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22336B1 -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336B1
KR100422336B1 KR10-2000-0056277A KR20000056277A KR100422336B1 KR 100422336 B1 KR100422336 B1 KR 100422336B1 KR 20000056277 A KR20000056277 A KR 20000056277A KR 100422336 B1 KR100422336 B1 KR 100422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expander
compressor
discharged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4496A (ko
Inventor
김영호
류신희
Original Assignee
김순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겸 filed Critical 김순겸
Priority to KR10-2000-0056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336B1/ko
Priority to PCT/KR2001/000751 priority patent/WO2002025186A1/en
Priority to AU2001256827A priority patent/AU2001256827A1/en
Priority to US09/875,442 priority patent/US20020035846A1/en
Publication of KR20020024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33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3Economi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85Dispositions with two or more expansion means arranged in parallel on a refrigerant line leading to the sam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9Dispositions with two or more expansion means arranged in series, i.e. multi-stage expansion, on a refrigerant line leading to the sam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팽창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보조팽창기에 의해 저온저압으로 변화시킨 후 압축기로 바이패스시킴에 의해 압축기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실외기, 압축기, 실내기 및 팽창기로 이루어진 통상의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140)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열교환용 증발회로(110)를 거쳐 상기 팽창기(120)로 유입되고, 상기 팽창기(120)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가 보조팽창기(130)에서 저온저압으로 변화된 후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110)를 거쳐 압축기(150)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Heating apparatus with low compression load}
본 발명은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팽창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보조팽창기에 의해 저온저압으로 변화시킨 후 압축기로 바이패스시킴에 의해 압축기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장치는 실외기, 압축기, 실내기 및 팽창기로 이루어지는바, 이는 냉매의 상변화를 이용하여 실외에서 열을 빼앗아 실내에 방출하는 것이다.
즉, 고온고압이면서 기체상태인 냉매가 실내기에 유입되어 응축되면서 실내에 열을 방출하고, 상기 실내기에서 배출된 냉매가 팽창기에서 저온저압으로 팽창된 후 실외기로 배출되며, 상기 실외기는 유입된 저온저압의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실외의 열을 빼앗아 압축기로 배출하고, 상기 압축기는 이러한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실내기로 유입시키는 사이클을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난방장치의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는 과열증기의 상태인바, 이는 압축기의 내부 구성부품들을 열화시켜 수명을 저하시킴은 물론 압축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압축기의 부하를 감소시켜 그 압축기의 압축효율을 증대시키고 또한 압축기의 내부 구성부품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된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2는 도1의 열교환용 증발회로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4는 도3의 열교환용 증발회로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장치의 제4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110', 210, 210', 310, 310', 410, 410' : 증발회로
115, 115', 216, 216', 315, 315', 416, 416' : 바이패스배관
120, 120', 220, 220', 320, 320', 420, 420' : 팽창기
130, 130', 230, 230', 330, 330', 430, 430' : 보조팽창기
140, 140', 240, 240', 340, 340', 440, 440' : 실내기
150, 150', 250, 250', 350, 350', 450, 450' : 압축기
160, 160', 260, 260', 360, 360', 460, 460' : 실외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실외기, 압축기, 실내기 및 팽창기로 이루어진 통상의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열교환용 증발회로를 거쳐 상기 팽창기로 유입되고, 상기 팽창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가 보조팽창기에서 저온저압으로 변화된 후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를 거쳐 압축기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외기, 압축기, 실내기 및 팽창기로 이루어진 통상의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열교환용 증발회로를 거쳐 상기 팽창기로 유입되고, 상기 팽창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보조팽창기에서 저온저압으로 변화시키며, 상기 보조팽창기에서 배출된 냉매와 상기 실외기에서 배출된 냉매가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를 거쳐 압축기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외기, 압축기, 실내기 및 팽창기로 이루어진 통상의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열교환용 증발회로를 거쳐 상기 팽창기로 유입되고, 상기 팽창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보조팽창기에서 저온저압으로 변화시키며, 상기 보조팽창기에서 배출되어 열교환용 증발회로를 거친 냉매와 상기 실외기에서 배출되어 팽창기에서 열교환된 후의 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외기, 압축기, 실내기 및 팽창기로 이루어진 통상의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열교환용 증발회로를 거쳐 상기 팽창기로 유입되고, 상기 팽창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보조팽창기에서 저온저압으로 변화시키며, 상기 보조팽창기에서 배출된 냉매와 상기 실외기에서 배출되어 팽창기에서 열교환된 후의 냉매가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를 거쳐 압축기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본 난방장치(100)는 통상의 팽창기(120), 그 팽창기(120)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받아 증발시키는 실외기(160), 그 실외기(160)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받아 압축시키는 압축기(150) 및, 그 압축기(15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받아 응축시키는 실내기(14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140)와 팽창기(120) 사이에 열교환용 증발회로(110)가 배치되는바, 이 열교환용 증발회로(110)는 상기 실내기(140)에서 배출된 냉매를 받아 팽창기(120)로 배출하기 위한 제1냉매유입구(111)와 제1냉매배출구(113)를 형성한다.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110)의 제1냉매배출구(113)와 상기 팽창기(120)를 연결하고 있는 배관(116)이 주배관(117)과 바이패스배관(115)으로 분지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110)로부터 배출된 냉매의 일부, 예컨대 그 냉매의 50%가 주배관(117)을 통해 팽창기(120)로 유입되며 나머지가 바이패스배관(115)을 통해 보조팽창기(130)로 유입된다. 상기 보조팽창기(130)의 냉매는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110)의 제2냉매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어 제2냉매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제2냉매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된 냉매는 실외기(160)에서 배출된 냉매와 함께 압축기(150)로 유입된다.
