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19057B1 - 고체약물투입기 - Google Patents

고체약물투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057B1
KR100419057B1 KR10-2002-0008564A KR20020008564A KR100419057B1 KR 100419057 B1 KR100419057 B1 KR 100419057B1 KR 20020008564 A KR20020008564 A KR 20020008564A KR 100419057 B1 KR100419057 B1 KR 100419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main body
rod
holder
caps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891A (ko
Inventor
최형배
김기원
백승현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02-0008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0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05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50/00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피하지방에 인공의 약물을 인위적으로 투입하는 고체약물 투입기에 관한 것으로, 약물투입기 본체와 약물충전캡슐을 각각 분리형성하되, 약물투입기 본체에는 약물충전캡슐이 삽입되는 홀더와, 약물충전캡슐을 장전시키는 누름레버 및 이중 슬리브와, 주사바늘의 삽입과 동시에 주사바늘 및 이중 슬리브를 고속 후퇴시키는 작동캡으로 이루어져, 약물충전캡슐이 장전된 투입기를 동물의 피부에 찌르기만 하면 자동으로 약물의 투여 및 주사바늘을 후퇴시켜 약물투여과정이 매우 단순하고 신속하므로 별도의 도움자 없이도 혼자서 신속하게 대량의 동물에 약물을 투여할 수 있음은 물론 약물투여시간이 매우 짧아 동물이 받는 스트레스가 거의 없으면서도 투입기의 반 영구적인 사용 및 소독된 약물충전캡슐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비를 절감하면서도 이에 따른 폐기물 배출이 거의 없으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체약물투입기{Injector}
본 발명은 약물투입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동물의 피하에 인공의 약물을 인위적으로 투입하는 고체약물투입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축산업은 과거와 달리 대단위 축사에서 사육되는 동물들을 매우 위생적이면서도 과학적으로 관리하여 동물들의 성장속도가 매우 빠르고 양질의 육질을 갖도록 사육하고 있다.
그러나, 동물들은 운동량이 부족한 반면 사료의 공급이 풍족하여 체중에 비해 살코기가 적게 생산되는 즉, 피하지방층이 두껍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피하지방층이 두꺼운 고기는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아 현대인의 건강에 위협적이므로 그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동물과 인체에 전혀 무해한 인공의 약물이 개발되었고, 그 약물을 동물의 피하지방 및 근육층에 투여함으로써 동물의 근육층이 강화되도록 하고 피하지방층은 약화되도록 하여 보다 많은 양의 살코기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동물의 체중당 생산되는 양질의 고기량을 증대시켜 매우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약물은 대개 사육사가 일회용 주사기에 약물을 충전한 후, 몇몇의 도움자가 움직이는 동물을 잡은 상태에서 일회용 주사기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약물을 투입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이렇게 사용된 일회용 주사기는 위생상 전량 폐기된다.
그러나, 상기의 일회용 주사기에 의한 약물 투여방법은 움직이는 동물에 신속하게 약물을 투여하기가 매우 어렵고, 주사바늘을 찔러 넣은 후 손가락으로 피스톤을 눌러 약물을 투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동물이 도망가거나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또한, 한번 쓰여진 일회용 주사기는 재생이 불가능하여 그에 따른 경비의 소요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폐기되는 일회용 주사기는 환경오염의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약물이 충전된 캡슐을 별도의 투입기에 장전하여 자동으로 동물의 피하조직에 약물이 투여되게 하고 미리 충전된 약물충전캡슐만을 교체하며 연속적인 약물투여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대량 및 신속한 작업이 가능한 고체약물투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물이 충전된 캡슐 및 투입기의 재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취급 및 주사방법이 매우 단순하여 비숙련자라도 용이하게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고체약물 투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약물투입기의 전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약물투입기에 사용되는 약물충전캡슐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약물투입기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약물투입기에 약물충전캡슐을 최초 장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약물투입기에서 약물충전캡슐을 장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약물투입기를 이용하여 약물충전캡슐을 투입하는 과정을 단면도로 도시한 작동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약물투입기를 이용하여 약물충전캡슐이 투입된 후를 도시한 동물의 피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약물충전캡슐 2 : 밀폐캡
