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20254B1 - 데이터베이스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베이스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254B1
KR100420254B1 KR10-1998-0036685A KR19980036685A KR100420254B1 KR 100420254 B1 KR100420254 B1 KR 100420254B1 KR 19980036685 A KR19980036685 A KR 19980036685A KR 100420254 B1 KR100420254 B1 KR 100420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base
access
dbms
procedure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870A (ko
Inventor
박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36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254B1/ko
Publication of KR2000001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25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교환기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접근(Database Access)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및 외부 프로세서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접근 시에 응용 프로그램이 보다 효율적이고 빠른 데이터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사용자 영역 중 공용 라이브러리 영역 내에 상주시켜 응용 프로그램이 직접 다이내믹 링크(Dynamic Link)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를 인가받고 해당 DBMS 간에 서로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 접근 결과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랩을 통하지 않고 프로세스간 불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최소화시켜 보다 향상된 성능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전자 교환기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접근(Database Access)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 및 외부 프로세서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접근 시에 응용 프로그램이 보다 효율적이고 빠른 데이터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내에 크게 사용자(User) 영역에서 구동하는 부분과 커널(Kernel) 영역에서 구동하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사용자 영역에는 데이터베이스 접근 명령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11)과, 해당 응용프로그램(11)의 데이터베이스 접근 명령을 트랩(Trap)을 통해 인터페이스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1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해당 커널 영역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3)와, 해당 트랩을 통해 해당 응용 프로그램(11)의 데이터베이스 접근 명령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해당 데이터베이스(13)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데이터베이스 접근 결과를 송신하는 DBMS(1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을 수행하는데, 먼저 응용 프로그램(11)은 사용자 영역에서 외부 프로세서의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 정보를 교환하면서 자체 내 또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 커널 영역에 있는 데이터베이스(13)로의 접근 요구가 있는 경우에 링크되어 있는 API(12)에 호출한다.
이에, 상기 API(12)에서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11)의 호출에 따라 트랩을 통해 커널 영역 내에 있는 DBMS(14)를 호출한다.
이에 따라, 커널 영역에서 동작을 수행하는데, 상기 DBMS(14)에서는 상기API(12)로부터 트랩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접근 요구를 분석하며, 해당 분석한 결과가 내부 프로세서의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임을 확인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13)에 대한 검색을 시도하며, 내부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가 아니면 사용자 영역의 상기 API(12)로 리턴(Return)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DBMS(14)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3)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해당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 접근 결과를 사용자 영역에 저장하여 응용 프로그램(11)이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DBMS(14)로의 시간(Second) 당 접근 회수를 내부 데이터베이스 접근(Local Database Access) 시와 외부 데이터베이스 접근(Global Database Access) 시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내부 데이터베이스 접근 외부 데이터베이스 접근
데이터 검색 9900.990 67.531
데이터 변경 9225.092 59.495
데이터 삽입 및 삭제 954.198 32.101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초당 외부 데이터베이스 접근 회수가 내부 데이터베이스 접근 회수보다 많이 적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DBMS(14)에서 외부 데이터베이스 접근임을 확인하여 상기 API(12)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11)으로 리턴시켜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해당 외부 프로세서로 시그널을 전송하여 다시 트랩을 통해 해당 프로세서의 DBMS로의 접근을 해야 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여러 단계 때문이다.
