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16077B1 - 가로수 보호판 - Google Patents

가로수 보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077B1
KR100416077B1 KR10-2001-0070374A KR20010070374A KR100416077B1 KR 100416077 B1 KR100416077 B1 KR 100416077B1 KR 20010070374 A KR20010070374 A KR 20010070374A KR 100416077 B1 KR100416077 B1 KR 100416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oadside
polyol
comp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442A (ko
Inventor
강재신
차병국
Original Assignee
강재신
차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신, 차병국 filed Critical 강재신
Priority to KR10-2001-0070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6077B1/ko
Publication of KR2003003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07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30Ground coverings
    • A01G13/31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 A01G13/20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 A01G13/27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protecting specific parts of plants, e.g. roots, trunks or fr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01C9/005Coverings around trees forming part of the ro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제1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된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 10 ~ 30 중량부; (b) 양말단이 하이드록실기인 제2 폴리올 화합물 30 ~ 50 중량부; (c)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와 상기 제2 폴리올 화합물의 하이드록실기의 부가반응을 촉진하는 촉매화합물 0.05 ~ 0.5 중량부; (d) 입경 5 ~ 20㎛의 충전제 20 ~ 50 중량부; (e) 가소제 1 ~ 5 중량부; 및 (f) 상기 부가반응이 조기에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 0.05 ~ 0.2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상기 제1 및 제2 폴리올 화합물의 총하이드록실기의 몰비가 0.65 ~ 1.3인 조성물이 경화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은 가볍고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보행자 하중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거의 절단되지 않아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로수 보호판{Plate for protecting street trees}
본 발명은 가로수 보호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고 다양한 색상으로 연출할 수 있으며 간단한 제조설비로 제조가능한 폴리우레탄 가로수 보호판에 관한 것이다.
가로수 보호판은 가로수와 보도블록과의 경계부근에 설치되어 가로수 주위의 토양이 보행자에 의하여 굳어져 빗물이 뿌리로 스며들지 않고 증발되거나 가로수 주위의 토사가 유실되어 가로수 생장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가로수 보호판은 콘크리트, PVC 또는 주철로 제조되고 있다.
콘크리트 가로수 보호판은 무게가 매우 무거워 운반이 어렵고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며 내충격성이 불량하여 보행자 하중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절단 등의 파손이 용이하여 수명이 짧고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할 수 없어 미려한 조경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PVC 가로수 보호판은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할 수 있고 가볍지만 이 역시 내충격성이 불량하여 사용수명이 짧은 문제점은 남는다.
주철 가로수 보호판은 기계적 강도는 좋으나 콘크리트 가로수 보호판의 경우와 같이 무게가 무겁고 내충격성이 불량하여 보행자 하중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절단 등의 파손이 용이하여 수명이 짧고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할 수 없어 미려한 조경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가볍고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보행자 하중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거의 절단되지 않으므로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가로수 보호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제1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된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 10 ~ 30 중량부; (b) 양말단이 하이드록실기인 제2 폴리올 화합물 30 ~ 50 중량부; (c)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와 상기 제2 폴리올 화합물의 하이드록실기의 부가반응을 촉진하는 촉매화합물 0.05 ~ 0.5 중량부; (d) 입경 5 ~ 20㎛의 충전제 20 ~ 50 중량부; (e) 가소제 1 ~ 5 중량부; 및 (f) 상기 부가반응이 조기에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 0.05 ~ 0.2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상기 제1 및 제2 폴리올 화합물의 총하이드록실기의 몰비가 0.65 ~ 1.3인 조성물이 경화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관능성 사슬연장제 5 ~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에 있어서, 상기 사슬연장제는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히드라진, 에틸렌디아민, 1,2-디메틸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4,4'-(1,3-페닐렌이소프로필리덴)비스아닐린, 4,4'-(1,4-페닐렌이소프로필리덴)비스아닐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펜타메틸렌 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 글리콜, 관능기 3 ~ 5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올, C3 ~ C10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C2 ~ C10의 지방족 디올 또는 프탈산의 탈수축합되어 생성된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분자량이 200 ~ 4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5-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에 있어서, 상기 촉매화합물은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 테트라 n-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 에틸렌 티타네이트, 스태너스 옥토에이트(stannous octoate), 레드 옥토에이트(lead octoate), 트리에틸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헥사메틸렌 디아민, 디모폴리노 디에틸 에테르, 비스(2,6-디메틸모폴리노) 디에틸 에테르, 비스[2-(4-모폴리노)프로필] 에테르, 비스[2-{4-(2,6-디메틸모폴리노)}프로필] 에테르디에틸렌 트리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탈크,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알루미나, 실리카, 카본 블랙, 점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파라핀 오일, 아로마틱 오일, 캠퍼, 디-이소-옥틸 아디페이트, 디부틸 세바세이트, 디옥틸 세바세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옥틸 프탈레이트, 디메틸 