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18693B1 - 비상용 수동승강기 - Google Patents

비상용 수동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693B1
KR100418693B1 KR10-2000-0051741A KR20000051741A KR100418693B1 KR 100418693 B1 KR100418693 B1 KR 100418693B1 KR 20000051741 A KR20000051741 A KR 20000051741A KR 100418693 B1 KR100418693 B1 KR 100418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hatch
plate
emergency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2405A (ko
Inventor
김정원
Original Assignee
김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원 filed Critical 김정원
Priority to KR10-2000-0051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693B1/ko
Publication of KR20000072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2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와 같은 재난 시에 비상탈출에 사용되는 수동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일측에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는 승강스크루에 승강구를 설치하고, 다수의 인원이 탑승할 수 있는 일정 크기의 승강구와 회전자를 구비하며, 승강스크루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승강구를 상승시키고, 회전자와 승강스크루의 고정을 해제하여 승강구 및 탑승자의 중량에 의해 하강하도록 한 비상용 수동승강구에 관한 것으로 1회 운행으로 다수의 인원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전력 등의 동력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비상용 수동승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비상용 수동승강기 {A hand elevator for an emergency}
본 발명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기타 재난 시에 비상탈출에 사용되는 수동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물의 일측에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는 승강스크루에 승강구를 설치하고, 다수의 인원이 탑승할 수 있는 일정 크기의 승강구와 회전자를 구비하며, 승강스크루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승강구를 상승시키고, 회전자와 승강스크루의 고정을 해제하여 승강구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한 비상용 수동승강구에 관한 것으로 1회 운행으로 다수의 인원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전력 등의 동력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비상용 수동승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종래 고층 건물에서 화재 발생 등의 비상시 긴급 대피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 가지의 기구와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대표적인 예로서, 비상구나 창문 또는 옥상 등에 일단을 가설하고 다른 일단은 지상으로 늘어뜨려 탈출통로를 구성하게 하는 비상 탈출 대를 설치하거나, 또는 줄사다리나, 로프를 이용하는 완강기 등을 설치하는 예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모두가 구조적으로 안정된 대피수단이 되지 못할 뿐 아니라 긴급한 상황에서 그 이용 또는 설치에 익숙하지 못하여 소기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폐단이 있으며, 특히 일시에 많은 인원을 신속히 대피시킬 수 없고 또한 사용높이에 제한을 받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개개인이 사용하게된 완강기 등의 경우에는 그 구성이 개개인 즉, 1인씩만을 대피시키는 것이어서 짧은 시간에 많은 인원을 대피시키는 것은 극히 제한되고 탈출할 때에 위험이 따르며, 특히 아동들이나 부녀자들에게는 심적인 불안감이 매우 크게 작용하여 안정되게 탈출을 기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하여 대피 도중에 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폐단을 해소할 수 있는 비상용 수동승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력 등의 동력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동으로 승강기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비상시에 대피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비상용 수동승강기를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회의 운행에 다수의 인원을 탑승시켜 노약자와 보호자가 동시에 탑승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인원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기의 