종래의 DBMS(14)는 상기 커널 영역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DBMS(14) 자체 내에서 시그널 송수신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므로, 외부 데이터베이스 접근 시 상기 응용 프로그램(11)이 외부로의 접근 요구 시그널을 송출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DBMS(14)와 상기 API(12) 및 응용 프로그램(11) 간의 불필요한 구성 블록간의 인터페이스가 많아져 상기 DBMS(14)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또한, 상기 DBMS(14)가 커널 영역 내에 있어 상기 응용 프로그램(11)의 DBMS 호출 시에 항상 트랩을 통해야 하므로 상기 데이터베이스(13)에 접근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DBMS가 커널 영역에 존재하여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접근 시에 트랩을 통해야 하고 외부 데이터베이스 접근 시에 반드시 자체 내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시그널을 전송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인터페이스의 동작 수행이 많아 해당 DBMS의 성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접근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 접근에 관한 것으로, 전자 교환기에서 사용되는 분산 DBMS를 개선시켜 내부 및 외부 프로세서의 데이터베이스 접근 시에 응용 프로그램이 더욱 효율적이고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데이터를 접근하고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30 : 프로세서 21, 31 : 응용 프로그램
22, 32 :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23, 33 :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24, 34 : 데이터베이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에 있어서,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각 프로시저에 대한 위치 정보를 API에 미리 저장해 둔 상태에서 상기 API에서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의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API에서 상기 DBMS의 프로시저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프로시저를 호출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시저가 호출된 DBMS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가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인지 아니면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가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이면 상기 DBMS가 호출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직접 외부 프로세서로 시그널을 전송하고 접근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가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이면 상기 DBMS가 호출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자체내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 변경 동작을 수행해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 접근 결과를 자체 내에서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커널 영역이 아닌 사용자 영역 중의 공용 라이브러리(Shared Library) 영역에 DBMS를 상주시켜 다이내믹 링크(Dynamic Link) 개념을 도입하여 응용 프로그램이 해당 DBMS를 호출할 때에 해당 DBMS를 다이내믹하게 링크하여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랩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므로 보다 빠르게 DBMS에 접근 가능하며, 해당 DBMS 내에서 다른 프로세서로의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인터페이스 동작을 최소화한다.
그러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프로세서(20, 30) 내에 응용 프로그램(21, 31)과, API(22, 32)와, DBMS(23, 33)와, 데이터베이스(24, 34)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21, 31)과 데이터베이스(24, 34)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API(22, 32)는 상기 DBMS(23, 33)의 각 프로시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운용 시스템(Operation System)의 특정 트랩의 호출없이 직접 해당 프로시저를 호출한다.
상기 DBMS(23, 33)는 사용자 영역 중의 공용 라이브러리 영역에서 다이내믹 링크를 통해 프로그램 수행 중 상기 API(22, 32)에 연결하며, 다른 프로세서에 속해 있는 DBMS와 직접 시그널을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은 도 3의 플로우 차트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먼저, 어떤 DBMS(23, 33)의 프로시저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인지를 알기 위하여 해당 DBMS(23, 33)의 각 프로시저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각 프로세서(20, 30) 내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API(22, 32)에 저장해 둔다(단계 S1).
이에, 상기 각 프로세서(20, 30) 내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21, 31)이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요청하면(단계 S2), 해당 각 응용 프로그램(21, 31)에 각각 링크되어 있는 API(22, 32)에서는 해당 각 응용 프로그램(21, 31)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를 인가받아 상기 DBMS(23, 33)의 프로시저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며(단계 S3), 해당 확인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시저를 운용 시스템의 특정 트랩의 호출 없이 직접 호출한다(단계 S4).
상기 제4단계(S4)에서 상기 각 프로세서(20, 30) 내의 사용자 영역 중 공용 라이브러리 영역에 있는 DBMS(23, 33)가 자체 내 또는 다른 프로세서의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를 상기 API(22, 32)를 통해 인가받으면 자체 내의 응용 프로그램(21, 31)에 의한 호출인지 또는 다른 프로세서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호출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5).
만약, 상기 제5단계(S5)에서 자체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DBMS(23, 33)는 해당 호출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자체 내의 데이터베이스(24, 34)에 대한 접근 및 변경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6).
그리고, 상기 제6단계(S6)에서 수행한 결과로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 접근 결과를 자체 내의 사용자 영역에 저장한다(단계 S7).
