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14900B1 - 멀티탭 전원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멀티탭 전원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4900B1
KR100414900B1 KR10-2000-0082881A KR20000082881A KR100414900B1 KR 100414900 B1 KR100414900 B1 KR 100414900B1 KR 20000082881 A KR20000082881 A KR 20000082881A KR 100414900 B1 KR100414900 B1 KR 100414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ntrol circuit
power
tap
tria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2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3330A (ko
Inventor
박동환
Original Assignee
박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환 filed Critical 박동환
Priority to KR10-2000-0082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900B1/ko
Publication of KR20020053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90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4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4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semiconductor devices only
    • G05F1/44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semiconductor devices only being transistors in series with the 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ctifie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탭 전원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컴퓨터 본체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그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멀티탭 전원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메인탭을 통하여 컴퓨터로 공급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병렬로 연결된 저항 및 전류 제어소자를 포함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전류 검출부의 검출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류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부와; 상기 스위치 제어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서브탭에 인가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트라이악; 을 포함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필요 없을 뿐 만 아니라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절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탭 전원제어회로{Power supply control circuit of multi-tab}
본 발명은 멀티탭 전원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컴퓨터 본체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그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멀티탭 전원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에는 여러 종류의 주변기기들을 연결하여 동작시키고 있다. 이를테면 모니터, 프린터, 스캐너 등을 비롯하여 각종 주변기기들이 컴퓨터에 연결되어 함께 작동하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와 주변기기들의 전원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복수의 탭이 구비되어있는 멀티탭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탭의 경우 사용자는 컴퓨터와 주변기기들을 사용 완료한 경우에는 필요 없는 전력 소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컴퓨터와 주변기기들의 전원을 모두 오프해야 한다.
그러나 컴퓨터와 주변기기들의 전원을 모두 오프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번거로움을 주고,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주변기기를 오프하지 않는 경우 이로 인하여 필요 없는 전력을 낭비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36266 이 있다. 상기 공보에 게재된 발명은 메인탭을 통해 메인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를 검출하여 전압으로 출력하는 전류 검출 수단과; 상기 전류 검출 수단의 출력 전압을 적분하는 적분 수단과; 상기 적분 수단의 출력 전압을 증폭하는 증폭 수단과; 상기 증폭 수단의 출력 전압을 미리 설정된 소정 레벨의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메인 시스템으로 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서브탭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칭 수단과; 입력되는 전원을 정류 및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직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게재된 발명은 적분 수단 및 증폭수단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 구성이 복잡할 뿐 만 아니라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1996년 4월 12일에 출원 공개된 일본 특개평 08-098403호가 있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에 인가하는 전원을 제거함으로써 주변기기의 전원을 제거할 필요 없이 주변기기에 인가하는 전원을 저절로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도1은 상기 일본 특개평 08-098403에 게재된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의 공개 발명은 전류검출을 위하여 전류변환기(CT)(13)를 사용하고, 트라이악(15)을 구동하기 위하여 광커플러(photo-coupler)(14)를 사용하고 있다. 미설명부호 11은 컴퓨터 본체의 접속부이고, 12는 주변기기의 접속부이다. 