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21764B1 - 고효율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 Google Patents

고효율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764B1
KR100421764B1 KR10-2001-0047913A KR20010047913A KR100421764B1 KR 100421764 B1 KR100421764 B1 KR 100421764B1 KR 20010047913 A KR20010047913 A KR 20010047913A KR 100421764 B1 KR100421764 B1 KR 100421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dielectric layer
feed line
layer
c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3739A (ko
Inventor
최원규
남호석
이종문
윤영근
표철식
최재익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47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764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76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유전체층의 하면 전체에 접지도체층이 형성되어 있고, 유전체층의 상면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는 급전선과 제1 패치가 형성되어 있다. 급전선과 제1 패치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 급전선과 제1 패치의 위에는 제1 폼층이 형성되어 있고, 제1 폼층 위에는 유전체 필름이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 필름의 위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2 패치가 형성되어 있고, 제2 패치의 위에는 제2 폼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임피던스 대역폭과 축비 대역폭, 그리고 이득 특성이 우수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효율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Wideband microstrip patch array antenna with high efficiency}
본 발명은 선형편파 및 원편파용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기적 결합 방식의 선형편파 및 원편파용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는 육상 방송, 위성 방송 및 통신에서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안테나이다. 그러나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는 동작 대역이 좁은 단점이 있다. 특히 위성 방송 및 통신의 경우, 국가별로 사용하는 주파수에 차이가 있어서 외국과 국내의 위성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안테나를 설치해야 한다. 또한 원편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임피던스 대역폭뿐만 아니라 해당 대역 내에서의 축비 특성을 만족시켜야 하는 추가적인 조건이 있어서 안테나의 성능 개선을 어렵게 하고 있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원편파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단면도와 사시도이다.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의 유전체 기판(12)의 아래 면에 도전체로 이루어진 접지층(11)이 형성되어 있고, 유전체 기판(12)의 윗면에 도전체로 이루어진 급전선(10)과 방사 패치(9)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직접 급전 방식의 패치 안테나에 의하여는 광대역의 축비와 충분한 임피던스 대역폭을 얻기가 어렵다. 이 때문에 마련된 방법이 방사 패치와 급전선 사이를 전자기적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이다.
도 2a와 도 2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자기적 결합 방식의 패치 안테나의 단면도와 사시도이다.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으로 이루어진 유전체 기판(16)의 하면에 접지 도체층(17)이 형성되어 있고, 유전체 기판(16) 상면에 급전선(15)이 형성되어 있다. 급전선(15) 위에는 유전체층(14)이 형성되어 있고, 유전체층(14) 위에 방사 패치(13)가 형성되어 있다. 방사 패치(13)는 급전선(15)과의 전자기적 결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급전선(15)과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전자기적 결합 방식의 패치 안테나는 방사 패치(13)와 급전선(15) 사이의 거리가 조금만 멀어지면 결합 특성이 저하되어 안테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형편파 및 원편파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방사 패치와 급전선 사이의 전자기적 결합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선형편파 및 원편파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임피던스 대역폭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방사패치를 얇은 유전체 필름위에 형성함으로써 방사효율을 증가시키고, 제작 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원편파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단면도와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자기적 결합 방식의 패치 안테나의 단면도와 사시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편파용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단면도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편파용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의 단면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각각 도 4의 23번 층과 26번 층의 배치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편파용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의 반사손실, 축비 및 이득 특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제2 패치
2, 22: 제2 폼(foam)층
3, 23: 유전체 필름
4, 24: 제1 폼층
5, 25: 급전선
6, 26: 유전체층
7, 27: 접지도체층
8, 28: 제1 패치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급전선에 제1 패치를 연결하고 제1 패치 상부로 폼(foam)층이 위치하며 폼층 상부로 유전체 필름을 위치시켜 급전선과 제1 패치로부터 이격시킨 유전체 필름 상에 제2 패치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는 제1 유전체층, 상기 제1 유전체층의 제1면에 형성되는 접지도체층, 상기 제1 유전체층의 제2면에 형성되는 급전선,
상기 제1 유전체층의 제2면에 형성되고, 상기 급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가 절단된 제1 패치, 상기 급전선과 상기 제1 패치 위에 형성되는 제2 유전체층, 그리고 상기 제2 유전체층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패치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며,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가 절단된 제2 패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전체층은, 상기 급전선과 상기 제1 패치 위에 형성되는 제1 폼층, 그리고 상기 제1 폼층 위에 형성되는 유전체 필름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마련한다.
