(410)에 대한 해당 PDSN(420)에게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현재 접속 상태를 알리도록 하는데, 그 방법은 도 5와 같이 구성된 접속 인폼(Con-Inform) 메시지를 이용한다(S610).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셀룰러 망의 영역으로 이동하면, 도 3의 상기 단계 S301 내지 S303과 동일한 과정으로서, 셀룰러 망내에 위치한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상기 BSC(410)와 상기 PDSN(420)을 통하여 채널 셋업 및 R-P 셋업을 수행하고(S611,S612), 이어, 상기 이동 단말기(10)와 상기 PDSN(420)은 상호 포인트-투-포인트 프로토콜(Point-to-Point Protocol : PPP) 인증을 수행한다(S613),
이때, 상기 단계 S610에서 받은 상기 이동 단말기(10)에 대한 정보가 상기 PDSN(420)에 있으면 자신의 주소를 씨오에이(COA : Care Of Address)로 하여 상기 HA(430)에게 바인딩(Binding) 테이블을 갱신하도록 요청한다(Roam Registration)(S614). 이 과정은 도 3의 상기 단계 S315와 대응되는 과정이다.
이어, 상기 PDSN(420)은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요구에 따라 그 이동 단말기(10)의 관리를 위해 자신에 의해 상기 단계 S614에서 갱신되어 새롭게 할당된 IP 주소를 보내는데, 이는 상기 PDSN(420)으로 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10)까지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필요한 주소이다(DHCP request response)(S615).
이제 상기 PDSN(420)은 상기 단계 S610 과정에서 데이터를 보내 온 상기 APM(520)에게 로밍이 수행되었음을 도 6과 같이 구성된 접속 노티파이(Con-Notify) 메시지를 이용하여 알리고(S616), 마지막으로, 상기 APM(520)은 상기 단계 S616에서 상기 접속 노티파이 메시지를 받으면 상술된 로밍 동안에 얻어진 데이터를 상기 PDSN(420)에게 전달한다(Interval data forwarding)(S617). 이와 같은 상기 단계 S615 내지 617의 과정은 도 3의 상기 단계 S316 내지 S318의 과정에 대응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랜의 사용주파수가 5GHz 대역인 802.11a를 사용하더라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이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응용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방법보다 로밍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 서비스에 보다 적합한 로밍을 지원할 수 있고, 로밍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가능한 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 할 뿐만 아니라 로밍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창출한다.

Claims (6)

  1. 셀룰러 망 및/또는 무선랜에서의 모바일 IP 방식을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함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망의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서, 특정 이동 단말기에 대한 IP 어드레스의 할당이 인지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영역에 속한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 관리 수단에게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접속 상태에 대한 관련 정보를 통지하는 제 1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 수단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여 자신에게 접속되면, 자신의 주소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의 주소에 대체되도록 주소 갱신을 요청하고, 그 갱신된 결과에 따른 IP 주소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할당한 후, 이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게 통지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통지 메시지 수신시, 상기 이동으로 인한 로밍 동안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노드로 전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셀룰러 망으로부터 상기 무선랜으로의 로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
  2. 셀룰러 망 및/또는 무선랜에서의 모바일 IP 방식을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함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 관리수단에서, 특정 이동 단말기에 대한 IP 어드레스의 할당이 인지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서비스 영역에 속한 셀룰러 망의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게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접속 상태에 대한 관련 정보를 통지하는 제 1 단계;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여 자신에게 접속되면, 자신의 주소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수단의 주소에 대체되도록 주소 갱신을 요청하고, 그 갱신된 결과에 따른 IP 주소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할당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수단에게 통지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 수단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로부터의 상기 통지 메시지 수신시, 상기 이동으로 인한 로밍 동안 획득된 데이터를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로 전달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무선랜으로부터 상기 셀룰러 망으로의 로밍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상기 통지 메시지는, 해당 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와 그 길이, 해당 메시지의 구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와 그 길이, 해당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와 그 길이, 현재 메시지 전송자의 주소 정보와 그 길이, 현재 접속된 클라이언트 맥(clienr MAC) 주소에 대한 정보와 그 주소의 길이 정보, 이용자의 ID 정보와 그 길이, 이용자의 NAI 정보와 그 길이, 이용자의 패스워드 정보와 그 길이, 시퀀스 넘버를 나타내는 시퀀스 넘버 정보와 그 정보의 길이 및 기타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의 상기 통지 메시지는,
    해당 프로토콜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와 그 길이, 해당 메시지의 구별자를 나타내는 정보와 그 길이, 해당 페킷 길이 정보와 그 길이, 현재 메시지 전송자의 주소 정보와 그 주소의 길이, 커넥션 등록에 대한 정보와 그 길이, 시퀀스 넘버를 나타내는 시퀀스 넘버 정보와 그 정보의 길이 및 기타 정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관리수단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성 지원을 위해 모바일 IP 기반의 교환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셀룰러 망과 상기 무선랜에 모두 접속될 수 있는 듀얼 모드(Dual Mode) 단말기이고, 모바일 IP 스텍이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