이러한 공개 발명은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회로 구성이 복잡하고 고가의 전류변환기(13)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늘날 대부분의 가정용 컴퓨터는 절전모드(stand-by) 상태로 자동 절환하는 기능, 즉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컴퓨터을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절전모드로 절환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정상동작에 비하여 절전모드에서는 컴퓨터가 소모하는 전력량을 30 ~ 70% 까지 줄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보통의 경우 컴퓨터가 절전모드 상태로 절환되어도 컴퓨터의 주변기기에는 전원이 계속 공급되어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저소비 전력의 멀티탭 전원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주변기기에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것이 가능한 멀티탭 전원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가 절전모드일 경우 주변기기에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멀티탭 전원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멀티탭에서 메인탭의 동작상태에 따라 다수개의 서브탭을 동작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 20 : 전류 검출부
30 : 정류부 40 : 스위치 제어 회로부
51 : 트라이악 60 : 메인탭
70, 80 : 서브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메인탭을 통하여 컴퓨터로 공급하는 전류를 검출하는 병렬로 연결된 저항 및 전류 제어소자를 포함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전류 검출부의 검출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류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부와; 상기 스위치 제어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서브탭에 인가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트라이악;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류 검출부의 전류 제어소자가 정류 특성을 갖는 단방향 과도 전압 억제기(Transient Voltage Suppressor : TV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정류부가 커패시터와 쇼트키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정류부에 흐르는 전류를 분배하는 저항이 적어도 하나가 가변저항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적인 바람직한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부가 전원과 연결되는 이미터와; 직렬의 가변저항과 접속되는 베이스와; 저항을 통하여 트라이악에 인가하는 콜렉터를 구비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유리한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컴퓨터 전원 플러그가 삽입되는 메인탭과; 상기 메인탭의 컴퓨터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검출하여 공급되는 경우 전원이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탭과; 상기 메인탭을 통해 인가된 전원에 의하여 컴퓨터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는 경우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고 절전모드로 동작을 하는 경우는 전원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한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원(10)으로부터 컴퓨터 본체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20)와; 상기 전류 검출부(20)의 검출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부(30)와; 상기 정류부(30)에서 출력되는 전류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부(40)와;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부(40)에서 출력되는 전류에 따라 주변기기를 접속하는 서브탭(70)에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트라이악(51)으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60은 메인탭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류 검출부(20)는 전원(10)으로부터 컴퓨터 본체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것으로, 전류를 검출하기 위하여 저항(R21)이 사용된다. 전원은 110/220V의 교류전원을 사용하므로 상기 저항(R21)을 보호하기 위하여 과도 전압 억제기(Transient Voltage Suppressor: TVS)를 상기 저항(R21)과 병렬로 연결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전류전원은 전류 검출부(20)에서 검출하고, 순방향 전류전원은 도통시킨다.
특히, 다이오드형 단방향 과도 전압 억제기(TVS)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전원은 일정 전압까지만 도통시키고 순방향전원은 모두 도통시킨다. 과도 전압 억제기(TVS)는 정전압 다이오드인 제너 다이오드와 비슷하지만 일시적 과도 전압에도 정전압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저항(R21)이 소비하는 전력을 약 1/2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순방향전원일 때는 전류 검출용 저항(R21)으로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고, 역방향전원일때 걸리는 역방향전압을 저항(R21)의 저항값으로 나눈 일정 전류만이 상기 전류 검출용 저항(R21)으로 흐르게 되어 전류 검출용 저항(R21)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열 발생을 줄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정류부(30)는 커패시터(c)와 쇼트키 다이오드(D4)가 직렬로 구성되고, 상기 전류 검출부(20)와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쇼트키 다이오드(D4)는 0.4 ~ 0.5V의 전압 강하를 유지하므로 일반의 다이오드보다 다이오드자체의 전압강하를감소시켜 상기 트라이악(51)을 민감하게 스위칭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정류부(30)의 미세한 전류 변화에도 스위칭되는 트라이악(51)의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트라이악(51)은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부(40)에서 출력된 전류에 따라 전원을 서브탭(7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부(40)가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여 트라이악이 온(on)이 되는 경우 주변기기에 전원이 공급된다.