작동 방법을 극히 단순화 시켜 대피자는 보다 용이하게 대피 할 수 있도록 한 비상용 수동승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은, 건물(A)의 일측에 승강스크루(4)와 브레이크봉(5)을 세워 설치하고, 승강스크루와 브레이크봉(5)의 상단은 지지대(4-2)에 의해 고정시키되 승강스크루(4)의 하단은 웜휠(14-1)과 일체로 형성하여 스러스트베어링을 내장한 받침틀(17)에 의해 받쳐지도록 하고 상단은 레디얼베어링(4-1)에 의해 지지하도록 하며, 받침틀(17)의 외주에 쇼크업쇼바(18)를 설치하여 안착부(3)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스크루(4)에는 승강구(2)를 설치하되, 승강구(2)에는 승강판(8)의 중심부에 자동하강장치(6)를 설치하고 일측에 브레이크장치(7)를 장착하며, 상기 자동하강장치(6)는 승강판(8)의 중심부에 회전자(9)를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하고, 승강판(8)의 일측에 가이드공(8-1)을 형성하여 가이드공(8-1)에는 브레이크봉(5)을 통과시키도록 하고, 상기 회전자(9)는 내측의 중심부에는 암나사(9-1)를 형성하고 상단에는 래치기어(9-4)를 형성하며, 래치기어(9-4)를 단속하도록 한 멈춤쇠(11)는 축봉(12)의 하단에 고정하고, 축봉(12)의 상단에는 레버(13)를 형성한 것과, 상기 브레이크장치(7)는 전후방에 한 쌍으로 대향하도록 지지판(20)을 설치하고, 지지판(20)의 내측으로 라이닝(28)을 구비한 한 쌍의 밀편(27)을 브레이크봉(5)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며, 밀편(27)의 상단은 축봉(26)에의해 지지판(20)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밀편(27)의 하단에는 축봉(27-2)을 돌출 형성하여 링크(30)(31)의 일측 체결공(30-2)(31-2)에 끼우고, 링크(30)(31)의 타측 체결공(30-1)(31-1)과 레버(21)의 회전편(22)에 핀(29)을 끼워 고정하며, 핀(29)의 단부에는 멈춤링(33)을 체결하고, 상기 레버(21)는 포크형상으로 회전편(22)의 두 갈래로 형성하며, 회전편(22)의 축공(22-1)과 체결공(22-2)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판(20)에 돌출 형성한 보스(24)와 축공(22-1)에 축봉(23)을 끼워 레버(21)를 고정하고, 지지판(20)의 하단에 형성한 결속공(40)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승강판(8)에 고정하는 것과, 상기 안착부(3)는 승강스크루(4)의 하단에 웜휠(14-1)을 일체로 형성하고, 웜휠(14-1)의 하단부에 스러스트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내장한 받침틀(17)로 승강스크루(4)를 지지한 것과, 웜휠(14-1)에 맞물리는 웜(14)을 횡 방향으로 설치하며, 윔(14)의 일측에 핸들(15)과 손잡이(16)를 구비하고, 받침틀(17)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의 쇼크업쇼바(18)를 설치하여서된 비상용 수동승강기(1)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수동승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수동승강기의 승강구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수동승강구의 자동하강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사시도.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수동승강구의 브레이크장치를
보인 상세도로서,
도4a는 브레이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b는 브레이크장치를 보인 조립상태의 사시도이며,
도4c는 브레이크장치를 보인 조립상태의 정면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수동승강구의 안착부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수동승강기 2: 승강구 3: 안착부
4: 승강스크루(Screw) 4-1: 레디얼베어링 4-2: 지지대
5: 브레이크봉(Brake-post) 6: 자동하강장치 7: 브레이크장치
8: 승강판 9: 회전자 9-4: 래치(ratchet)기어
10-1: 스러스트(thrust)베어링 10-2: 레디얼(radial)베어링
11: 멈춤쇠 12: 축봉 13, 21: 레버
14: 웜 14-1:웜휠 15: 핸들
17: 받침틀 18: 쇼크업쇼바(shock absorber)
20: 지지판 22: 회전편 22-1, 27-1: 축공
22-2, 25, 30-1, 30-2, 31-1, 31-2: 체결공 23, 26, 27-2: 축봉
24: 보스 27: 밀편 28: 라이닝
29: 핀 30, 31: 링크 33: 멈춤링
40: 결속공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른 비상용 수동승강기는 승강구(2)와 안착부(3)와 승강스크루(4) 및 브레이크봉(5)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승강구(2)에는 승강판(8)과 자동하강장치(6)와 브레이크장치(7)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수동승강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수동승강기의 승강구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수동승강기의 자동하강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수동승강기의 브레이크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조립상태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수동승강기의 