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15001B1 - 모르티스 로크용 레버 핸들 제어기 - Google Patents

모르티스 로크용 레버 핸들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001B1
KR100415001B1 KR10-2001-7008751A KR20017008751A KR100415001B1 KR 100415001 B1 KR100415001 B1 KR 100415001B1 KR 20017008751 A KR20017008751 A KR 20017008751A KR 100415001 B1 KR100415001 B1 KR 100415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handle
shaft
mortis
lock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1465A (ko
Inventor
후앙리챠드하이
엘러달렌씨.
토마스에이. 펠레티얼
Original Assignee
사전트 매뉴팩츄어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전트 매뉴팩츄어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사전트 매뉴팩츄어링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10101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00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005Disconnecting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27Disconnectable ha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0969Spring projected
    • Y10T292/097Operating means
    • Y10T292/0977Cam
    • Y10T292/0989Plural rollback elements directionally selectively effective
    • Y10T292/099On separate spi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093For closures
    • Y10T70/5155Door
    • Y10T70/5199Swinging door
    • Y10T70/5246Dead bolts
    • Y10T70/5248Multiple
    • Y10T70/5265Sliding and rota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093For closures
    • Y10T70/5155Door
    • Y10T70/5199Swinging door
    • Y10T70/5372Locking latch bolts, biased
    • Y10T70/5385Spring projected
    • Y10T70/5389Manually operable
    • Y10T70/5394Directly acting dog for exterior, manual, bolt manipulator
    • Y10T70/5416Exterior manipulator declutched from bolt when dogg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093For closures
    • Y10T70/5155Door
    • Y10T70/5199Swinging door
    • Y10T70/5372Locking latch bolts, biased
    • Y10T70/5385Spring projected
    • Y10T70/5389Manually operable
    • Y10T70/5496Freely movable external manipul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765Rotary or swinging
    • Y10T70/5805Freely movable when locked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모르티스 로크(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자유 선회 레버 핸들 제어기(12,14)는 다양한 모르티스 로크 기능들의 완전한 동작 특성들을 유지하면서 자유 선회 기능성(functionality)을 제공한다. 로크 출력부(52)에 연결 가능한 로크 모드 수용 매커니즘은 모르티스 로크(10)의 언로크 및 로크된 상태들을 검출하고, 대응적으로 자유 선회 매커니즘을 결합하고 분리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자유 선회 매커니즘은 제어기(12) 상의 핸들(30)과 모르티스 로크(10) 상의 핸들 입력부(50) 사이에 연결된 스플릿 축(46)을 가진다. 축(46)의 2 개의 반쪽들은 로크 및 언로크된 위치들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축 로크(110)를 통해 결합 및 비결합될 수 있다. 언로크된 위치에서, 축 로크(110)는 핸들(30,60)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시키기 위하여 축(46)의 2 개의 반쪽들을 연결시킨다. 로크된 위치에서, 축 로크(110)는 문의 래치(90)를 동작시킬 때 축(46)의 반쪽들을 분리시켜, 개별적으로 회전시키고 핸들들(30,60)이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한다. 축 로크(110)는 로크 출력부(52)의 회전 이동을 로크 미끄럼부(200)의 선형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로크 방식 수용 매커니즘의 로크 미끄럼부/캠(200,204) 결합에 의하여 이동됨으로써, 모르티스 로크(10)가 로크될 때마다, 핸들 제어기들(12,14)은 자유롭게 선회된다.

Description

모르티스 로크용 레버 핸들 제어기{Lever handle controller for mortise lock}
모르티스 로크 세트들은 일반적으로, 모르티스 로크와, 모르티스 로크를 동작시키는 트림 세트들 또는 내부 및 외부 핸들 제어기들을 구비한다. 모르티스 로크는 문(door) 내로 모르티스되고, 문이 로크될 때 래칭 매커니즘이 리트랙트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킹 매커니즘뿐만 아니라 문이 폐쇄될 때에 문의 프레임에 문을 고정시키는(secured) 래칭 매커니즘을 보통 포함한다.
핸들 제어기들은 일반적으로 문의 대향 측면들(opposite sides)에 표면 장착되고, 래칭 매커니즘을 동작시키는 핸들들을 구비한다. 대부분의 현재의 설계들에서, 각 핸들 제어기의 핸들은 모르티스 로크 내로 연장되는 축(shaft)에 직접 연결된다. 또한, 핸들 제어기들은 모르티스 로크에서 로크 매커니즘을 동작 및 제어시키는 일부 수단들을 구비한다.
거의 대부분의 경우, 외부 핸들 제어기는 이 핸들 제어기의 후방을 통하여 그리고 문의 표면을 통하여 모르티스 로크 내로 연장되는 테일(tail)을 구비하는 키동작 실린더 로크(key-operated cylinder lock)를 가질 것이다. 키를 회전시키면, 로크시키고 핸들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모르티스 로크 내에 로킹 매커니즘을 동작시키는 실린더 로크 테일(cylinder lock tail)이 회전한다.
이러한 형태의 모르티스 로크 설계들에서, 외부 핸들 제어기에서의 실린더 로크(또는 유사한 기계적인 또는 전기적인 로크 장치)는 모르티스 로크 상의 로크 입력부에 연결(실린더 로크 테일을 통해)된다. 로크 입력부는 모르티스 로크 내 로킹 매커니즘에 연결되고 로킹 매커니즘을 동작시킨다. 핸들로부터 연장되는 축은 모르티스 로크가 로크되지 않을 때에 모르티스 로크에서 래치볼트(latchbolt)를 리트랙트시키기 위하여 모르티스 로크 상의 핸들 입력부에 연결된다.
모르티스 로크를 로크시키는 것은 핸들 입력부 또는 핸들 입력부와 래칭 매커니즘 사이에서의 관련된 링케이지들(linkages)을 일반적으로 차단시킬 것이다. 로킹은 또한 데드볼트(deadbolt)를 보통 연장시킬 것이다. 데드볼트가 리트랙트되어 모르티스 로크 매커니즘이 로크되지 않을 때 핸들 입력부의 회전은 래치볼트를 리트랙트시킬 것이고 또한 문이 개방되도록 할 것이다.
핸들 입력부 및 로크 입력부는 일반적으로 모르티스 로크의 어느 한 측으로부터 동작 가능하다. 이러한 점은 모르티스 로크가 좌우측의 힌지된(hinged) 문들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입력부들은 핸들 제어기들의 후방으로 그리고 문 표면의 개구들을 통하여 연장되는 대응 축들 또는 부재들에 의하여 결합된다. 핸들 입력부는 로크 실린더 상의 테일에 의하여 핸들 축과 로크 입력부에 의하여 보통 구동된다. 또한, 이 설계는 문이 로크될 때, 어느 하나의 핸들이 문을 동작시키도록 내부 핸들 제어기가 외부 핸들 제어기와 함께 공유되게 한다.
로크 입력부와 핸들 입력부에 부가하여서, 설명되는 형태의 종래 기술의 모르티스 로크는 종종 본원에서 "로크 출력부"로 여기에 언급되는 제 3 구성성분을 구비하고, 로크 출력부는 내부 및/또는 외부 핸들 제어기들에서 대응하는 구성성분들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는 단부들을 가진 모르티스 로크 케이스를 통하여 연장된다. 로크 출력 구성성분은 궁극적으로 로크 입력부와 데드볼트를 구비하는 로크 매커니즘에 모르티스 로크 내부에서 연결된다. 로크 출력부는 로크된 것으로 지시된 위치와 언로크된 것으로 지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로크 입력부가 로크 및 언로크된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될 때, 로크 출력부는 모르티스 로크의 로크되거나 언로크된 상태를 지시하도록 적절히 이동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로크 입력부의 동작은 또한 데드볼트를 구동시킨다. 로크 출력부가 모르티스 로크 내로부터 로크 입력부에 의하여 구동되더라도, 그것은 모르티스 로크 외부로부터 직접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반전(reverse)은 로크 입력부를 구동시키고 로크 입력부에 의하여 동작되는 동일한 방식으로 데드볼트와 로킹 매커니즘을 동작시킨다.