다르게, 상기 제5단계(S5)에서 다른 프로세서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호출, 즉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임을 확인한 경우, 상기 DBMS(23, 33)는 해당 호출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외부 프로세서로 접근 요구 시그널을 전송하며(단계 S8),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 접근 결과를 자체 내의 API(22, 32)로 리턴시켜 자체 내의 응용 프로그램(21, 31)을 통해 다른 프로세서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전송하지 않고 직접 다른 프로세서의 DBMS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를 처리한 후에 데이터베이스 접근 결과를 수신한다(단계 S9).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DBMS(23, 33)로의 시간(Second) 당 접근 회수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 시와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 시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의 표 2과 같다.
내부 데이터베이스 접근 외부 데이터베이스 접근
데이터 검색 20746.888 443.262
데이터 변경 26881.720 255.102
데이터 삽입 및 삭제 1720.183 162.760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DBMS(23, 33)를 사용자 영역 중 공용 라이브러리 영역 내에 상주시켜 트랩을 통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며, 외부 데이터베이스 접근 시에도 상기 API(22, 32)와 응용 프로그램(21, 31)과의 인터페이스 동작 없이 상기 DBMS(23, 33) 간에 서로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 접근 결과를 송수신함으로써, 종래의 접근 회수보다 훨씬 많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 수행을 다시 예를 들어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프로세서(20)의 제1응용 프로그램(21)이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요구하는 경우에 상기 제1API(22)에서 프로시저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직접 해당 프로시저를 호출한다.
이 때, 상기 제1프로세서(20) 내에 있는 제1데이터베이스(24)에 대한 접근 요구인 경우에는 상기 제1DBMS(23)에서 해당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24)의 접근 및 변경을 수행한 후에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 접근 결과를 사용자 영역에 저장하여 상기 제1응용 프로그램(21)으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프로세서(30) 내에 있는 제2데이터베이스(34)에 대한 접근 요구인 경우에는 상기 제1DBMS(23)에서 상기 제2DBMS(33)로 시그널을 전송하여 외부 접근 요구를 하고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 접근 결과를 직접 수신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종래 DBMS는 트랩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 접근 요구를 인가받아 커널 영역 내에서 데이터베이스 접근이 수행되었으나, 본 발명의 DBMS에서는 공용 라이브러리 내의 DBMS가 다이내믹하게 호출되고 시그널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상당한 성능 향상을 가져다 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DBMS를 사용자 영역 중 공용 라이브러리 영역 내에 상주시켜 응용 프로그램이 직접 다이내믹 링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를 인가받고 해당 DBMS 간에 서로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 접근 결과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랩을 통하지 않고 프로세스 간 불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최소화시켜 보다 향상된 성능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

Claims (1)

  1.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에 있어서,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각 프로시저에 대한 위치 정보를 API에 미리 저장해 둔 상태에서 상기 API에서 응용 프로그램으로부터의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API에서 상기 DBMS의 프로시저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프로시저를 호출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시저가 호출된 DBMS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가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인지 아니면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인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가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이면 상기 DBMS가 호출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직접 외부 프로세서로 시그널을 전송하고 접근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접근 요구가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이면 상기 DBMS가 호출된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자체내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 및 변경 동작을 수행해 데이터 및 데이터베이스 접근 결과를 자체 내에서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KR10-1998-0036685A 1998-09-03 1998-09-03 데이터베이스관리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20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685A KR100420254B1 (ko) 1998-09-03 1998-09-03 데이터베이스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685A KR100420254B1 (ko) 1998-09-03 1998-09-03 데이터베이스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870A KR20000018870A (ko) 2000-04-06
KR100420254B1 true KR100420254B1 (ko) 2004-05-31

Family

ID=1954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6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0254B1 (ko) 1998-09-03 1998-09-03 데이터베이스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2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276B1 (ko) * 1999-09-17 2002-02-21 서평원 교환기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백업 방법