안착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A)의 외벽 외측으로 승강스크루(4)와 브레이크봉(5)을 세워 설치하며, 승강스크루(4)의 하측부에는 안착부(3)를 형성하고, 상단부는 건물의 옥상과 연결 지지하도록 한 지지대(4-2)에 의해 지지하며, 지지대(4-2)는 레디얼베어링(4-1)을 내설한 것으로 승강스크루(4)가 회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승강스크루(4) 및 브레이크봉(5)은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건물의 높이에 따라 설계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조립방법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 이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시 및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스크루(4)에 형성되는 나선은 2줄 톱니나사로 형성한 것으로 수직 하중에 견디도록 하면서, 안정적으로 보다 빠른 속도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브레이크봉(5)은 테이퍼진 형상 즉, 아래쪽이 굵고 위쪽이 가는 형상모양이며, 하단부를 지면에 고정하고 상단부은 지지대(4-2)에 고정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2)는 성인기준으로 6명 이상이 탑승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제작한 것으로 승강판(8)의 중앙부에 승강스크루(4)와 연동하는 자동하강장치(6)를 설치하고, 승강판(8)의 일측에는 브레이크봉(5)이 관통하는 부분에는 가이드공(8-1)을 형성하며, 가이드공(8-1) 상측에 브레이크장치(7)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자동하강장치(6)는 승강판(8)의 중앙에 회전자(9)를 굴대장착하고, 회전자(9)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기 승강스크쿠(4)와 체결하며, 회전자(9)는 회전가능상태 또는 멈춤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멈춤쇠(11)와 레버(13)를 승강판(8)의 상면 일측에 장착한 것이다.상기 승강판(8)은 저면 중심부에 베어링수납부(8-2)를 형성하여 레디얼베어링(10-2)을 장착하고, 상면 중심부에는 베어링수납부(8-3)를 형성하여 스러스트베어링(10-1)을 장착한 한 것이다.
또한 승강판(8)에는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공(8-1)을 형성하고, 가이드공(8-1)은 브레이크봉(5)이 관통하도록 한 것이다.승강구(2)내에 통과하는 승강스크루(4) 및 브레이크봉(5)의 외주에는 각각 안전망(2-1)(2-2)을 설치하여 대피자는 승강스크루(4) 및 브레이크봉(5)에 찰과상을 입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 자동하강장치(6)를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자(9)와 승강판(8) 사이에 스러스트베어링(10-1)과 레디얼베어링(10-2)을 장착하여 회전자(9)가 승강판(8)의 중심에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하고, 승강판(8)의 상단일측에는 래치기구에 의해 회전자(9)의 회전을 단속(회전 가능 또는 멈춤상태 유지)하며, 회전자(9)의 내측 중심부에는 암나사(9-1)를 형성하여 승강스크루(4)와 체결시킨 것이다.
상기 회전자(9)의 외주는 다단의 단턱으로 형성하되, 맨 아래쪽에 형성된 환상판(9-2)의 상면에는 상기 승강판(8)의 베어링수납부(8-2)에 장착하는 스러스트베어링(10-1)의 하륜링과 접하도록 하여 승강구(8)에 작용하는 수직하중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도록 하고, 환상판(9-2)의 상측으로 단턱(9-3)을 형성하여, 단턱(9-3)에는 상기 승강판(8)의 베어링수납부(8-3)에 장착한 레디얼베어링(10-2)의 내륜에 장착하여 회전자(9)가 승강판(8)에서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며, 단턱(9-3)의 상측으로 래치기어(9-4)를 형성하고 멈춤쇠(11)가 래치기어(9-4)에 물려 회전자(9)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래치기구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멈춤쇠(11)는 축봉(12)에 고정하며, 축봉(12)의 하단은 승강판(8)의 상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하고, 축봉(12)의 상단에는 레버(13)를 형성하여 멈춤쇠(11)를 일정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브레이크장치(7)는 도4a 내지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조립되는 한 쌍의 지지판(20)의 내측에 한 쌍의 밀편(27)을 브레이크봉(5)의 양측으로 설치하며, 밀편(27)은 링크(30)(21)로 레버(21)와 연결하여 레버(21)의 작동에 의해 밀편(27)의 하단부가 모아지도록 하여 브레이크봉(5)을 압착 파지하도록 하였다.
즉, 지지판(20)의 상단 양측에는 체결공(25)을 형성하고, 하단 양측에는 결속공(40)을 형성하며, 중앙부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 시킨 보스(24)를 형성하고, ‘「’형상의 밀편(27)의 상단에 축공(27-1)을 형성하며 체결공(25)과 축공(27-1)에 축봉을 끼워 넣어 밀편(27)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고정하고, 밀편(27)의 하단부에는 브레이크봉(5)과 접하는 쪽에 라이닝(28)을 고정부착하며, 밀편(27)의 하단부 전후방에는 축봉(27-2)을 돌출 형성하였다.