특히 트라이악(51)은 트라이악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류에 반응하여 온-오프 스위칭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부(40)의 출력부는 게이트와 접속되고, 전원(10)과 서브탭(70)은 각각의 주전극과 접속된다.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전원이 컴퓨터에 공급되면 상기 전류 검출부(20)에서 전류가 검출되고, 검출된 전류에 따라 트라이악(51)을 스위칭하여 주변기기에 전원이 공급된다. 그러므로 컴퓨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즉 컴퓨터가 오프(off)되는 경우는 주변기기에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변기기의 전원을 오프(off)할 필요 없이 컴퓨터 본체의 전원을 제거하기만 하면 주변기기의 전원이 저절로 오프(off)된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2의 회로도와 스위치 제어 회로부(40)에서 차이가 있다. 도3에 도시된 회로는 컴퓨터가 절전모드로 절환되는 경우 트라이악(51)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류량에 따라 트라이악(51)이 온-오프 스위칭되는 것이다.
도3의 스위치 제어 회로부(40)는 상기 정류부(30)에 흐르는 전류를 트라이악(51)에 인가하기 위하여 정류부(30)의 커패시터(c)와 쇼트키 다이오드(D4)사이에 가변저항(R44)을 추가하였다. 스위치 제어 회로부(40)는 가변저항(R43)과 상기 가변저항(R44)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변저항(R44)이 정류부(30)의 전압을 커패시터(c)와 분배한다. 따라서 가변저항(R43)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따라 트라이악(51)을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가변저항(R43)(R44)중 하나를 정격저항(미도시)으로 구성하여 정류부(30)의 미세한 전류변동에도 트라이악(51)이 스위칭되어 서브탭(7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가변저항(R43)(R44) 또는 정격저항에 의하여 각 컴퓨터마다 다른 절전모드시의 전류량을 용이하게 검출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전류 검출부(20)에서 검출된 전류량에 따라 보다 민감하게 스위칭되는 트라이악을 얻을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2와 스위치 제어 회로부(40)에서 구성의 차이가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류부(30)의 커패시터(c)와 병렬로 연결되는 직렬의 가변저항(R43)(R44)과 상기 직렬의 가변 저항(R43)(R44)의 접속점에 연결되는 베이스와; 전원과 접속되는 콜렉터와; 상기 커패시터(c)와 쇼트키 다이오드(D4)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직렬 저항(R45)(R46)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이미터인 npn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이미터는 저항(R46)과 접속되고 상기 저항(R46)은 트라이악(51)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상기 정류부(30)의 커패시터를 통과한 전류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를 온-오프 스위칭 한다.
특히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접속하는 저항을 가변저항(R43)(R44)으로 구성하여 상기 전류 검출부(20)에서 검출한 전류량에 따라 보다 섬세하게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가 정상동작모드로 동작하지 아니하는 상태, 즉 절전모드 상태에서는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온(on)되어 트라이악(51)의 게이트에 인가하는 전류를 트라이악(51)을 스위칭 시키는 임계값보다 낮게 하여 트라이악(51)이 오프되어 결국 서브탭(70)에 접속된 주변기기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즉, 컴퓨터가 절전모드 상태에서는 컴퓨터의 전력소모가 적으므로 전류 검출부(20)에서 검출되는 전류값이 적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충분한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를 온(on)스위칭 한다. 따라서 상기 정류부(30)에서 정류된 전류는 저항(R45)과 상기 트랜지스터(Q1)를 도통하여 전원과 접속된 트라이악의 주전극에 인가된다. 결국 저항(R46)에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아 트라이악을 오프(off) 스위칭 한다. 그러므로 컴퓨터가 절전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온되고, 상기 트라이악이 오프(off)되어 서브탭(70)에 접속된 주변기기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가 정상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충분한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서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된다. 결국 컴퓨터가 정상동작하는 경우는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오프(off)되어 상기 도2에 도시된회로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컴퓨터가 정상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는 트라이악(51)이 온(on)스위칭되어 서브탭(70)에 접속된 주변기기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컴퓨터가 절전모드 상태에서는 상기 트랜지스터(Q1)가 온되어 트라이악(51)의 게이트에 인가하는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부의 출력 전류값을 트라이악(51)을 온(on)스위칭 시키는 임계값보다 낮게 인가하여 트라이악(51)을 오프(off)스위칭 한다. 따라서 컴퓨터가 절전모드 상태에서도 서브탭(70)에 접속된 주변기기에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설명하면, 컴퓨터가 정상동작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주변기기에도 전원이 공급되는데, 컴퓨터가 절전모드 상태에서는 주변기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컴퓨터가 절전모드 상태에서는 컴퓨터의 전원플러그를 멀티탭에서 제거할 필요 없이 저절로 주변기기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4와 스위치 제어 회로부(40)에서 차이가 있다. 즉 pnp트랜지스터를 2개 사용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전류 정류부(30)의 커패시터(c)와 병렬 연결되는 직렬의 가변저항(R43)(R44)과 상기 직렬의 가변저항(R43)(R44)의 접속점에 연결되는 베이스와, 전원과 접속되는 이미터와, 저항(R47)과 연결되는 콜렉터인 제1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가 베이스에 접속되고, 전원과 접속되는 이미터와; 트라이악(51)의 게이트에 접속되는 저항(R46)과,상기 저항(R47)과 접속되는 저항(R45)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콜렉터인 제2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다.