상기 보조팽창기(130)는 팽창기(120)와 그 구조가 유사하며, 이는 보조팽창기(130)로부터 배출된 냉매의 압력이 팽창기(120)로부터 배출된 냉매의 압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태임을 의미하고, 따라서 열교환용 증발회로(110)의 제1냉매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고온고압의 냉매와 제2냉매유입구(112)로 유입되는 저온저압의 냉매가 서로 열교환됨으로써 제1냉매배출구(113)를 통해 소정온도로 낮아진 고압의 냉매가 배출되고 제2냉매배출구(114)를 통해 소정온도로 높아진 저압의 냉매가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110)의 구조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도2에 그 일례를 도시한다. 이는 중공부(110b)를 갖는 하우징(110a)을 마련하고, 그 하우징(110a)의 일측과 타측에 제1냉매유입구(111)와 제1냉매배출구(113)를 형성하여 이들 각각에 배관(111a)(116)을 매개로 실내기(140)와 팽창기(120)를 연결하며, 이러한 제1냉매유입구(111)와 제1냉매배출구(113)는 코일형 배관(119)으로 연결되고, 그 하우징(110a)의 제1냉매유입구(111)측에 제2냉매배출구(114)를, 또한 제1냉매배출구(113)측에 제2냉매유입구(112)를 형성하여 이들 각각에 배관(114a)(112a)을 매개로 압축기(150)와 보조팽창기(130)를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즉, 제2냉매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코일형 배관(119)의 외표면과 접촉하면서 그 코일형 배관(119)을 통해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난방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냉매의 상태, 즉 각 구성요소에 대한 유입 및 배출측 냉매의 온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실내기(140)에서 25℃로 배출된 냉매가 증발회로(110)를 통과하면서 5℃로 냉각되어 팽창기(120)로 유입되고, 그 팽창기(120)를 거치면서 -15℃의 저온저압의 상태로 실외기(160)로 유입되며, 그 실외기(160)를 거치면서 10℃로 승온된다. 또한, 증발회로(110)에서 배출된 5℃의 냉매중 일부가 바이패스배관(115)을 통해 보조팽창기(130)로 유입되고, 그 냉매는 보조팽창기(130)에서 -15℃인 저온저압의 상태로 증발회로(110)로 유입되며, 그 증발회로(110)를 거치면서 0℃로 승온된다. 따라서, 압축기(150)에는 상기 증발회로(110)의 제2냉매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된 0℃의 냉매와 실외기(160)를 통해 배출된 10℃의 냉매가 혼합됨으로써 0℃와 10℃ 사이의 온도를 갖는 냉매가압축기(150)로 유입되고, 이는 압축기(150)가 종래에 비하여 저온 상태인 냉매를 압축시키므로 그 압축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열화에 의한 수명저하방지 및 압축효율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본 난방장치(100')는 그 구성이 도1의 난방장치(100)와 대략 유사하며, 다만 열교환용 증발회로(110')가 냉매 경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증발회로(110A)(110B)로 이루어지고, 팽창기(120')가 냉매 경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팽창기(120A)(120B)로 이루어지며, 압축기(150')가 2단 압축기(150A)(150B)로 이루어지고, 또한 보조팽창기(130')가 냉매 경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보조팽창기(130A)(130B)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는 실내기(140')에 인접한 증발회로(110A)에 제1냉매유입구(111')와 제2냉매배출구(114')를 형성하고, 팽창기(120')에 인접한 증발회로(110B)에 제2냉매유입구(112')와 제1냉매배출구(113')를 형성하며, 상기 제1냉매배출구(113')에서 배출된 냉매의 일부가 바이패스배관(115')를 통해 보조팽창기(130')로 유입되고, 그 보조팽창기(130')에서 배출된 냉매가 제2냉매유입구(112')를 통해 증발회로(110')를 거쳐 제2냉매배출구(114')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압축기(150A)에는 실외기(160')에서 배출된 냉매와 제2냉매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된 냉매가 유입되어 상기 압축기(150A) 및 그 압축기(150A)에 2단으로 연결된 압축기(150B)를 거쳐 실내기(140')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증발회로(110')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4에 도시하였는바, 