링크(30)(31)에는 양단에 각각 체결공(30-1)(30-2)(31-1)(31-2)을 형성하고, 체결을 위한 핀(9)에는 단부에 요홈을 형성하며, 레버(21)는 두 갈래로 형성된 회전편(22)을 형성하고, 회전편(22)에는 레버(21)쪽으로 축공(22-1)을 형성하고 단부에는 체결공(22-1)을 형성하여 링크(30)(31)의 체결공(30-2)(31-2)을 밀편(27)의 축봉(27-2)에 끼우고, 핀(29)에 링크(30)의 체결공(30-1)과 링크(31)의 체결공(31-1)과 회전편(22-2)과 와셔(32)를 순차적으로 끼워 넣고 핀(29)의 요홈에 멈춤링(33)을 끼워 고정한다.
레버(21)는 축공(22-1)과 지지판(20)의 보스(24)와 뒤쪽의 지지판(20)의 보스(24)에 축봉(23)을 끼워 고정하며, 레버(21)를 회전시키면 회전편(22)에 체결된 링크(30)(31)가 연동하여 밀편(27)의 라이닝(28)을 브레이크봉(5)에 접하도록 한 것이다.
지지판(20)의 결속공(40)에는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승강판(8)에 형성된 가이드공(8-1)의 상측에 고정한다.
안착부(3)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2)가 하강하여 지면에 닿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으로 승강스크루(4)의 하단에 웜(14)과 웜휠(14-1)을 설치하고, 웜휠(14-1)의 하단에는 스러스트베어링을 내장한 받침틀(17)로 형성하여 승강스크루(4)의 수직하중을 받치며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웜(14)의 회전축에는 핸들(15)과 손잡이(16)를 구비하고, 핸들(15)은 비상시가 아닌 평소에는 벨트풀리로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동모터와 같은 동력수단과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받침틀(17)의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쇼크업쇼바(18)를 설치하며, 쇼크업쇼바(18)는 가스식이나 오일식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유지관리가 용이한 가스식 쇼크업쇼바(18)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화재나 비상시에 동력이 차단되어 건물(A)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수동승강기를 사용하게 된다.
승강구(2)내의 자동하강장치(6)에서 레버(13)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멈춤쇠(11)가 래치기어(9-4)에 걸려지면 회전자(9)는 래치기어(9-4)와 멈춤쇠(11)에 의해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승강판(8)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브레이크장치(7)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로드가 걸리지 않으므로 브레이크봉(5)을 압착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지상에서 핸들(15)또는 손잡이(16)를 회전시키면 웜(14)이 회전하고, 웜(14)과 연동된 웜휠(14-1)이 회전하여 승강스크루(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승강스크루(4)의 회전에 의해 회전자(9)의 암나사(9-1)가 연동하는데 회전자(9)와 승강판(8)은 고정된 상태이고, 승강판(8)은 가이드공(8-1)과 브레이크봉(5)에 걸려지므로 결국 승강구(2)는 회전하지 않고 상승한다.
임의의 위치에서 핸들(15)의 작동을 멈추면 웜(14)과 웜휠(14-1)의 기어특성상 브레이크역할을 하기 때문에 승강구가 자유낙하하지는 않는다.
임의의 위치 즉, 대피자가 탑승할 수 있는 높이에서 승강구를 멈춰 세우고 출입구(도시하지 않음)를 닫은 다음 자동하강장치(6)의 레버(13)를 시계방향으로회전시켜 래치기어(9-4)에서 멈춤쇠(11)를 걸림 해제시키면 탑승자의 중량과 승강구의 중량에 의해 자유하강을 하는 것이며, 승강스크루(4)는 멈춰진 상태이고 승강판(8)은 하강만을 하는 것으로 회전자(9)만이 나선을 따라 회전한다.
회전자(9)의 암나사와 승강스크루(4)의 수나사 사이에서 마찰력이 생겨 천천히 하강을 시작하게되며 중력가속도에 의해 점차 하강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지면에 다다를 때에 승강판(8)의 저면이 쇼크업쇼바(18)에 닿게 되며 쇼크업쇼바(18)가 승강판(8)의 하강속도를 순간적으로 감속시킴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승강구(2)는 자유 하강하는 것으로 하강속도가 빠르다고 판단 될 경우 브레이크장치(7)를 사용하게 된다.
