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23330B1 - 자동차 에어덕트의 벤트도어 휘슬노이즈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에어덕트의 벤트도어 휘슬노이즈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330B1
KR100423330B1 KR10-2001-0078812A KR20010078812A KR100423330B1 KR 100423330 B1 KR100423330 B1 KR 100423330B1 KR 20010078812 A KR20010078812 A KR 20010078812A KR 100423330 B1 KR100423330 B1 KR 100423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door
noise
whistle noise
flow
du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8782A (ko
Inventor
이정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8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33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8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3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78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the door plane, e.g. butterfly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35Air-tight sea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14Details of seal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에어덕트의 벤트도어 휘슬노이즈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벤트도어(7)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고무립(9)의 상하부를 이를 지나는 난류 파장의 크기보다 작은 간격으로 절개하여 다수의 절개편(L1,L2,...)을 형성함으로써 국부 유동에 대한 적응적 유로를 확보하여 덕트(2)내 유동을 안정시킴과 더불어 소음원을 고립시킴으로써 벤트도어 고무립(9)의 떨림에 의해 발생하는 휘슬노이즈(whistle noise)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에어덕트의 벤트도어 휘슬노이즈 방지구조{a preventing structure of whistle noise by vent door of air duct in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덕트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벤트부의 벤트도어가 거의 닫혔을 때 발생하는 휘슬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에어덕트의 벤트도어 휘슬노이즈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덕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공조유니트(1)로부터 송풍되는 에어를 실내의 중앙 부분과 좌우 끝부분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공조유니트(1)로부터 중앙과 좌우방향으로 덕트(2)가 연장성형되어 있다.
한편, 상기 덕트(2)의 단부에는 토출되는 에어의 풍량과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가 적용되어 있는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그릴(3)의 중앙과 측부에 풍향조절노브(4)와 풍량조절노브(6)가 설치된다.
상기 풍향조절노브(4)는 벤트그릴(3)의 내측에 세로로 설치된 블레이드(5)를 좌우로 회전시켜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풍량조절노브(6)는 상하로 회전될 때 벤트그릴(3)의 내측에 설치된 벤트도어(7)를 상하로 회전시켜 덕트(2)의 출구를 개폐함으로써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벤트도어(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2)의 형상과 같은 대략 4각형으로 형성된 판형 부품으로서 양측 중앙부에 힌지회동과 상기풍량조절노브(6)에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착부(8)가 형성되고, 테두리의 단면에 홈(7a)이 형성되어 이 홈(7a)에 고무립(9)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도 4참조).
도 5는 상기 벤트도어(7)가 덕트(2)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중앙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하면서 덕트(2)의 에어 경로를 차단하거나 개방시켜주게 된다.
한편, 상기 도 5의 상태와 같이 벤트도어(7)가 거의 닫힌 상태에서는, 에어가 덕트(2)와 고무립(9) 사이의 좁은 틈(C)을 통과하면서 가속되며, 이 가속된 에어가 상기 틈을 빠져나온 후 불규칙하게 유동되면서 상기 고무립(9)을 진동시킴으로써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소음을 휘슬노이즈(whistle noise)라 한다.