많은 설계들에서, 내부 핸들 제어기는 문의 내부로부터 문을 로크 및 언로크하도록 이런 방식으로 로크 출력부를 구동시키는 데드볼트 쓰루 레버(deadbolt throw lever)를 포함한다. 문의 외부로부터, 외부 핸들 제어기는 로크 입력부를 구동시킴으로써 문을 로크 및 언로크시킨다.
로크 입력부와 핸들 입력부를 가지는 경우에, 로크 출력부의 구성성분은 로크 매커니즘의 역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어느 측으로부터도 결합될 수 있다. 문의 내부에서, 로크 출력부는 "출력"이 되는데, 이는 모르티스 로크가 문의 외부로부터 로크되거나 또는 언로크될 때 문의 로크 또는 언로크된 상태(쓰루 레버 위치에 의하여)를 지시하기 때문이다. 또한, 로크 입력부는 쓰루 레버가 데드볼트를 연장시키거나 또는 리트랙트시키기 위하여 이동될 때에 제 2의 로크 입력부로 작용한다. 문의 외부에서, 일부 로크 설계들이 문이 로크되거나 또는 언로크되거나, 또는 로크된 영역이 점유되거나 또는 점유되지 않는 것을 지시하기 위하여 외부 핸들 제어기에서 지시기를 구동하는데 로크 출력부를 사용할지라도, 로크 출력부는 대부분 사용되지 않는다.
일부 설계들에서, 로크 입력부와 로크 출력부가 본원에서 개별 요소들로 설명되더라도, 이들은 동일한 요소가 될 수 있으며, 로크 실린더 및 쓰루 레버에 의하여 로크 및 언로크된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단일 부분(single piece)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모르티스 로크의 래칭 매커니즘은 문과 문의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래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는 단일의 종래 래치볼트일 수 있거나 또는 문의 상부 및/또는 하부 모서리 외부로 연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직 로드 래치들(vertical rod latches)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래칭 매커니즘의 명세들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일반적으로 외부의 장착된 핸들 제어기들이 연결되는 핸들 입력부에서 중앙의 동작 포인트를 포함한다. 핸들 입력부는 내부 또는 외부 핸들 매커니즘 상의 핸들이 언로크된 문을 개방하기 위하여 회전될 때 핸들 입력부는 문의 프레임과의 래칭 결합으로부터 래치 로드들 및/또는 래치볼트를 리트랙트한다.
지금까지 이 형태의 장치들에서, 각 제어기 상의 핸들은 대부분 솔리드 축(solid shaft)을 통하여 래칭 매커니즘에 거의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모르티스 로크의 로킹 기능은 핸들 축이 연결되는 모르티스 로크내부에서 구성성분들의 이동을 물리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성취되었다. 이러한 구성성분들의 이동은 문이 로크될 때에 차단되고, 외부 핸들 제어기에서 키를 회전시키는 것은 로크 입력부를 거쳐서 모르티스 로크의 차단을 해제한다.
상술된 종래 기술의 로크 장치는 핸들이 종래의 문손잡이일 때 높은 성공률의 설계가 된다. 그러나, 레버 핸들들의 출현으로 모르티스 로크 구성성분들의 세기(strength)와 안전성(security)에 대한 보다 큰 요구들이 있게 되었다. 레버 핸들을 구비할 때에 외부 핸들 제어기는 레버 핸들 제어기(lever handle controller)로 언급되고, 또한 종래의 문의 손잡이 핸들 제어기로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일반적인 이와 같은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핸들이 종래의 둥근 문의 손잡이보다는 레버로서 형성될 때에 보다 용이하게 개방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레버 핸들들은 일부 적용들에서는 선호되고, 이들은 불구자들이나 노인들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공공 건물들에서의 특정 문들에 대해 적용 가능한 규제들에 따르게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문 핸들의 레버 형상은 문의 로킹 매커니즘과, 문과 로킹 매커니즘사이의 장착부에 큰 힘이 적용되도록 한다. 레버 핸들로부터 이용가능한 보다 큰 레버리지는 핸들의 레버 단부에서 있거나 또는 점프함으로써 문의 로크의 내부 구성성분들을 파괴자(vandal)나 또는 도둑(thief)이 파손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른 형태들의 로크 매커니즘들에서, 핸들 및 로크 매커니즘은 로크를 동작시키는 것이 로크 매커니즘으로부터 핸들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핸들이 로크를 동작시키지 않고 회전 또는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도록 하고 레버 핸들이 로크의 내부 구성성분들에 과도한 응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술된 자유 선회 설계들은 모르티스 로크에서는 실행될 수 없는데, 왜냐 하면 그것의 모르티스 록 내부의 로킹 및 래칭 매커니즘들로부터 외부 핸들 제어기의 핸들 및 로크 실린더의 분리 때문이다. 자유 선회 매커니즘이 모르티스된 부분내부에 통합되면, 이것은 모르티스 로크가 다시 설계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값이 비싸고, 자유 선회 매커니즘을 수용하기 위하여 모르티스 로크내부에 공간이 제한된다. 또한, 이 방법은 자유 선회의 기능성(functionality)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 장착부들에 값이 비싼 모르티스 로크 유닛을 배치시키는 것을 요구한다.
대안적으로, 자유 선회 매커니즘이 외부 레버 핸들 제어기 내부에 통합되면, 이것은 외부 핸들의 자유 선회가 모르티스 로크가 내부 핸들 제어기로부터 언로크될 때 멈추도록 모르티스 로크가 외부 핸들 제어기의 자유 선회 매커니즘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과 결점들을 인식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문이 내부 핸들 제어기 또는 외부 핸들 제어기로 부터 로크되는지에 관계없이 문이 로크될 때 핸들이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도록 하는 모르티스 로크를 동작시키기 위해 핸들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모르티스 로크 장착부들에 자유 선회 능력을 부가시키기 위하여 종래 기술의 모르티스 로크 매커니즘에 사용될 수 있는 자유 선회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의 래치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연장되는 축과 핸들 사이의 연결부가 튼튼하고 신뢰성이 있으며, 또한 비교적 값이 싼 자유 선회의 핸들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에서 연결부는 문이 언로크될 때에 핸들로부터 문으로 전달되는 매우 큰 레벨의 토크(torque)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모르티스 로크를 제어하는 실린더 로크 또는 전자 로크와 같은 로크를 구비하는 자유 선회의 핸들 제어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에서 제어기는 핸들 제어기에 자유 선회 동작을 부여하기 위하여 모르티스 로크에 의하여 제어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명백해질 것이며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모르티스 로크 매커니즘들(mortise lock mechanisms)을 동작시키기 위한 핸들 제어기들 및 트림 세트들(trim sets)에 관한 것으로, 핸들이, 핸들 모르티스 로크 매커니즘(handle mortis lock mechanism)이 로크될 때 래칭 매커니즘(latching mechanism)을 리트랙트시키지(retracting) 않고 회전, 즉, "자유 선회(free-wheel)"하는 것이 허용된다.
본 발명의 신규하고 특색이 있는 요소들인 본 발명의 특징들은 특히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들에서 설명된다. 도면들은 단지 도시 목적이고, 스케일(scale)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구성 및 동작의 방법 둘 다에 대해, 본 발명 그 자체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행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르티스 로크, 내부 레버 핸들 제어기 및 자유 선회 외부 레버 핸들 제어기를 포함하며, 장착(installation) 이전에 모르티스 로크세트들 구성성분들과 문(가상선으로 도시됨)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는 분리된 모르티스 로크세트의 사시도.
도 1a는 로크된 위치는 실선들로 도시되고 언로크된 위치는 점선들로 도시된 로크 출력부의 로크 및 언로크된 2 개의 위치들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핸들 제어기의 로크 출력부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거의 조립된 관계로 도시되고 본 발명의 외부 핸들 제어기와 모르티스 로크 사이의 연결을 도시하며, 도 1에 도시된 모르티스 로크의 모서리 위의 문과 장식판(decorative plate)은 명료함(clarity)을 위하여 생략되는, 도 1에 도시된 모르티스 로크세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부 레버 핸들 제어기의 전개 사시도.