이는 중공형하우징(110A')을 갖는 하나의 증발회로(110A)와, 중공형 하우징(110B')을 갖는 다른 하나의 증발회로(110B)가 연결배관(110C)을 매개로 연결되고, 이렇게 연결된 증발회로(1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냉매유입구(111')에 배관(111a')을 매개로 실내기(140')가 연결되고 타측에 형성된 제1냉매배출구(113')에 배관(116')을 매개로 팽창기(12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냉매유입구(111')가 형성된 증발회로(110A)의 하우징(110A')에 제2냉매배출구(114')가 형성되어 배관(114a')을 매개로 압축기(150')가 연결되고 상기 제1냉매배출구(113')가 형성된 증발회로(110B)의 하우징(110B')에 제2냉매유입구(112')가 형성되어 배관(112a)을 매개로 보조팽창기(13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냉매유입구(111')와 제1냉매배출구(113')는 각 하우징(110A')(110B')의 내부에 배치된 코일형 배관(119A)(119B)과 그 코일형 배관(119A)(119B)을 연결하도록 상기 연결배관(110C)의 내부에 배치된 연결관(11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난방장치(100')의 경우, 복수개로 된 증발회로(110'), 팽창기(120'), 보조팽창기(130') 및 2단으로 구성된 압축기(150')에 의해 냉매에 대한 열교환, 팽창 및 압축용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난방장치(100')의 용량증가가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본 난방장치(200)는 통상의 팽창기(220), 그 팽창기(220)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받아 증발시키는 실외기(260), 그 실외기(260)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받아 압축시키는 압축기(250) 및, 그 압축기(25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받아 응축시키는 실내기(24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240)와 팽창기(220) 사이에 열교환용 증발회로(210)가 배치되는바, 이 열교환용 증발회로(210)는 상기 실내기(240)에서 배출된 냉매를 받아 팽창기(220)로 배출하기 위한 제1냉매유입구(211)와 제1냉매배출구(214)를 형성한다.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210)의 제1냉매배출구(214)와 팽창기(220)를 연결하고 있는 배관(217)으로부터 바이패스배관(216)이 분지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210)로부터 배출된 냉매의 일부가 팽창기(220)로 유입되며 나머지가 바이패스배관(216)을 통해 보조팽창기(230)로 유입된다. 상기 보조팽창기(230)의 냉매는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210)에 형성된 제2냉매유입구(212)를 통해 유입되고, 또한 실외기(260)의 냉매가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210)에 형성된 제3냉매유입구(213)를 통해 유입됨으로써 상기 제2냉매유입구(212)와 제3냉매유입구(213)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혼합된 상태로 상기 제1냉매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냉매와 증발회로(210)에서 열교환한 후에 제2냉매배출구(215)를 통해 압축기(250)로 유입된다.
상기 보조팽창기(230)는 팽창기(220)와 그 구조가 유사하며, 이는 보조팽창기(230)로부터 배출된 냉매의 압력이 팽창기(220)로부터 배출된 냉매의 압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태임을 의미하고, 따라서 열교환용 증발회로(210)의 제1냉매유입구(211)로 유입되는 고온고압의 냉매와 제2냉매유입구(212) 및 제3냉매유입구(213)를 통해 유입되는 저온저압 및 중온저압의 냉매가 서로 열교환됨으로써 제1냉매배출구(214)를 통해 소정온도로 낮아진 고압의 냉매가 배출되고 제2냉매배출구(215)를 통해 소정온도를 갖는 저압의 냉매가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210)의 구조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바, 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증발회로(11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다만, 제2냉매유입구(212)와 제3냉매유입구(212)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서로 혼합되어 제2냉매배출구(215)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면 된다.