3 : 장전몸체 4 : 주사바늘
5 : 배출봉 6 : 인서트
7 : 돌출조 8 : 요홈조
10 : 홀더 11 : 힌지축
12 : 복귀스프링 13 : 걸림공
14 : 전측걸림구 15 : 홀더스프링
20 : 약물투입기 21 : 본체
22 : 내봉 23 : 외관
25 : 후측걸림구 26 : 가이드봉
27 : 가이드스프링 28 : 레버스프링
29 : 누름레버
40 : 작동캡 41 : 작동로드
42 : 로드스프링 43 : 작동아암
44 : 제1고정블록 45 : 스프링
46 : 제2고정블록 47 : 걸림홈
48,48' : 경사면
50 : 근육층 51 : 피하지방층
52 : 약물 53 : 피부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고체약물투입기는,
장전몸체의 선단에 고정되고 내부에 약물이 삽입되는 주사바늘과, 상기 장전몸체 및 주사바늘에 삽입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전후진되면서 상기 약물을 밀어내는 배출봉으로 구성되는 약물충전캡슐; 상기 약물충전캡슐이 장전되는 본체; 상기 배출봉을 밀게 되고 상기 본체의 후측을 향해 탄지되며 후측단에 후측걸림구가 형성되는 내봉과, 이 내봉이 중심부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내봉과 함께전진되었다가 상기 장전몸체의 후진시 함께 후진하게 되며 상기 내봉의 길이보다 짧은 외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약물충전캡슐과 동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이중슬리브; 상기 본체에서 후측 방향으로 탄지되고 상기 이중슬리브를 밀게 되며 중심부에 인입홈이 형성되는 누름레버; 상기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작동캡; 상기 작동캡에 연결되고 탄지된 채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의 끝단에 접촉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드의 전후진에 따라 힌지 회전하게 되는 작동아암; 상기 작동아암과 결합되어 작동아암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회관의 후측단을 선택적으로 걸게 되는 제1고정블록; 및 상기 후측걸림구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승하강 방향으로 탄지된 채 상기 본체 후측에 설치되는 제2고정블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봉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장전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기 위해서, 장전몸체에 돌출조가 형성된 인서트를 내장하고, 상기 배출봉에 상기 돌출조에 대응되는 요홈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물충전캡슐이 탄지되면서 장전되도록 하는 장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측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이 홀더를 본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 홀더는 힌지축에 삽입된 복귀스프링에 의해 탄지되고, 걸림공을 가진 연장편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탄지되면서 상기 걸림공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전측걸림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봉을 탄지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의 상측에 가이드봉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는 가이드스프링의 양측이 상기 본체와 후측걸림구의일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걸림홈의 양측에 바깥쪽을 향해 경사진 복수의 하향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약물투입기의 전체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약물투입기에 사용되는 약물충전캡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약물투입기는 약물이 채워진 약물충전캡슐(1)과, 약물충전캡슐(1)을 동물의 피하에 투입하는 약물투입기(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약물충전캡슐(1)은 전측의 밀폐캡(2)과 후측의 장전몸체(3)가 상호 결합되고, 그 장전몸체(3)의 전측단에는 주사바늘(4)이 삽입되어 있으며, 장전몸체(3)의 후측단에는 배출봉(5)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한 약물충전캡슐(1)의 장전몸체(3)와 배출봉(5)의 결합부에는 별도의 인서트(6)를 내장하되, 인서트(6)의 내주면에는 돌출조(7)를 형성하고, 배출봉(5)에는 요홈조(8)를 형성하여 배출봉(5)과 인서트(6)가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된 약물충전캡슐(1)이 장전되는 약물투입기(20)는 장전된 약물충전캡슐(1)을 전후진시켜서 내부의 약물이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약물투입기(20)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약물투입기(20)는 본체(21)와, 이 본체(21)의 전측에서 힌지축(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한 약물투입캡슐(1)이 장전되는 홀더(10)를 포함한다.
홀더(10)는 힌지축(11)에 삽입된 복귀스프링(12)에 의해 탄지되고, 걸림공(13)을 가진 연장편이 형성되며, 홀더 중심의 장전공간에는 약물충전캡슐(1)을 탄지하기 위한 홀더스프링(15)이 설치된다.
이러한 홀더(10)의 하측에는 탄성 지지된 전측걸림구(14)가 형성되어 상기한 걸림공(13)과의 계합 및 이탈에 따라 홀더(10)가 고정 또는 복귀스프링(12)에 의해 힌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홀더(10)의 후측에 해당하는 본체(21)의 내부에는 내봉(22)과 외관(23)으로 구성된 이중슬리브가 본체(21)의 길이방향으로 내장된다. 내봉(22)의 길이는 외관(23)의 길이는 더 길다.