KR10-2002-0026571A 2002-05-14 2002-05-14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27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571A KR100427551B1 (ko) 2002-05-14 2002-05-14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
CNB028289536A CN100440823C (zh) 2002-05-14 2002-11-29 在无线局域网和蜂窝网络之间漫游的方法
CA 2483044 CA2483044C (en) 2002-05-14 2002-11-29 Roaming method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cellular network
AU2002356464A AU2002356464A1 (en) 2002-05-14 2002-11-29 Roaming method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cellular network
JP2004504464A JP4178475B2 (ja) 2002-05-14 2002-11-29 公衆無線lanとセルラー網の間のローミング方法
PCT/KR2002/002250 WO2003096628A1 (en) 2002-05-14 2002-11-29 Roaming method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cellular network
EP20020807406 EP1504566B1 (en) 2002-05-14 2002-11-29 Roaming method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cellular network
US10/512,791 US7519363B2 (en) 2002-05-14 2002-11-29 Roaming method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cellular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571A KR100427551B1 (ko) 2002-05-14 2002-05-14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727A KR20030088727A (ko) 2003-11-20
KR100427551B1 true KR100427551B1 (ko) 2004-04-28

Family

ID=2941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57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7551B1 (ko) 2002-05-14 2002-05-14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19363B2 (ko)
EP (1) EP1504566B1 (ko)
JP (1) JP4178475B2 (ko)
KR (1) KR100427551B1 (ko)
CN (1) CN100440823C (ko)
AU (1) AU2002356464A1 (ko)
CA (1) CA2483044C (ko)
WO (1) WO20030966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232A (ko) * 2002-01-31 2003-08-06 필아이티 주식회사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망과 무선 랜망간 끊김없는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복합단말기 및 그 방법
CN1215386C (zh) * 2002-04-26 2005-08-17 St微电子公司 根据量子软计算控制过程或处理数据的方法和硬件体系结构
AU2003237252A1 (en) * 2002-06-06 2003-12-22 Thomson Licensing S.A. Broker-based interworking using hierarchical certificates
US7835751B2 (en) 2002-10-18 2010-11-16 Ibe Oliver C Method of seamless roaming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nd cellular carrier networks
KR20040048494A (ko) * 2002-12-03 200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과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망간 연동 방안
US7535878B2 (en) * 2003-03-28 2009-05-19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suring reliable access to a roaming mobile node
KR100513863B1 (ko) * 2003-04-29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호스트의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시스템 및 그의 동작방법
DE60306778T2 (de) * 2003-09-03 2006-11-16 Alcatel Lokalisierung von mobilen Stationen in einem WLAN durch Zugangspunktregistrierung
US8526978B2 (en) * 2003-10-29 2013-09-0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delivering supplementary services to multi-technology capable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US7395083B2 (en) 2003-10-30 2008-07-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communication of cellular network information betwee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 mobile station
US7580396B2 (en) 2003-11-05 2009-08-25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obtaining and retaining a mobile node home address
CA2546570C (en) 2003-11-19 2010-07-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broadcast information to wlan enabl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3973038B2 (ja) * 2003-11-21 2007-09-05 Kddi株式会社 パケット交換網の呼確立方法
US20050111454A1 (en) * 2003-11-25 2005-05-26 Narjala Ranjit 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ntelligently and dynamically routing mobile internet protocol packets
US20050113109A1 (en) * 2003-11-25 2005-05-26 Farid Adrangi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ext-based registrations based on intelligent location detection
US20050111380A1 (en) * 2003-11-25 2005-05-26 Farid Adrangi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obile nodes to dynamically discover configuration information
US20050136924A1 (en) * 2003-12-04 2005-06-23 Farid Adrangi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abling roaming mobile nodes to utilize private home IP addresses
US7200400B2 (en) * 2003-12-15 2007-04-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to 802.11 voice multi-network roaming utilizing SIP signaling with SIP proxy or redirect server