상기한 제2실시예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난방장치(200)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냉매의 상태, 즉 각 구성요소에 대한 유입 및 배출측 냉매의 온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실내기(240)에서 25℃로 배출된 냉매가 증발회로(210)를 통과하면서 5℃로 냉각되어 팽창기(220)로 유입되고, 그 팽창기(220)를 거치면서 -15℃의 저온저압의 상태로 실외기(260)로 유입되며, 그 실외기(260)를 거치면서 10℃로 승온된다. 또한, 증발회로(210)에서 배출된 5℃의 냉매중 일부가 바이패스배관(216)을 통해 보조팽창기(230)로 유입되고 그 보조팽창기(230)에서 -15℃의 저온저압의 상태로 증발회로(210)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실외기(260)에서 배출된 10℃의 냉매가 제3냉매유입구(213)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보조팽창기(230)에서 유입된 -15℃의 냉매와 혼합되고 증발회로(210)를 거치면서 소정온도, 예컨대 5℃의 냉매가 되어 압축기(250)로 배출된다. 따라서, 압축기(250)가 종래에 비하여 저온 상태인 냉매를 압축시키므로 그 압축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열화에 의한 수명저하방지 및 압축효율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도6은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본 난방장치(200')는 그 구성이 도5의 난방장치(200)와 대략 유사하며, 다만 열교환용 증발회로(210')가 냉매 경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증발회로(210A)(210B)로 이루어지고, 팽창기(220')가 냉매 경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팽창기(220A)(220B)로 이루어지며, 압축기(250')가 2단 압축기(250A)(250B)로 이루어지고, 또한 보조팽창기(230')가 냉매 경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보조팽창기(230A)(230B)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는 실내기(240')에 인접한 증발회로(210A)에 제1냉매유입구(211')와 제2냉매배출구(215')를 형성하고, 팽창기(220')에 인접한 증발회로(210B)에 제2냉매유입구(212')와 제3냉매유입구(213') 및 제1냉매배출구(214')를 형성하며, 상기 제1냉매배출구(214')에서 배출된 냉매의 일부가 바이패스배관(216')를 통해 보조팽창기(230')로 유입되고, 또한 실외기(260')에서 배출된 냉매의 전부가 제3냉매유입구(213')를 통해 증발회로(210')로 유입되어 상기 보조팽창기(230')에서 배출되어 제2냉매유입구(212')를 통해 증발회로(210')로 유입된 냉매와 함께 제2냉매배출구(215')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압축기(250A')에는 상기 제2냉매배출구(215')에서 배출된 냉매가 유입되어 상기 압축기(250A') 및 그 압축기(250A')에 2단으로 연결된 압축기(250B')를 거쳐 실외기(260')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증발회로(210')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생략하는바, 이는 도4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증발회로(110')와 그 구조가 대략 유사하고, 다만 제2냉매유입구(212')로 유입된 냉매와 제3냉매유입구(213')로 유입된 냉매가 혼합된 상태로 증발회로(210')에서 열교환된 후에 제2냉매배출구(215')를 통해 압축기(250')로 유입되게 하면 된다.