프탈레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톨릴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2-에틸헥실 애시드 포스페이트(2-ethylhexyl acid phosph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은 2조각 ~ 8조각이 조립되어 가로수 주위의 토양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가로수 보호판은 보도블록과의 경계석과 일체형이 되도록 제조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은 가볍고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보행자 하중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거의 절단되지 않아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과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은 기본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제1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된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양말단이 하이드록실기인 제2 폴리올 화합물이 주형틀내에서 경화되어 제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은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제1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된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 10 ~ 30 중량부 (b) 양말단이 하이드록실기인 제2 폴리올 화합물 30 ~ 50 중량부 (c)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와 상기 제2 폴리올 화합물의 하이드록실기의 부가반응을 촉진하는 촉매화합물 0.05 ~ 0.5 중량부 (d) 입경 5 ~ 20㎛의 충전제 20 ~ 50 중량부 (e) 가소제 1 ~ 5 중량부 및 (f) 상기 부가반응이 조기에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 0.05 ~ 0.2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주형틀에 넣고 경화함으로써 제조되는데, 이때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상기 제1 및 제2 폴리올 화합물의 총하이드록실기의 몰비가 0.65 ~ 1.3이 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자는 여러 번의 반복실험을 통하여 상기 몰비가 0.65 미만이면 경화속도가 늦고 경화후의 가로수 보호판의 기계적 강도가 낮으며 치수안정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몰비가 1.3을 초과하면 얻어진 가로수 보호판이 취성(brittle)을 띠게 되어 내충격성이 불량해져서 상술한 종래의 콘크리트제, PVC제 또는 주철제 가로수 보호판의 경우와 같이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은 이관능성 사슬연장제 5 ~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경화된 가로수 보호판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한데, 상기 사슬연장제로서는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히드라진, 에틸렌디아민, 1,2-디메틸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4,4'-(1,3-페닐렌이소프로필리덴)비스아닐린, 4,4'-(1,4-페닐렌이소프로필리덴)비스아닐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펜타메틸렌 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 글리콜, 관능기 3 ~ 5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올, C3 ~ C10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C2 ~ C10의 지방족 디올 또는 프탈산의 탈수축합되어 생성된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되는데, 통상적으로 분자량이 200 ~ 4000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이외에도 아디프산, 프탈산 등의 이염기산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등의 글리콜의 탈수 축중합 생성물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생성시키는데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공지의 많은 종류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예로서는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5-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과 같은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인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상기 제1 폴리올 화합물을 40 ~ 12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3 ~ 10시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말단기가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되려면,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상기 제1 폴리올 화합물의 혼합비는 상기 제1 폴리올 화합물의 수산기 1몰당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는 1.5 ~ 5몰, 바람직하게는 2 ~ 3몰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은 주형틀내에서 상기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상기 양말단이 하이드록실기인 제2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 등을 생성하면서 경화되어 제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경화반응은 트리에틸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헥사메틸렌 디아민 등의 아민계 화합물;디모폴리노 디에틸 에테르, 비스(2,6-디메틸모폴리노) 디에틸 에테르, 비스[2-(4-모폴리노)프로필] 에테르, 비스[2-{4-(2,6-디메틸모폴리노)}프로필] 에테르 등의 모폴린계 화합물;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 테트라 n-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 에틸렌 티타네이트, 스태너스 옥토에이트(stannous octoate), 레드 옥토에이트(lead octoate) 등의 금속계 촉매에 의하여 촉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은 탈크,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알루미나, 실리카, 카본 블랙, 점토 등의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는 이에 의하여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충전제의 입경은 5 ~ 20㎛으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입경이 5㎛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20㎛을 초과하면 가로수 보호판의 표면이 거칠어 지고 신장율, 내충격성,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을 제조하기 위한 최종 조성물은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파라핀 오일, 아로마틱 오일, 캠퍼, 디-이소-옥틸 아디페이트, 디부틸 세바세이트, 디옥틸 세바세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옥틸 프탈레이트, 디메틸 프탈레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톨릴 포스페이트 등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하여 조성물의 흐름성이 향상되어 주형틀에서 셀프-레벨링(self-levelling) 특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파라핀 오일 등은 이외에 소포작용도 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판을 제조하기 위한 최종 조성물은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제2 폴리올 화합물과의 조기경화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를 적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2-에틸헥실 애시드 포스페이트가 사용된다.