JP4176655B2 (ja) * 2004-02-24 2008-11-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アドレス動的割当てシステム、中継装置、及び、アドレス動的割当方法
CN1283062C (zh) * 2004-06-24 2006-11-0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用户实现接入认证的方法
US20060002557A1 (en) * 2004-07-01 2006-01-05 Lila Madour Domain name system (DNS) IP address distribut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ing the protocol for carrying authentication for network access (PANA)
GB2416272B (en) 2004-07-13 2009-03-04 Vodafone Plc Dialling of numbers in a communications system
GB2416276B (en) 2004-07-14 2009-06-17 Vodafone Plc Providing services in communications networks
GB2416277B (en) * 2004-07-14 2009-04-08 Vodafone Plc Location updating in communications networks
GB2416274B (en) 2004-07-14 2009-04-08 Vodafone Plc Location updating in communications networks
GB2416275B (en) 2004-07-14 2009-05-20 Vodafone Plc Location based services in communications networks
US8843931B2 (en) 2012-06-29 2014-09-23 Sap Ag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business critical processes
US7603131B2 (en) 2005-08-12 2009-10-13 Sellerbid,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lly applicable internet content with secure action requests and item condition alerts
US20060040656A1 (en) * 2004-08-17 2006-02-23 Kotzin Michael D Mechanism for hand off using access point detection of synchronized subscriber beacon transmissions
WO2006025677A1 (en) * 2004-08-30 2006-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off system and method between a wireless lan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E102004043563A1 (de) * 2004-09-09 2006-03-30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zur Notifikation einer Nachricht
KR101115432B1 (ko) * 2004-10-19 2012-03-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인터넷에서 페이징 기능을 이용하여 착신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597422B1 (ko) 2005-01-18 200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정보를 사용하여 핸드오프 시간을 줄이는방법 및 장치
US7813717B2 (en) * 2005-05-13 2010-10-12 Cisco Technology, Inc. Authentication of mobile stations
US8185935B2 (en) 2005-06-14 2012-05-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home address assignment by home agent in multiple network interworking
JP4892884B2 (ja) * 2005-08-01 2012-03-0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lan内蔵型携帯電話端末、携帯電話システムおよびその個人情報保護方法
EP1932302A1 (en) * 2005-10-07 2008-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of user equipment using internet protocol addres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115248B (zh) * 2006-07-25 2010-05-12 联想(北京)有限公司 多模终端及其数据转发方法
US8472998B2 (en) * 2006-09-05 2013-06-25 Motorola Mobility Llc System and method for achieving WLAN communications between access point and mobile device
US8130771B2 (en) * 2006-10-10 2012-03-06 Alcatel Lucent Packet-forwarding for proxy mobile IP
KR100860123B1 (ko) 2006-10-30 2008-09-2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해외 로밍한 수신자에게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020048B1 (ko) * 2006-12-26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패킷 분류 장치 및 방법
KR101398908B1 (ko) * 2007-05-22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아이피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이동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8503427B2 (en) * 2007-07-04 2013-08-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cation functionality in an interworking WLAN system
KR100932280B1 (ko) * 2007-12-07 2009-1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망 사이의 이동성 지원 제공 방법
CN101640943B (zh) * 2008-07-31 2012-11-07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无线局域网的网络层切换方法及相应无线接入点设备
KR101407682B1 (ko) 2008-09-11 201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맥 버전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665842B2 (en) 2010-05-13 2014-03-04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discover network capabilities for connecting to an access network
CN102947817B (zh) * 2010-06-23 2016-03-02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以及通信程序
US8953572B2 (en) 2010-08-27 2015-02-10 Ht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obile network sha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4902519A (zh) * 2014-03-06 2015-09-09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通信终端状态的通知方法、装置、接入点、终端及网元
US9980133B2 (en) 2015-08-12 2018-05-22 Blackberry Limited Network access identifier including an identifier for a cellular access network node
US10873848B1 (en) * 2019-06-07 2020-12-22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a station with a suggestion to transition from Wi-Fi to LTE