물론,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난방장치(200')의 경우, 복수개로 된 증발회로(210'), 팽창기(220'), 보조팽창기(230') 및 2단으로 구성된 압축기(250')에 의해 냉매에 대한 열교환, 팽창 및 압축용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난방장치(200')의 용량증가가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에 대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본 난방장치(300)는 통상의 팽창기(320), 그 팽창기(320)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받아 증발시키는 실외기(360), 그 실외기(360)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받아 압축시키는 압축기(350) 및, 그 압축기(35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받아 응축시키는 실내기(34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340)와 팽창기(320) 사이에 열교환용 증발회로(310)가 배치되는바, 이 열교환용 증발회로(310)는 상기 실내기(340)에서 배출된 냉매를 받아 팽창기(320)로 배출하기 위한 제1냉매유입구(311)와 제1냉매배출구(313)를 형성한다.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310)의 제1냉매배출구(313)와 팽창기(320)를 연결하고 있는 배관(316)이 주배관(317)과 바이패스배관(315)으로 분지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310)로부터 배출된 냉매의 일부가 주배관(317)을 통해 팽창기(320)로 유입되며 나머지가 바이패스배관(315)을 통해 보조팽창기(330)로 유입된다. 상기 보조팽창기(330)의 냉매는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310)의 제2냉매유입구(312)를 통해 유입되어 제2냉매배출구(314)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보조팽창기(330)는 통상적인 팽창기와 그 구조가 유사하며, 이는 보조팽창기(330)로부터 배출된 냉매의 압력이 팽창기(320)로부터 배출된 냉매의 압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태임을 의미하고, 따라서 열교환용 증발회로(310)의 제1냉매유입구(311)로 유입되는 고온고압의 냉매와 제2냉매유입구(312)로 유입되는 저온저압의 냉매가 서로 열교환됨으로써 제1냉매배출구(313)를 통해 소정온도로 낮아진 고압의 냉매가 배출되고 제2냉매배출구(314)를 통해 소정온도로 높아진 저압의 냉매가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310)의 구조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열교환용 증발회로(110)의 구조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팽창기(320)는 주배관(317)으로 유입된 냉매가 저온저압의 상태로 팽창된 후 실외기(360)로 유입되게 하고, 또한 그 팽창기(320)에는 또다른 냉매유입구(321)와 냉매배출구(322)를 형성하여 그 냉매유입구(321)를 통해 실외기(360)에서 배출된 냉매의 전부가 유입되어 냉매배출구(322)를 통해 배출되게 하며, 이는 상기 팽창기(320)에서 열교환이 일어남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팽창기(320)에 대한 상세한 구조의 도시는 생략하는바, 이는 그 팽창기(320)의 내부에 주배관(317)으로 유입된 냉매가 팽창되어 실외기(360)쪽으로 배출되게 하는 팽창변(미도시)을 설치하고 그 팽창변을 감싸도록 된 하우징(미도시)을 설치하며 상기 하부징에 냉매유입구(321)와 냉매배출구(322)를 형성함으로써 그냉매유입구(321)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팽창변의 외표면에 접촉함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냉매배출구(322)로 배출되는 통상의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팽창기(320)의 냉매배출구(322)를 통해 배출된 냉매와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310)의 제2냉매배출구(314)를 통해 배출된 냉매가 혼합되어 압축기(350)로 유입된다.
상기한 제3실시예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난방장치(300)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냉매의 상태, 즉 각 구성요소에 대한 유입 및 배출측 냉매의 온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실내기(340)에서 25℃로 배출된 냉매가 증발회로(310)를 통과하면서 5℃로 냉각되어 팽창기(320)로 유입되고, 그 팽창기(320)를 거치면서 -15℃의 저온저압의 상태로 실외기(360)로 유입되며, 그 실외기(360)를 거치면서 10℃로 승온된다. 또한, 증발회로(310)에서 배출된 5℃의 냉매중 일부가 바이패스배관(315)을 통해 보조팽창기(330)로 유입되고, 그 보조팽창기(330)에서 -15℃의 저온저압의 상태로 증발회로(310)로 유입되며, 그 증발회로(310)를 거치면서 0℃로 승온된다. 또한, 상기 실외기(360)에서 배출된 10℃의 냉매가 팽창기(320)를 거치면서 15℃로 승온된다. 따라서, 압축기(350)에는 상기 증발회로(310)의 제2냉매배출구(314)를 통해 배출된 0℃의 냉매와 팽창기(320)의 냉매배출구(322)를 통해 배출된 15℃의 냉매가 혼합되어 약 5℃ 정도의 냉매로 되어 압축기(350)로 유입되고, 이는 압축기(350)가 종래에 비하여 저온 상태인 냉매를 압축시키므로 그 압축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열화에 의한 수명저하방지 및 압축효율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도8은 도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본 난방장치(300')는 그 구성이 도7의 난방장치(300)와 대략 유사하며, 다만 열교환용 증발회로(310')가 냉매 경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증발회로(310A)(310B)로 이루어지고, 팽창기(320')가 냉매 경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팽창기(320A)(320B)로 이루어지며, 압축기(350')가 2단 압축기(350A)(350B)로 이루어지고, 또한 보조팽창기(330')가 냉매 경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보조팽창기(330A)(330B)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는 실내기(340')에 인접한 증발회로(310A)에 제1냉매유입구(311')와 제2냉매배출구(314')를 형성하고, 팽창기(320')에 인접한 증발회로(310B)에 제2냉매유입구(312')와 제1냉매배출구(313')를 형성하며, 상기 제1냉매배출구(313')에서 배출된 냉매의 일부가 바이패스배관(315')를 통해 보조팽창기(330')로 유입되고, 그 보조팽창기(330')에서 배출된 냉매가 제2냉매유입구(312')를 통해 증발회로(310')를 거쳐 제2냉매배출구(314')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압축기(350A)에는 팽창기(320')에서 배출된 냉매와 증발회로(310')의 제2냉매배출구(314')를 통해 배출된 냉매가 유입되어 상기 압축기(350A) 및 그 압축기(350A)에 2단으로 연결된 압축기(350B)를 거쳐 실외기(360')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증발회로(310')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생략한다.