상기 휘슬노이즈는 특정 주파수에 음향 에너지가 집중되어 나타나는 소음으로서 듣는 이에게 불쾌감을 주는 정도가 매우 강하며, 고무립(9)의 유동노출길이, 두께 및 형상에 따라서 정도와 범위의 차이는 있으나 상기와 같은 벤트도어(7)가 설치된 차량에서는 거의 모든 차종에서 발생하여 차량의 실내 정숙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벤트도어가 거의 닫힌 상태에서도 휘슬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차량의 실내정숙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에어덕트의 벤트도어 휘슬노이즈 방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에어덕트 사시도,
도 2는 에어덕트의 벤트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기 벤트부에 내장되는 벤트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상기 벤트도어가 거의 닫힌 상태의 벤트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휘슬노이즈 방지구조가 적용된 벤트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벤트도어가 거의 닫힌 상태의 벤트부 단면도,
도 8은 유속에 따른 난류의 압력 스펙트럼 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조유니트, 2 : 덕트,
3 : 벤트그릴, 4 : 풍향조절노브,
5 : 블레이드, 6 : 풍량조절노브,
7 : 벤트도어, 7a : 홈,
8 : 장착부, 9 : 고무립,
10 : 절개선, L1,L2,... : 절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벤트도어의 테두리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 고무립이 벤트도어가 거의 닫혔을 때 고무립 이후 부분에서 발생되는 난류의 파장보다 작은 간격으로 절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 절개편에 의하여 덕트내 에어 유동의 적응적 유로가 확보되고, 소음원의 고립으로 고무립이 공진하지 않게 됨으로써 휘슬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휘슬노이즈 방지구조가 적용된 벤트도어(7)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벤트도어(7)의 테두리에 끼워진 고무립(9)의 상부와 하부 부분이 일정 간격으로 절개(부호 10이 절개선이다.)되어 다수의 절개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2)내의 유동은 상당히 불균일하다(도면에서 화살표들이 진하게 표시된 곳이 유속이 빠른 곳이고, 그렇지 않은 곳은 느린 곳으로, 부위별로 유속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동의 섭동이 심화되어 고무립(9)이 떨림으로써 휘슬노이즈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고무립(9)이 절개되어 다수의 절개편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편(L1,L2)들마다 유동에 의한 거동이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 각 절개편(L1,L2)들이 자신에 해당되는 국부 유동의 유속차에 따라 거동을 달리 함으로써 국부 유동에 따른 적응적 유로가 확보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유속차를 갖는 국부 유동간의 간섭에 의하여 덕트(2)내의 유동이 더욱 불균일해지는 것이 방지되며, 국부 유동은 상호 동화되어 점차 덕트(2)내의 유동이 안정화됨으로써 고무립(9)의 떨림이 감소하여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고무립(9)이 일체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무립(9)의 임의 부위에서 각각 발생한 상이한 주파수 및 진폭을 갖는 국부 진동들이 주변 부위에 영향을 주어 점차 동일한 주파수로 진동함에 따라 에너지가 집중되어 고무립(9) 전체의 떨림으로 발전함으로써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무립(9)이 다수의 절개편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경우에는 고무립(9) 전체의 소음원이 될 수 있는 각 절개편(L1,L2,...)들이 해당 국부 유동에 따라 독립적으로 진동함으로써 특정 주파수대역으로 진동에너지가 집중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고무립(9) 전체가 동일한 주파수로 진동하여 떨림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고무립(9)을 일정 간격으로 절개하여 각 절개편(L1,L2,...)들이 독립적으로 진동하게 함으로써 소음원을 고립시켜 진동의 확산을 방지하여 휘슬노이즈가 발생하는 주파수로 고무립(9)이 진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다만,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상기 절개편들의 폭이 좁아질수록 확실한 소음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열해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절개(cutting)가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휘슬노이즈가 제거될 수 있는 최대의 폭으로 고무립을 절개할 것이 요구되는바, 상기 절개편의 최대폭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즉, 덕트의 단면적(A)과 휘슬노이즈가 발생하는 각도로 벤트도어가 닫혀졌을 때의 토출풍량(계측값)과의 관계에 의하여 휘슬노이즈가 발생할 때 벤트도어를 지나는 유동의 유속(V)을 구한다.(풍량 = 면적 * 유속 이므로 상기 유속 V를 구할 수 있다.)
한편, 임의 유속을 가지는 난류가 고체면에 큰 압력을 가하는 주파수(ω)의 영역은 1<ω·δ/ V <150이므로(도 8에 도시된 유속에 따른 난류의 압력 스펙트럼 선도 참조), 여기에 상기 덕트(2) 내부의 유동조건(유속 V와 경계층 두께 δ)을 대입하고, 다시 파장과 주파수의 관계(ω= 2π/ λ)를 이용해 정리하면 상기 벤트도어를 통과하는 난류유동의 파장( λ)의 크기 영역을 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도 8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난류가 고체면에 가장 큰 압력을 가하는 주파수는 ω·δ/ V = 100정도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상기 계산과정을 이용하여 벤트도어를 통과하는 난류유동의 파장( λ)의 크기를 구한다.