이 때, 상기 제2 패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폼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패치는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가 절단된 4각형이고, 상기 절단된 두 모서리의 위치는 제1 패치와 제2 패치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를 1×2 단위 배열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제1 및 제2 패치는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가 절단된 4각형이고, 절단된 두 모서리의 위치는 상기 제1 패치와 이와 중첩하는 상기 제2 패치가 일치하며, 1×2 단위를 이루는 두 개의 상기 제1 패치는 절단된 두 모서리의 위치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하고, 1×2 단위 배열 급전부 위상이 0°,90°인 순차 회전 급전 방식으로 급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편파 및 원편파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편파용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단면도와 사시도이다.
유전체층(6)의 하면 전체에 접지도체층(7)이 형성되어 있고, 유전체층(6)의 상면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는 급전선(5)과 제1 패치(8)가 형성되어 있다. 급전선(5)과 제1 패치(8)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 급전선(5)과 제1 패치 (8)의 위에는 제1 폼층(4)이 형성되어 있고, 제1 폼층(4) 위에는 유전체 필름(3)이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 필름(3)의 위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2 패치(1)가 형성되어 있고, 제2 패치(1)의 위에는 제2 폼층(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패치(8)와 제2 패치(1)는 원편파 구현을 위해 직교하는 두 모드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대각선으로 마주하는 두 모서리가 절단된 4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패치(8)와 제2 패치(1)는 상호 전자기적으로 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중첩시켜 형성한다. 이 때, 절단된 두 모서리는 제1 패치(8)와 제2 패치(1)가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급전선(5)과 연결되어 있는 제1 패치(8)를 이용하여 방사 패치인 제2 패치(1)와 전자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결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패치(8)와 제 2패치(1)의 두 모서리를 절단시키지 않을 경우, 광대역의 선형편파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두 패치(8, 1) 사이의 거리가 어느 정도 멀어지더라도 안테나의 방사 효율이 문제될 정도로 감소하지는 않는다.
한편, 폼층(2, 4)은 다량의 공기 방울을 내포하고 있어서 유전율이 매우 낮다. 따라서 제1 패치(8)와 제2 패치(1)를 제1 폼층(4)을 이용하여 이격시킴으로써 축비 대역폭과 임피던스 대역폭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안테나의 방사 효율이 향상되고 안테나의 이득 특성도 개선된다. 또, 제2 폼층(2)은 제2 패치(1)를 덮어 보호하되 전자파를 방사함에 있어서 제2 폼층(2)으로 인한 손실은 미미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편파용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의 단면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각각 도 4의 23번 층과 26번 층의 배치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편파용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를 순차 회전 급전 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배열한 것이다.
먼저, 도 4 및 도 5a, 5b를 보면, 유전체층(26)의 하면 전체에 접지도체층(27)이 형성되어 있고, 유전체층(26)의 상면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는 급전선(25)과 제1 패치(28)가 형성되어 있다. 급전선(25)과 제1 패치(28)는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 급전선(25)과 제1 패치(28)의 위에는 제1 폼층(24)이 형성되어 있고, 제1 폼층(24) 위에는 유전체 필름(23)이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 필름(23)의 위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제2 패치(21)가 형성되어 있고, 제2 패치(21)의 위에는 제2 폼층(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편파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의 각 패치 부분은 제1 실시예로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 2 단위 배열 안테나가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원편파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를 이룬다. A는 순차 회전 급전 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직접 연결되어 있는 두 패치 사이에만큼의 전기적 경로차를 형성한 것이다. 직접 연결되어 있는 두 패치는 잘려나간 두 모서리의 위치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잘려나간 두 모서리의 위치에 따라 우수 원편파와 좌수 원편파를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편파용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의 반사손실, 축비 및 이득 특성도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편파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는 축비, 이득 및 반사손실 면에서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안테나는 10dB 반사손실 대역폭 특성이 31% (중심주파수 11.85GHz) , 3dB 축비 대역폭 특성이 32.1% (중심주파수 11.85GHz)이다.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에서는 20% 이상의 축비 대역폭 특성을 얻기 어렵다.