물론,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난방장치(300')의 경우, 복수개로 된 증발회로(310'), 팽창기(320'), 보조팽창기(330') 및 2단으로 구성된 압축기(350')에 의해 냉매에 대한 열교환, 팽창 및 압축용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난방장치(300')의 용량증가가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에 대한 제4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본 난방장치(400)는 통상의 팽창기(420), 그 팽창기(420)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받아 증발시키는 실외기(460), 그 실외기(460)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받아 압축시키는 압축기(450) 및, 그 압축기(45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받아 응축시키는 실내기(44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440)와 팽창기(420) 사이에 열교환용 증발회로(410)가 배치되는바, 이 열교환용 증발회로(410)는 상기 실내기(440)에서 배출된 냉매를 받아 팽창기(420)로 배출하기 위한 제1냉매유입구(411)와 제1냉매배출구(414)를 형성한다.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410)의 제1냉매배출구(414)와 팽창기(420)를 연결하고 있는 배관(417)으로부터 바이패스배관(416)이 분지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410)로부터 배출된 냉매의 일부가 팽창기(420)로 유입되며 나머지가 바이패스배관(416)을 통해 보조팽창기(430)로 유입된다. 상기 보조팽창기(430)의 냉매는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410)의 제2냉매유입구(412)를 통해 증발회로(410)로 유입된다.
상기 보조팽창기(430)는 통상적인 팽창기와 그 구조가 유사하며, 이는 보조팽창기(430)로부터 배출된 냉매의 압력이 팽창기(420)로부터 배출된 냉매의 압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태임을 의미하고, 따라서 열교환용 증발회로(410)의 제1냉매유입구(411)로 유입되는 고온고압의 냉매와 제2냉매유입구(412) 및제3냉매유입구(413)를 통해 유입되는 저온저압 및 중온저압의 냉매가 서로 열교환됨으로써 제1냉매배출구(414)를 통해 소정온도로 낮아진 고압의 냉매가 배출되고 제2냉매배출구(415)를 통해 소정온도를 갖는 저압의 냉매가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410)의 구조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바, 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증발회로(11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다만, 제2냉매유입구(413)와 제3냉매유입구(414)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서로 혼합되어 제2냉매배출구(415)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면 된다.
상기 팽창기(420)는 주배관(417)을 통해 유입된 냉매를 저온저압의 상태로 팽창시켜 실외기(460)로 유입되게 하고, 또한 그 팽창기(420)에는 또다른 냉매유입구(421)와 냉매배출구(422)를 형성하여 그 냉매유입구(421)를 통해 실외기(460)에서 배출된 냉매의 전부가 유입되어 냉매배출구(422)를 통해 배출되게 하며, 이는 상기 팽창기(420)에서 열교환이 일어남을 의미한다. 상기 팽창기(420)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팽창기(430)에서 배출되어 증발회로(410)의 제2냉매유입구(412)를 통해 유입된 냉매와 상기 팽창기(420)의 냉매배출구(422)에서 배출되어 증발회로(410)의 제3냉매유입구(413)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그 증발회로(410)에서 제1냉매유입구(411)를 통해 유입된 냉매와 열교환된 후 제2냉매배출구(414)를 통해 배출되어 압축기(450)로 유입된다.