도5에 도시된 회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컴퓨터가 정상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Q2)가 온(on)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트랜지스터(Q3)가 오프(off)되어 트라이악(51)이 온(on)스위칭되어 서브탭에 접속된 주변기기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컴퓨터가 절전모드인 경우는 상기 정류부(30)의 전류가 미약하여 상기 제1트랜지스터(Q2)가 오프(off)스위칭되고, 그에 따라 제2트랜지스터(Q3)가 온(on)스위칭된다. 따라서 상기 트라이악(51)이 오프(off)스위칭되어 서브탭에 접속된 주변기기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부(40)와 트라이악(51) 다수 개를 정류부(30)의 커패시터(c)와 병렬로 연결하여 원하는 서브탭(70)의 수만큼 확장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상기 도2와 도5의 스위치 제어 회로부(40)와 트라이악(51) 및 서브탭을 상기 정류부(30)의 커패시터(c)와 병렬로 연결하였다. 컴퓨터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즉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와 절전모드 상태에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컴퓨터가 정상동작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는 서브탭(70,80)에 접속된 주변기기 모두에 전원이 공급된다. 그러나 컴퓨터가 절전모드 상태에서는 서브탭(70)에 접속된 주변기기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트랜지스터(Q2,Q3)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부(40)가 포함된 다른 서브탭(80)에 접속된 주변기기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나의멀티탭으로 구성되었지만 메인탭에 접속된 컴퓨터의 동작 상태에 따라 다수의 서브탭중 컴퓨터가 절전모드 동작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서브탭과 전원이 차단되는 서브탭이 공존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력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필요 없을 뿐 만 아니라 회로 구성이 간단하고,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절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의 동작상태에 따라 주변기기에 전원 공급을 단속하는 멀티탭 전원제어회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가 절전모드로 절환되는 상태에는 주변기기에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하는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멀티탭 전원제어회로를 이용하여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멀티탭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상기와 같은 기재로부터 본 발명과 동일성 있는 많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컴퓨터의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는 메인탭과 컴퓨터 주변기기의 전원 플러그가 접속되는 서브탭이 일체로 형성된 멀티탭 전원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메인탭으로의 전원공급경로상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탭을 통해 컴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 검출용 저항과 그 저항에 병렬 연결된 단방향 과도 전압 억제기(TVS)를 포함하는 전류 검출부와;
    상기 전류 검출부와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전류 검출부의 검출 전류를 정류하되, 직렬 접속된 커패시터와 쇼트키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류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위치 제어 회로부와;
    상기 스위치 제어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탭에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트라이악;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전원제어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부는,
    상기 커패시터와 쇼트키 다이오드 사이에 접속되어 정류부의 전압을 분배하는 제1가변저항과;
    상기 트라이악의 스위칭 제어레벨 설정을 위해 상기 제1가변저항의 일측과 상기 트라이악의 게이트 사이에 접속되는 제2가변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전원제어회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회로부는,
    상기 커패시터와 쇼트키 다이오드의 접속점과 상기 트라이악의 게이트에 직렬접속되는 제3 및 제4저항과;
    상기 정류부의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두 개의 직렬 가변저항들과;
    상기 커패시터의 일측과 상기 직렬 가변저항의 접속점에 각각 콜렉터와 베이스가 접속되며 에미터가 상기 제3 및 제4저항의 직렬접속점에 접속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전원제어회로.