브레이크장치(7)의 작동은 레버(21)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봉(23)을 중심으로 회전편(22)은 링크(30)(31)를 끌어올리며, 링크(30)(31)는 축봉(27-2)을 가운데 방향으로 당기고, 밀편(27)은 축봉(2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라이닝(28)이 브레이크봉(5)을 압착파지하며 라이닝(28)과 브레이크봉(5)의 마찰력에 의해 브레이크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특히, 브레이크봉(5)은 아래쪽이 굵은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레버(21)의 회전각을 동일하게 할 때에 압착 파지력이 높아져 라이닝(28)과 브레이크봉(5)사이의 마찰력이 커지는 것으로 브레이크기능이 보다 효과적으로 높아지는 것이다.
지상에 닿은 승강구(2)에서 탑승자(대피자)는 내리게 하고, 재차 상승시킬 경우 자동하강장치(6)의 레버(13)를 고정위치로 회전시켜 회전자(9)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핸들(15)을 돌려 탑승위치까지 상승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승강구(2)를 수동으로 상승시키고 자중에 의해 하강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건물(A)의 내에 있는 대피자를 신속하게 대피/탈출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수동승강기는 동력(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에서 단시간에 많은 인원을 대피시킬 수가 있는 것이며 구성이 단순하여 고장의 우려는 거의 없고, 승강구(2)내에서의 작동요령은 극히 단순하여 노약자나 부녀자 또는 기계에 대해 막연한 거부감이 있는 사람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웜(14)과 웜휠(14-1)의 기구적인 구성을 이용한 것으로 웜휠(14-1)과 승강스크루(4)를 회전시켜 승강구(2)를 상승시키는 데 있어서 적은 힘으로도 가능한 것이다.

Claims (4)

  1. 건물(A)의 일측에 승강스크루(4)와 브레이크봉(5) 세워 설치하되, 승강스크루(4)는 상단을 지지대(4-2)의 끝단 저면에 굴대장착하고, 승강스크루(4)의 하단은 웜휠(14-1)과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브래이크봉(5)의 상단은 지지대(4-2)의 저면일측에 고정장착하고, 하단은 바닦에 고정시시킨 것과,
    상기 웜휠(14-1)은 스러스트베어링을 내장한 받침틀(17)에 의해 받쳐지도록 하여 굴대장착한 것과,
    상기 승강스크루(4)에는 소정의 크기로 제작되어 소수의 인원이 탑승이 가능한 승강구(2)를 설치하되, 승강구(2)는 승강판(8)의 중심에는 상기 승강스크루(4)에 나사결합한 자동하강장치(6)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판(8)의 일측에 상기 브레이크봉(5)을 관통시켜 브레이크봉(5)의 외표면과 밀착하여 마찰력에 의해 제동하는 브레이크장치(7)를 장착한 것과,
    상기 승강구(2)의 바닦이 지면에 닿을 때 충격흡수를 위한 안착부(3)를 지면에 설치하여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수동승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자동하강장치(6)는,
    상기 승강판(8)의 상면중심부에 레디얼베어링(10-2)을 장착하고, 승강판(8)의 저면중심부에는 스러스트베어링(10-1)을 장착한 것과,
    상기 스러스트베어링(10-1)과 레디얼베어링(10-2)에 회전자(9)를 굴대장착하되, 회전자(9)는 상기 스러스트베어링(10-1)의 하륜를 받치도록 환상판(9--2)을 형성하고, 환상판(9-2)의 상측에 단턱(9-3)을 형성하여 단턱(9-3)에 상기 레디얼베어링(10-2)의 내륜을 장착하며, 단턱(9-3)의 상측에는 래치기어(9-4)를 형성하고, 중심부에는 암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승강스크루(4)와 체결한 것과,
    상기 회전자(9)의 회전상태를 멈춤상때 또는 움직임 가능한 상태로 단속하는 멈춤쇠(11)를 축봉(12)에 고정장착하고, 축봉(12)은 승강판(8)의 상면일측에는 굴대장착하며, 축봉(12)의 상단에는 레버(13)를 고정장착 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수동승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레이크장치(7)는, 전후방에 한 쌍으로 대향하도록 지지판(20)을 설치하고, 지지판(20)의 내측으로 라이닝(28)을 구비한 한 쌍의 밀편(27)을 브레이크봉(5)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며, 밀편(27)의 상단은 축봉(26)에 의해 지지판(20)에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밀편(27)의 하단에는 축봉(27-2)을 돌출 형성하여 링크(30)(31)의 일측 체결공(30-2)(31-2)에 끼우고, 링크(30)(31)의 타측 체결공(30-1)(31-1)과 레버(21)의 회전편(22)에는 핀(29)을 끼워 고정하며, 핀(29)의 단부에는 멈춤링(33)을 체결하고, 상기 레버(21)는 포크형상으로 