여기서 내봉(22)의 후측단부에는 외관(2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후측걸림구(25)가 형성된다. 이러한 후측걸림구(25)는 본체(21)의 상측에 고정된 가이드봉(26)에 의해 안내되어지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봉(26)에 가이드스프링(27)을 삽입하여 후측걸림구(25)가 탄설되도록 한다.
그리고 내봉(22)의 후측단에는 본체(21)에 설치된 레버스프링(28)에 의해 탄설되는 누름레버(29)가 장착된다.
누름레버(29)는 중심부에 인입홈이 형성된 포크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중슬리브를 밀게 되면 최초 미는 동작에서는 포크의 끝단이 외관(23)을 밀고 인입홈의 안쪽이 후측걸림구(25)를 밀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체(21)의 전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작동캡(40)이 위치한다. 이 작동캡(40)의 내측으로는 상기한 홀더(10)의 전측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캡(40)의 하측에는 본체(21)에 내장되는 작동로드(41)가 나사 결합되는 바, 작동로드(41)는 본체(21)에 고정된 로드스프링(42)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작동로드(41)의 후측단에는 작동아암(43)이 본체(21)에 힌지 고정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작동로드(41)의 후측단에 밀착된 채로 본체(21)에 힌지 고정됨으로서, 작동로드(41)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작동아암(43)이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작동아암(43)의 회전 동작에 따라 승하강되도록 구성되는 제1고정블록(44)이 본체(21)의 중심부분에 위치하여, 제1고정블록(44)의 승하강 동작에 따라 이중슬리브의 외관(23) 후측단을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한다.
본체(21)의 후측 내부에 설치되는 제2고정블록(46)은 그 하측에 설치된 스프링(45)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탄지된다. 그리고 제2고정블록(46)의 상부 중앙에는 걸림홈(47)이 형성되며, 그 걸림홈(47)의 양측에는 걸림홈(47)을 기준으로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48)(48')이 형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0은 근육층, 51은 피하지방층, 52는 약물, 53은 피부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고체약물투입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약물투입기를 사용하여 동물에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약물충전캡슐(1)에 먼저 다수개의 인공 약물(52)을 충전한 상태로 준비 작업하고, 이러한 약물충전캡슐(1)의 사전 준비작업은 대량의 동물에 신속하게 약물을투여할 수 있다.
즉, 약물이 충전된 약물충전캡슐(1)을 계속 교체하기만 하면 약물투입기의 연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보다 신속하면서도 간편한 약물투입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약물충전캡슐(1)에 약물(52)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밀폐캡(2)을 제거한 상태에서 그 주사바늘(4)의 내부에 고형의 약물(52)을 삽입 충전하며, 주사바늘(4)의 내부 일측단에는 배출봉(5)의 단부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그 배출봉(5)의 단부에서부터 고형의 약물(52)이 충전되면서 주사바늘(4)의 단부에 이르기까지 고형의 약물이 충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고형의 약물(52)은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동물의 피하지방 및 근육층에 투여되는 경우 근육층은 강화되게 하고 피하지방층은 감소되게 하는 것으로서, 인체 및 동물에 전혀 무해하다고 알려진 것으로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어 오는 약품인 것이다.
이렇게 약물(52)이 충전된 상태에서 다시 밀폐캡(2)을 주사바늘(4)의 외주연인 장전몸체(3)에 결합하면 내부의 약물(52)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으면서도 약물이 충전된 대량의 캡슐을 미리 준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장전몸체(3)의 일측단에 별도의 인서트(6)를 삽입하고, 그 인서트(6)의 내주면에는 돌출조(7)를 형성하며, 그 돌출조(7)와 대향되는 요홈조(8)를 전기한 배출봉(5)의 단부에 형성함으로서, 배출봉(5)의 요홈조(8)와 인서트(6)의 돌출조(7)가 상호 결합되게 한다.
이에 따라 배출봉(5)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일정량의 힘이 배출봉(5)에 가해질 때에만 배출봉(5)이 슬라이딩되게 하여 주사바늘(4) 내부의 약물(52)이 배출된다. 결국 운반중에 배출봉(5)이 움직여 그 내부의 약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렇게 약물이 투여될 동물의 마리수에 맞게끔 미리 준비된 약물충전캡슐을 축사로 운반하고 그 약물투입기에 의해 동물의 피하지방층에 약물을 투여하게 된다.