KR100921816B1 (ko) * 2007-07-25 2009-10-1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사설 교환기 및 그 운용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0111A (ja) * 1991-10-28 1993-05-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水平分散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のアクセス制御方法
JPH0683692A (ja) * 1992-04-15 1994-03-25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データベースアクセ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950013287A (ko) * 1993-10-11 1995-05-17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에서 감사 대상 데이타의 오류 발생시 복구 방법
US5551046A (en) * 1991-06-14 1996-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non-hierarchical lock management in a multi-system shared data environment
US5566332A (en) * 1990-03-27 1996-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combination for minimizing data conversions when data is transferred between a first database storing data in a first format and a second database storing data in a second format
JPH09231243A (ja) * 1995-09-30 1997-09-05 Alcatel Nv データ処理装置の連結方法、交換局の制御方法、データ処理装置、制御装置、および交換局
US5692174A (en) * 1995-10-05 1997-1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Query parallelism in a shared data DBMS system
JPH10133921A (ja) * 1996-10-28 1998-05-22 Hitachi Ltd 分散dbms問合わせ処理のsql再モデル化方式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6332A (en) * 1990-03-27 1996-10-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combination for minimizing data conversions when data is transferred between a first database storing data in a first format and a second database storing data in a second format
US5551046A (en) * 1991-06-14 1996-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non-hierarchical lock management in a multi-system shared data environment
JPH05120111A (ja) * 1991-10-28 1993-05-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水平分散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のアクセス制御方法
JPH0683692A (ja) * 1992-04-15 1994-03-25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データベースアクセ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950013287A (ko) * 1993-10-11 1995-05-17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에서 감사 대상 데이타의 오류 발생시 복구 방법
JPH09231243A (ja) * 1995-09-30 1997-09-05 Alcatel Nv データ処理装置の連結方法、交換局の制御方法、データ処理装置、制御装置、および交換局
US5692174A (en) * 1995-10-05 1997-1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Query parallelism in a shared data DBMS system
JPH10133921A (ja) * 1996-10-28 1998-05-22 Hitachi Ltd 分散dbms問合わせ処理のsql再モデル化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870A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2584B1 (en) Method for distributed transaction support using jdbc 1.0 drivers
US6374238B1 (en) Routine executing method in database system
JP2533266B2 (ja) 共用デ―タシステムにおけるデ―タ資源のロッキング方法及びシステム間のデ―タロック管理方法
US71624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istributed database resources
US6785691B1 (en) Object oriented processing system and data sharing environment for applications therein
JPH0816470A (ja) 並列計算機
US200200623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f message data
KR100288140B1 (ko) 이기종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접근 가능한 연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6933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홈위치등록기관리시스템및이를이용한데이터베이스관리방법
KR100420254B1 (ko) 데이터베이스관리방법
US200301155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resources in hierarchical backplanes
US5727179A (en) Memory access method using intermediate addresses
US5062046A (en) Multiple processor system having a correspondence table for transferring processing control between instruction processors
JP298844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ホームロケーションレジスタと加入者データ管理方法
KR20020055220A (ko) 코바 플랫폼을 이용한 동적 데이터베이스 처리방법
KR100507781B1 (ko) 공유 디스크 기반 다중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에서 검출및 회피 기반 일관성 유지 정책을 동시에 지원하는 버퍼장착방법
KR100978083B1 (ko) 공유 메모리형 멀티 프로세서에 있어서의 절차 호출 방법 및 절차 호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450419B1 (ko)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다중 쓰레드로 동작하는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동작방법
Lam et al. Mobile distributed real-time database systems
CN118260245A (zh) 一种库表数据的跨网共享方法及系统
KR93001028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시스팀 라이브러리 이용방법
KR100313001B1 (ko) 데이터베이스접근시스템및방법
KR100299062B1 (ko) 하나의서비스교환시스템에서다수의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국번번역방법
JPH0830562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排他制御方式
KR100954666B1 (ko) 소프트웨어 에이전트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전역조회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5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9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7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