도 3a는 도 3의 완전하게 조립된 것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2 개 부분의 핸들 축(two-piece handle shaft)과 축 로크의 전개 사시도.
도 3b는 도 3에서 완전한 조립된 로크 미끄럼부와 관련 구성성분들의 전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축 로크 구성성분의 후방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축 로크 구성성분의 정면도.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축 로크 구성성분의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레버 핸들 제어기의 후방도.
도 6은 본 발명의 레버 핸들 제어기의 측면도.
(발명의 개요)상기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은 모르티스 로크를 동작시키기 위한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에 관련되는 본 발명에서 달성된다. 제어될 모르티스 로크는 래치볼트와, 언로크된 상태에서 로크된 상태로 모르티스 로크를 변경시키기 위한 로크 입력부와, 모르티스 로크의 언로크되거나 또는 로크된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로크 출력부 및 모르티스 로크가 로크된 상태로 있을 때 래치볼트를 리트랙트하기 위한 핸들 입력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는 몸체, 핸들 및 몸체에 장착된 로크를 구비한다. 로크는 언로크에서 로크된 상태로 모르티스 로크를 변경시키기 위해 모르티스 로크 상의 로크 입력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들 제어기는 핸들과 모르티스 로크의 핸들 입력부 사이를 연결시키는 몸체에 장착되는 축을 구비한다. 축은 축의 축선을 따라서 함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반쪽 축들(halves)을 가진다. 제 1 반쪽의 축은 핸들에 의하여 회전되고, 제 2 반쪽 축은 모르티스 로크의 핸들 입력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핸들 제어기는 또한 로크 기능 리시버(lock function receiver)를 더 구비한다. 로크 기능 리시버는 모르티스 로크의 로크 출력부에 연결되고, 모르티스 로크의 언로크 및 로크된 상태들에 대응하는 언로크 및 로크된 위치들 사이에서 로크 출력부에 의해 이동 가능하다. 로크 기능 리시버는 축 로크를 동작시키고 모르티스 로크의 언로크 및 로크된 상태들에 대응하는 언로크와 로크된 상태들 사이에서 축 로크를 이동시킨다.
언로크된 위치에서, 축 로크는 핸들이 회전될 때 함께 회전하도록 축의 제 1 및 제 2의 반쪽들 둘 다를 연결시킨다. 로크된 위치에서, 축 로크는 축의 제 1 및 제 2의 반쪽들이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핸들이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도록 서로로부터 축의 제 1 및 제 2의 반쪽들의 연결을 푼다.
양호한 설계에서, 축 로크는 축의 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미끌어지며, 축의 반쪽들 중의 하나, 바람직하게는 문의 래치에 보통 연결되는 축의 반쪽과 함께 회전한다. 가장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축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축 로크는 축을 수용하는 로크 개구를 구비한다. 축의 종방향으로, 로크 개구는 2개의 부분들, 즉 축의 제 1 반쪽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부분(핸들에 연결되는 단부)과 축의 제 2 반쪽을 수용하기 위하여 다른 단면적 형상을 가지는 제 2 부분(모르티스 로크에 연결 가능한 단부)을 구비한다.
로크 개구의 제 2 부분은 문의 래치를 연결하는 사각축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다. 축 로크가 언로크로부터 로크된 위치까지 이동할 때, 축은 사각형 단면의 제 1 단부로부터 사각형 단면의 대향 단부까지 이동하지만, 양쪽 단부들에서 사각형 단면은 축의 사각 단면을 결합하고 축 로크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로크 개구의 제 1 부분(핸들에 부착된 축의 단부를 수용하는)은 제 1 및 제 2 단부들을 가지고, 개구의 제 1 부분의 이들 2 개의 단부들은 제 2 부분의 제 1 및 제 2 단부들로 정렬된다. 제 1 부분의 제 1 단부는 축 로크에 대하여 축의 제 1 반쪽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면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로크 개구 부분의 제 2 단부는 축의 제 1 반쪽(핸들에 연결된)이 축 로크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충분히 넓다.
이러한 방식으로, 축의 축선에 수직인 축 로크의 미끄럼 이동(sliding motion)은 로크 개구가 1)축의 양쪽 단부들을 함께 로크하기 위해서 축의 양쪽 단부들을 결합하고 이들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거나(단부들이 로크 개구의 대응하는 제 1 단부들에 있을 때), 또는 2) 양쪽 단부들이 로크 개구의 대응하는 제 2 단부들에 있을 때 2 개의 단부들을 분리하여 이들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서, 축 로크는 바람직하게 매커니즘이 언로크될 때 핸들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핸들 결합부를 구비한다. 축 로크는 축 로크가 언로크된 위치에 있을 때 핸들과 함께 회전할 것이고 보다 높은 토크력들(torque forces)이 축 로크의 하중(loads)을 최소화하면서 축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도록 핸들 결합부는 축 로크와 핸들 사이에 양호한 연결을 제공한다. 핸들 결합부는 바람직하게 핸들 근처의, 축의 제 1 반쪽에 부착된 캠(cam)에서 대응하는 슬롯과 노치(notch)를 결합하는 한 쌍의 핀들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축 로크는 축 로크를 결합하고 몸체에 대하여 미끌어지는 로크 미끄럼부(lock slide)에 의하여 로크 및 언로크된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 중 가장 양호한 실시예에서, 로크 미끄럼부는 훅크(hook)를 구비하고, 축 로크는 훅크에 의하여 결합되는 아치형 그루브(arcuate groove)를 구비한다. 그루브의 곡률 반경(curvature)은 로크 미끄럼부와 훅크가 몸체에 대하여 고정되어 남는 동안에 축 로크가 로크 미끄럼부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서, 핸들 제어기에서 로크 기능 리시버는 로크 캠(lock cam)에 연결되고, 로크 캠은 로크로부터 언로크된 위치들까지 축 로크를 이동시키기 위해 로크 미끄럼부를 동작시킨다. 로크 미끄럼부는 바람직하게 로크 캠이 대향하여서 동작하는 한 쌍의 수평 모서리들이 제공된다. 또한, 로크 미끄럼부는 로크 미끄럼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판(plate)을 결합하는 수직 모서리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들)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는데, 동일한 도면 부호들은 유사한 본 발명의 동일한 특징부들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완전한 모르티스형 로크세트는 모르티스 로크(10),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되는 외부 핸들 제어기(12), 및 도면 부호 14로 일반적으로 지시되는 내부 핸들 제어기를 포함한다. 모르티스 로크(10)는 문(18)에서 모르티스 개구(16) 내에 끼워지고(fit) 장식판(20)에 의해서 커버된다.
모르티스 로크(10)는 스크류들(22,24)로 문(18)에 유지되며, 이러한 스크류들은 스크류들(26,28)로 모르티스 로크(10)의 모서리에 유지되는 장식판(20)에 의해 커버된다. 내부 핸들 제어기(14)뿐만 아니라 모르티스 로크(10)는 종래 기술로 부터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외부 레버 핸들 제어기(12)에 연결될 때 자유 선회 동작을 제공하도록 이러한 요소들에 어떠한 수정들이 필요하지 않다.
레버 핸들 제어기(12)는 레버 핸들(30)과 키(34)에 의하여 동작되는 실린더 로크(32)를 구비한다. 핸들(30)과 실린더 로크(32)는 레버 핸들 제어기 몸체(36)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레버 핸들 제어기(12)와 모르티스 로크(10) 사이에는 3개의 기능적인 연결부들이 있다. 이들 중의 첫 번째 것은 문에서 실린더 로크 개구(38)를 통하여 그리고 모르티스 로크(10) 상의 로크 입력부(40)로 연장하는 실린더 로크(32)이다. 실린더 로크(32)는 정확히 종래 기술의 방식으로 모르티스 로크(10)의 로크 입력부를 동작시킨다. 키(34)의 회전은 개구(40) 내부에 위치된 테일(tail)(도 3에 도시됨)을 동작시키는 실린더 로크(32)에서 실린더(42)를 회전시킨다. 한 쪽 방향으로의 키(34)의 회전은 데드볼트(44)가 연장되도록 하며 모르티스 로크(10)를 로크시킨다.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은 데드볼트(44)를 리트랙트시키고 모르티스 로크 매커니즘을 언로크시킨다.