도 6도 내지 도 13의 작동 과정도에 의해 약물충전캡슐의 장전 및 약물배출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본체(21)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구(14)를 누르면 그 걸림구(14)에 고정되어 있던 홀더(10)가 힌지축(11)을 축점으로 회전되며 홀더(10)의 후측이 상승하게 되는데, 개방된 홀더(10)의 내부에 상기한 약물충전캡슐(1)을 삽입한다.
즉, 홀더(10)의 자동상승작용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0)는 그 힌지축(11)에 복귀스프링(12)이 삽입되어 있고, 그 복귀스프링(12)은 홀더(10)와 본체(21)를 서로 탄력지지하고 있는 것이며, 홀더(10)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홀더(10)에 형성된 걸림공(13)에 걸림구(14)가 걸리게 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반대로 걸림구(14)를 본체(21)의 측면으로부터 압압하면 그 걸림구(14)가 홀더(10)의 걸림공(13)으로부터 이탈하며 복귀스프링(12)에 탄설된 홀더(10)가 복귀스프링(12)의 반발력에 의해 상승된다.
따라서, 이렇게 상승된 홀더(10)에 약물(52)이 충전된 약물충전캡슐(1)을 삽입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물충전캡슐(1)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승된 홀더(10)를 다시 하강시켜 홀더(10)의 걸림공(13)과 본체(21)의 걸림구(14)가 서로 걸리게 되어 홀더(10)가 탄력 고정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1) 후측의 누름레버(29)를 압압하면 본체(21) 내의 누름레버(29) 단부와 서로 접촉된 이중슬리브의 내봉(22) 및 외관(23)을 압압하게 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레버(29)가 완전히 압압된 상태에서는 그 이중슬리브의 내봉(22) 단부에 형성된 걸림구(25)가 제2고정블록(46)의 걸림홈(47)에 삽입되어 내봉(22)이 고정된다.
상기한 내봉(22)은 가이드봉(26)에 삽입되어 그 내봉(22)의 걸림구(25)에 탄설된 가이드스프링(27)을 압축한 상태로 제2고정블록(46)의 걸림홈(47)에 걸려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외관(23)은 누름레버(29)의 지속적인 압압에 의해 본체(21)의 홀더(10)측으로 밀려가서 약물충전캡슐(1)을 본체(21)의 전측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약물충전캡슐(1)은 홀더스프링(15)을 압축시키며 주사바늘(4)을 포함한 밀폐캡(2)이 홀더(10)를 지나 본체(21)의 일측으로 노출된다.
아울러, 상기한 누름레버(29)의 지속적인 압압에 의해 외관(23)은 제1고정블록(44)을 지나게 되고, 그 외관(23)이 제1고정블록(44)을 지나침과 동시에 누름레버(29)가 본체(21)의 외측 후츠단에 닿아 더이상 압압될 수 없으므로 그 누름레버(29)를 다시 놓으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레버(29)는레버스프링(28)에 의해 본체(21)의 후측으로 탄력 복원된다.
이러한 누름레버(29)의 후퇴작용에 의해 누름레버(29)의 압압력이 제거되면 외관(23)은 홀더스프링(15)의 탄발력에 의해 다시 후퇴하려는 힘을 받게 되나, 외관(23)의 후측단이 제1고정블록(44)에 걸려진 상태임으로 후퇴하지 못하고 외관(23)은 위치 고정된다.
또한, 본체(21) 전방의 작동캡(40)은 로드스프링(42)에 의해 탄설된 작동로드(41)로 인하여 본체(21)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려는 힘을 받고 있으므로, 작동캡(40)은 본체(21)의 전방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본체(21)와 벌어져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약물충전캡슐(1)의 밀폐캡(2) 단부는 홀더(10) 및 본체(21)와 그 작동캡(40)을 통과하여 외부로 일정거리 노출된 상태가 된다.
도 9에 도시한 내용은, 약물충전캡슐(1)이 장전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약물충전캡슐(1)의 밀폐캡(2)을 그 장전몸체(3)로부터 제거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밀폐캡(2)을 제거하게 되면 그 내부의 주사바늘(4)이 노출되어 동물의 피하에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물의 피하에 상기의 노출된 주사바늘(4)을 삽입하면 동물의 피부(53)를 뚫고 주사바늘(4)이 피하지방층(51) 및 근육층(50)에 삽입되고, 본체(21) 전측의 작동캡(40)이 동물의 피부(53)에 눌리면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작동로드(41)가 작동아암(43)을 회전시켜 제1고정블록(44)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외관(23)의 후퇴를 막고 있던 제1고정블록(44)으로부터 외관(23)이 자유롭게 되면서 외관(23)에 의해 홀더스프링(15)을 압축하고 있던 약물충전캡슐(1)의 주사바늘(4)과 장전몸체(3)는 외관(23)과 함께 신속하게 후퇴하게 된다.
