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18397B1 -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 - Google Patents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397B1
KR100418397B1 KR10-2002-0010897A KR20020010897A KR100418397B1 KR 100418397 B1 KR100418397 B1 KR 100418397B1 KR 20020010897 A KR20020010897 A KR 20020010897A KR 100418397 B1 KR100418397 B1 KR 100418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call processing
media gateway
interface unit
proces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268A (ko
Inventor
신동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397B1/ko
Publication of KR20030071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43Gateway controllers, e.g.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softswitch)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갖는 콜 프로세싱 모듈과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에 있어서, 콜 프로세싱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객체 풀(Interface Object Pool)을 가지고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와,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의 인터페이스 객체 풀과 별도로 미디어 게이트웨이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위한 객체 풀을 가지고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하나의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는 연결 종점 식별자를 할당하여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와 동적으로 바인딩되어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소프트 스위치에서 콜 프로세싱 모듈과 미디어 게이트웨이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때, 서로간의 의존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softswitch for interfacing between different protocol}
본 발명은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스위치Softswitch)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세대 네트워크(Next Generation Network)의 핵심 기술인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네트워크 구조는 시그널링과 미디어 전송이 분리되어 지원되는 구조로 발전되고 있다. 공중 전화망과 IP 네트워크의 연동에서도 시그널링을 변환 제공하는 부분과, 음성과 비디오 같은 미디어 전송형태를 변환해 주는 부분이 구분되어 지원되고 있다. 소프트 스위치는 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콜 프로세싱 모듈(Call Processing module)과 미디어 전송을 위한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간에 서로 독립적으로 연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송 인터페이스 모듈이다.
도 1은 종래에 소프트 스위치의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 스위치(2)는 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콜 프로세싱 모듈(1)과 미디어 전송을 수행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3)의 연동을 수행한다.
소프트 스위치(2)는 콜 프로세싱 모듈(1)과는 제너릭 메시지 통신(Generic Message Communication)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고, 미디어 게이트웨이(3)와는 MGCP 또는 Megaco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3)는 전화 회선에서 전달되는 정보와 인터넷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패킷들을 상호 변환해주는 네트워크 요소이며, trunking gateways, access gateway, network access servers등이 있다. 또한, ATM 등 인터넷이 아닌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위한 표준을 다룬다
여기서, MGCP는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의 약어로,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콜 프로세싱 요소사이의 통신을 정의한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집중화된 네트웍 인프라구조 수준에서 복잡한 H.323의 명백한 단점을 부분적으로 보완해주며, MGCP의 목표는 게이트웨이의 부담을 줄이고 단순함을 유지하는 것이다. 오디오 신호와 데이터 패킷을 변환시켜 주는 다중서비스 패킷 네트웍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줄이고, 콜에이전트(Call Agent)나 MGC(Media Gateway Controller)에서 호 처리와 제어, 처리를 지능적으로 처리하도록 구현된 프로토콜이다.
MEGACO는 Media Gateway Control의 약어로, 전화망을 비롯한 다양한 망과 인터넷을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요구되는 미디어간 변환 장치인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제어하는 프로토콜을 표준화하는 그룹이다.
이때 소프트 스위치는 콜 프로세싱 모듈과의 인터페이스와 함께, 미디어게이트웨이와의 인터페이스를 함께 담당하여야 한다.
종래의 경우, 소프트 스위치를 구현할 때, 하나의 인터페이스 객체 풀(Interface Object Pool)을 사용하여, 콜 프로세싱 모듈의 인터페이스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를 처리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콜 프로세싱 모듈과의 인터페이스와 미디어 게이트웨이와의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객체에서 수행함으로써, 어느 한 모듈과의 인터페이스가 변경되거나 또는 콜 프로세싱 시퀀스(Call Processing Sequence)가 변경되거나 하는 경우, 양 방향의 인터페이스를 모두 수정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프트 스위치에서 콜 프로세싱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모듈과,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모듈을 서로 독립시킴으로써, 서로간의 의존성을 최소화하는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소프트 스위치의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위치의 전송계층 인터페이스 모듈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콜 프로세싱 모듈로부터 콜셋업(Call Setup)이 요청된 경우의 처리 흐름도.
도 4는 콜 프로세싱 모듈로부터 콜 해제가 요청된 경우의 처리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콜 프로세싱 모듈 20 :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
30 :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 40 : 미디어 게이트웨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갖는 콜 프로세싱 모듈과 미디어 게이트웨이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에 있어서, 콜 프로세싱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객체 풀을 가지고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와,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의 인터페이스 객체 풀과 별도로 미디어 게이트웨이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객체 풀을 가지고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하나의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는 연결 종점 식별자를 할당하여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와 동적으로 바인딩되어 통신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해 보자.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위치의 전송계층 인터페이스 모듈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콜 프로세싱 모듈(10)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20)와 그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20)와 동적으로 바인딩되며, 미디어 게이트(4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20)는 콜 프로세싱 모듈(10)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객체 풀을 가지고 있으며, 콜 프로세싱 모듈(10)과 제너릭 메시지 통신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콜 프로세싱 모듈(10)과 통신시 상호간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세션 식별자(session identifier)를 사용한다. 세션 식별자는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20)가 콜 프로세싱 모듈(10)과의 연동시 상호간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식별자이다. 한편, 미디어 게이트웨이(40)와는 동적으로 바인딩되어 있고, 서로간에는 제너릭 메시지 통신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동적으로 바인되었다는 것은 하나의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20)가 하나 이상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3)와 동적으로 바인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30)는 미디어 게이트웨이(40)와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이때, MGCP 또는 Megaco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각각 하나의 객체는 호 식별자(Call Identifier)와 연결 식별자(Connection Identifier)를 할당하여 구분하도록 한다.