외부 레버 핸들 제어기(12)와 모르티스 로크(10)사이의 제 2 연결부는 문(18)에서 핸들축 개구(48)를 통하여 모르티스 로크 상의 핸들 입력부(50)로 연장되는 핸들 축(46)을 통해 있다.
핸들 제어기(12)와 모르티스 로크(10)사이에 있는 제 3 동작 연결부는 모르티스 로크(10) 상의 로크 출력부(52)에 있다. 로크 출력부(52)는 도 1a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로크 출력부(52)는 내부로부터 외부까지 모르티스 로크(10)를 통해 연장되고 모르티스 로크의 반대면들로 베어링 구멍들(bearing holds)에 피봇되는(pivoted) 회전 가능한 부분(piece)(54)을 구비한다.
회전 가능한 부분(54)은 이 부분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 슬롯(blade slot)(56)을 구비한다. 블레이드 슬롯은 모르티스 로크가 로크된 상태로부터 언로크된 상태까지 스위치될 때 실선들로 도시된 위치와 점선들로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로크 출력부(52)는 레버 핸들 제어기(12)에서 로크 기능 리시버(58)에 연결된다. 로크 기능 리시버(58)는 모르티스 로크가 로크로부터 언로크까지 스위치될 때마다 로크 출력부(52)에 의하여 축선에 대하여 회전되는 블레이드 형상 축(blade-shaped shaft)이다.
본 발명의 레버 핸들 제어기(12)와 모르티스 로크(10)의 상호 작용은 상술된 3 개의 연결부들을 통해 발생하고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키(34)는 모르티스 로크를 로크 및 언로크하기 위하여 로크 입력부(40)를 회전시킨다. 모르티스 로크(10)가 로크되거나 언로크될 때(키(34)를 통하거나 또는 내부 핸들 제어기로 부터), 이것은 로크 출력부(52)를 회전시킨다. 로크 출력부(52)의 회전은 자유 선회 방식과 자유롭지 못한 선회 방식들 사이에서 레버 핸들 제어기(12)를 스위칭하는 로크 기능 리시버(58)를 회전시킨다. 자유롭지 못한 선회(언로크된) 방식으로, 핸들을 회전시키는 것은 핸들 입력부(50)를 회전시키고 래치볼트를 리트랙트시키는 핸들축(46)을 회전시킨다. 자유 선회(로크된) 방식으로, 핸들을 회전시키는 것은 핸들축(46)이 회전되지 않게 하며, 핸들이 회전될 때라도 문은 폐쇄되고 로크되게 남는다.
내부 레버 핸들 제어기(14)는 종래 기술로부터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는다. 이것은 내부 핸들축(62)을 회전시키는 내부 레버 핸들(60)을 구비한다. 내부 핸들축은 모르티스 로크(10) 상의 핸들 입력부(50)의 대향 측으로 연장된다. 쓰로우 레버(throw lever;도 2참조)는 로크 기능 리시버(58)와의 연결부로부터 대향 측 상의 로크 출력부(52) 내까지 연장되는 쓰로우 레버 블레이드축(64)을 회전시킨다.
내부 측에 있는 데드볼트 쓰로우 레버가 동작될 때, 이것은 도 1a에서 실선 위치와 점선 위치 사이에서 핸들 입력부(52)를 이동시키고 로크 기능 리시버(58)를 통해 외부 레버 핸들 제어기(12)에서 자유 선회 매커니즘을 자동적으로 결합 및 분리시킨다. 내부 레버 핸들(60)은 내부 핸들 축(62)을 회전시키는 부분(66)에 연결된다. 전체 매커니즘은 스크류들(68,70,72 및 74)로 종래의 방식으로 조립된다.
따라서, 기존 장착부(existing installing)로부터의 종래 기술의 모르티스 로크(10)와 종래 기술의 내부 핸들 제어기는 자유 선회 모르티스 로크세트를 얻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유 선회 레버 핸들 제어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거의 조립된 상태에서 내부 및 외부 핸들 제어기들과 모르티스 로크 매커니즘(10)의 주요성분들을 도시한다. 조립이 완성될 때 로크 실린더(32)가 로크 입력부(40)로 연장되는 것이 도시될 수 있다. 이 도면은 로크 입력부(4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키(34)에 의하여 회전되는 로크 실린더 테일(76)의 부분(도 3b에 명백하게 도시됨)을 도시한다.
외부 레버 핸들 제어기(12)의 몸체(36)위의 스터드들(studs)(80,82)은 스크류들(68 및 70)을 수용한다. 축들(84,86)은 정렬 및 세기를 위해 사용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에서 대응하는 구멍들을 통하여 연장된다.
모르티스 로크(10)가 종래 기술로부터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실린더 로크(32)에 의하여 로크될 때(또는 데드볼트 쓰로우 레버(88)를 회전시킴으로써), 핸들 입력부(50)는 외부 레버 핸들 제어기가 종래의 자유롭지 않은 선회 제어기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 선회 제어기인 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회전하는 것으로부터 방지된다.
모르티스 로크 매커니즘(10)이 언로크될 때(데드볼트(44)가 이 상태에서 리트랙트될 때), 내부 핸들(60) 또는 외부 핸들(30)을 통하여 핸들 입력부(50)를 회전시키는 것은 문이 개방될 수 있도록 래치볼트(90)가 리트랙트되게 한다.
도 3은 자유 선회 동작을 허용하는 본 발명 매커니즘의 전개도이다. 이것은 내부 구성성분들을 도시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방향으로부터 대향된 위치로부터 사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여, 핸들(30)은 베어링(92)과 몸체(36)를 통하여 연장된다. 그 다음, 핸들은 로크 부분(96)에 의하여 유지되는 와셔(washer)(94)를 통하여 연장된다. 로크 부분(96)은 핸들을 단단하게 유지하지만, 그것이 몸체(36)에 대하여 회전하게 한다.
핸들(30)은 사각 단면을 가지는 2 개 부분의 핸들 축(46)의 제 1 반쪽(100)을 결합시키는 사각축 개구(98)를 구비한다. 도 3b에 도시될 수 있었던 바와 같이, 핸들 축(46)의 제 1 반쪽(100)은 핸들축의 제 2 반쪽(106)에 대하여 내부 축(104) 위에서 회전하는 것이 자유롭다. 제 1 반쪽축(100)은 항상 핸들에 의하여 회전된다. 제 2 반쪽축(106)은 상술된 바와 같이 모르티스 로크의 핸들 입력부(50)에 연결된다. 자유 선회 동작은 핸들이 모르티스 로크 위의 핸들 입력부(50)로 부터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2 개의 반쪽축들(100,106)을 연결 및 분리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제 1 반쪽축(100)은 핸들 캠(108)에서 사각형 개구(109)를 통하여 연장된다. 핸들 캠에서의 사각형 개구(109)가 제 1 반쪽축(100)에 항상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핸들(30)의 회전은 항상 핸들 캠을 회전시킨다. 핸들 캠(108)은 스프링(114)에 연결되는 작은 개구(112)를 구비하고, 스프링(114)은 핀(116) 또는 핀(118)을 통해 몸체(36)에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핸들 캠(108) 위의 태브(tab)(120)는 이것이 정지 스크류(122)의 헤드에 접촉할 때에 정지부로서 동작한다. 스프링(114)은 태브(120)가 정지 스크류(112)에 접촉할 때까지 핸들 캠(108)과 분할축의 제 1 반쪽축(100)을 회전시키는 구멍(122)에서 핸들 캠(108)에 풀 다운(pull down)한다. 이러한 점이 레버 핸들(30)을 수평 위치로 가져 오게 한다. 로크 매커니즘이 대향된 스윙(swing)의 문에서 장착을 위하여 역전되는(reverse) 것이 필요하면, 핸들 캠(108)은 반쪽축으로부터 미끄러져서 역전될 수 있다. 또한, 핸들은 역전되고, 그 다음 스프링(114)은 대향된 핀(118)에 연결된다. 동일한 기능성(same functionality)이 핸들을 수평방향으로 가져오는 것이 달성되도록 정지 스크류(122)는 정지 스크류 구멍(126)으로부터 정지 스크류 구멍(124)까지 이동된다.