따라서 외관(23)만이 후퇴하고 그 내봉(22)은 후퇴하지 않으므로 내봉(22)과 밀착된 약물충전캡슐(1)의 배출봉(5)은 후퇴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주사바늘(4) 내부의 약물(52)은 배출봉(5)에 걸려 동물의 피하지방 및 근육층내에 잔류하게 되고 주사바늘(4)은 후퇴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후퇴하는 외관(23)의 후측 단부는 다시 제2고정블록(46)에 당접되면서 경사면(48)(48')이 형성된 제2고정블록(46)을 그 외관(23)의 후퇴력에 의해 하부로 압압하여 하강토록 하며, 제2고정블록(46)이 하강됨과 동시에 그 제2고정블록(46)의 걸림홈(47)에 삽입되어 있던 내봉(22)의 걸림구(25)는 걸림홈(47)으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내봉(22)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된 가이드스프링(2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측으로 고속 후퇴된다.
따라서, 내봉(22)이 후퇴함에 따라 내봉(22)으로부터 이탈된 배출봉(5)은 후퇴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장전몸체(3)의 후퇴작용에 의해 장전몸체(3)에 걸려 있던 배출봉(5)도 함께 후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체약물주입기는 주사바늘(4)이 먼저 후퇴하고 일정간격 후 배출봉(5)이 후퇴하므로 그 주사바늘(4) 내부의 약물(52)만이 동물의 피하속에 잔류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1) 내부의 누름레버(29),작동캡(40) 및 이중슬리브는 모두 최초의 홀더(10) 장착상태가 되며, 장전몸체(3)는 후퇴되고 그 내부의 배출봉(5)은 전진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동물의 근육층(50) 및 피하지방층(51)에 잔류하는 약물(52)의 영향에 의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육층(50)은 강화되고, 피하지방층(51)은 약화되어 양질의 근육질을 갖는 돈육을 대량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약물이 투입된 약물충전캡슐(1)은 다시 본체(21)의 걸림구(14)를 눌러 홀더(10)의 홀더스프링(15)에 의해 홀더(10)가 상향 회전되게 한 다음 약물(52)이 배출된 약물충전캡슐(1)을 그 홀더(10)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약물충전캡슐(1)을 홀더에 삽입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동물의 피하층에 약물을 자동으로 투여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입기에 약물충전캡슐을 장전하고 주사바늘을 동물의 피부에 찔러 넣기만 하면 동시에 약물이 투입되면서 주사바늘이 후퇴하므로 약물 투여과정이 매우 신속하면서도 단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고체약물 투입기는 약물충전캡슐이 장전된 투입기를 동물의 피부에 찌르기만 하면 자동으로 약물의 투여 및 주사바늘을 후퇴시키므로 약물투여과정이 매우 단순하고 신속하므로 별도의 도움자 없이도 혼자서 신속하게 대량의 동물에 약물을 투여할 수 있음은 물론 약물투여시간이 매우 짧아 동물이 받는 스트레스가 거의 없으면서도 투입기의 반영구적인 사용 및 소독된 약물충전캡슐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사육경비를 절감하면서도 이에 따른 폐기물 배출이 거의 없으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장전몸체의 선단에 고정되고 내부에 약물이 삽입되는 주사바늘과, 상기 장전몸체 및 주사바늘에 삽입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전후진되면서 상기 약물을 밀어내는 배출봉으로 구성되는 약물충전캡슐;
    상기 약물충전캡슐이 장전되는 본체;
    상기 배출봉을 밀게 되고 상기 본체의 후측을 향해 탄지되며 후측단에 후측걸림구가 형성되는 내봉과, 이 내봉이 중심부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내봉과 함께 전진되었다가 상기 장전몸체의 후진시 함께 후진하게 되며 상기 내봉의 길이보다 짧은 외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약물충전캡슐과 동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이중슬리브;
    상기 본체에서 후측 방향으로 탄지되고 상기 이중슬리브를 밀게 되며 중심부에 인입홈이 형성되는 누름레버;
    상기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작동캡;
    상기 작동캡에 연결되고 탄지된 채 전후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의 끝단에 접촉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드의 전후진에 따라 힌지 회전하게 되는 작동아암;
    상기 작동아암과 결합되어 작동아암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되면서 상기 회관의 후측단을 선택적으로 걸게 되는 제1고정블록; 및
    상기 후측걸림구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승하강 방향으로 탄지된 채 상기 본체 후측에 설치되는 제2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고체약물투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봉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장전몸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장전몸체에 돌출조가 형성된 인서트를 내장하고, 상기 배출봉에 상기 돌출조에 대응되는 요홈조가 형성되는 고체약물투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충전캡슐이 탄지되면서 장전되도록 하는 장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측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를 더 포함하는 고체약물투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본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홀더는 힌지축에 삽입된 복귀스프링에 의해 탄지되고, 걸림공을 가진 연장편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탄지되면서 상기 걸림공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전측걸림구가 설치되는 고체약물투입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봉을 탄지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의 상측에 가이드봉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봉에 삽입되는 가이드스프링의 양측이 상기 본체와 후측걸림구의 일면에 밀착되는 고체약물투입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의 양측에 바깥쪽을 향해 경사진 복수의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는 고체약물투입기.