즉, 고무립의 절개편이 상기 산출된 파장( λ)의 크기보다 작은 폭을 가지게 되면 휘슬노이즈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그 이상의 폭을 가질때는 소음제거효과가 크지 않게 되므로, 실제 절개편의 최대폭은 상기 파장( λ)의 크기보다 다소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벤트도어 고무립의 상하부를 이를 지나는 난류 파장의 크기보다 작은 간격으로 절개하여 다수의 절개편을 형성함으로써 국부 유동에 대한 적응적 유로를 확보하여 덕트내 유동을 안정시킴과 더불어소음원을 고립시킴으로써 벤트도어 고무립의 떨림에 의해 발생하는 휘슬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벤트도어(7)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고무립(9)의 상하부가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다수의 절개편(L)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덕트의 벤트도어 휘슬노이즈 방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편(L)의 폭은 벤트도어(7)를 지나는 난류의 파장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덕트의 벤트도어 휘슬노이즈 방지구조.
KR10-2001-0078812A 2001-12-13 2001-12-13 자동차 에어덕트의 벤트도어 휘슬노이즈 방지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423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812A KR100423330B1 (ko) 2001-12-13 2001-12-13 자동차 에어덕트의 벤트도어 휘슬노이즈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812A KR100423330B1 (ko) 2001-12-13 2001-12-13 자동차 에어덕트의 벤트도어 휘슬노이즈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782A KR20030048782A (ko) 2003-06-25
KR100423330B1 true KR100423330B1 (ko) 2004-03-18

Family

ID=2957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812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3330B1 (ko) 2001-12-13 2001-12-13 자동차 에어덕트의 벤트도어 휘슬노이즈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3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0605A (en) * 1987-09-30 1989-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gc circuit
JPH0642324U (ja) * 1992-11-12 1994-06-03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レジスタのエアダンパ構造
JPH0675823U (ja) * 1993-04-09 1994-10-25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ベンチレーションダクトのシャットダンパ
JPH08230452A (ja) * 1995-02-21 1996-09-10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空調機の吹出装置
JPH1095228A (ja) * 1996-09-24 1998-04-14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ベンチレータのシャッターバルブ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0605A (en) * 1987-09-30 1989-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gc circuit
JPH0642324U (ja) * 1992-11-12 1994-06-03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レジスタのエアダンパ構造
JPH0675823U (ja) * 1993-04-09 1994-10-25 豊田合成株式会社 車両用ベンチレーションダクトのシャットダンパ
JPH08230452A (ja) * 1995-02-21 1996-09-10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空調機の吹出装置
JPH1095228A (ja) * 1996-09-24 1998-04-14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ベンチレータのシャッターバルブ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782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310B2 (en) Silencing equipment for electric devices
US10415601B2 (en) Blower noise suppressor
JP2008255879A (ja) 車両用排気音制御方法及び車両用排気音制御装置
US20190366798A1 (en) Air conditioner
CA2426063A1 (en) Butterfly valve noise suppressor
KR100423330B1 (ko) 자동차 에어덕트의 벤트도어 휘슬노이즈 방지구조
JPH07332284A (ja) 多翼送風機
KR100613712B1 (ko) 차량용 에어 덕트 소음방지구조
KR100218137B1 (ko) 전동송풍기
US20180306191A1 (en) Supercharger inlet panels
KR101896776B1 (ko) 소음이 저감되는 가변흡기 장치
JP2017068231A (ja) 送風装置
JP2010175422A (ja) 風洞装置
JP2004352235A (ja) 騒音減衰器付き車室の送風装置
JP6452543B2 (ja) エアクリーナ
JP4951916B2 (ja) 送風機
KR100726226B1 (ko) 자동차 에어덕트의 벤트도어 휘슬노이즈 방지구조
US20180274542A1 (en) Bearing plate noise damper
JP2000088331A (ja) ダクトの構造
JPH03175223A (ja) 自動調整遮音換気装置
JPH08230452A (ja) 車両用空調機の吹出装置
FI115794B (fi) Ilmanvaihtokanavan vaimennin
JPH08210298A (ja) 送風機の消音装置
KR20060017127A (ko) 자동차용 에어벤트의 벤트도어 휘슬 노이즈 방지구조
Singh et al. Tuning a semi-active Helmholtz reson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3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30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