US11228957B2 (en) 2019-09-13 2022-01-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amless roaming of real time media sessions
CN115348572B (zh) * 2022-08-15 2024-08-20 矩阵时光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量子安全局域网的跨服务区漫游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3888A (en) * 1995-06-05 1997-05-27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using an access point adjacency matrix to establish handoff in a wireless LAN
US6067297A (en) * 1996-06-28 2000-05-23 Symbol Technologies, Inc. Embedded access point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mobile unit operating in power-saving mode
FI113445B (fi) * 1997-12-18 2004-04-15 Nokia Corp Liikkuva Internet-protokolla
FI980291L (fi) * 1998-02-09 1999-08-10 Nokia Mobile Phones Ltd Liikkuva internetpääsy
US6466964B1 (en) * 1999-06-15 2002-10-15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ity of a node that does not support mobility
US7502339B1 (en) * 1999-06-21 2009-03-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j Mobility within a packet-switched telephony network
US6473413B1 (en) * 1999-06-22 2002-10-29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Method for inter-IP-domain roaming across wireless networks
CN1112014C (zh) * 1999-07-27 2003-06-18 财团法人资讯工业策进会 跨ip网域的无线网路漫游方法
EP1075123A1 (en) * 1999-08-06 2001-02-07 Lucent Technologies Inc. Dynamic home agent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A2385951C (en) * 1999-10-08 2010-07-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Wide area network mobility for ip based networks
FI109163B (fi) * 2000-02-24 2002-05-31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liikkuvuuden tukemiseksi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KR100356185B1 (ko) * 2000-08-31 2002-10-18 윈스로드 주식회사 인터넷에서의 전송 서비스 품질 보장 방법
GB2367980B (en) * 2000-10-09 2004-03-17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e hosts
US6922557B2 (en) * 2000-10-18 2005-07-26 Psion Teklogix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54790B2 (en) * 2000-12-05 2005-10-11 Interactive People Unplugged Ab Network-based mobile workgroup system
US8019335B2 (en) * 2001-01-29 2011-09-13 Nokia Corporation Identifying neighboring cells in telecommunication network
US20030118015A1 (en) * 2001-12-20 2003-06-26 Magnus Gunnarsson Location based notification of wlan availability vi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U2003219353A1 (en) * 2002-04-11 2003-10-20 Nortel Networks Limited Resource optimization in a wireless ip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5868A (zh) 2005-06-08
CA2483044A1 (en) 2003-11-20
CN100440823C (zh) 2008-12-03
WO2003096628A1 (en) 2003-11-20
KR20030088727A (ko) 2003-11-20
US20060013170A1 (en) 2006-01-19
JP2005527145A (ja) 2005-09-08
EP1504566B1 (en) 2012-06-20
EP1504566A4 (en) 2008-02-13
EP1504566A1 (en) 2005-02-09
JP4178475B2 (ja) 2008-11-12
US7519363B2 (en) 2009-04-14
AU2002356464A1 (en) 2003-11-11
CA2483044C (en)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551B1 (ko) 공중 무선랜과 셀룰러망 간의 로밍 방법
JP2005527145A5 (ko)
CN100505942C (zh) 用于无线分组数据服务连接的切换的方法和装置
KR100617795B1 (ko) 셀룰러 망과 무선 랜 망의 타이틀리 커플드 연동 방법 및 장치
KR100920390B1 (ko) 무선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접속의 핸드오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0592696C (zh) 在移动通信系统和无线局域网之间进行耦合的系统和方法
CN101040463B (zh) 用于连接移动通信网络和无线网络的双模式移动终端的切换系统和方法
KR100656401B1 (ko) Wlan-gprs 연동 망에서 sip를 이용한 등록되지않은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
US20030067923A1 (en) Method for providing packet data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7195222A (ja) 無線端末をハンドオフする方法およびハンドオフ可能な無線端末
JPWO2008099802A1 (ja) 移動端末管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それらに用いる移動端末動作制御方法
IL2042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point-to-point protocol (ppp) instances from a packet data services network
JP2011125036A (ja) ポイントツーポイントプロトコル(ppp)セッション要求期間中におけるチャネル最適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08154789A1 (en) A method of selecting mobile management mode in wireless network
KR101075624B1 (ko) 이종 시스템들 간의 핸드오프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51328A (ko) 무선랜망과 이동통신망간의 핸드 오버 방안
KR100623292B1 (ko) 휴대 인터넷망에서 씨디엠에이 2000 망으로의 핸드오프 방법
KR20030093603A (ko) 고속 데이터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인증방법
JP3885942B2 (ja) 移動端末のデータ通信方法
KR100601877B1 (ko) Cdma2000망과 휴대 인터넷간의 연동이 가능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의 로밍 방법
KR100932280B1 (ko) 통신망 사이의 이동성 지원 제공 방법
KR100937046B1 (ko) 패킷 기반 차세대 이동 통신망과 3세대 이동 통신망 간의로밍 방법
KR100954283B1 (ko) 이동통신 망에서 프록시 모바일 IPv4 접속 방법 및시스템
KR20060134242A (ko) 와이브로망에서 통화한도에 따른 세션 관리 방법 및 이를위한 와이브로 위치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