앞서도 언급하였으나 본 발명은 선형편파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3b와 도 5a 및 도 5b에서 제1 패치와 제2 패치를 모서리를 절단하지 않은 형태로 형성하면 선형편파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가 된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급전선과 제1 패치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하고, 제1 패치와 제2 패치를 폼층을 사이에 두고 전자기적으로 결합시키면 급전선과 제2 패치 사이의 결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안테나의 방사 효율이 향상되고, 유전율이 낮은 폼층을 사용하여 제1 패치와 제2 패치를 이격시키기 때문에 유전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모서리가 절단된 패치를 사용함과 동시에 순차 회전 급전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축비 대역폭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임피던스 대역폭과 축비 대역폭, 그리고 이득 특성이 우수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7)

  1.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는 제1 유전체층,
    상기 제1 유전체층의 제1면에 형성되는 접지도체층,
    상기 제1 유전체층의 제2면에 형성되는 급전선,
    상기 제1 유전체층의 제2면에 형성되고, 상기 급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가 절단된 제1 패치,
    상기 급전선과 상기 제1 패치 위에 형성되는 제2 유전체층, 그리고
    상기 제2 유전체층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패치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며,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가 절단된 제2 패치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전체층은,
    상기 급전선과 상기 제1 패치 위에 형성되는 제1 폼층, 그리고
    상기 제1 폼층 위에 형성되는 유전체 필름
    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2 패치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폼층을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치는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가 절단된 4각형이고, 상기 절단된 두 모서리의 위치는 제1 패치와 제2 패치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5.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는 제1 유전체층,
    상기 제1 유전체층의 제1면에 형성되는 접지도체층,
    상기 제1 유전체층의 제2면에 형성되는 급전선,
    상기 유전체층의 제2면에 형성되고, 상기 급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가 절단된 형태로 1×2 단위 배열되는 다수의 제1 패치,
    상기 급전선과 상기 제1 패치 위에 형성되는 제2 유전체층,
    상기 제2 유전체층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패치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며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가 절단된 형태로 1×2 단위 배열되는 다수의 제2 패치, 그리고
    상기 제2 유전체층 위에 형성되는 제2 폼층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전체층은,
    상기 급전선과 상기 제1 패치 위에 형성되는 제1 폼층, 그리고
    상기 제1 폼층 위에 형성되는 유전체 필름
    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6. 삭제
  7. 제5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패치는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가 절단된 4각형이고, 상기 절단된 두 모서리의 위치는 상기 제1 패치와 이와 중첩하는 상기 제2 패치가 일치하며, 1×2 단위를 이루는 두 개의 상기 제1 패치는 절단된 두 모서리의 위치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하고, 1×2 단위 배열 급전부 위상이 0°, 90°인 순차 회전 급전 방식으로 급전되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KR10-2001-0047913A 2001-08-09 2001-08-09 고효율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Expired - Fee Related KR100421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913A KR100421764B1 (ko) 2001-08-09 2001-08-09 고효율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913A KR100421764B1 (ko) 2001-08-09 2001-08-09 고효율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739A KR20030013739A (ko) 2003-02-15
KR100421764B1 true KR100421764B1 (ko) 2004-03-12

Family

ID=2771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9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1764B1 (ko) 2001-08-09 2001-08-09 고효율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666A (ko) * 2018-05-17 2019-11-2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접 급전형 5g용 광대역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766B1 (ko) * 2001-08-13 2004-05-10 주식회사 로스윈 광대역 급전을 통한 이중 공진 무급전 마이크로스트립패치 안테나