분할축의 2개의 반쪽축들(100,106)을 연결 및 분리시키는 구성성분들 및 분할 축 설계는 종래 기술의 로크 설계들과는 뚜렷하게 다르다. 이러한 구성성분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이들 구성성분들의 주요 기능은, 반쪽축 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것은 문이 언로크될 때 다른 것을 회전시키도록 분할 축(46)의 2 개의 반쪽들(100,106)을 연결하고 2 개의 반쪽축들을 분리하며 그것들이 문이 로크될 때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게 하는 것임이 간단히 언급될 수 있다.
분할축의 2개의 반쪽들이 서로 연결될 때, 핸들(10)의 회전은 핸들 입력부(50)를 회전시키고 래치볼트(90)를 리트랙트시키는 분할축의 제 2 반쪽(106)을 구동시킬 것이다. 한편, 분할축의 2 개의 반쪽들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이 허용될 때, 핸들을 회전시키는 것은 반쪽축(106)을 회전시키지 않을 것이고, 핸들(30)은 래치볼트를 리트랙트시키지 않고 자유롭게 선회될 것이다.
다양하게 서로 다른 형태들의 모르티스 로크 매커니즘들은 본 발명에 대한 작은 변경들로 반쪽축(106)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다. 문 내부에 위치되는 수직 로드 문 매커니즘(vertical rod door mechanism), 또는 출구 장치, 또는 본 발명의 핸들 제어기로부터 문의 내부측 또는 문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다른 매커니즘에 본 발명을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설명되는 구성성분들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제공하지만, 분할축의 제 1 및 제 2의 반쪽들(100 및 106)이 연결 및 분리되게 할 본 기술분야에서 이러한 작업의 기술 내에 있는 본 설계 상의 많은 변화들이 있고, 이러한 변화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로 간주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반쪽축(100)이 내부측(104)을 통해 제 2 반쪽축(106)에 연결되는 것이 도시되지만, 볼(ball) 및 소켓 결합부(socket joint)가 또한 사용될 수 있고 다른 변화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축(46)의 2개의 반쪽들(100 및 106)의 결합(coupling) 및 분리(uncoupling)는 로크 및 언로크된 위치들 사이에서 축(46)의 축선(128)에 수직으로 축 로크(110)를 이동시킴으로써 주로 달성될 수 있다. 축 로크(110)는 분할 평면(178)의 대향된 측들 상의 2 개의 단부들과 분할 평면(172)의 대향된 측들 상의 2 개의 부분들을 가지는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로크 개구(170)를 구비한다. 축(46)은 로크 개구를 통하여 연장되고 로크 개구는 축 로크가 대향된 단부들 사이에서 축(46)의 축선(128)에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길이가 충분히 크다.
축 로크가 위로 이동할 때(로크 실린더(32)를 향하여), 개구(170)의 형상은 2개의 축 반쪽들(100,106)을 분리한다. 이러한 점이 핸들을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한다. 축 로크(110)가 아래로 미끌어질 때(실린더 로크(32)로부터 멀리), 개구(170)의 형상은 2 개의 반쪽축들(100,106)을 서로 결합되게 유지시킨다. 축 로크가 이러한 위치에 있을 때, 핸들의 회전은 제 1 반쪽축(100)뿐만 아니라, 제 2 반쪽축(106)과 축 로크(110)를 회전시킨다.
도 4a 내지 도 4c의 3 개의 도면들 참조하여, 로크 개구부(170)가 상세하게 도시될 수 있다. 축 로크(110)는 제 1 반쪽축(100)과 제 2 반쪽축(106) 사이의 결합부가 도 4c의 평면(172)에 정확하게 놓이도록 축(46)에 대하여 위치된다. 평면(172)은 로크 개구(170)를 2 개의 부분들로 나눈다. 제 1 반쪽축(100)은 화살표 174로 지시되는 평면의 측부에 놓이고 제 2 반쪽축(106)은 화살표 176으로 지시되는 측에 놓인다. 반쪽축들은 축(46)의 축선(128)에 수직으로 미끌어지거나 또는 축으로 축선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평면(172)에 이동이 전체적으로 남아 있기 때문에 어떻게 축 로크가 미끌어지는 지에 관계없이 평면(172) 각각의 측부들에 남는다.
또한, 평면(172)에 수직인 평면(178)은 로크 개구를 반쪽으로 나눈다. 축 로크(110)가 로크와 언로크된 위치들 사이에서 미끌어질 때를 제외하고는, 축(46)은 전체적으로 평면(178)의 한쪽 또는 다른 쪽에 놓인다. 로크된(자유 선회) 위치에서, 축(46)은 평면(178) 아래에 있다. 언로크된 위치에서, 축(46)은 평면(178) 위에 있다. 로크 및 언로크된 위치들 사이에서 완전하게 이동하도록 모르티스 로크를 제한하도록 설계되는 내부 요소들을 구비하는 모르티스 로크로 연결부에 의해서 로크 및 언로크된 위치들 사이에서 충분히 그리고 완전히 이동하도록 제한된다.
도 4c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들(172 및 178)은 로크 개구를 4개의 4분원들(180,182,184 및 186)로 분할한다. 4분원들(184 및 186)은 제 1 반쪽 축(106)을 둘러싸고 4분원들(180 및 182)은 축(100)의 제 1 반쪽을 둘러싼다. 로크로부터 언로크된 위치들까지의 축 로크의 이동은 제 1 반쪽축(100)을 4분원 182에서 180으로 이동시키고 반쪽축(106)을 4분원 186에서 184로 이동시킨다. 축(46)의 2 개의 반쪽들의 상대적인 회전을 제어하는 것은 로크 개구의 이러한 4분원들의 형상들이다.
도 4a에 가장 잘 도시될 수 있었던 바와 같이, 로크 개구의 제 2 부분, 즉 4분원들(184 및 186)을 포함하고 제 2 반쪽축(106)을 수용하는 포함하는 부분은 형상이 정확하게 사각형이며 사각축(106)을 수용하기에 단지 충분한 폭을 가진다. 언로크된 위치로부터 로크된 위치까지의 축 로크(110)의 미끄럼 이동은 로크 개구(170)의 제 1 부분의 상단부(4분원(184))로부터 하단부(4분원(186))까지 제 2 반쪽축(106)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핸들 캠(108)이 항상 제 1 반쪽축(100)과 회전하는 것과 같이 축 로크(110)는 제 2 반쪽축(106)과 항상 회전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4b는 로크 개구의 제 1 부분 즉, 제 1 반쪽축(100)을 수용하는 측부와, 평면(172)의 측부(174)의 부분의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분의 상단부 또는 제 1 단부(4분원(180))는 축 로크(110)가 언로크된 위치에 있을 때 반쪽축(100)의 사각 단면 형상에 접촉 및 결합하는 3 개의 측부들을 가지는 단면 형상이 대략적으로 사각형이다.
4분원(180)에서의 반쪽축(100)으로, 매커니즘이 언로크될 때에, 4분원(180)의 측부들(188,190 및 192)은 제 1 반쪽축(100)과 결합하고, 축 로크를 반쪽축(10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으로부터 방지한다. 축 로크가 반쪽축(106)과 항상 회전하기 때문에, 이것은 2 개의 반쪽축들을 함께 결합시키고 핸들이 모르티스 로크에서 핸들 입력부와 래칭 매커니즘을 구동하게 한다.