상기 안정제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제2 폴리올 화합물을 혼합할 때 바람직하지 않은 조기 경화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데, 그 혼합량이상기한 하한 미만이면 안정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안정제의 양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주형틀내에서의 경화반응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주형틀내로 주입되는 최종 조성물은 또한 공지의 다른 첨가제, 즉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수분이 경화반응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발포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폴리알킬렌옥시디메틸실록산과 같은 소포제, 페놀계의 산화방지제, 히드록시 벤조페논 또는 히드록시 벤조트리아졸계의 자외선흡수제, 계면활성제, 염료 또는 안료와 같은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소망하는 형상의 주형틀을 깨끗이 청소한 후 표면에 이형제을 도포하고 40 ~ 70℃ 정도로 유지시킨다. 이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제1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된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조성물과 양말단이 하이드록실기인 제2 폴리올 화합물의 조성물을 적정량 계량하여 혼합기에 넣은 후 기포가 혼입되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60 ~ 80초 동안 교반한 후 위의 준비된 주형틀에 주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10분 ~ 40분 정도 경화하고 탈형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이 얻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은 2조각 ~ 8조각이 조립되어 가로수 주위의 토양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가로수 보호판은 경계석과 일체형이 되도록 제조될 수도 있는데, 일체형의 경우에는 시공을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시 분리형은 이탈가능성이 있으나 일체형은 이러한 문제점이 없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데,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분자량 400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한국폴리올사, GP-400) 20중량부, 분자량 1000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한국폴리올사, PP-1000) 40중량부, 1,3-부탄디올(니폰카세이사) 1.5중량부,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송원산업, TL-100) 0.05중량부, 실리콘(미국 OSI Specialties사, SAG-100) 0.4중량부, 탈크(왕표산업사, TC-2000) 29.5중량부, 디부틸 프탈레이트(애경화학사, DBP) 4중량부, 유동 파라핀 오일 2중량부, 갈색 착색제(Fe2O3) 0.5중량부, 4,4'-(1,3-페닐렌이소프로필리덴)비스아닐린 2중량부를 배합조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면서 고속교반기로 3시간 교반하여 입도가 20㎛ 이하의 갈색으로 착색된 착색액을 얻었다.
이와 별도로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다우케미칼사, I-125MK) 40중량부를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한 반응기에 투입하고 30rpm으로 교반하면서 분자량 2000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올(한국폴리올사, PP-2000) 45중량부, 디부틸 프탈레이트(애경화학사, DBP) 14중량부를 투입하여 4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2-에틸헥실 애시드 포스페이트 0.1 중량부, 폴리알킬렌옥시디메틸실록산(독일 BYK 케미칼사, BYK-060) 1중량부를 더 투입하고 온도를 80℃로 승온한 후 4시간 더 반응시켜 무색투명의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얻었다.
계속하여 상기 착색액 50중량부와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 50중량부를 계량하여 혼합기에 넣은 후 기포가 혼입되지 않도록 교반기로 60 ~ 80초 동안 교반하여조심스럽게 주형틀에 붓었다. 약 50분 경과후 경화가 완료되었으므로 탈형하여 가로수 보호판을 얻었다.