KR100542830B1 (ko) 2003-11-17 2006-0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양 방사패치 또는/및 초소형 전자 정밀기계 스위치를이용한 광대역/다중대역 안테나
KR100696271B1 (ko) * 2004-02-05 2007-03-19 (주)바로건설기술 영구 흙막이 구조물에 사용되는 기성 콘크리트 파일
KR100683005B1 (ko) 2004-06-10 2007-0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층 원형 도체 배열을 이용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 평면 배열 안테나
KR101432787B1 (ko) * 2013-01-23 2014-08-22 주식회사 아모텍 초광대역 패치 안테나
KR102158204B1 (ko) 2017-08-24 2020-09-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54313B1 (ko) * 2017-08-24 2020-09-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0757B1 (ko) * 2018-10-04 2020-12-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9326B1 (ko) * 2020-12-01 2022-09-0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안테나 배열
KR102405623B1 (ko) * 2020-12-24 2022-06-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4050A (en) * 1981-02-09 1982-12-14 Hazeltine Corporation Microstrip antenna
US5231406A (en) * 1991-04-05 1993-07-27 Ball Corporation Broadband circular polarization satellite antenna
JPH07240621A (ja) * 1994-02-25 1995-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ンテナ装置及び給電装置
KR20000011017A (ko) * 1996-05-13 2000-02-25 펄 위 제이케 평판안테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4050A (en) * 1981-02-09 1982-12-14 Hazeltine Corporation Microstrip antenna
US5231406A (en) * 1991-04-05 1993-07-27 Ball Corporation Broadband circular polarization satellite antenna
JPH07240621A (ja) * 1994-02-25 1995-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ンテナ装置及び給電装置
KR20000011017A (ko) * 1996-05-13 2000-02-25 펄 위 제이케 평판안테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666A (ko) * 2018-05-17 2019-11-2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접 급전형 5g용 광대역 안테나
KR102079811B1 (ko) * 2018-05-17 2020-04-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간접 급전형 5g용 광대역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739A (ko) 200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4953A (en) Dual band antenna
EP1096602B1 (en) Planar antenna
EP1094545B1 (en) Internal antenna for an apparatus
US6337667B1 (en) Multiband, single feed antenna
KR100485354B1 (ko) 유전체 덮개를 이용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및이를 배열한 배열 안테나
KR100285779B1 (ko) 이동통신용기지국용안테나
EP1038332B1 (en) Dual band antenna
KR20050031625A (ko) 광대역 슬롯 배열 안테나
KR20040077052A (ko) 광대역 슬롯 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 슬롯 배열 안테나
CN1390373A (zh) 双频带印刷天线
US20030132883A1 (en) Surface-mountable dual-band monopole antenna for WLAN application
CA2257526A1 (en) Dielectric loaded microstrip patch antenna
KR100421764B1 (ko) 고효율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
CA2182334C (en) Mini-cap radiating element
KR100449846B1 (ko) 원형 편파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및 이를 순차 회전급전 배열한 배열 안테나
JP3180684B2 (ja) アンテナ
KR20050117316A (ko) 다층 원형 도체 배열을 이용한 마이크로스트립 스택 패치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 평면 배열 안테나
US6515627B2 (en) Multiple band antenna having isolated feeds
US4740793A (en) Antenna elements and arrays
EP0824766A1 (en) Antenna unit
EP2309596A1 (en) Dual-polarization antenna's radiating element
WO1991005374A1 (en) Monopole antenna
US4660047A (en) Microstrip antenna with resonator feed
WO2002041445A1 (en) Low cross-polarization microstrip patch radiator
KR20010068154A (ko) 광대역용 이중원편파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