상기한 제4실시예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난방장치(400)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냉매의 상태, 즉 각 구성요소에 대한 유입 및 배출측 냉매의 온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실내기(440)에서 25℃로 배출된 냉매가 증발회로(410)를 통과하면서 5℃로 냉각되어 팽창기(420)로 유입되고, 그 팽창기(420)를 거치면서 -15℃의 저온저압의 상태로 실외기(460)로 유입되며, 그 실외기(460)를 거치면서 10℃로 승온된다. 또한, 증발회로(410)에서 배출된 5℃의 냉매중 일부가 바이패스배관(416)을 통해 보조팽창기(430)로 유입되고 그 보조팽창기(430)에서 -15℃의 저온저압의 상태로 증발회로(410)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실외기(460)에서 배출된 10℃의 냉매가 팽창기(420)를 거치면서 15℃로 승온된다. 상기 팽창기(420)를 통해 유입된 15℃의 냉매와 상기 보조팽창기(430)에서 유입된 -15℃의 냉매가 혼합되고 증발회로(410)를 거치면서 소정온도, 예컨대 7℃-10℃의 냉매가 되어 압축기(450)로 유입되게 한다. 따라서, 압축기(450)가 종래에 비하여 저온 상태인 냉매를 압축시키므로 그 압축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열화에 의한 수명저하방지 및 압축효율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도10은 도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본 난방장치(400')는 그 구성이 도9의 난방장치(400)와 대략 유사하며, 다만 열교환용 증발회로(410')가 냉매 경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증발회로(410A)(410B)로 이루어지고, 팽창기(420')가 냉매 경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팽창기(420A)(420B)로 이루어지며, 압축기(450')가 2단 압축기(450A)(450B)로 이루어지고, 또한 보조팽창기(430')가 냉매 경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보조팽창기(430A)(430B)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는 실내기(440')에 인접한 증발회로(410A)에 제1냉매유입구(411')와 제2냉매배출구(415')를 형성하고, 팽창기(420')에 인접한 증발회로(410B)에 제2냉매유입구(412')와 제3냉매유입구(413') 및 제1냉매배출구(414')를 형성하며, 상기 제1냉매배출구(414')에서 배출된 냉매의 일부가 바이패스배관(415')를 통해 보조팽창기(430')로 유입되고, 또한 실외기(460')에서 배출된 냉매의 전부가 팽창기(420)를 거쳐 제3냉매유입구(413')를 통해 증발회로(410')로 유입되어 상기 보조팽창기(430')에서 배출되어 제2냉매유입구(412')를 통해 증발회로(410')로 유입된 냉매와 함께 제2냉매배출구(415')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압축기(450A')에는 상기 제2냉매배출구(415')에서 배출된 냉매가 유입되어 상기 압축기(450A') 및 그 압축기(450A')에 2단으로 연결된 압축기(450B')를 거쳐 실내기(440')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증발회로(410')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생략하는바, 이는 도4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증발회로(110')와 그 구조가 대략 유사하고, 다만 제2냉매유입구(412')로 유입된 냉매와 제3냉매유입구(413')로 유입된 냉매가 혼합된 상태로 증발회로(410')에서 열교환된 후에 제2냉매배출구(415')를 통해 압축기(450')로 유입되게 한다.
물론,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난방장치(400')의 경우, 복수개로 된 증발회로(410'), 팽창기(420'), 보조팽창기(430') 및 2단으로 구성된 압축기(450')에 의해 냉매에 대한 열교환, 팽창 및 압축용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난방장치(400')의 용량증가가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에 의하면,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저하시킴에 의해 그 압축기의 압축부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실외기, 압축기, 실내기 및 팽창기로 이루어진 통상의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240)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열교환용 증발회로(210)를 거쳐 상기 팽창기(220)로 유입되고, 상기 팽창기(220)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보조팽창기(230)에서 저온저압으로 변화시키며, 상기 보조팽창기(230)에서 배출된 냉매와 상기 실외기(260)에서 배출된 냉매가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210)를 거쳐 압축기(250)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가 다수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가 다수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가 2단 압축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9. 실외기, 압축기, 실내기 및 팽창기로 이루어진 통상의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340)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열교환용 증발회로(310)를 거쳐 상기 팽창기(320)로 유입되고, 상기 팽창기(320)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보조팽창기(330)에서 저온저압으로 변화시키며, 상기 보조팽창기(330)에서 배출되어 열교환용 증발회로(310)를 거친 냉매와 상기 실외기(360)에서 배출되어 팽창기(320)에서 열교환된 후의 냉매가 압축기(350)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가 다수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가 다수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가 2단 압축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13. 실외기, 압축기, 실내기 및 팽창기로 이루어진 통상의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440)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열교환용 증발회로(410)를 거쳐 상기 팽창기(420)로 유입되고, 상기 팽창기(420)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보조팽창기(430)에서 저온저압으로 변화시키며, 상기 보조팽창기(430)에서 배출된 냉매와 상기 실외기(460)에서 배출되어 팽창기(420)에서 열교환된 후의 냉매가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410)를 거쳐 압축기(450)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가 다수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가 다수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가 2단 압축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KR10-2000-0056277A 2000-09-25 2000-09-25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22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277A KR100422336B1 (ko) 2000-09-25 2000-09-25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PCT/KR2001/000751 WO2002025186A1 (en) 2000-09-25 2001-05-09 Heating apparatus with low compression load