실시예 2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40중량부 대신에 변형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다우케미칼사, PAPI-135K) 35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 25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얻은 착색액 75중량부를 계량하여 혼합기에 넣은 후 기포가 혼입되지 않도록 교반기로 60 ~ 80초 동안 교반하여 조심스럽게 주형틀에 붓었다. 약 30분 경과후 경화가 완료되었으므로 탈형하여 가로수 보호판을 얻었다. 이 경우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가로수 보호판을 주형틀로부터 약 20분 빨리 탈형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분자량 400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한국폴리올사, GP-400) 15중량부, 분자량 3000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한국폴리올사, GP-3000) 45중량부, 1,3-부탄디올(니폰카세이사) 1.5중량부,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송원산업사, TL-100) 0.05중량부, 실리콘(미국 OSI Specialties사, SAG-100) 0.4중량부, 탈크(왕표산업사, TC-2000) 33중량부, 디부틸 프탈레이트(애경화학사, DBP) 3중량부, 유동 파라핀 오일 2중량부, 초록색 착색제(CyaneGreen) 0.5중량부를 배합조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면서 고속교반기로 3시간 교반하여 입도가 20㎛ 이하의 초록색으로 착색된 착색액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에서 얻은 우레탄 프리폴리머 40중량부와 상기 착색액 60 중량부를 계량하여 혼합기에 넣은 후 기포가 혼입되지 않도록 교반기로 60 ~ 80초 동안 교반하여 조심스럽게 주형틀에 붓었다. 약 80 ~ 90분 경과후 경화가 완료되었으므로 탈형하여 가로수 보호판을 얻었다. 이 경우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탈형시간이 30 ~ 40분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얻어진 가로수 보호판은 실시예 1의 경우에 비하여 내충격성은 더 우수하였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가로수 보호판 각 1개씩 3개와 종래의 주철제 가로수 보호판, 콘크리트제 가로수 보호판 각 1개씩 모두 5개를 경기도 화성군 정남면 귀래리 소재 동건산업공장내 작업장 건물의 바닥면에 시공한 후 6개월간 상태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가로수 보호판과 주철제 가로수 보호판은 깨짐이 없이 원형이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콘크리트제 가로수 보호판은 약 2개월 경과후부터 균열, 깨짐 등의 파손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5 및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가로수 보호판 각 1개씩 3개와 종래의 주철제 가로수 보호판, 콘크리트제 가로수 보호판 각 1개씩 모두 5개에 대하여 30kg 중량의 쇠뭉치를 2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킨 후의 상태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가로수 보호판은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였지만, 주철제 가로수 보호판, 콘크리트제 가로수 보호판은 균열, 깨짐 등의 파손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판은 가볍고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보행자 하중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거의 절단되지 않아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로수 보호판은 여러가지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주철, 콘크리트 등으로 제조된 가로수 보호판에 비하여 도시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없으며, 특수한 고가의 설비투자없이도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시공현장으로의 운반과정중에 미세한 휨 등의 변형이 생겨도 가로수 주위에 시공후 깨짐이 없이 지면에 잘 밀착되는 장점도 있다.

Claims (10)

  1.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제1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된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 10 ~ 30 중량부;
    (b) 양말단이 하이드록실기인 제2 폴리올 화합물 30 ~ 50 중량부;
    (c)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와 상기 제2 폴리올 화합물의 하이드록실기의 부가반응을 촉진하는 촉매화합물 0.05 ~ 0.5 중량부;
    (d) 입경 5 ~ 20㎛의 기계적 강도 향상을 위한 충전제 20 ~ 50 중량부;
    (e) 가소제 1 ~ 5 중량부; 및
    (f) 상기 부가반응이 조기에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 0.05 ~ 0.2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상기 제1 및 제2 폴리올 화합물의 총하이드록실기의 몰비가 0.65 ~ 1.3인 조성물이 경화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관능성 사슬연장제 5 ~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슬연장제는 물,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히드라진, 에틸렌디아민, 1,2-디메틸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4,4'-(1,3-페닐렌이소프로필리덴)비스아닐린, 4,4'-(1,4-페닐렌이소프로필리덴)비스아닐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펜타메틸렌 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 글리콜, 관능기 3 ~ 5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올, C3 ~ C10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C2 ~ C10의 지방족 디올 또는 프탈산의 탈수축합되어 생성된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분자량이 200 ~ 4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5-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가로수 보호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화합물은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 테트라 n-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 에틸렌 티타네이트, 스태너스 옥토에이트(stannous octoate), 레드 옥토에이트(lead octoate), 트리에틸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헥사메틸렌 디아민, 디모폴리노 디에틸 에테르, 비스(2,6-디메틸모폴리노) 디에틸 에테르, 비스[2-(4-모폴리노)프로필] 에테르, 비스[2-{4-(2,6-디메틸모폴리노)}프로필] 에테르디에틸렌 트리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탈크,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알루미나, 실리카, 카본 블랙, 점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파라핀 오일, 아로마틱 오일, 캠퍼, 디-이소-옥틸 아디페이트, 디부틸 세바세이트, 디옥틸 세바세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옥틸 프탈레이트, 디메틸 프탈레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톨릴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2-에틸헥실 애시드 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판.
  10. 제1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수 보호판은 보도블록과의 경계석과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판.