그러나, 4분원(182)에서의 반쪽축(100)으로, 매커니즘이 로크될 때, 제 1의 반쪽축(100)은 축 로크에 의하여 결합되지 않는다. 측부들(194 및 196)에 의해 형성되는 V자형으로 외향으로 개방된 4분원(180))은 반쪽축(100)이 4분원(182)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충분히 넓다. 자유 선회 동작을 위하여 요구되는 바와 같이, 축의 두 개의 반쪽들의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하는 것은 이 4분원이다.
축 로크(110)는 로크 미끄럼부(200)에 의하여 언로크 및 로크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도 3 및 특히 도 3a를 참조). 로크 미끄럼부(200)는 아치형 그루브(198)(도 4a 내지 도 4b 참조)를 결합하는 훅크(202)를 구비한다. 훅크(202)는 핸들을 자유롭게 선회(반쪽축(106)으로 부터 반쪽축(100)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축 로크(110)를 상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모르티스 로크가 언로크(반쪽축(100)를 반쪽축(106)에 연결)될 때 로크(110)를 하향으로 민다.
축 로크(110)와 로크 미끄럼부(200)가 아래에 있을 때, 축 로크(110)는 핸들이 회전될 때 회전하게 된다. 아치형 그루브(198)는 몸체(36)에 대하여 고정되어 남아 있는 로크 미끄럼부(200) 및 이동하는 축 로크와 정지(stationary) 훅크(202) 사이에서 필요한 상대 회전을 허용한다. 따라서, 아치형 그루브(198)는 로크 개구(170)의 상단부 또는 제 1 단부(180,184)에 있을 때 축(46)의 축선에 대략적으로 위치되는 곡률 중심(center of curvature)을 가진다.
도 3 및 도 3a를 참조하여, 로크 미끄럼부(200)는 로크 캠(204)에 의하여 로크와 언로크된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로크 캠(204)은 모르티스 로크가 로크되거나 또는 언로크될 때마다 로크 출력부(52)(도 1a 참조)에 의해 회전되는 로크 기능 리시버(58)에 연결된다.
로크 캠은 C-클립(C-clip)(210)에 의하여 구멍(208)을 통과하는 판(plate : 20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판(206)은 헤드가 홈(depression)(214)의 판(206)의 주 평면 아래로 움푹 들어가는 스크류(212)에 의하여 몸체(36)에 유지된다. 이러한 점은 로크 미끄럼부가 스크류(212)로 부터 간섭이 없이 몸체(36)에 대하여 자유롭게 상승 및 하강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로크 미끄럼부(200)는 판(206)이 로크 미끄럼부를 수직 이동으로 안내하도록 작용할 수 있게 판(206)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 모서리들(216,218)을 가진다. 로크 캠(204)은 로크 기능 리시버(58)가 로크 출력부에 의하여 회전될 때마다 로크 미끄럼부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로크 미끄럼부(또한 도 5를 참조) 상의 한 쌍의 수평 모서리들(220,222)에 작동한다.
로크 기능 리시버(58)는 클립(224)으로 로크 캠에 부착된다. 장착판(226)은 축 로크(110)(도 5참조)를 둘러싸고 있으며 암들(arms)(228,230) 사이에 훅크(226)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돕는다.
키가 실린더 로크(32)내로 삽입되어 회전하게 될 때, 테일(76)은 종래의 방식으로 모르티스 로크를 로크하도록 로크 입력부 주위에서 회전하고 로크 입력부를 동작시킨다. 이러한 점은 로크 출력부(52)를 회전시키고 로크 기능 리시버(58)와 로크 캠(204)을 회전시킨다. 축(46)이 로크 개구부의 4분원들(182 및 186)에 놓이도록 축의 로그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이것은 훅크(202)와 아치형 그루브(198)를 통해 축 로크를 끌어당겨, 미끄럼부를 상향으로 끌어당긴다. 이것이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핸들을 자유롭게 선회시킨다.
키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 이것은 모르티스 로크를 언로크하고 로크 출력부를 언로크된 위치로 스위칭한다. 이것은 로크 기능 리시버(58)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로크 캠(204)이 로크 미끄럼부를 하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축이 4분원들(180 및 184)을 통하여 연장되고 2 개의 반쪽축들(100 및 106)이 함께 결합되도록 이는 축 로크를 하향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이제, 핸들은 제 2의 반쪽축(106)을 회전시킬 수 있고 이는 핸들 입력부를 동작시키고 모르티스 로크 내부 래치 매커니즘을 리트랙트시킬 수 있다.
2 개의 축의 반쪽들(100,106)이 핸들에 의하여 회전될 때 축 로크(110)가 2 개의 축의 반쪽들(100,106)을 결합하도록 충분히 강하지만,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그것의 성능을 개선하는 축 로크(110)에 대하여 추가적인 특징을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로크(110)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핀들(130,132)은 슬롯(134)과 노치(136) 각각에서 핸들 캠을 결합시킨다. 핀과 슬롯/노치 사이의 결합은 축 로크가 언로크된 위치에 있을 때 핸들 캠과 축 로크 사이의 연결을 개선한다.
첫 번째, 핀들은 핸들 캠(제 1의 반쪽축(100)과 회전되는)에 대한 정확하게 정렬된 위치 이외의 어떠한 위치로 축 로크(110)(제 2의 반쪽축(106)과 회전되는)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두 번째, 핀들은 축 로크와 핸들 캠 사이의 연결을 개선함으로써 축 로크와 핸들 캠 사이의 토크 수반 연결(torque carrying connection)을 개선한다.(상술한 바와 같이, 축 로크(110)가 반쪽(106)과 항상 회전하는 반면에, 핸들 캠은 반쪽축(100)과 항상 회전한다.)
태브(120)를 가지는 정지 스크류(122)의 수평적인 정지 동작에 부가하여, 정지 스크류(122)는 핸들 캠 상의 정지면(138)과 협력한다. 핸들이 핸들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하는 한계(약 60도)로 회전하게 될 때, 핸들 캠 상의 정지면(138)은 정지 스크류(122)와 접촉한다. 이러한 점은 아치형 그루브(198)에서 유지되는 훅크(202)를 보호한다.