  6. 삭제
KR10-2000-0082881A 2000-12-27 2000-12-27 멀티탭 전원제어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414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881A KR100414900B1 (ko) 2000-12-27 2000-12-27 멀티탭 전원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2881A KR100414900B1 (ko) 2000-12-27 2000-12-27 멀티탭 전원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330A KR20020053330A (ko) 2002-07-05
KR100414900B1 true KR100414900B1 (ko) 2004-01-13

Family

ID=2768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28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14900B1 (ko) 2000-12-27 2000-12-27 멀티탭 전원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9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274B1 (ko) * 2002-01-22 2004-09-10 주식회사 잉카솔루션 대기전력 차단 및 절전을 위한 전원공급 제어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절전 시스템
AU2007327557B2 (en) * 2006-11-27 2011-09-01 Embertec Pty Ltd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9725951B2 (en) 2014-06-27 2017-08-08 SILVAIR Sp. z o.o. Motorized system with position calibration, circuit protection and detection of motor stopp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827U (ko) * 1995-01-10 1996-08-17 조규헌 컴퓨터용 멀티 콘센트
KR20000064117A (ko) * 2000-08-22 2000-11-06 서인원 전력절약을 위한 멀티 콘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827U (ko) * 1995-01-10 1996-08-17 조규헌 컴퓨터용 멀티 콘센트
KR20000064117A (ko) * 2000-08-22 2000-11-06 서인원 전력절약을 위한 멀티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330A (ko) 200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258B1 (ko) 컴퓨터의 전원공급 제어장치
KR100217699B1 (ko) 전원장치
JP4050325B2 (ja) 電流及び電圧検出回路
US4609982A (en) Power on-off control circuit
KR102142829B1 (ko) 팬코일유닛(fcu), 환기장치 또는 보일러의 유선리모콘에서의 전력선 통신선로를 이용한 대기전력 웨이크업 장치
KR100414900B1 (ko) 멀티탭 전원제어회로
US5872704A (en) Low voltage supply cutoff circuit for an electronic appliance
KR100473486B1 (ko) 전원 자동 차단 장치
US8415928B2 (en) Power circuit
KR100287613B1 (ko) 전원제거시필요동작을유지시키는스위칭회로를구비한제어시스템
KR100316067B1 (ko) 멀티 탭의 제어회로
KR19990072223A (ko) 강하하는 전원에서 적절한 리셋을 보장하는리셋 회로
KR100298305B1 (ko) 대기모드시전력소모를최소화하기위한스위칭모드전원공급장치
KR0182927B1 (ko) 모니터 일체형 컴퓨터의 절전형 회로장치 및 방법
KR200414600Y1 (ko) 컴퓨터용 멀티 탭 장치
KR200218843Y1 (ko) 절전형 멀티 콘센트
JPH0467724A (ja) 電源出力遮断装置
JP3860020B2 (ja) 直流安定化電源回路
KR200334580Y1 (ko) 절전형 멀티탭 콘센트
KR19990005234U (ko) 전력 절약 장치
KR20050087044A (ko) 조리기기의 전압강하 보상회로
KR100568088B1 (ko) 전원 스위칭 장치
KR200281632Y1 (ko) 과전압 입력방지 장치
JP2554589B2 (ja) 電源回路
KR20000064117A (ko) 전력절약을 위한 멀티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