AU2001256827A AU2001256827A1 (en) 2000-09-25 2001-05-09 Heating apparatus with low compression load
US09/875,442 US20020035846A1 (en) 2000-09-25 2001-06-06 Heating apparatus with low compression l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277A KR100422336B1 (ko) 2000-09-25 2000-09-25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496A KR20020024496A (ko) 2002-03-30
KR100422336B1 true KR100422336B1 (ko) 2004-03-10

Family

ID=19690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2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2336B1 (ko) 2000-09-25 2000-09-25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20035846A1 (ko)
KR (1) KR100422336B1 (ko)
AU (1) AU2001256827A1 (ko)
WO (1) WO200202518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97A (ko) * 1993-08-28 1995-03-21 이헌조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
KR970070812A (ko) * 1996-04-19 1997-11-07 김광호 다수의 실내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9990032265A (ko) * 1997-10-17 1999-05-15 구자홍 다중 실내기 가동용 공기조화기
KR20000019552A (ko) * 1998-09-12 2000-04-15 윤종용 멀티 에어콘의 냉매분배팽창장치
JP2000161809A (ja) * 1998-09-24 2000-06-16 Denso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0285Y2 (ko) * 1981-05-13 1987-10-15
JPS5952344B2 (ja) * 1983-01-25 1984-12-19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装置
JPS60178768U (ja) * 1984-05-07 1985-11-27 サンデン株式会社 冷凍回路
US5092138A (en) * 1990-07-10 1992-03-03 The University Of Maryland Refrigeration system
JPH04324072A (ja) * 1991-04-25 1992-11-13 Sanden Corp 非共沸混合冷媒用の冷凍回路
JPH06193975A (ja) * 1992-12-28 1994-07-15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凍サイクル
JPH0875290A (ja) * 1994-09-06 1996-03-19 Hitachi Ltd 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JPH1054616A (ja) * 1996-08-14 1998-02-24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97A (ko) * 1993-08-28 1995-03-21 이헌조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
KR970070812A (ko) * 1996-04-19 1997-11-07 김광호 다수의 실내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9990032265A (ko) * 1997-10-17 1999-05-15 구자홍 다중 실내기 가동용 공기조화기
KR20000019552A (ko) * 1998-09-12 2000-04-15 윤종용 멀티 에어콘의 냉매분배팽창장치
JP2000161809A (ja) * 1998-09-24 2000-06-16 Denso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496A (ko) 2002-03-30
WO2002025186A1 (en) 2002-03-28
US20020035846A1 (en) 2002-03-28
AU2001256827A1 (en) 2002-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888B2 (en) Method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a vapor compression system by compressor cooling
JP5355016B2 (ja) 冷凍装置及び熱源機
JP5698160B2 (ja) 空気調和機
US20090113907A1 (en) Refrigeration Apparatus
US7640762B2 (en) Refrigeration apparatus
KR100471442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방법
JP2007514919A (ja) 過圧防止アキュムレータを用いる蒸気圧縮システム
JP2007155230A (ja) 空気調和機
KR100422336B1 (ko)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KR20020024497A (ko)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KR200214002Y1 (ko)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KR20090069694A (ko) 다로형 교축밸브-구비 다단 압축방식 터보냉동기
KR200214005Y1 (ko)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KR200214004Y1 (ko)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JPH09159288A (ja) 冷凍装置
KR200214006Y1 (ko)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KR200214003Y1 (ko)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KR200214008Y1 (ko)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KR200214009Y1 (ko)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KR200214007Y1 (ko)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JP2615496B2 (ja) 2段圧縮冷凍サイクル
JPS6221888Y2 (ko)
KR200214010Y1 (ko) 저 압축부하형 냉난방장치
KR200214013Y1 (ko) 저 압축부하형 냉난방장치
KR100538670B1 (ko) 액냉매 압축기 유입방지용 냉난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304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