회전편(22)을 두 갈래로 형성하며, 회전편(22)에는 축공(22-1)과 체결공(22-2)을 형성하여 지지판(20)에 돌출 형성된 보스(24)와 축공(22-1)에 축봉(23)을 끼워 레버(21)를 고정하며, 지지판(20)의 하단에 형성한 결속공(40)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승강판(8)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수동승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안착부(3)는 승강스크루(4)의 하단에 웜휠(14-1)을 일체로 형성하고, 웜휠(14-1)의 하단부에 스러스트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내장한 받침틀(17)로 승강스크루(4)를 지지하며, 웜휠(14-1)에 맞물리는 웜(14)을 횡 방향으로 설치하고, 윔(14)의 일측에 핸들(15)과 손잡이(16)를 구비하며, 받침틀(17)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의 쇼크업쇼바(18)를 설치하여서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수동승강기.
KR10-2000-0051741A 2000-09-01 2000-09-01 비상용 수동승강기 KR100418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741A KR100418693B1 (ko) 2000-09-01 2000-09-01 비상용 수동승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741A KR100418693B1 (ko) 2000-09-01 2000-09-01 비상용 수동승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405A KR20000072405A (ko) 2000-12-05
KR100418693B1 true KR100418693B1 (ko) 2004-02-11

Family

ID=1968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741A KR100418693B1 (ko) 2000-09-01 2000-09-01 비상용 수동승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616B1 (ko) * 2013-04-24 2014-11-12 (주)금영제너럴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및 이의 제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8621A (en) * 1985-08-16 1988-09-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system
JPS6445676U (ko) * 1987-09-17 1989-03-20
JPH0723771U (ja) * 1993-10-04 1995-05-02 サンデン株式会社 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8621A (en) * 1985-08-16 1988-09-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system
JPS6445676U (ko) * 1987-09-17 1989-03-20
JPH0723771U (ja) * 1993-10-04 1995-05-02 サンデン株式会社 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2405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209B1 (ko) 모노레일을 이용한 비상탈출장치
CN102946946B (zh) 紧急逃生装置
KR101032877B1 (ko) 비상탈출장치
KR101117277B1 (ko) 비상탈출장치
US5368131A (en) Powerless emergency elevator
JP4672017B2 (ja) 救命装備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CN102631753A (zh) 一种可往复楼层作业的电动救生升降器
CN117180651A (zh) 一种往复式灾难救生装置
KR100418693B1 (ko) 비상용 수동승강기
KR20100107539A (ko) 고층건물용 비상 완강장치
EP0020825A1 (en) Apparatus for the transfer of loads from one level to another
KR102169896B1 (ko) 안전 대피장치
KR100907005B1 (ko) 리프트형 완강기
KR102448734B1 (ko) IoT 기반 휠체어 안전대피장치
JPH11322284A (ja) 家庭用昇降設備
WO2013009076A2 (ko) 비상탈출장치
CN110152213B (zh) 高层楼宇火灾连缀自降式逃生装置
KR200346396Y1 (ko) 완강기
KR102237673B1 (ko) 안전 대피장치
KR102639113B1 (ko) 화재 및 재난 피난장치
KR200389633Y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승강카
KR102701646B1 (ko) 하강속도 안전성을 향상시킨 하향식 비상 피난장치
JP3002331U (ja) 緊急避難用吊り篭における下降速度制御装置
KR100638258B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용 승강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