KR10-2001-0070374A 2001-11-13 2001-11-13 가로수 보호판 Expired - Fee Related KR100416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374A KR100416077B1 (ko) 2001-11-13 2001-11-13 가로수 보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374A KR100416077B1 (ko) 2001-11-13 2001-11-13 가로수 보호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442A KR20030039442A (ko) 2003-05-22
KR100416077B1 true KR100416077B1 (ko) 2004-01-24

Family

ID=2956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3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16077B1 (ko) 2001-11-13 2001-11-13 가로수 보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60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00B1 (ko) 2005-05-16 2007-10-26 (주)아이엔 우레탄 조성물
KR100805203B1 (ko) 2007-07-10 2008-02-27 한진케미칼산업(주) 경사면에 균일한 두께로 시공할 수 있는 우레탄 바닥재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963B1 (ko) * 2014-04-17 2016-07-06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기능성 가로수 보호 구조물 시공 방법
KR102089580B1 (ko) * 2018-11-05 2020-03-17 유한회사 한콘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시공성이 우수한 가로수 식목보호 블록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로수 식목보호 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8248A (ja) * 1994-04-08 1995-10-24 Nippon Ratetsukusu Kako Kk ポリウレタン組成物
JPH07292237A (ja) * 1994-04-28 1995-11-07 Bando Chem Ind Ltd ベルト用ポリウレタン組成物
KR19990075640A (ko) * 1998-03-23 1999-10-15 최용호 정형용 부목재
KR200214108Y1 (ko) * 2000-08-22 2001-02-15 주식회사알엔씨 가로수 보호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8248A (ja) * 1994-04-08 1995-10-24 Nippon Ratetsukusu Kako Kk ポリウレタン組成物
JPH07292237A (ja) * 1994-04-28 1995-11-07 Bando Chem Ind Ltd ベルト用ポリウレタン組成物
KR19990075640A (ko) * 1998-03-23 1999-10-15 최용호 정형용 부목재
KR200214108Y1 (ko) * 2000-08-22 2001-02-15 주식회사알엔씨 가로수 보호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00B1 (ko) 2005-05-16 2007-10-26 (주)아이엔 우레탄 조성물
KR100805203B1 (ko) 2007-07-10 2008-02-27 한진케미칼산업(주) 경사면에 균일한 두께로 시공할 수 있는 우레탄 바닥재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442A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81079B (zh) 基于2,2'-mdi的异氰酸酯混合物和它们的制备和用途
US7977424B2 (en) Polymer concrete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ES2284992T3 (es) Elastomeros de poliuretano que tienen propiedades fisicas mejoradas y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on.
KR101361963B1 (ko) 도상 및 도상의 제조 방법
CN101544740B (zh) 一种浇注型常温固化聚氨酯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PL187969B1 (pl) Prepolimery poliuretanowe zawierające grupy alkoksysilanowe i hydantoinowe, sposób ich wytwarzania oraz ich zastosowanie do wytwarzania materiałów uszczelniających
CN103012725A (zh) 一种可无模浇注的胶辊用聚氨酯原液
KR100416077B1 (ko) 가로수 보호판
KR100192201B1 (ko) 습기경화성 1액형 폴리우레탄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4960620A (en) Coating method for room-temperature-cured polyurethanes and polyureas
SK18652001A3 (sk) Polymočovinové polyuretány so zlepšenými fyzikálnymi vlastnosťami
SI9520056A (en) Process for removing polluting material from water or wet solid matter.
KR100684162B1 (ko) 우레탄 시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레탄 시트의시공방법
JP3940476B2 (ja) 舗装用湿気硬化型結合剤
JP3149413B1 (ja) 常温硬化性舗装材
KR100487065B1 (ko) 자기평활성, 환경친화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이성분계폴리우레탄 방수재 및 그에 사용되는 경화제
KR200324451Y1 (ko)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KR20140139814A (ko) 친환경 도로포장용 폴리우레탄 혼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5890B1 (ko) 개질된 식물-유래 폴리올을 포함하는 바이오폴리머 바닥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9286835A (ja) 2液注型用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
KR20190052676A (ko)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용 접착 촉진제 코팅된 입자
EP0235887B1 (en) The use of polyester polyols for preparing microcellular polyurethane elastomers
KR200441076Y1 (ko) 건강보도블럭
JP3780691B2 (ja) 二液硬化型ウレタン組成物及びシーリング材
JP2575776B2 (ja) 常温硬化型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