아울러,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20)와는 상호간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연결 종점 식별자(Connection Endpoint Identifier)를 할당하여 사용한다. 연결 종점 식별자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30)가 하나의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20)와 동적으로 바인딩될 때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식별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 스위치의 동작을 살펴보도록 하자.
도 3은 콜 프로세싱 모듈로부터 콜셋업(Call Setup)이 요청된 경우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콜 프로세싱 모듈로부터 콜 셋업이 요청되는 경우, 콜 프로세싱 모듈(10)로부터 콜 셋업 요청 메시지(Call Setup Request Message)를 수신한다(S1).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20)에서는 그에 따라 해당 콜 셋업을 위한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 객체를 생성한다(S2).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 객체를 생성한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20)에서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30)에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객체를 생성해 줄 것을 요구하고(S3), 이를 수신한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30)에서는 해당 객체를 생성하여(S4),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 객체와 바인딩을 시킨다(S5). 이때, 두개의 객체는 서로의 상호 작용을 위한 연결 종점 식별자를 공유함으로써, 서로의 상호 작용을 수행하게 한다.
도 4는 콜 프로세싱 모듈로부터 콜 해제가 요청된 경우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콜해제를 수행하는 절차를 살펴보면, 콜 프로세싱 모듈(20)로부터 콜해제를 요청 받는 경우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20)에서 그 콜해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11).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20)에서 콜 해제 요청된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 객체와 바인딩된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객체를 가지고 있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30)에 콜해제를 위한 작업을 요청한다(S12). 이에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30)는 콜해제를 위한 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 완료 결과를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20)에 통보한다(S13).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20)는 해당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객체와의 바인딩을 끊고(S14),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모듈(30)에 해당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객체의 해제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모듈(30)은 생성되었던 미디어웨이 인터페이스 객체를 해제한다(S15).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콜 프로세싱 게이트웨이와의 인터페이스 및 미디어 게이트웨이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각각 별도의 인터페이스 객체 풀을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프로세스가 이 종간의 통신을 인터페이스를 하는 경우, 두 인터페이스 모듈의 독립성을 확보하여 향후 새로운 기술의 접목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갖는 콜 프로세싱 모듈과 미디어 게이트웨이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콜 프로세싱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객체 풀을 가지고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의 인터페이스 객체 풀과 별도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객체 풀을 가지고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나의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는 연결 종점 식별자를 할당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부와 동적으로 바인딩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콜 프로세싱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콜 프로세싱 모듈과의 연동시 상호간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세션 식별자를 이용하는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생성된 각 객체는 호 식별자와 연결 식별자를 할당받아 구분되는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
KR10-2002-0010897A 2002-02-28 2002-02-28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 KR100418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897A KR100418397B1 (ko) 2002-02-28 2002-02-28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897A KR100418397B1 (ko) 2002-02-28 2002-02-28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268A KR20030071268A (ko) 2003-09-03
KR100418397B1 true KR100418397B1 (ko) 2004-02-11

Family

ID=3222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897A KR100418397B1 (ko) 2002-02-28 2002-02-28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607B1 (ko) * 2002-05-09 2004-02-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망연동 게이트웨이의 관리방법
KR100479262B1 (ko) * 2002-10-12 2005-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랜 호 제어 시스템
KR20040048769A (ko) * 2002-12-04 2004-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스위치 시스템에 있어서 부하 분배 장치 및 그 방법
KR101115140B1 (ko) * 2004-06-05 2012-02-21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소프트스위치에서의 sip 호처리시스템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268A (ko)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62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user signaling in H.323 networks
CN100471111C (zh) 在宽带异构网络间电信业务互通的方法和系统
US7746845B2 (en) Support for fax and modem in SIP/SIP-T networks and the interworking of these networks with ISUP+/BICC
EP10562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fault tolerant H.323 systems
US6262978B1 (en) Call completion of video telephone/teleconference call as packet voice call
EP11217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all setup efficiency in multimedia communications systems
EP1107538A2 (en) Bandwidth biased codec selection system and method
US77735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processing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US200402052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legacy IP-PBX systems to SIP networks
WO20010051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cket network media redirection
US20040260824A1 (en) Internet telephony call agent
WO2010133148A1 (zh) 软交换架构下的编解码转换控制方法、媒体网关及系统
US7298747B2 (en) Method of setting up communications in a packet switching system
US69010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mediary layer for VoIP call pipe establishment
US20070041357A1 (en) Interworking of hybrid protocol multimedia networks
US200500186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xy gatekeeper in H.323 based IP telephony systems
KR100418397B1 (ko) 이종 프로토콜간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소프트 스위치
WO2007107102A1 (fr) Dispositif passerelle média d&#39;intégration, système de communication et procédé de commutation de données
KR100554228B1 (ko) 공통 호 처리 방법 및 이에 따른 미디어 게이트웨이 장치
Cisco Glossary: Cisco IP Phone 7905 Administrator's Guide (H.323)
Cisco Glossary
Cisco Glossary
Cisco Glossary
CN100499720C (zh) 一种提供多速率数据信息承载业务的实现方法
KR20050055872A (ko) 브이오아이피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음성데이터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