본 발명이 특정의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서 특히 설명되었지만, 많은 대체들, 수정들 및 변경들이 상술된 설명에서 비추어 볼 때에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정신 내에 있는 어떠한 대체들, 수정들 및 변경들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20)

  1. 모르티스 로크(mortise lock)를 동작시키기 위한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free-wheeling handle controller)로서, 상기 모르티스 로크는 래치볼트(latch bolt)와, 언로크로부터 로크된 상태로 상기 모르티스 로크를 변경시키기 위한 로크 입력부와, 상기 모르티스 로크의 상기 언로크 또는 로크된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로크 출력부 및 상기 모르티스 로크가 상기 언로크된 상태로 있을 때 상기 래치볼트를 리트랙팅(retracting)시키기 위한 핸들 입력부를 가지는, 상기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에 있어서,
    몸체(body)와;
    핸들(handle)과;
    상기 몸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르티스 로크를 언로크된 상태로부터 로크된 상태로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로크 입력부에 연결 가능한 로크와;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축(shaft)으로서, 상기 축은 상기 축의 축선을 따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반쪽을 가지고, 상기 제 1 반쪽들은 상기 핸들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 2 반쪽은 상기 모르티스 로크의 상기 핸들 입력부로의 연결을 위해 적응되는, 상기 축과;
    상기 모르티스 로크의 로크 출력부에 연결 가능하고, 상기 모르티스 로크의 상기 언로크 및 로크된 상태들에 대응하는 언로크 및 로크된 위치들 사이에서 로크 출력부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로크 기능 리시버(lock function receiver)와;
    상기 모르티스 로크의 상기 언로크 및 로크된 상태들에 대응하는 언로크 및 로크된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로크 기능 리시버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축 로크(shaft lock)로서, 상기 언로크된 위치에서 상기 축 로크는 상기 핸들이 회전하게 될 때 상기 축의 제 1 및 제 2 반쪽들을 함께 회전시키기 위하여 연결하며, 상기 로크된 위치에서 상기 축 로크는 상기 축의 제 1 및 제 2 반쪽들이 개별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핸들이 자유롭게 선회하도록 상기 축의 제 1 및 제 2 반쪽들을 분리하는, 상기 축 로크를 포함하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로크는 상기 축의 축선에 수직으로 미끌어지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로크는 상기 축의 반쪽들 중 하나와 함께 회전하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로크는 상기 축의 제 2의 반쪽과 함께 회전하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로크는 상기 축을 수용하기 위한 로크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개구는 상기 축의 제 1 반쪽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부분과 상기 축의 제 2 반쪽을 수용하기 위한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 2 부분을 가지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로크 개구의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사각형축의 상기 제 2 반쪽을 수용하기 위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축 로크가 언로크된 위치로부터 로크된 위치까지 미끄러짐에 따라 상기 축은 직사각형 단면의 제 1 단부로부터 직사각형 단면의 대향 단부로 이동하며, 상기 직사각형 단면은 상기 축의 제 2 반쪽이 축 로크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좁은 폭을 가지며,
    상기 로크 개구의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들과 정렬되는 제 1 및 제 2 단부들을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축의 제 1 반쪽이 상기 축 로크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축의 제 1 반쪽이 상기 축 로크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로크는 핸들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 로크가 상기 로크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핸들 결합부는 상기 축 로크가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하게 하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회전할 때마다 상기 축의 상기 제 1 반쪽에 의하여 회전되는 핸들 캠(handle cam)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축 로크의 핸들 결합부는 상기 축 로크가 상기 언로크된 위치로 미끌어질 때 상기 핸들 캠을 결합하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캠은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축 로크의 상기 핸들 결합부는 상기 축 로크가 상기 언로크된 위치로 미끌어질 때 상기 슬롯 캠을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구비하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캠은 핸들의 회전 이동을 제한하도록 베이스(base)에 접촉하는 정지부들(stops)을 구비하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을 레버 핸들(lever handle)이고 상기 핸들 제어기는 상기 레버 핸들을 수평 위치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 캠에 연결되는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로크를 결합시키고 상기 몸체에 대하여 미끌어지는 로크 미끄럼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로크 미끄럼부는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언로크된 위치로 상기 축 로크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로크 기능 리시버에 의하여 구동되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미끄럼부는 훅크를 구비하고 상기 축 로크는 아치형 그루브(arcuate groove)를 구비하며, 상기 훅크는 상기 로크 미끄럼부에 대하여 상기 축 로크를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아치형 그루브를 결합시키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로크는 상기 축 로크가 언로크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크 미끄럼부에 대하여 회전하고 상기 축 로크는 상기 축 로크가 로크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크 미끄럼부에 대하여 고정되어 남아 있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그루브는 상기 축 로크가 상기 언로크된 위치에 있을 때에 축의 축선에 대략 정렬되는 곡률 중심(center of curvature)을 가지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능 리시버는 로크 캠에 연결되며, 상기 로크 캠은 상기 축 로크를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언로크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로크 미끄럼부를 동작시키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캠은 상기 로크 미끄럼부 상의 한 쌍의 수평 모서리들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로크 캠은 상기 로크 캠이 회전될 때 상기 로크 미끄럼부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평 모서리들에 대하여 캠밍(camming)하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미끄럼부는 판에 의하여 안내되고 상기 로크 캠은 상기 판에 장착되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미끄럼부는 한 쌍의 수직 모서리들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모서리들은 상기 로크 미끄럼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판의 모서리들에 접촉하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몸체에 상기 판을 연결하는 고정자(fastener)를 가지는 리세스(recess)를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는 로크 미끄럼부가 상기 고정자 위에서 자유롭게 미끌어지도록 하는, 자유 선회 핸들 제어기.
KR10-2001-7008751A 1999-01-15 1999-12-20 모르티스 로크용 레버 핸들 제어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415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31,153 US5992195A (en) 1999-01-15 1999-01-15 Lever handle controller for mortise lock
US09/231,153 1999-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465A KR20010101465A (ko) 2001-11-14
KR100415001B1 true KR100415001B1 (ko) 2004-01-13

Family

ID=22867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75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15001B1 (ko) 1999-01-15 1999-12-20 모르티스 로크용 레버 핸들 제어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992195A (ko)
EP (1) EP1153184B1 (ko)
JP (1) JP2002535518A (ko)
KR (1) KR100415001B1 (ko)
CN (1) CN1153881C (ko)
CA (1) CA2359842C (ko)
HK (1) HK1041718A1 (ko)
NO (1) NO20013339L (ko)
TW (1) TW425453B (ko)
WO (1) WO2000042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P400798A0 (en) * 1998-06-11 1998-07-02 Lockwood Security Products Pty Limited Electrically controlled lock
US6178794B1 (en) * 1999-01-15 2001-01-30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Lever handle controller
US6286347B1 (en) * 1999-08-09 2001-09-11 Harrow Products, Inc. Clutch mechanism with moveable injector retainer wall for door lock system
AUPR604601A0 (en) * 2001-06-29 2001-07-26 Gainsborough Hardware Industries Limited A mortice lock
US6868704B2 (en) 2001-07-25 2005-03-22 Triangle Brass Manufacturing Company, Inc. Anti-vandal door lock apparatus
US6543264B2 (en) * 2001-07-30 2003-04-08 Harrow Products, Inc. Mortise lockset with internal clutch having override feature
US7096698B2 (en) * 2003-03-11 2006-08-29 Harrow Products Llc Override assembly for door lock systems having a clutch mechanism
FR2862682B1 (fr) * 2003-11-26 2006-03-31 Roger Mondelin Sa Dispositif d'orientation de porte-plaques de materiau pour appareil de levage et de manutention
US7204050B2 (en) * 2003-12-29 2007-04-17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Exit device with lighted touchpad
US7475578B2 (en) * 2004-03-30 2009-01-13 Nobilus, Llc Door locking system conversion adapter
TWM258148U (en) * 2004-05-21 2005-03-01 Thase Entpr Co Ltd Transmission device for door lock