KR10-2002-0008564A 2002-02-18 2002-02-18 고체약물투입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419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564A KR100419057B1 (ko) 2002-02-18 2002-02-18 고체약물투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564A KR100419057B1 (ko) 2002-02-18 2002-02-18 고체약물투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891A KR20030068891A (ko) 2003-08-25
KR100419057B1 true KR100419057B1 (ko) 2004-02-18

Family

ID=3222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5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19057B1 (ko) 2002-02-18 2002-02-18 고체약물투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0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8883A (en) * 1991-05-02 1993-07-20 Eli Lilly And Company Portable drug delivery system
JPH05285219A (ja) * 1992-03-05 1993-11-02 Habley Medical Technol Corp 流体の注射を行なうための注射器アセンブリ
JPH07250895A (ja) * 1994-01-27 1995-10-03 Nippon Iirai Lilly Kk 注射装置
KR19990070431A (ko) * 1998-02-20 1999-09-15 성재갑 투여장치
KR101242060B1 (ko) * 2010-12-24 2013-03-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철도차량의 신뢰도 및 가용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8883A (en) * 1991-05-02 1993-07-20 Eli Lilly And Company Portable drug delivery system
JPH05285219A (ja) * 1992-03-05 1993-11-02 Habley Medical Technol Corp 流体の注射を行なうための注射器アセンブリ
JPH07250895A (ja) * 1994-01-27 1995-10-03 Nippon Iirai Lilly Kk 注射装置
KR19990070431A (ko) * 1998-02-20 1999-09-15 성재갑 투여장치
KR101242060B1 (ko) * 2010-12-24 2013-03-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시철도차량의 신뢰도 및 가용도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891A (ko)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580B1 (ko) 비침 비경구 삽입장치
US4105030A (en) Implant apparatus
DE3851229T2 (de) Medizische spritze.
DE69918242T2 (de) Sicherheitsspritze
US4995869A (en) Mono-use syringe for hypodermic injections
HUE029217T2 (en) Injection device
CA1202843A (en) Devices which are adapted to slowly release chemicals, such as hormones, drugs and minerals
DE1491788A1 (de) Injektor fuer Medikamente
PT2758102E (pt) Dispositivo automático de injeção
PT1891911E (pt) Sistema de aplicação de lentes
US6544545B1 (en) Needle-less parenteral introduction device
CN202113444U (zh) 一种胰岛素专用注射器
EP3381386B1 (en) Tools for subcutaneous device insertion
DE102004020374A1 (de) Vorrichtung zur Verabreichung eines injizierbaren Produkts mit gesicherter Dosiereinrichtung
KR100419057B1 (ko) 고체약물투입기
CN109310822A (zh) 注射装置
JPH11506668A (ja) 注射用投げ矢装置
KR200173534Y1 (ko) 주사 확인 기능을 갖는 주사기
JP3499136B2 (ja) 動物用注射針
KR100275915B1 (ko) 자가주사용구
CN209392151U (zh) 一种畜牧兽医用的家禽注射器
CN213525675U (zh) —种兽医用动物喂药器
CN2265175Y (zh) 远距离不靠近注射器
CA2390894A1 (en) Non-reusable syringe
MXPA05005606A (es) Procedimiento para la identificacion y seguimiento de animales mediante el uso de dispositivos electronicos de identificacion (transpondedo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9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