US7249477B2 (en) * 2004-07-16 2007-07-31 Von Duprin, Inc. Control for exit device
USD511956S1 (en) * 2005-01-17 2005-11-29 Putco, Inc. Stealth door handle cover
CN101509329B (zh) * 2009-03-25 2012-07-04 佛山市顺德区盈通实业有限公司 插芯锁把手锁定装置
US8141400B2 (en) * 2009-04-10 2012-03-27 Emtek Products, Inc. Keypad lockset
US8555685B2 (en) * 2009-10-05 2013-10-15 George Frolov Electrically controlled door lock
US8419086B2 (en) * 2010-07-14 2013-04-16 Townsteel, Inc. Mortise latchset with dually biased cam assembly
TWM418953U (en) * 2011-06-30 2011-12-21 Tong Lung Metal Ind Co Ltd Reinforcement structure of lock
US9388611B2 (en) * 2012-01-03 2016-07-12 Hoppe Holding Ag Multi-point lock having a flush-mount cylinder
DE102012012415A1 (de) * 2012-06-25 2014-03-27 Dorma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und damit ausgestattete Flügel bzw. Flügelanlage
US9169668B2 (en) 2012-09-14 2015-10-27 Hopper Holding AG Mortise lock conversion kit for operation with an American cylinder
AU2016210686B2 (en) * 2015-08-25 2018-02-15 Illinois Tool Works Inc. A Lock and Latch Assembly
EP3344830B1 (en) * 2015-09-02 2022-04-13 TNBT Holdings Pty Ltd A mechanism for a lockset and a method for configuring a lockset's function
CN110453981B (zh) * 2019-09-04 2021-02-23 美智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门锁及传动装置
DE102019135145A1 (de) * 2019-12-19 2021-06-24 Aug. Winkhaus Gmbh & Co. Kg Sicherungsmodul für eine Handhabe eines Treibstangenbeschlage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1331A (en) * 1973-10-02 1975-05-06 Gkn Stenman Ab Locking device incorporating a lock case, an escutcheon and a door handle
JPS641881A (en) * 1987-06-24 1989-01-06 National House Ind Co Ltd Door
JPH037193A (ja) * 1989-06-05 1991-01-14 Warner Lambert Co レザー機構
JPH08170455A (ja) * 1994-12-16 1996-07-02 Nagasawa Seisakusho:Kk ドア錠の取付構造とその取付方法
US5611227A (en) * 1996-06-27 1997-03-18 Emhart Inc. Handleset with thumb piece and rack
JPH09250259A (ja) * 1996-03-14 1997-09-22 Murakoshi Mfg Corp ドア錠の施錠装置
JPH09279916A (ja) * 1996-04-17 1997-10-28 Takigen Mfg Co Ltd 面付け型のグレモン錠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89807284A (en) * 1898-03-25 1899-01-28 Thomas Burgess Improvements in Catches, Fastenings, and other Furniture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US2577216A (en) * 1945-07-09 1951-12-04 Spinello Mathew Door lock
US2785916A (en) * 1954-07-30 1957-03-19 Adolph J Mutti Anti-crash auto door lock
DE1147869B (de) * 1960-10-19 1963-04-25 Alois Crepinsek Einsteckschloss
DE2239390A1 (de) * 1972-08-10 1974-02-21 Schuermann & Co Heinz Einsteckschloss fuer tueren
US3808849A (en) * 1973-04-02 1974-05-07 Emhart Corp Mortise lock having freely movable external manipulator
US3948066A (en) * 1974-05-07 1976-04-06 Solovieff Paul G Door lock
US3990277A (en) * 1976-04-06 1976-11-09 Tre Corporation Lock mechanism with disengageable knob
US4108482A (en) * 1977-10-20 1978-08-22 Norris Industries Disengaging spindle locking mechanism
AU523995B2 (en) * 1979-10-16 1982-08-26 Whitco Pty. Ltd. Door lock
US4384738A (en) * 1980-10-16 1983-05-24 Kidde, Inc. Exit device with lock down mechanism
USD268003S (en) 1980-10-16 1983-02-22 Ohno Richard J Exit operator
US4536020A (en) * 1982-02-26 1985-08-20 Thomson Daniel C Marine door lockset
USD279647S (en) 1982-09-30 1985-07-16 Kidde, Inc. Combined alarm exit latch and lock therefor
US4583382A (en) * 1983-12-21 1986-04-22 Schlage Lock Company Reversible latch assembly with integrated function
US4631944A (en) * 1984-09-20 1986-12-30 Kwikset Corporation Knob assembly for doorlatches including free knob rotation and front end loading
US4696174A (en) * 1985-10-31 1987-09-29 Marks George R Reversible mortise lockset
US4695082A (en) * 1986-02-26 1987-09-22 Marks George R Reversible mortise lock
JPH0296072A (ja) * 1988-09-30 1990-04-06 Aisin Seiki Co Ltd リッドロック装置
US5020345A (en) * 1989-02-16 1991-06-04 La Gard, Inc. Self-locking electronic lock
US4926664A (en) * 1989-02-16 1990-05-22 Gartner Klaus W Self locking electronic lock
US5083122A (en) * 1989-02-21 1992-01-21 Osi Security Devices Programmable individualized security system for door locks
US5027629A (en) * 1990-01-22 1991-07-02 Liu Yin Chic Control mechanism of electronic lock
DE4026080C2 (de) * 1990-08-17 1994-02-03 Brumme Elke Treibstangenschloß
US5018375A (en) * 1990-09-18 1991-05-28 Yale Security Inc. Lockset having electric means for disabling and enabling the outer handle
US5056835A (en) * 1990-09-26 1991-10-15 The Chamberlain Group, Inc. Latching mechanism for a closure with a disconnectable handle and a sliding catch
US5046772A (en) * 1990-10-02 1991-09-10 Frank Su Door handle means suitable for mounting slim lever handle
SE505493C2 (sv) * 1992-03-26 1997-09-08 Assa Ab Cylinderlås
US5437174A (en) * 1992-11-17 1995-08-01 David Sokol Retrofittable electronic and mechanical door lock system
US5421178A (en) * 1993-01-19 1995-06-06 Best Lock Corporation Motorized lock actuator for cylindrical lockset
US5474348A (en) * 1993-08-24 1995-12-12 Best Lock Corporation Motorized actuator for mortise lockset
US5788296A (en) * 1995-06-16 1998-08-04 Tong-Lung Metal Industry Co., Ltd. Lock set with improved spindle construction
US5715715A (en) * 1996-02-13 1998-02-10 Sargent Manufacturing Company Lock assembly with motorized power screw
DE19727364C1 (de) * 1997-06-27 1998-10-01 Schlechtendahl & Soehne Wilh Panikschloß
US5890385A (en) * 1998-02-12 1999-04-06 Lee; Ming-Kun Safety door lock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1331A (en) * 1973-10-02 1975-05-06 Gkn Stenman Ab Locking device incorporating a lock case, an escutcheon and a door handle
JPS641881A (en) * 1987-06-24 1989-01-06 National House Ind Co Ltd Door
JPH037193A (ja) * 1989-06-05 1991-01-14 Warner Lambert Co レザー機構
JPH08170455A (ja) * 1994-12-16 1996-07-02 Nagasawa Seisakusho:Kk ドア錠の取付構造とその取付方法
JPH09250259A (ja) * 1996-03-14 1997-09-22 Murakoshi Mfg Corp ドア錠の施錠装置
JPH09279916A (ja) * 1996-04-17 1997-10-28 Takigen Mfg Co Ltd 面付け型のグレモン錠
US5611227A (en) * 1996-06-27 1997-03-18 Emhart Inc. Handleset with thumb piece and r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13339L (no) 2001-09-13
US5992195A (en) 1999-11-30
EP1153184A4 (en) 2002-04-17
HK1041718A1 (zh) 2002-07-19
EP1153184A1 (en) 2001-11-14
KR20010101465A (ko) 2001-11-14
CN1153881C (zh) 2004-06-16
JP2002535518A (ja) 2002-10-22
EP1153184B1 (en) 2004-06-30
WO2000042279A1 (en) 2000-07-20
CA2359842C (en) 2004-04-27
NO20013339D0 (no) 2001-07-05
CN1333856A (zh) 2002-01-30
TW425453B (en) 2001-03-11
CA2359842A1 (en) 200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5001B1 (ko) 모르티스 로크용 레버 핸들 제어기
US6282929B1 (en) Multipoint mortise lock
US9803394B2 (en) Electronic deadbolt lock
US7523968B2 (en) Reach out lock
US6595563B2 (en) Electric strike field-selectable fail-safe/fail-secure mechanism
US6082791A (en) Electric strike
EP0633372B1 (en) Door lever assembly
WO1996025576A1 (en) Lock for sliding door
US11851925B2 (en) Key override for electromechanical multi-point latching device
KR101968278B1 (ko) 모티스의 양방향 작동구조체
US6178794B1 (en) Lever handle controller
US5676407A (en) Dead bolt actuating assembly
US5472246A (en) Independent dual deadbolt locking mechanism
AU785407B2 (en) Improvements in locks
KR20020068641A (ko) 자동 시정형 모티스 잠금 시스템
MXPA01007085A (en) Lever handle controller for mortise lock
EP4165266A2 (en) Adapter for a locking device
KR200282709Y1 (ko) 도어락 장치
KR100713073B1 (ko) 도어락 장치용 락모듈
RU23901U1 (ru) Замок
JP3080736U (ja) 同軸駆動可能な二つのボルトを具えたドアロック装置
AU719859B2 (en) Door latch mechanism
AU701778C (en) Lock for sliding door
KR20140137931A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모티스의 회전 조립체
WO1998021432A1 (en) Door latch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